KR2017003404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046A
KR20170034046A KR1020150132217A KR20150132217A KR20170034046A KR 20170034046 A KR20170034046 A KR 20170034046A KR 1020150132217 A KR1020150132217 A KR 1020150132217A KR 20150132217 A KR20150132217 A KR 20150132217A KR 20170034046 A KR20170034046 A KR 20170034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ever
basket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3415B1 (ko
Inventor
정용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415B1/ko
Priority to EP16188258.4A priority patent/EP3144613B1/en
Priority to US15/264,904 priority patent/US10228183B2/en
Priority to CN201610825827.5A priority patent/CN106546049B/zh
Publication of KR20170034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415B1/ko
Priority to US16/250,162 priority patent/US1043649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43Ball or roller bearings with two massive rectangular rails having facing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과 연통하는 도어 개구부와; 상기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와; 상기 도어 개구부에 구비되어, 전방과 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바스켓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 조립체는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된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전방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전방 레일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된 후방 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인출시키는 후방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란 저장물에 냉기를 공급하여 상온보다 낮은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가전장치이다. 냉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냉동사이클 과정을 거친다.
종래의 냉장고는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에 구비된 바스켓과, 바스켓의 상부면을 개폐하는 바스켓 덮개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스켓 내부에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스켓은 도어에 고정된 구조이므로 바스켓 내부 깊숙히 있는 저장물을 꺼내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는 도어를 메인도어와 서브도어로 구비하고, 메인도어에 상기 바스켓을 구비하는데, 서브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방에서 메인도어에 구비된 바스켓 내부의 저장물을 꺼낼 수 있지만, 메인도어의 후방에서 바스켓 내부의 저장물을 꺼내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도어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바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도어에서 후방으로 인출 가능한 바스켓(31)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동에 따라 바스켓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도어에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인출되는 바스켓이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한 강도가 보강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과 연통하는 도어 개구부와; 상기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와; 상기 도어 개구부에 구비되어, 전방과 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바스켓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 조립체는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된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전방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전방 레일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된 후방 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인출시키는 후방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후방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개구부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도어는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 조립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바스켓 조립체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제1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제1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측면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제2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측면에 연장된 제1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는 상기 제2고정홈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강도의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도어의 개방시 관성에 의해 상기 후방 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후방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레버는 후방 회전축과; 상기 후방 회전축에서 연장되며, 상기 후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후방 탄성레버와; 상기 후방 회전축에서 연장되며, 상기 탄성레버와 제2소정각도를 이루는 후방 고정레버와; 상기 후방 고정레버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후방 레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레버돌기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핸들부에 후방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후방 고정레버와 상기 후방 탄성레버 사이의 제2소정각도 보다 벌어지면서 상기 후방 레버돌기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플레이트에 구비된 인출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 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전방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레버는 전방 회전축과; 상기 전방 회전축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전방 탄성레버와; 상기 전방 회전축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방 탄성레버와 제1소정각도를 이루는 전방 고정레버와; 상기 전방 고정레버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전방 레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레버돌기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핸들부에 전방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전방 고정레버와 상기 전방 탄성레버 사이의 제1소정각도 보다 좁아지면서 상기 전방 레버돌기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전방 레버돌기를 고정하는 전방레버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방레버 고정돌기는 상측으로 돌출되며, 전방으로 경사면으로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인출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제1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제2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스토퍼는 전방으로 돌출된 제1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토퍼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2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최대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의 상측에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바스켓의 하중에 의해 회전력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레일 어셈블리는 ㄷ 자 형상의 전방 제1레일과; 상기 전방 제1레일 보다 큰 ㄷ 자 형상으로 상기 전방 제1레일이 내부에 구비되는 전방 제2레일과; 상기 전방 제1레일과 상기 전방 제2레일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제1레일과 상기 전방 제2레일에 접촉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전방 제3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 레일 어셈블리는 ㄷ 자 형상의 후방 제1레일과; 상기 후방 제1레일 보다 큰 ㄷ 자 형상으로 상기 후방 제1레일이 내부에 구비되는 후방 제2레일과; 상기 후방 제1레일과 상기 후방 제2레일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 제1레일과 상기 후방 제2레일에 접촉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후방 제3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 제1레일, 상기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 제2레일은 함께 체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스켓을 이루는 측벽의 상부는 상기 바스켓의 후방에 구비된 제1수평선과, 상기 제1수평선 보다 전방에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제2수평선과, 상기 제1수평선과 상기 제2수평선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선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수평선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의 상부를 덮는 바스켓 상면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상면 덮개는 상기 메인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이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바스켓 상면 덮개는 상기 경사선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도어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바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도어에서 후방으로 인출 가능한 바스켓(31)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동에 따라 바스켓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도어에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인출되는 바스켓이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한 강도가 보강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후면 사시도 이다.
도 3은 바스켓이 후방으로 인출된 사시도 이다.
도 4는 바스켓이 전방으로 인출된 사시도 이다.
도 5는 바스켓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6은 도어의 단면도 이다.
도 7은 레일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후방 레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후방 플레이트의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바스켓을 후방으로 인출하는 경우 후방 레버의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바스켓이 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 12는 전방 레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전방 플레이트의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바스켓을 전방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전방 레버의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바스켓이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 16은 후방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방 레일 어셈블리와 후방 레일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바스켓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 이다.
