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913A - 적층 결합식 임펠러 - Google Patents

적층 결합식 임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913A
KR20170032913A KR1020150130126A KR20150130126A KR20170032913A KR 20170032913 A KR20170032913 A KR 20170032913A KR 1020150130126 A KR1020150130126 A KR 1020150130126A KR 20150130126 A KR20150130126 A KR 20150130126A KR 20170032913 A KR20170032913 A KR 20170032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cutting unit
longitudinal direction
c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수
김충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3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2913A/ko
Publication of KR2017003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 둘레상에 돌출 형성된 메인컷터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샤프트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컷팅유닛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컷팅유닛이 상기 회전샤프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컷팅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적층 결합식 임펠러{Combined Stacked Impeller}
본 발명은 적층 결합식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컷팅유닛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회전샤프트에 적층되는 형태를 갖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술은 회전샤프트의 형태가 방사형 내지 원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회전샤프트에서 메인컷터가 분리가 되지 않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대상물을 향해 분쇄작업 중에 메인컷터에 가해지는 압력은 견디지 못해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 때 임펠러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분쇄용 임펠러에 관한 다양한 형태가 제안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방법은 방사형태의 프레임에 메인컷터가 탈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는 회전을 통해 분쇄하는 임펠러에서 메인컷터에 가해지는 압력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분쇄기 내지 믹서기 등의 메인컷터를 가지고 대상물의 형태를 변형 시키는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대상물을 분쇄하는 임펠러에 있어서 분쇄 중에 발생하는 메인컷터의 파손에 대하여 방법을 모색하고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는 둘레를 따라 메인컷터가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컷팅유닛,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컷팅유닛이 상기 회전샤프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팅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컷팅유닛은 복수 개의 각각의 둘레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컷터는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샤프트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 사이에서 상호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균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이격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컷팅유닛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샤프트는 삽입된 상기 컷팅유닛의 상대회전을 방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샤프트는 단면이 다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회전샤프트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둘레를 따라 보조컷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층 결합식 임펠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회전샤프트에 컷팅유닛이 적층형태로 삽입되어, 컷팅유닛이 파손되었을 시, 파손된 컷팅유닛만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회전샤프트에 길이방향에 따라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컷팅유닛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적층상태의 컷팅유닛 사이에 별도의 스페이서가 구비되어 커팅유닛 사이를 이격시키며, 스페이서의 교체를 통해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형성된 컷팅유닛을 선택적으로 교체하는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에 있어서, 회전샤프트와 삽입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는 회전샤프트(100), 컷팅유닛(200), 스페이서(300), 이탈방지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샤프트(100)는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샤프트(100)는 구동기기 등에 결합되어 대상물(미도시)을 회전을 통해 분쇄하도록 형성되고 후술하는 복수 개의 컷팅유닛(200)이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샤프트(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원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며, 별도의 구동기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이탈방지유닛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부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유닛(400)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컷팅유닛(200)은 둘레를 따라 메인컷터(240)가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샤프트(100)가 삽입되는 삽입홀(22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컷팅유닛(20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따라 삽입되는 개수가 제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미도시)을 분쇄한다.
