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074A - 착유기 - Google Patents

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074A
KR20170033074A KR1020150130926A KR20150130926A KR20170033074A KR 20170033074 A KR20170033074 A KR 20170033074A KR 1020150130926 A KR1020150130926 A KR 1020150130926A KR 20150130926 A KR20150130926 A KR 20150130926A KR 20170033074 A KR20170033074 A KR 20170033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valve
feeding cup
flow pa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047B1 (ko
Inventor
장순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Priority to KR102015013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0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의 외부 공간과, 내부 통로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밸브가 수유컵 본체와 펌프 사이에 위치하는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유기{ The Milker }
본 발명은 튜브의 외부 공간과 내부 통로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밸브가 수유컵 본체와 펌프 사이에 위치하는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5758호에 기재된 종래의 착유기는, 모유저장병과, 모유저장병에 결합되는 가슴부착부와, 상기 가슴부착부와 튜브로 연결되는 역류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슴부착부는 깔때기와, 목부와, 제2결합부와, 손잡이와, 모유배출부와, 압착막과,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착유기는, 깔때기에 진공 형성 및 해제를 어렵게 하여 모유의 흡입이 유연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0772호에 기재된 착유기는, 도 1과 같이, 수유컵 본체(45,46)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표면(47)을 포함하고, 후방에 튜브(4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의 주변에는 진공해제막(7)이 설치되고, 진공해제막(7)은 밸브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는 수유컵(40,400)에 진공을 형성 및 해제하도록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해제막의 밸브는 수유컵 본체에 설치되므로, 진공펌프와의 거리가 멀어서 밸브의 개폐 반응속도가 느리고, 수유컵 내부에 진공이 잘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575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077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밸브가 수유컵 본체와 펌프 사이에 위치하여, 밸브의 개폐 반응속도가 향상되고, 수유컵 내부에 진공 형성이 용이한 착유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착유기는, 수유컵을 포함하는 수유컵 본체; 상기 수유컵 본체와 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수유컵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펌프; 상기 튜브의 외부 공간과 상기 튜브의 내부 통로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밸브; 상기 밸브가 설치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는 상기 수유컵 본체와 상기 펌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밸브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통구의 일단은 실링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의 외측에는 상기 핀과 일체로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모유는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는 통과하는 멤브레인이 삽입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수유컵 본체와 상기 멤브레인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는 상기 수유컵 본체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튜브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제2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튜브의 길이는 상기 제2튜브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밸브의 개폐 반응속도가 향상되고, 수유컵 내부에 진공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소독 및 잦은 세척이 필요한 수유컵 본체에 설치될 경우에 비해 분실 우려가 줄어든다.
또한, 별도의 사출물을 제작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밸브는 수유컵 본체와 멤브레인 사이에 설치되어, 진공압력의 해제가 원활하다.
도 1은 종래의 수유컵 및 수유컵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착유기의 사시도(케이스 열린 상태).
도 3은 수유컵 본체, 저장용기, 튜브 및 지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지지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커버 및 밸브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진공 해제 시 지지부에 설치된 밸브, 핀 및 커버의 단면도.
도 7은 진공 형성 시 지지부에 설치된 밸브, 핀 및 커버의 단면도.
도 8은 지지부에 설치된 밸브의 평면도.