도 18은 바스켓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인출에 따른 바스켓 덮개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참조하면, X축의 양의 방향을 전방, X축의 음의 방향을 후방, Y축의 양의 방향을 상방 또는 상측, Y축의 음의 방향을 하방 또는 하측, Z축의 양의 방향을 좌방 또는 좌측, Z축의 음의 방향을 우방 또는 우측 정의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후면 사시도 이다. 도 3은 바스켓이 후방으로 인출된 사시도 이다. 도 4는 바스켓이 전방으로 인출된 사시도 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저장실(11)을 구비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11)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21)와, 상기 메인 도어(21)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11)과 연통하는 도어 개구부(216)와, 상기 도어 개구부(216)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23)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관은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의 냉장고의 캐비닛(1)이 정육면체의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캐비닛(1)의 전방에는 내부의 저장실(11)이 외부에 연통하는 캐비닛 개구부를 포함한다.
저장실(11)은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가 공급되어 식품 또는 음료 등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냉동실과 상온보다는 낮으나 영상의 온도로 유지되는 냉장실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00)는 상측에 냉장실이 구비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반대의 경우 또는 캐비닛을 좌측과 우측으로 가르는 격벽에 의해 좌측에 냉동실이 구비되고, 우측에 냉장실이 구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도어(21)는 저장실(11)이 외부와 연통하는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닛(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캐비닛 개구부(1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메인 힌지(211)로 연결된다.
상기 도어 개구부(216)는 메인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도 저장실(11)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할 수 있도록 메인 도어(2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도어(21)는 수직 프레임(212)을 양측에 구비하고, 양측의 수직 프레임(212)을 연결하는 2개의 수평 프레임(213)으로 형성된다. 즉, 메인 도어(21)는 수직 프레임(212)과 수평 프레임(213)을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결하고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개구부(216)는 수직 프레임(212)과 수평 프레임(213)이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생성하는 빈 공간을 말한다.
상기 서브 도어(23)는 도어 개구부(2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메인 도어(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서브 도어(23)는 메인 도어(21)에 서브 힌지(231)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도어(21)가 열릴 때는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함께 회동하여 열리며, 서브 도어(23)가 열릴 때는 메인 도어(21)는 닫힌 상태에서 서브 도어(23)만 개방된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 도어(21)에 구비되는 도어 저장실(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는 도어 저장실(11)은 도어 개구부(216)에 구비된다. 도어 저장실(11)은 메인 도어(21)의 개폐에 따라 메인 도어(21)와 함께 회동한다. 도어 저장실(11)은 서브 도어(23)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도어 개구부(216)를 통해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자주 마시는 음료를 도어 저장실(11)에 구비하여 서브 도어(23)만 열어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메인 도어(21)을 열어 저장실(11)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도어 개구부(216)에 구비되어, 전방과 후방으로 인출 할 수 있는 바스켓(31)을 포함하는 바스켓 조립체(3)를 포함할 수 있다.
도2 및 도 3과 같이, 메인 도어(21)에 구비된 바스켓(31)은 메인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서브 도어(23)는 열려 있고, 메인 도어(21)는 닫힌 상태에서 바스켓(31)은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사용자는 서브 도어(23)만 열린 상태에서도 바스켓(31)을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메인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도 바스켓(31)을 후방으로 인출하여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을 꺼낼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이 냉장실 도어인 경우에는 내부에 과일이나 채소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냉동실 도어인 경우에는 내부에 육고기, 해산물 등과 같이 냉동보관이 필요한 식재료가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바스켓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6은 도어의 단면도 이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스켓 조립체(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 조립체(3)는 상기 바스켓(31)의 하부에 구비된 전방 플레이트(32)와, 상기 전방 플레이트(3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플레이트(32)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전방 레일 어셈블리(34)와, 상기 전방 레일 어셈블리(34)의 하부에 구비된 후방 플레이트(36)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36)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플레이트(36)를 후방으로 인출시키는 후방 레일 어셈블리(3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31)이 후방으로 인출시에는 후방 플레이트(36)와 전방 플레이트(32)가 동시에 후방으로 인출된다. 반대로 바스켓(31)이 전방으로 인출시에는 전방 플레이트(32)만 전방으로 인출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스켓 조립체는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인출되는 제1플레이트와,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된 후방 레일 어셈블리와,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되 전방으로 인출되는 제2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된 전방 레일 어셈블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바스켓 조립체(3)는 메인 도어(21)의 도어 개구부(216)의 하단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 레일 어셈블리(38)는 도어 개구부(216)의 하단에 구비된다. 따라서, 메인 도어(21)의 도어 개구부(216)에서 상측에는 도어 저장실(11)이 구비되며, 하측에는 바스켓 조립체(3)가 구비된다.
한편, 바스켓(31)의 하중이 커지면, 바스켓(31)이 전후방으로 인출시 도어 개구부(216)의 하단이 받는 회전력(Torque)가 커진다. 바스켓(31)의 하중을 버틸 있도록 도어 개구부(216)의 하단의 구조 보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 메인 도어(21)는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조립체(3)는 지지부(214)의 상부에 구비되며, 지지부(214)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214)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메인 도어(21)에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도어(2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4)는 케이스의 사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4)의 내부에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단열재로 채워져 강도가 보강된다.
