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723A - 유량 조절기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723A
KR20170033723A KR1020150131867A KR20150131867A KR20170033723A KR 20170033723 A KR20170033723 A KR 20170033723A KR 1020150131867 A KR1020150131867 A KR 1020150131867A KR 20150131867 A KR20150131867 A KR 20150131867A KR 20170033723 A KR20170033723 A KR 20170033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d
fluid
pressure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502B1 (ko
Inventor
옥대홍
Original Assignee
바이트론 인더스트리즈 차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트론 인더스트리즈 차이나 filed Critical 바이트론 인더스트리즈 차이나
Priority to KR102015013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5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1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34Excess-flow valves in which the flow-energy of the flowing medium actuates the clos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유량 조절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소통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외측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베이스와의 간격에 따라 상기 소통부의 개방 정도를 변경하는 패드; 상기 패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며,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일측이 개방되는 러버 부재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량 조절기{FLOW REGULAT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 식기 세척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물은 점점 일종이 귀중한 자원이 되고, 수자원을 보다 고효율로 이용하는 것은 여러 방면에 있어서 공동 연구 과제이다. 현재,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에 사용되는 유량 조절기는 수압에 따라 자동으로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수압은 다른 지역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수압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유량을 조절할 수 없는 것은 이미 수자원 이용에 있어서 큰 문제가 될 수 밖에 없다. 비록, 현재, 저수압과 고수압과 같은 다른 상황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술 방안을 채택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만, 수압에 따라 자동으로 유량을 조절하지 못하여, 보편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량 조절기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량 조절기는 베이스(1), 코어(2), 패드(4)로 구성되며, 코어(2) 측에서 물이 유입되어 베이스(1)에 형성된 소통공을 통해 물이 흐르는 것을 패드(4)에 의해 제한함으로써, 유량을 조절한다. 그러나, 수압이 낮을 경우에는 패드(4)에 의해 흐르는 유량이 낮아지게 되어, 수압에 따라서 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한다.
따라서, 저수압일 경우에는 유량을 좀 더 늘리고, 고수압일 경우에는 유량을 줄임으로써, 저수압 및 고수압 모두에서 적절한 유량이 공급되도록 하는 유량 조절기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30006호(2002.03.1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의 압력에 따라서 적절한 유량의 유체가 배출되는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수압일 경우에는 최대한의 유체가 배출되며, 고수압일 경우는 제한된 양의 유체가 배출되는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유체의 압력에 따라 적절한 유량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소통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외측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베이스와의 간격에 따라 상기 소통부의 개방 정도를 변경하는 패드; 상기 패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며,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일측이 개방되는 러버 부재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기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이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에 수축되어, 상기 패드 및 상기 베이스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이고, 상기 베이스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코어의 최상측에 위치하는 돌기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탄성 부재와 러버 부재에 의해서, 유체의 압력에 따라서 적절한 유량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저수압일 경우에는 탄성 부재에 의해서 패드와 베이스 간의 간격을 최대한 유지하고, 고수압일 경우에는 패드와 베이스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유체의 압력에 따라서 적절한 유량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탄성 부재와 러버 부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간단한 구성만으로 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량 조절기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가 밸브체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를 포함하는 밸브체 내에 저수압의 유체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를 포함하는 밸브체 내에 고수압의 유체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량 조절기는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소통부를 가지는 베이스(10), 베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코어(20), 코어(20)의 외측에서 슬라이딩되며, 베이스(10)와의 간격에 따라서 베이스(10)에 형성된 소통부의 개방 정도를 변경하는 패드(40), 패드(40)와 베이스(1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30), 및 베이스(10)에 형성되는 삽입부(11)에 삽입되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일측이 개방되는 러버(rubber) 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형의 부재일 수 있으며, 밸브체 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코어(20)는 베이스(10)의 중앙부측에 삽입되며, 밸브체의 유입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40)는 코어(20)의 둘레를 통해 끼워지며 코어(20)의 최상측에 형성된 돌기(50)에 의해 코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패드(40)는 코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패드(40)와 베이스(10)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30)는 평상시 및 저수압일 경우에는 패드(40)와 베이스(10) 간의 간격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고, 고수압이 되면 수축하여 패드(40)와 베이스(10)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러버 부재(70)는 평상시에는 일측이 폐쇄되어 있다가, 코어(20) 측에서 유체가 유입되면 그 일측이 개방되어 밸브체의 배출부 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 부재(75)는 러버 부재(70)를 베이스(10)의 삽입부(11)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0)는 복수개일 수 있고, 베이스(1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겨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가 밸브체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량 조절기는 밸브체(8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량 조절기의 코어(20)가 밸브체(80)의 유입부(90) 측에, 베이스(10) 및 러버 부재(70)는 밸브체(80)의 배출부(100)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밸브체(80)의 솔레노이드(110)가 오프(off)되어 유체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의하면, 탄성 부재(30)는 패드(40)와 베이스(10) 간의 간격을 최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러버 부재(70)의 일측은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를 포함하는 밸브체 내에 저수압의 유체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밸브체(80)의 솔레노이드(110)가 온(on)된 상태에서 저수압의 유체가 흐를 경우에는, 탄성 부재(30)는 여전히 패드(40)와 베이스(10) 간의 간격을 최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베이스(10)의 소통부를 통해 최대의 유체가 흐를 수 있으며, 러버 부재(70)의 일측이 개방되어서 베이스(10)의 소통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벨브체(80)의 배출부(100) 측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저수압의 유체가 밸브체(80) 내로 들어올 경우에 가능한 최대의 유량이 밸브체(80)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유량 조절기가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를 포함하는 밸브체 내에 고수압의 유체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밸브체(80)의 솔레노이드(110)가 온(on)된 상태에서 고수압의 유체가 흐를 경우에는, 탄성 부재(30)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밀려서 패드(40)와 베이스(10)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패드(40)와 베이스(10)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베이스(10)에 형성된 소통부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를 통과하는 유량이 원래 유체의 압력에 비해 낮아짐으로써, 고수압의 경우는 유입되는 유체에 비해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적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러버 부재(70)는 일측에 개방되어서 베이스(10)의 소통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밸브체(80)의 배출부(100) 측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는, 저수압일 경우에는 탄성 부재(30)의 탄성력이 수압에 의한 힘보다 커서 탄성 부재(30)에 의해 패드(40)와 베이스(10) 간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베이스(10)의 소통부를 통해 최대한의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저수압일 경우, 가능한 한 많은 유량이 밸브체(8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에 반해, 고수압일 경우에는 탄성 부재(30)의 탄성력이 수압에 의한 힘보다 작아서 패드(40)가 베이스(10) 측으로 밀려서, 패드(40)와 베이스(10)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소통부를 통해 제한된 유량의 유체만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고수압일 경우에는 원래 유입된 유량에 비해 적은 유량이 밸브체(8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량 조절기는 수압의 고저에 따라서 적절한 유량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베이스
20 : 코어
30 : 탄성 부재
40 : 패드
50 : 돌기
60 : 돌출부
70 : 러버 부재
75 : 고정 부재
80 : 밸브체
90 : 유입부
100 : 배출부
110 : 솔레노이드