도 9는 펌프를 포함하는 케이스 내부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착유기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착유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유컵(110)을 포함하는 수유컵 본체(100);와, 수유컵 본체(100)와 튜브(200)로 연결되어 수유컵(110)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펌프(520);와, 튜브(200)의 외부 공간(250)과 튜브(200)의 내부 통로(240)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밸브(410);와, 밸브(410)가 설치되는 지지부(300); 를 포함하되, 밸브(410)는 수유컵 본체(100)와 펌프(5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착유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유컵 본체(100)와, 내부에 펌프(520)를 포함하는 케이스(500)와, 수유컵 본체(100)와 펌프(520)를 연결하는 튜브(200)와, 튜브(200)에 결합되고 그 외면에 밸브(410)가 설치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유컵 본체(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깔대기 형상의 수유컵(110)과, 수유컵(110)의 일단에 측면이 연결되는 목부(120)와, 목부(120)의 하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부(130)와, 제1결합부(130)에 결합되는 저장용기(170)와, 목부(120)의 상단에 연결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유컵(110)은 사용자의 젖가슴에 편안하고, 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전면 입구 측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유컵(110)의 입구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줄어드는 형상이다. 수유컵(110)의 후단은 목부(120)의 측면 중앙부분에 연결되어 일체를 이룬다. 또한, 수유컵(110)의 후방 상면과, 목부(120)의 측면에 제1지지대(122)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룬다. 제1지지대(122)는 삼각 형상이고, 목부(120)에 대해 수유컵(110)을 더욱 견고히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목부(120)는 수유컵(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서로 연통된다. 목부(120)는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유컵(110)이 연결된 부분의 상측 부분은 곡률이 무한대인 평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목부(120)의 내부는 격벽(미도시)에 의해 분리되어 수유컵(110)의 내부와 연통된 제1공간과, 목부(120)의 상측 내부와 연통된 제2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목부(120)의 하부에는 원통 형상의 제1결합부(130)가 연결된다. 제1결합부(1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부(130)의 상면과 목부(120)의 하부 외주면에 삼각 형상의 제2지지대(124)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룬다. 제2지지대(124)는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부(130)의 내부에는 모유배출부(14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모유는 모유배출부(140)의 하단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저장용기(170)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달리, 모유배출부는 측면에 모유가 배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덮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제1결합부(130)에는 저장용기(170)의 상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172)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제2결합부(17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목부(120)의 상면에는 'ㄱ'자 형상의 손잡이(150)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룬다. 손잡이(15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자의 젖가슴에 수유컵(110)을 갖다대거나, 뗄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손잡이(150)의 상부에는 중공인 중공관(152)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중공관(152)의 타단은 튜브(200), 즉 제1튜브(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중공관(152)을 통해 수유컵 본체(100)는 튜브(200), 즉 제1튜브(2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달리, 손잡이(150)의 상부에 중공인 돌출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1튜브(210)의 일단이 중공관(152) 없이 직접 상기 돌출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튜브(20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유컵 본체(100)와 지지부(300)를 연결하는 제1튜브(210)와, 지지부(300)와 펌프(520)를 연결하는 제2튜브(220)를 포함한다.
또한, 제2튜브(220)는 제2튜브a(221)와, 제2튜브b(223)와, 제2튜브c(224)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튜브b(223)와 제2튜브c(224)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제3튜브(230)를 더 포함한다. 제3튜브(230)는 제2튜브b(223)와 제2튜브c(224)사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솔레노이드 밸브(530)의 배출구(534)에 연결된다. 튜브(200)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제1튜브(210)의 타단은 제1하우징(320)의 외면에 돌출된 제1튜브결합부(324)에 결합된다. 제1튜브(210)를 통해 수유컵 본체(100)의 수유컵(110) 내부와 지지부(300)의 내부가 서로 연통된다. 제1튜브(210)는 제2튜브(2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2튜브(22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이하에는 제1튜브(210)의 타단에 결합되는 지지부(300) 및 지지부(300)에 설치되는 밸브(410)와 커버(4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에서 지지부(300)는 그 내부에 멤브레인이 삽입된 역류방지부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300)의 외부 하우징은 제1하우징(320)과 제2하우징(340)으로 구성된다.
제1하우징(320)의 하측 외부 둘레면에는 제3결합부(322)가 형성된다. 제3결합부(32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1하우징(320)의 외면 중앙에는 제1튜브결합부(324)가 돌출 형성된다. 제1튜브결합부(324)는 제1하우징(32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에 작아지는 원기둥의 형상이다.
제1튜브결합부(324)의 중앙 내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제1튜브(210)의 내부 통로(240)와 지지부(300)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제1튜브결합부(324)는 제1튜브(210)의 타단에 삽입된다.
두 개의 돌출부a(326)는 제1튜브결합부(324)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위치한다.