이 경우 지지부(214)와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구비되며, ABS수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메인 도어(21)는 바스켓 조립체(3)의 하중을 지지부(214)의 상부면에 분산하고, 메인 도어(21)의 강도는 보강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214)와 상기 바스켓 조립체(3)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 레일 어셈블리(38)는 보강 플레이트(39)의 상부에 설치된다.
앞서 말하바와 같이, 지지부(214)는 플라스틱으로 이뤄지며, 내부에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지지부(214)의 상부면에 바스켓 조립체(3)를 나사 등으로 스크류 체결하더라도 단단하게 고정이 안될 수 있다.
이는 메인 도어(21)의 개방에 따라 바스켓 조립체(3)가 지지부(214)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부(214)와 바스켓 조립체(3)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39)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39)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바스켓을 전/후면으로 슬라이딩 되었을 때, 바스켓 하중에 의한 처짐 방지를 위해 별도 판금 부품인 보강 플레이트(39)를 이용하여 메인 도어와 결합 및 하중 분산력을 높인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39)는 강도의 보강을 위하여 보강리브(394)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394)는 보강 플레이트(39)의 상부면에 볼록하게 구비된다. 보강리브(394)는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214)에 보강 플레이트(39)를 고정하는 제1고정홈(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220)은 지지부(214)의 상측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진다.
즉, 지지부(214)의 상부면에 보강 플레이트(39)가 구비되고, 보강 플레이트(39)를 전방으로 밀면 보강 플레이트(39)의 끝단이 제1고정홈(220)에 인입된다. 따라서, 바스켓(31)이 후방으로 인출되더라도 보강 플레이트(39)의 끝단이 제1고정홈(220)에 지지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214)에 측면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제2고정홈(2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플레이트(39)는 좌우측에 연장되어 구비되면 제1날개(3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날개(391)는 제1고정홈(220)에 인입되어 보강 플레이트(39)의 전방 끝단 뿐만 아니라 측면 끝단도 제2고정홈(221)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보강 플레이트(39)에 구비된 후크(3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395)는 보강 플레이트(39)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지지부(214)의 일측에 후크가 고정된다. 후크(395)는 보강 플레이트(39)의 후방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보강 플레이트(39)는 전방으로는 제1고정홈(220)에 의해 고정되며, 측면에서는 제2고정홈(221)에 의해 고정되고, 후방으로는 지지부(214)에 후크(395)가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인출되는 바스켓(31)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레일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한다.
전방 레일 어셈블리(34)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전방 제1레일(341)과, 전방 제1레일(341) 보다 큰 ㄷ 자 형상으로 전방 제1레일(341)이 내부에 구비되는 전방 제2레일(342)과, 전방 제1레일(341)과 전방 제2레일(342)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방 볼 베어링(344)을 포함하는 전방 제3레일(343)을 포함한다.
후방 레일 어셈블리(38)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후방 제1레일(381)과, 후방 제1레일(381) 보다 큰 ㄷ 자 형상으로 후방 제1레일(381)이 내부에 구비되는 후방 제2레일(382)과, 후방 제1레일(381)과 후방 제2레일(382)의 사이에 구비되는 후방 볼 베어링(384)을 포함하는 후방 제3레일(383)을 포함한다.
전방 레일 어셈블리(34)와 후방 레일 어셈블리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이하의 설명은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전방 혹은 후방의 용어를 생략하고 설명한다. 즉, 전방 제1레일(341) 및 후방 제1레일(381)은 제1레일로 설명하고, 전방 제2레일(342) 및 후방 제2레일(382)은 제2레일로 설명하며, 전방 제3레일(343) 및 후방 제3레일(383)은 제3레일로 설명한다.
볼 베어링(344, 384)은 제1레일과 제2레일에 모두 접촉하며, 접촉면에는 오일 등의 윤할유를 구비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제1레일(341, 381)은 고정단에 고정되며, 제2레일(342, 382)은 자유단에 고정된다. 즉, 자유단에 해당하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물체는 제2레일(342, 382)에 고정되며, 고정단에 해당하는 물체가 고정되는 부분은 제1레일(341, 381)에 고정된다.