Claims (5)

  1. 유체의 소통이 가능한 소통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외측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베이스와의 간격에 따라 상기 소통부의 개방 정도를 변경하는 패드;
    상기 패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며,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일측이 개방되는 러버 부재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이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에 수축되어, 상기 패드 및 상기 베이스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유량 조절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유량 조절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이고, 상기 베이스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유량 조절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코어의 최상측에 위치하는 돌기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유량 조절기.


KR1020150131867A 2015-09-17 2015-09-17 유량 조절기 KR102404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867A KR102404502B1 (ko) 2015-09-17 2015-09-17 유량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867A KR102404502B1 (ko) 2015-09-17 2015-09-17 유량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23A true KR20170033723A (ko) 2017-03-27
KR102404502B1 KR102404502B1 (ko) 2022-05-31

Family

ID=5849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867A KR102404502B1 (ko) 2015-09-17 2015-09-17 유량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378U (ja) * 1992-02-18 1993-09-0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定流量弁付き逆止弁
KR100330006B1 (ko) 1998-04-15 2002-05-09 윤종용 하이브리드형 유량 조절 밸브
KR20070078145A (ko) * 2006-01-26 2007-07-31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밸브의 유체 역류방지장치
JP2007239864A (ja) * 2006-03-08 2007-09-20 Fuji Seiko Kk 定流量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378U (ja) * 1992-02-18 1993-09-0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定流量弁付き逆止弁
KR100330006B1 (ko) 1998-04-15 2002-05-09 윤종용 하이브리드형 유량 조절 밸브
KR20070078145A (ko) * 2006-01-26 2007-07-31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밸브의 유체 역류방지장치
JP2007239864A (ja) * 2006-03-08 2007-09-20 Fuji Seiko Kk 定流量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502B1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2197A1 (en) Automatic water diverter
RU2008135045A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с управляющей полостью
CN204344395U (zh) 具有改进的阀构造的电磁泵
US20100096028A1 (en) Anti-backflow valve
US20150000769A1 (en) Anti-shake flow-limiting cutoff valve
KR102057659B1 (ko) 유량 조절기 유닛
MY196613A (en) Diaphragm for Fluid Control Valve and Methods of Fluid Control
JP6376914B2 (ja) 逆止弁構造
RU2015113127A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качки
JP2014021594A (ja) 減圧弁
KR20170101558A (ko) 밸브
KR20180095800A (ko) 체크 밸브 구조
KR20170033723A (ko) 유량 조절기
CN107435358B (zh) 卫浴嵌入单元
CN107223173B (zh) 卫生嵌入单元
CN105839715A (zh) 卫生用嵌入单元
JP2013094203A (ja) 洗濯機
KR100947384B1 (ko) 튜브 커넥터
RU263982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клапане и клапан с таким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JP2012021551A (ja) リリーフ弁
CN205715842U (zh) 一种ppr快速流通单向阀
CA2637121A1 (en) Automatic water diverter
US10145092B2 (en) Device for preventing backflow
KR20170086866A (ko) 감압밸브
KR101655182B1 (ko) 살수판 보강부가 구비되는 유체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