일측의 돌출부a(326)는 변곡점이 일측으로 치우친 아치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의 돌출부a(326)는 변곡점이 타측으로 치우친 아치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a(326)는 제3결합부(322)와 후술할 제4결합부(342)가 나사결합될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하우징(320)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구(414), 유로(418) 및 돌기(450)에 대해서는 뒤에서 밸브(410) 및 커버(420) 등을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제2하우징(340)의 내부 둘레면에는 제4결합부(342)가 형성되고, 제4결합부(34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4결합부(342)는 제3결합부(322)와 나사결합되어, 제1하우징(320)과 제2하우징(340)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한다.
제2하우징(340)의 일면(도 4 기준으로 제2하우징의 하면) 중앙에는 제2튜브결합부(344)가 형성된다. 제2튜브결합부(344)는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기둥의 형상이다.
제2튜브결합부(344)의 중앙 내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지지부(300)의 내부와 제2튜브(220)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제2튜브결합부(344)는 제2튜브a(221)의 일단에 삽입된다.
제2하우징(340)의 내부면에는 제1원형돌기(351)와, 방사상돌기(353)와, 제2원형돌기(355)가 형성되어 있다.
제1원형돌기(351)는 제2하우징(340)의 내부면 중심의 둘레에 돌출되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사상돌기(353)는 제1원형돌기(351)의 외측 둘레에서 일정간격을 가지고 뻗어있는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2원형돌기(355)는 각각의 방사상돌기(353)의 중심을 연결하는 원형으로 돌출되어 방사상돌기(35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원형돌기(351)와 방사상돌기(353)와 제2원형돌기(355)는 전체적으로 그물 또는 벌집 또는 거미줄 형상이 되며, 그 갯수와 모양은 다양할 수 있다.
멤브레인(360)은 원형의 막이다. 멤브레인(360)의 재질은 다공질체인 폴리불화에틸렌계 합성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360)은 일면이 제2하우징(340)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1원형돌기(351)와 방사상돌기(353)와 제2원형돌기(355)에 접하여 배치된다.
멤브레인(360)은 공기는 통과시키고, 모유 등의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게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즉, 수유컵 본체(100)로부터 유입되는 모유 등의 액체가 펌프(520)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고정부재(380)는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380)는 제3결합부의 외주에 끼워져 제1하우징(320)과 제2하우징(340)의 결합이 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는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지지부(300)의 외면, 즉 제1하우징(320)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구(414), 유로(418), 돌기(450) 및 제1하우징(320)의 외면에 설치되는 밸브(410) 및 커버(4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300)의 외면, 즉 제1하우징(320)의 외면(도 4를 기준으로 제1하우징의 상면)에는 제1튜브결합부(324)에 인접하여 2개의 관통구(414)가 형성된다. 관통구(414)는 서로 인접하여 2개가 형성되고, 핀(430)이 각각 삽입된다.
관통구(414)의 사이에는 유로(418)가 형성되되, 유로(418)는 관통구(414)보다 더 제1하우징(320)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유로(418)는 제1하우징(320)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지지부(300)의 내부와, 대기압 상태인 외부 공간(25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유로(418)는 튜브(200)의 내부 통로(240)와, 대기압 상태인 튜브(200)의 외부 공간(25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유로(418)와 제1하우징(320)의 외주 사이에는 돌기(45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하우징(320)의 중심에 형성된 제1튜브결합부(324)와 제1하우징(320)의 외주 사이에, 관통구(414), 유로(418), 돌기(450) 순으로 배치된다. 관통구(414)는 제1튜브결합부(324)에 인접하고, 돌기(450)는 제1하우징(320)의 외주에 인접하다. 도 4와 같이 2개의 관통구(414)와, 돌기(450)는 역삼각 형태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유로(418)가 배치된다.
지지부(300), 즉 제1하우징(320)의 외면에는 밸브(410)가 설치되어 유로(418) 및 돌기(450)의 외측을 덮는다.