제1레일(341, 381), 제2레일(342, 382), 제3레일(343, 383)은 이동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제1레일(341, 381)은 제2레일(342, 382)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레일(343, 383)은 제2레일(342, 382) 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레일(342, 382)이 제1레일(341, 381) 및 제3레일(343, 383)에 의해 가이드되어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제2레일(342, 382)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레일(341, 381)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2레일(342, 382)은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3레일(343, 383)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제2레일(342, 38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제1레일스토퍼(345, 385)와 제2레일스토퍼(346, 38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3레일(343, 383)은 제1레일스토퍼(345, 385)와 제2레일스토퍼(346, 386)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제2레일(342, 382)의 내부에서만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3레일(343, 383)에 구비된 제3레일스토퍼(347, 387)와 제1레일(341, 381)에 구비되어 제3레일스토퍼(347, 387)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4레일스토퍼(348, 38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레일스토퍼(347, 387)는 제3레일(343, 383)에서 제1레일(341, 381)을 향해서 돌출된 돌기 또는 갈고리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제4레일스토퍼(348, 388)는 제1레일(341, 381)에서 제3레일(343, 383)을 향해서 돌출된 돌기 또는 갈고리가 끼워질 수 있는 고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레일(342, 382)의 최대 인출거리는 제4레일스토퍼(348, 388)가 제1레일(341, 381)에 구비된 위치와, 제3레일스토퍼(347, 387)가 제3레일(343, 383)에 구비된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제3레일(343, 383)이 제1레일(341, 381)로부터 최대로 인출될 수 있는 거리가 제2레일(342, 382)의 최대 인출거리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제3레일스토퍼(347, 387)는 상기 제3레일(343, 383)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4레일스토퍼(348, 388)는 제1레일(341, 381)의 중심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제3레일(343, 383)의 끝단이란 제2레일(342, 382)의 인출방향의 반대쪽을 말한다. 즉, 전방 레일 어셈블리(34)에서는 제3레일(343, 383)의 후방측을 말하고, 후방 레일 어셈블리(38)에서는 제3레일(343, 383)의 전방측을 말한다.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36, 38)에서 제1레일(341, 381)은 고정단(후방: 지지부(214) 혹은 전방: 후방 플레이트(36)의 상부면)에 볼트로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되며, 제2레일(342, 382)은 자유단(후방: 후방 플레이트(36)의 하부면 혹은 전방: 전방 플레이트(32)의 하부면)에 볼트로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은 자유단과 제2레일(342, 382) 사이의 스크류 체결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자유단의 하부면에서 돌출되며 끝단에 단차부(미도시)를 가지는 고정돌기(50)와(도 16 참조), 고정돌기(50)가 삽입되어 단차부(미도시)가 고정되는 돌기홈(51)을 제2레일(342, 382)에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을 위한 작업자는 자유단의 고정돌기(50)를 제2레일(342, 382)의 돌기홈(51)에 끼워넣고 제2레일(342, 382)을 자유단의 하부면에 스크류 체결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한 방향당 2개씩 총 4개를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이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바스켓에 부하가 있을 시 도어를 여닫게 되면 관성에 의해 바스켓에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치 않게 바스켓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스켓을 고정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의 고정을 해제해야 바스켓이 전방 혹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출된다. 자세한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8은 후방 레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후방 플레이트의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스켓을 후방으로 인출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메인 도어(21)의 개방시 관성에 의해 상기 후방 플레이트(36)가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플레이트(36)를 고정하는 후방레버(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스켓(31)을 후방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후방레버(37)에 힘들 가하여 후방 플레이트(36)의 고정을 풀고 바스켓(31)을 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레버(37)는 후방 회전축(371)과, 상기 후방 회전축(371)에서 연장되며, 상기 후방 플레이트(36)에 고정되는 후방 탄성레버(372)와, 상기 후방 회전축(371)에서 연장되며, 상기 후방 탄성레버(372)와 제2소정각도를 이루는 후방 고정레버(373)와, 상기 후방 고정레버(373)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21)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후방 레버돌기(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회전축(371)은, 도 9와 같이, 후방 플레이트(36)의 하부면에 구비된 후방 회전축 고정부(367)에 의해 고정되며, 후방 회전축 고정부(367)는 C 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C 형상의 개구된 부분으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후방 탄성레버(372)는 작은 힘에도 휘어 질 수 있으되 복원력을 가지도록 탄성부재로 구비된다. 후방 탄성레버(372)는 후방 플레이트(36)의 하부면에 구비된 후방 탄성레버 고정부(366)에 고정된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후방 탄성레버 고정부(366)는 양측이 개구된 고리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후방 레버(37)는 후방 회전축(371)에서 연장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후방 핸들부(3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핸들부(375)는 후방 회전축(37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후방 핸들부(375)는 후방 탄성레버(372)에 비하여 후방 고정레버(373)에 더 단단하게 연결된다.
상기 후방 고정레버(373)는 후방 회전축(371)에서 연장된 후방 핸들부(375)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 탄성레버(372)의 연장선과 후방 핸들부(375)의 연장선은 후방 회전축(371)의 중심축에서 만나지만, 후방 고정레버(373)의 연장선은 후방 회전축(371)의 중심축을 지나지 않는다.
상기 후방 고정레버(373)는 후방 회전축(371)의 양단에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후방 고정레버(373) 사이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2개의 후방 탄성레버(37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2개의 후방 탄성레버(372) 사이에 구비된 후방 핸들부(375)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10은 바스켓을 후방으로 인출하는 경우 후방 레버의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바스켓이 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 10과 같이, 상기 후방 레버돌기(374)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레버돌기(374)는 지지부(214) 또는 보강 플레이트(39)에 구비된 후방레버 고정홀(39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후방레버 고정홀(393)이 보강 플레이트(39)에 구비되는 경우, 후방레버 고정홀(393)은 보강 플레이트(39)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2날개(392)에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제2날개(392)의 후방 끝단은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31)의 후방으로 인출되었다가 인입될 때 후방 레버돌기(374)는 상향 경사진 제2날개(392)의 끝단에 걸리지 않고, 후방레버 고정홀(393)까지 부드럽게 인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스켓을 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10(a)와 같이, 바스켓(31)은 메인 도어(21)에 후방 레버(37)에 의해 고정된다. 자세히는 후방레버 고정홀(393)에 후방 고정레버(373)의 후방 레버돌기(374)가 삽입되어 후방 플레이트(36)는 후방으로 인출이 되지 않는다. 즉, 메인 도어(21)가 개방되어 회동하더라도 관성력에 의해 바스켓(31)은 후방으로 인출되지 않는다.
10(b)와 같이, 후방 핸들부(375)에 후방으로 당기지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후방 고정레버(373)와 후방 탄성레버(372) 사이의 제2소정각도는 보다 벌어지게 된다. 그러면서 후방 고정레버(373)는 아래로 회전하게 되고, 후방레버 고정홀(393)에서 후방 레버돌기(374)는 이탈되며 후방 플레이트(36)는 후방으로 인출된다.
도 11과 같이, 후방 레일 어셈블리(38)에서 후방 제1레일(381)은 보강 플레이트(39)에 고정되며, 후방 제2레일(382)은 후방 플레이트(36)의 하부면에 고정되므로, 후방 제2레일(382)은 후방 제1레일(381)에 의해 가이드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딩 한다.
후방 제2레일(382)의 최대 인출 거리만큼 후방 플레이트(36)는 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이는 바스켓(31)의 최대 후방 인출 거리와 동일하다.
반대로, 후방으로 인출된 바스켓(31)을 메인 도어(21)로 다시 인입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후방으로 인출된 바스켓(31)을 전방으로 밀면, 후방 플레이트(36)의 하부면에 구비된 후방 제2레일(382)은 후방 제1레일(381)에 의해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한편, 본 발명은 후방 플레이트(36)에 구비되어 도어 개구부(216)로 인입되는 후방 플레이트(36)를 정지시키는 인출방지리브(3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즉, 인출방지리브(368)는 후방 플레이트(36)가 도어 개구부(216)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인출방지리브(368)는 후방 플레이트(36)의 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후방 플레이트(36)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도어 개구부(216)로 인입시에 메인 도어(21)의 후면에 인출방지리브(368)가 걸려 후방 플레이트(36)는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되지 않는다.
한편, 인출방지리브(368)는 후방 플레이트(36)의 측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되고, 후방 플레이트(36)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후방 플레이트(36)의 상측에 구비되는 전방 플레이트(32)와 바스켓(31)이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한다.
한편, 인출방지리브(368)는 후방 플레이트(36)의 측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되고, 후방 플레이트(36)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플레이트(36)의 하측에 구비되는 후방 레일 어셈블리(38) 및 후방 레버(37)가 메인 도어(21)의 후방에서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가림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를 참조하면, 바스켓(31)의 후면을 덮는 바스켓 후면 덮개(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후면 덮개(42)의 형상은 바스켓(31)의 후면의 전체와 측면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며, 단면은 ㄷ 형상을 가진다.
바스켓 후면 덮개(42)는 후방 플레이트(36)에 구비되며, 상세히는 상기 인출방지리브(368)의 외주면을 덮도록 구비된다.
바스켓 후면 덮개(42)는, 도 4와 같이, 바스켓(31)이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 바스켓(31)의 뒤쪽으로 저장실과 연통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스켓 후면 덮개(42)는 내주면에서 돌출되며, 내주면의 가로로 구비된 제1엣지(421)와, 내주면의 상측에 가로로 구비된 제2엣지(422)와, 내주면의 전방에 세로로 구비된 제3엣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엣지(421)는 인출방지리브(368)의 상측에 지지되며, 제2엣지(422)는 바스켓(31)의 상측 끝단을 감싸며, 제3엣지(423)는 인출방지리브(368)이 메인 도어(21)와 접촉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도 12는 전방 레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전방 플레이트의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스켓을 전방으로 인출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전방 플레이트(3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플레이트(32)를 고정하는 전방 레버(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스켓(31)을 전방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전방 레버(33)에 힘들 가하여 전방 플레이트(32)의 고정을 풀고 바스켓(31)을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레버(33)는 전방 회전축(331)과, 상기 전방 회전축(331)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방 플레이트(32)에 고정되는 전방 탄성레버(332)와, 상기 전방 회전축(331)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방 탄성레버(332)와 제1소정각도를 이루는 전방 고정레버(333)와. 상기 전방 고정레버(333)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플레이트(36)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전방 레버돌기(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회전축(331)은, 도 13과 같이, 전방 플레이트(32)의 하부면에 구비된 전방 회전축 고정부(327)에 의해 고정되며, 전방 회전축 고정부(327)는 C 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C 형상의 개구된 부분으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전방 탄성레버(332)는 작은 힘에도 휘어 질 수 있으되 복원력을 가지도록 탄성부재로 구비된다. 전방 탄성레버(332)는 전방 플레이트(32)의 하부면에 구비된 전방 탄성레버 고정부(326)에 고정된다. 특히 도 13을 참조하면, 전방 탄성레버 고정부(326)는 양측이 개구된 고리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방 레버(33)는 전방 회전축(331)에서 연장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전방 핸들부(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핸들부(335)는 전방 회전축(3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방 핸들부(335)는 전방 탄성레버(332)에 비하여 전방 고정레버(333)에 더 단단하게 연결된다.
전방 탄성레버(332)의 연장선과 전방 핸들부(335)의 연장선은 전방 회전축(331)의 중심축에서 만나며, 전방 고정레버(333)의 연장선도 후방 회전축(371)의 중심축을 지난다.
상기 전방 탄성레버(332)는 전방 회전축(331)의 양단에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전방 탄성레버(332) 사이에 전방 고정레버(333)를 구비한다. 즉, 전방 고정레버(333)를 전방 회전축(331)의 중심부에 구비하고, 그 양단에 전방 탄성레버(332)를 구비한다.