밸브(410)는 얇은 막 형태를 가지며,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410)에는 관통구(414)에 대응되는 구멍(412)이 2개 형성된다. 핀(430)이 구멍(412)을 관통한 후, 관통구(414)에 삽입되며 밸브(410)가 지지부(300), 즉 제1하우징(320)에 고정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하우징(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관통구(414)의 일단에는 실링재(440)가 덮혀 실링처리된다. 실링재(440)는 관통구(414)의 일단을 덮는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430)의 타단에는 커버(420)가 연결되어 밸브(410)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5와 같이, 핀(430)과 커버(420)는 일체로 형성된다. 핀(430)은 커버(420)의 일면에 설치되되, 밸브(410)에 형성된 구멍(412)에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
핀(43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420)의 일면에 접하는 원판 형상의 핀 머리부(436)와, 핀 머리부(436)의 일면에 접하여 원기둥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핀 축부(432,4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핀 머리부(436)는 핀 축부(432,434)보다 직경이 크다.
핀 축부(432,434)는 핀 축부a(434)와 핀 축부b(432)로 구성되되, 핀 축부a(434)에서 핀 축부b(432)로 갈수록 직경이 커진다. 핀(430)은 커버(420)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커버(420)의 일면 중앙부에는 원판 형상의 돌출부b(422)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b(422)는, 커버(420)가 제1하우징(320)의 외면에 설치되었을 때, 유로(418)의 외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핀(430)이 밸브(410)의 구멍(412)을 관통한 후 관통구(414)에 삽입되어, 밸브(410)가 유로(418)의 외측을 덮도록 지지부(300), 즉 제1하우징(320)의 외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커버(420)는 밸브(4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밸브(410)를 보호한다.
밸브(410)에 형성된 구멍(412)의 직경은, 핀 축부a(434) 및 핀 축부b(432)의 직경보다 크고, 핀 머리부(43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밸브(410)는 도 6과 같이, 핀 축부a(434)에서 지지된다. 밸브(410)의 구멍(412)은 핀 축부b(432)를 통과한 후 핀 축부a(434)의 외주에 위치된다.
밸브(410)는 제1하우징(320)의 외면과 커버(4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밸브(410) 및 유로(418)는 수유컵 본체(100)와 멤브레인(360) 사이에 설치된다. 그래서 유로(418)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멤브레인(360)을 통과하지 않고 제1튜브(210)의 내부 통로(240)를 지나 수유컵(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서, 진공압력의 해제가 원활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형성 시 밸브(410)는 유로(418)를 폐쇄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해제 시 밸브(410)는 유로(418)를 개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418)는 튜브(200)의 내부 통로(240)와, 대기압 상태인 튜브(200)의 외부 공간(25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진공 형성 및 해제 시 유로(418)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된다.
밸브(410)는 유로(418)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튜브(200)의 외부 공간(250)과 내부 통로(240)사이의 유로(418)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410)는 유로(418)와 돌기(450)의 외측을 덮는다. 돌기(450)는 제1하우징(32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기(450)는 진공 형성 시(도 7)에 유로(418)를 폐쇄하기 위해 유로(418)의 내측으로 들어갔던 밸브(410)의 일부가, 진공 해제 시(도 6) 유로(418)와 이격된 상태로 원활하게 돌아오도록 한다.
이하에는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제2튜브(220) 및 펌프(520)를 포함하는 케이스(500)에 대해 상술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튜브(220)를 통해 지지부(300)와 펌프(520)가 서로 연결된다. 제2하우징(340)의 제2튜브결합부(344)에는 제2튜브(220)가 결합된다.
제2튜브(220)는 제2하우징(340)의 제2튜브결합부(344)와 케이스(500)의 연결부재(540)를 연결하는 제2튜브a(221)와, 연결부재(540)와 펌프(520)의 흡입구(522)를 연결하는 제2튜브b(223) 및 제2튜브c(224)를 포함한다. 또한, 제2튜브b(223)와 제2튜브c(224)사이에는 제3튜브(230)가 수직으로 연결된다. 제3튜브(230)는 제2튜브b(223)와 제2튜브c(224)사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솔레노이드 밸브(530)의 배출구(534)에 연결된다.