도 14는 바스켓을 전방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전방 레버의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바스켓이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 이다.
상기 전방 레버돌기(334)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레버돌기(334)는 후방 플레이트(36)의 상부에 구비된 전방레버 고정돌기(361)에 고정된다.
상기 전방레버 고정돌기(361)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후방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전방으로 인출된 바스켓(31)이 후방으로 인입될 때 전방 레버돌기(334)는 전방레버 고정돌기(361)의 경사면을 타고 전방레버 고정돌기(361)을 타고 부드럽게 넘어가게 된다. 이 경우, 전방 레버돌기(334)는 전방레버 고정돌기(361)에 걸려지며, 전방 플레이트(32)는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스켓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14(a)와 같이, 바스켓(31)은 메인 도어(21)에 전방 레버(33)에 의해 고정된다. 자세히는 후방 플레이트(36)에 구비된 전방레버 고정돌기(361)에 전방 고정돌기(50)가 고정되어 전방 플레이트(32)가 고정된다.
14(b)와 같이, 전방 핸들부(335)에 전방으로 당기지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전방 고정레버(333)와 전방 탄성레버(332) 사이의 제1소정각도는 보다 좁아지게 된다. 그러면서 전방 고정레버(333)는 위로 회전하게 되고, 전방레버 고정돌기(361)에서 전방 레버돌기(334)가 이탈되며 전방 플레이트(32)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방 플레이트(32)의 상측으로 상기 전방 핸들부(335)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핸들홀(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핸들홀(321)은 전방 플레이트(32)의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는 구멍이며, 핸들홀(321)을 통해서 전방 핸들부(335)는 전방 플레이트(32)의 상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방 플레이트(32)의 상부에 구비된 전방 핸들부(335)를 전방으로 힘을 가하여 바스켓(31)을 전방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전방 레일 어셈블리(34)에서 전방 제1레일(341)은 후방 플레이트(36)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전방 제2레일(342)은 전방 플레이트(32)의 하부면에 고정되므로, 전방 제2레일(342)은 전방 제1레일(341)에 의해 가이드 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한다.
전방 제2레일(342)의 최대 인출 거리만큼 전방 플레이트(32)는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이는 바스켓(31)의 최대 전방 인출거리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방 플레이트(32)가 전방으로 인출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플레이트(32)의 하부에는 제1스토퍼(322)가 구비되며, 상기 후방 플레이트(36)의 상부에는 제2스토퍼(36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참조)
따라서, 전방 플레이트(32)가 전방으로 인출되더라도 전방 플레이트(32)의 제1스토퍼(322)는 제2스토퍼(36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전방 플레이트(32)가 메인 도어(21)에서 전방으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2바스켓(31)의 하중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바스켓(31)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스토퍼(322)는 전방으로 돌출된 제1회전방지돌기(32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토퍼(362)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2회전방지돌기(3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 플레이트(32)가 전방으로 최대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323)의 상측에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363)가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31)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력이 있더라도 힘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바스켓(31)의 전도를 방지한다.
반대로, 전방으로 인출된 바스켓(31)을 메인 도어(21)로 다시 인입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전방으로 인출된 바스켓(31)을 후방으로 밀면, 전방 플레이트(32)의 하부면에 구비된 전방 제2레일(342)은 전방 제1레일(341)에 의해 가이드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출방지리브(368)는 후방 플레이트(36)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전방 플레이트(32)와 바스켓(31)이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전방 플레이트(32)는 상부에 바스켓(3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바스켓(31)을 고정하기 위하여 전방 플레이트(32)의 상부는 소정 깊이로 단차지게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바스켓(31)은 전방 플레이트(32)의 단차진 상부면에 삽입되도록 바스켓 단차부(313)를 외측 둘레에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바스켓(31)을 고정하기 위하여 전방 플레이트(32)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체결돌기(324)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돌기(324)에 인입될 수 있도록 바스켓(31)의 외부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바스켓 체결리세스(3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바스켓(31)의 전방 외부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바스켓 핸들리세스(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플레이트(32)의 상부로 노출된 전방 핸들부(335)가 상기 바스켓 핸들리세스(312)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도 16은 후방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방 레일 어셈블리와 후방 레일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바스켓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방 레일 어셈블리와 후방 레일 어셈블리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 레일 어셈블리(34)와 후방 레일 어셈블리(38)는 후방 플레이트(3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구비된다. 자세히는 전방 제1레일(341)과 후방 제2레일(382)은 각각 후방 플레이트(3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고정된다.