제2튜브a(221)는 케이스(500) 외측에 위치하고, 제2튜브b(223), 제2튜브c(224) 및 제3튜브(230)는 케이스(5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1튜브(210)의 길이는 제2튜브(220)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지지부(300)는 수유컵 본체(100)보다 펌프(520)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밸브(410)의 개폐 반응속도가 향상되고, 수유컵(110) 내부에 진공 형성이 용이하다.
케이스(500) 내부에는 구동모터(510) 및 펌프(520), 솔레노이드 밸브(530)가 설치된다.
펌프(520)는 일측에 흡입구(522)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구(524)가 형성된다.
제2튜브c(224)는 펌프(520)의 흡입구(522)와 연결된다. 구동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제2튜브(220), 제1튜브(210)의 내부 통로(240)가 진공상태가 되고, 수유컵 본체(100)의 수유컵(110)도 진공상태가 된다.
제3튜브(230)는 제2튜브c(224)와 제2튜브b(223)사이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연통된다.
제2튜브b(223), 제2튜브c(224) 및 제3튜브(230)가 연결되는 부분은 'T'자 형을 이룬다.
제3튜브(230)와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530)의 작동에 의해 튜브(200)의 진공을 해제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530)의 일측에는 서로 직교하는 흡입구(532) 및 배출구(534)가 설치된다. 흡입구(532)는 솔레노이드 밸브(530)가 열릴 때 공기가 유입되는 곳이다. 배출구(534)에는 제3튜브(230)의 타단이 연결되고, 흡입구(53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3튜브(230)로 배출된다. 배출구(534)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3튜브(230)를 통해 제2튜브(220) 및 제1튜브(210)로 이동하게 되고, 밸브(410)가 유로(418)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 상태였던 수유컵(110)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바뀌게 된다.
구동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수유컵(110)을 진공상태로 만든 후 모유를 착유하고, 솔레노이드 밸브(530)가 열리면서 유로(418)를 통해 수유컵(110)의 내부로 외부 공간(250)의 공기를 유입시켜 수유컵(110)의 내부를 대기압 상태로 만든다. 솔레노이드 밸브(530)는 진공압 상태와 대기압 상태를 빨리 변환하도록 할 수 있어 착유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착유기는 유로(418) 및 유로(418)를 개폐하는 밸브(410)가 지지부(30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펌프(520)와의 거리가 가까워 밸브(410)의 개폐 반응속도가 향상되고, 수유컵(110) 내부에 진공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밸브(410)가 수유컵 본체(100)에 설치될 경우, 열탕 소독, 자외선 소독 및 잦은 세척이 필요한 수유컵 본체(100)의 특성상 밸브(410)의 분실우려가 높은데, 본 발명은 지지부(300)에 설치하여 이러한 분실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사출물을 제작할 필요 없이, 지지부(300)에 관통구(414)를 형성하고 그 일단을 실링처리함으로써 밸브(4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로서, 도 10과 같이 유로(418)가 형성되고 밸브(410) 및 커버(420)가 설치되는 지지부(300')를 별도의 사출물로 제작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경우, 지지부(300')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역류방지부와 수유컵 본체(1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착유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유컵(110)을 사용자의 젖가슴에 갖다댄다.
전원을 ON하여 구동모터(510)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510)의 구동력에 의해 수유컵 본체(100)에 진공압이 형성되고 모유가 착유되어 저장용기(170)에 저장된다.
솔레노이드 밸브(530)가 ON이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530)의 배출구(534)를 통해 공기가 튜브(200)로 유입되어 밸브(410)가 유로(418)를 개방한다. 그리고 외부 공간(250)의 공기가 유로(418)를 통해 유입되어 수유컵(110)의 내부를 대기압 상태로 바뀜으로써 모유 착유가 중지된다.