즉, 전방 레일 어셈블리와 후방 레일 어셈블리를 동일 수직선 상에 상하로 결합하여 바스켓 인출시 저짐을 최소화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 제1레일(341), 상기 후방 플레이트(36) 및 상기 후방 제2레일(382)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즉, 전방 레일 어셈블리(34)와 후방 레일 어셈블리(38)은 동일한 수직축 상에 구비된다. 따라서, 바스켓(31)의 하중은 전방 레일 어셈블리(34)에서 후방 레일 어셈블리(38)로, 후방 레일 어셈블리(38)에서 보강 플레이트(39)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방 제1레일(341)은 후방 플레이트(36)의 전방에 체결되어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전방 제1레일(341)에 의해 가이드되는 전방 제2레일(342)이 전방으로 최대로 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한 이유로 후방 제1레일(381)은 보강 플레이트(39)의 후방에 체결되어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후방 제1레일(381)에 의해 가이드되는 후방 제2레일(382)이 후방으로 최대로 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8는 바스켓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인출에 따른 바스켓 상면 덮개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스켓 상면 덮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스켓(31)의 상면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는 바스켓 상면 덮개(41)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상면 덮개(41)는 메인 도어(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도어 개구부(216)의 내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저장실(1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스켓(31)을 이루는 측벽의 상부는 상기 바스켓(31)의 후방에 구비된 제1수평선(311a)과, 상기 제1수평선(311a) 보다 전방에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제2수평선(311c)과, 상기 제1수평선(311a)과 상기 제2수평선(311c)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선(311b)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스켓 상면 덮개(41)는 제2수평선(311c)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바스켓 상면 덮개(41)는 상기 제2수평선(311c)이 만드는 바스켓(31)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다. 즉 바스켓 개구부(311)를 덮는다.
바스켓 상면 덮개(41)는 바스켓(31)이 메인 도어(21)의 내부에 거치된 경우 또는 후방으로 인출된 경우에는 수평하게 구비된다. 그러나, 바스켓(31)이 전방으로 인출된 경우에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구비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바스켓 상면 덮개(41)는 바스켓(31)의 전방 인출시 경사선(311b)과 접촉하여 마찰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곡선부(411)와 곡선부(411)에 연결되어 제1수평선(311a)에 의해 고정되는 직선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1 저장실11 메인 도어21
메인 힌지211 수직 프레임212 수평 프레임213
지지부214 제1고정홈220 제2고정홈221
도어 개구부216 도어 저장실217 서브 도어23
서브 힌지231 바스켓 조립체3 바스켓31
바스켓 개구부311 제1수평선311a 제2수평선311c
경사선311b 바스켓 핸들리세스312 바스켓 단차부313
바스켓 체결리세스314 전방 플레이트32 바스켓 체결돌기324
핸들홀321 전방 탄성레버 고정부326 전방 회전축 고정부327
제1스토퍼322 제1회전방지돌기323 전방레버33
전방 회전축331 전방 탄성레버332 전방 고정레버333
전방 레버돌기(334) 전방 핸들부(335) 전방 레일 어셈블리34
전방 제1레일341 전방 제2레일342 전방 제3레일343
바스켓35 후방 플레이트36 전방레버 고정돌기361
제2스토퍼362 제2회전방지돌기363 후방 탄성레버 고정부366
후방 회전축 고정부367 인출방지리브368 후방레버37
후방 회전축371 후방 탄성레버372 후방 고정레버373
후방 레버돌기374 후방 핸들부375 후방 레일 어셈블리38
후방 제1레일381 후방 제2레일382 보강 플레이트39
제1날개391 제2날개392 후방레버 고정홀393
보강리브394 후크395 바스켓 상면 덮개41
바스켓 후면 덮개 42 고정돌기50 돌기홈51

Claims (24)

  1.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과 연통하는 도어 개구부와;
    상기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와;
    상기 도어 개구부에 구비되어, 전방과 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바스켓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 조립체는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구비된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전방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전방 레일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된 후방 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인출시키는 후방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개구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는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 조립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바스켓 조립체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제1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제1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측면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제2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측면에 연장된 제1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는 상기 제2고정홈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강도의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의 개방시 관성에 의해 상기 후방 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후방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레버는 후방 회전축과;
    상기 후방 회전축에서 연장되며, 상기 후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후방 탄성레버와;
    상기 후방 회전축에서 연장되며, 상기 탄성레버와 제2소정각도를 이루는 후방 고정레버와;
    상기 후방 고정레버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후방 레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레버돌기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핸들부에 후방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후방 고정레버와 상기 후방 탄성레버 사이의 제2소정각도 보다 벌어지면서 상기 후방 레버돌기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플레이트에 구비된 인출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 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전방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레버는
    전방 회전축과;
    상기 전방 회전축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전방 탄성레버와; 상기 전방 회전축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방 탄성레버와 제1소정각도를 이루는 전방 고정레버와;
    상기 전방 고정레버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전방 레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레버돌기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핸들부에 전방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전방 고정레버와 상기 전방 탄성레버 사이의 제1소정각도 보다 좁아지면서 상기 전방 레버돌기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전방 레버돌기를 고정하는 전방레버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레버 고정돌기는 상측으로 돌출되며, 전방으로 경사면으로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인출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제1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제2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전방으로 돌출된 제1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토퍼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2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최대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의 상측에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바스켓의 하중에 의해 회전력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레일 어셈블리는 ㄷ 자 형상의 전방 제1레일과;
    상기 전방 제1레일 보다 큰 ㄷ 자 형상으로 상기 전방 제1레일이 내부에 구비되는 전방 제2레일과;
    상기 전방 제1레일과 상기 전방 제2레일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제1레일과 상기 전방 제2레일에 접촉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전방 제3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레일 어셈블리는 ㄷ 자 형상의 후방 제1레일과;
    상기 후방 제1레일 보다 큰 ㄷ 자 형상으로 상기 후방 제1레일이 내부에 구비되는 후방 제2레일과;
    상기 후방 제1레일과 상기 후방 제2레일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 제1레일과 상기 후방 제2레일에 접촉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후방 제3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제1레일, 상기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 제2레일은 함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을 이루는 측벽의 상부는 상기 바스켓의 후방에 구비된 제1수평선과, 상기 제1수평선 보다 전방에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제2수평선과, 상기 제1수평선과 상기 제2수평선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선으로 이뤄지며,
    상기 제2수평선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의 상부를 덮는 바스켓 상면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상면 덮개는 상기 메인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이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바스켓 상면 덮개는 상기 경사선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132217A 2015-09-18 2015-09-18 냉장고 KR10172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17A KR101723415B1 (ko) 2015-09-18 2015-09-18 냉장고
EP16188258.4A EP3144613B1 (en) 2015-09-18 2016-09-12 Refrigerator
US15/264,904 US10228183B2 (en) 2015-09-18 2016-09-14 Refrigerator
CN201610825827.5A CN106546049B (zh) 2015-09-18 2016-09-14 冰箱
US16/250,162 US10436499B2 (en) 2015-09-18 2019-01-17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17A KR101723415B1 (ko) 2015-09-18 2015-09-1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046A true KR20170034046A (ko) 2017-03-28
KR101723415B1 KR101723415B1 (ko) 2017-04-05

Family

ID=5689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217A KR101723415B1 (ko) 2015-09-18 2015-09-1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228183B2 (ko)
EP (1) EP3144613B1 (ko)
KR (1) KR101723415B1 (ko)
CN (1) CN1065460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14B1 (ko) * 2014-10-15 201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27935B1 (ko) * 2014-10-22 201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6040B1 (ko) * 2016-01-05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73219B1 (ko) * 2015-12-10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816746B1 (en) * 2016-11-18 2017-11-14 Whirlpool Corporation Slide out door bin
CN107401882B (zh) * 2017-07-01 2020-10-3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冰箱
US10859302B2 (en) * 2018-09-26 2020-12-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with flexible door-in-door compartments
US11668513B2 (en) 2020-12-01 2023-06-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11215391B1 (en) 2020-12-01 2022-01-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11415360B1 (en) * 2021-02-03 2022-08-1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or-in-door refrigerator with sliding door
US20230258389A1 (en) * 2022-02-15 2023-08-17 Whirlpool Corporation Storage assembly for an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026A (ko) * 2006-08-17 200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수단
KR20080067409A (ko) * 2007-01-16 2008-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54848A (ko) * 2010-11-22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저장용기 어셈블리
KR20140105687A (ko) * 2013-02-23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8097A (en) * 1968-07-26 1970-01-06 Herbert S Fall Heavy-duty drawer slide
JP3106781B2 (ja) 1993-07-27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制動装置付電動機
US6793298B2 (en) * 2002-08-09 2004-09-21 Pulaski Furniture Corporation Furniture unit using dual slider mechanism
JP3106781U (ja) 2004-07-26 2005-01-20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引出しロックパーツ及び引出しロックパーツを備えた引出し付家具
US7866772B1 (en) * 2008-01-24 2011-01-11 Gslide Corporation Sliding rail coupling structure for hidden sliding track assembly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CN102138735A (zh) * 2010-02-01 2011-08-03 李绍汉 三节抽屉导轨结构
TW201200828A (en) * 2010-03-25 2012-01-01 Panasonic Corp Refrigerator
CN102478373A (zh) 2010-11-25 2012-05-30 苏州市君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液体防弹衣
KR101646514B1 (ko) * 2014-10-15 201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27935B1 (ko) * 2014-10-22 201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6040B1 (ko) * 2016-01-05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73219B1 (ko) * 2015-12-10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1682B1 (ko) * 2016-01-05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816746B1 (en) * 2016-11-18 2017-11-14 Whirlpool Corporation Slide out door b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026A (ko) * 2006-08-17 200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수단
KR20080067409A (ko) * 2007-01-16 2008-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54848A (ko) * 2010-11-22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저장용기 어셈블리
KR20140105687A (ko) * 2013-02-23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4613B1 (en) 2018-02-14
US10228183B2 (en) 2019-03-12
US20170082351A1 (en) 2017-03-23
CN106546049B (zh) 2019-04-05
CN106546049A (zh) 2017-03-29
EP3144613A1 (en) 2017-03-22
US10436499B2 (en) 2019-10-08
KR101723415B1 (ko) 2017-04-05
US20190145696A1 (en)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415B1 (ko) 냉장고
RU2765815C1 (ru) Холодильник
US10317128B2 (en) Refrigerator
KR102186243B1 (ko) 냉장고
CA2757470C (en) Refrigerator
EP3150946B1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EP3152502B1 (en) Refrigerator
US8864252B1 (en) Tilt out and removable door storage
KR20130053214A (ko) 냉장고
US6484529B2 (en) Cabinet construction for an ice maker or other refrigeration appliance
KR20170110484A (ko) 냉장고
KR20080095355A (ko) 냉장고의 저장용기 출입 구조
US20120255322A1 (en) Refrigerator with auxiliary basket
JP5117142B2 (ja) 冷蔵庫
KR101857655B1 (ko) 냉장고
KR20100022742A (ko) 냉장고
KR101573530B1 (ko) 냉장고
KR10174282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
KR200349032Y1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도어
KR101652519B1 (ko) 냉장고
KR20170082083A (ko) 냉장고
AU2004242054A2 (en) Door handle
KR101988308B1 (ko) 냉장고
KR20150045294A (ko) 냉장고
KR2015010623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