솔레노이드 밸브(530)가 OFF 되면, 밸브(410)가 유로(418)를 폐쇄하여 수유컵(110)의 내부에는 다시 진공압이 형성되어 모유를 착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수유컵 본체 110: 수유컵
120: 목부 122: 제1지지대
124: 제2지지대 130: 제1결합부
140: 모유배출부 150: 손잡이
152: 중공관 170: 저장용기
172: 제2결합부 200: 튜브
210: 제1튜브 220: 제2튜브
221: 제2튜브a 223: 제2튜브b
224: 제2튜브c 230: 제3튜브
240: 내부 통로 250: 외부 공간
300: 지지부 320: 제1하우징
322: 제3결합부 324: 제1튜브결합부
326: 돌출부a 340: 제2하우징
342: 제4결합부 344: 제2튜브결합부
351: 제1원형돌기 353: 방사상돌기
355: 제2원형돌기 360: 멤브레인
410: 밸브 412: 구멍
418: 유로 420: 커버
422: 돌출부b 430: 핀
432; 핀 축부b 434: 핀 축부a
436: 핀 머리부 440: 실링재
450: 돌기 500: 케이스
510: 구동모터 520: 펌프
522: 흡입구 524: 배출구
530: 솔레노이드 밸브 532: 흡입구
534: 배출구 540: 연결부재

Claims (5)

  1. 수유컵을 포함하는 수유컵 본체;
    상기 수유컵 본체와 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수유컵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펌프;
    상기 튜브의 외부 공간과 상기 튜브의 내부 통로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밸브;
    상기 밸브가 설치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는 상기 수유컵 본체와 상기 펌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밸브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통구의 일단은 실링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외측에는 상기 핀과 일체로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모유는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는 통과하는 멤브레인이 삽입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수유컵 본체와 상기 멤브레인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수유컵 본체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튜브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제2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튜브의 길이는 상기 제2튜브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KR1020150130926A 2015-09-16 2015-09-16 착유기 KR101724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926A KR101724047B1 (ko) 2015-09-16 2015-09-16 착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926A KR101724047B1 (ko) 2015-09-16 2015-09-16 착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074A true KR20170033074A (ko) 2017-03-24
KR101724047B1 KR101724047B1 (ko) 2017-04-06

Family

ID=5850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926A KR101724047B1 (ko) 2015-09-16 2015-09-16 착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0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748U (ko) * 2011-06-13 2012-12-24 한태영 착유기용 역류차단장치
KR20130115758A (ko)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모유착유기
KR20150080772A (ko) 2014-01-02 2015-07-10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착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748U (ko) * 2011-06-13 2012-12-24 한태영 착유기용 역류차단장치
KR20130115758A (ko)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모유착유기
KR20150080772A (ko) 2014-01-02 2015-07-10 주식회사 엠에스제이 착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047B1 (ko)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749B1 (ko) 모유 착유기
CN101155606B (zh) 阀门,特别是用于吸奶器组件的阀门
ES2598953T3 (es) Copa de mama con separación de medios
JP6062937B2 (ja) 乳房シールドユニット
JP3138149U (ja) 哺乳瓶用の液体と空気との流れを分離する装置
US20090039046A1 (en) Sucker for drinking purposes
KR20070027593A (ko) 젖병
RU2002103378A (ru) Дозирующая клап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нескольких выдачных потоков
US10226402B2 (en) Vented liquid container
KR20130016199A (ko) 저부 통기구를 갖는 병 조립체
KR101724047B1 (ko) 착유기
RU2632093C2 (ru) Коллектор для доильной машины
JP6065484B2 (ja) 母乳搾乳器の逆止弁
KR200447948Y1 (ko) 모유 착유기용 흡입기
US11596580B2 (en) Nursing bottle having air returning function
CN117460547A (zh) 吸乳泵
KR101070932B1 (ko) 모유 착유기
KR101546376B1 (ko) 착유기
KR200466883Y1 (ko) 착유기용 역류차단장치
ES2759437T3 (es) Dispositivo para una lavadora y lavadora
KR100549467B1 (ko) 기능성 젖병
KR20090000397U (ko) 젖병의 액체흐름과 공기흐름 분할장치
EP2934102B1 (en) A claw for a milking machine
KR20070045702A (ko) 일회용 공기 유입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