또한 상기 컷팅유닛(20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형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상기 컷팅유닛(200)은 복수 개가 삽입되어 분쇄하는데, 이 때 상기 컷팅유닛(200)이 분쇄 중에 파손이 발생할 경우, 파손된 일부만 교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컷팅유닛(20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되도록 삽입홀(220)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220)에서부터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메인컷터(2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컷터(240)는 분쇄작업 시 상기 대상물(미도시)에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으로 상기 삽입홀(220)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40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컷팅유닛(200)이 상기 회전샤프트(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방지유닛(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산(미도시)에 치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유닛(400)은 중심에서부터 방사형으로 보조컷터(420)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컷터(240)와 함께 상기 대상물(미도시)을 컷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는 분쇄를 위해 상기 대상물(미도시)을 향해 회전하기 때문에 분쇄 중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탈방지유닛(400)이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단부와 결합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컷팅유닛(200) 사이에서 상호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300)는,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컷팅유닛(200)가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미도시)를 향해 분쇄할 때,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컷팅유닛(200)을 이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컷팅유닛(200)과 함께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컷팅유닛(20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컷팅유닛(200)과 함께 교차 반복되어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나, 이와 달리 연속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태에 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100)를 중심으로 상기 컷팅유닛(200)과 상기 스페이서(3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컷팅유닛(200)은 상기 삽입홀(220)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단부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컷팅유닛(200)은 상기 삽입홀(220)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복수 개의 메인컷터(240)가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컷터(240)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측면에서 볼 때, 대각으로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적층 결합식 임펠러가 상기 대상물(미도시)을 향해 회전을 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컷터(240)에 대한 형상을 대각으로 한정하여 언급하였지만 상기 컷팅유닛(200)은 본 발명의 적층 결합식 임펠러가 상기 대상물(미도시)을 향해 분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면,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300)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컷팅유닛(200)을 상호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0)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균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컷팅유닛(20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서 상기 컷팅유닛(200)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 마련되어 본 발명의 적층 결합식 임펠러가 상기 대상물(미도시)을 향해 분쇄를 할 때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완충작용을 해서 상기 컷팅유닛(200)의 파손을 줄일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40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상기 컷팅유닛(200)과 상기 스페이서(300)가 삽입되고 난 후 분쇄 중에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샤프트(100)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유닛(400)은 둘레를 따라 보조컷터(420)가 형성되어 분쇄작업 시 상기 대상물(미도시)를 향해 분쇄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방지유닛(40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단부와 너트와 볼트 형식으로 고정하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는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된 회전샤프트(100)에 상기 메인컷터(240)가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200)과 각각의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300)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샤프트(100)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컷팅유닛(200)과 상기 스페이서(300)가 상기 회전샤프트(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이탈방지유닛(400)을 포함한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컷팅유닛(2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에서 상기 컷팅유닛(200)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컷팅유닛(20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복수 개가 적층된다.
상기 컷팅유닛(20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개별적인 구성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컷팅유닛(200)의 각각의 둘레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둘레를 가지는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200)이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적층된다.
하지만 상기 컷팅유닛(200)의 둘레가 동일하지 않게 형성되며,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이 되어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둘레를 갖는 상기 컷팅유닛(200)을 구비하여, 분쇄가 이루어지면서 파손이 발생하면 즉각 대응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상기 컷팅유닛(200) 중에 일부가 파손이 되면 동일한 크기의 컷팅유닛(200) 내지 상이한 크기의 컷팅유닛(200)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컷팅유닛(200)의 둘레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컷터(240)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컷팅유닛(200)의 둘레와 상기 메인컷터(240)의 크기 및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분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면,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샤프트(100)에서 상기 고정수단(120)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에서 상기 상기 고정수단(120)에 의한 상기 삽입홀(220)의 형태변화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샤프트(100)는 삽입된 상기 컷팅유닛(200)의 상대회전을 방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12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회전 시 상기 컷팅유닛(20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단면에서 곡선이 아닌 직선부분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샤프트(10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12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면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컷팅유닛(20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22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100와 함께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샤프트(1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컷팅유닛(20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여 상대회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샤프트(10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면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120)이 되고, 상기 삽입홀(220)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 가능하도록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된 후 서로 간의 상대회전 없이 상기 대상물(미도시)를 향해 분쇄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고정수단(120)이 형성되어 상기 컷팅유닛(200)이 분쇄작업 시 상대회전을 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샤프트(100)는 알로이(Alloy)나 합금소재 등의 내구성 및 내열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되어 분쇄작업 시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분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상기 고정수단(12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스페이서(300)의 형태도 변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의 (b)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로, 상기 고정수단(120)의 형태가 사각기둥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홀(220)이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홀(220) 내부로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회전 시 상기 컷팅유닛(20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4의 (c)를 살펴보면, 도 4의 (c)는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형태가 본 실시예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일부가 함몰되는 상기 고정수단(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홀(220)은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컷팅유닛(200)과 함께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샤프트(100)는 상기 컷팅유닛(200)이 상대회전을 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수단(120)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수단(120)의 변형예를 도면에서 살펴보았다.
도 4에서 상기 고정수단(120)은 실시예에 따라 사각기둥과 원기둥에 홈이 함몰되어 있는 변형예를 살펴보았지만,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상기 컷팅유닛(200)이 삽입되어 상대회전이 발생하지 않는 형태를 가진다면 상기 고정수단(12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3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결합식 임펠러에서 상기 상기 스페이서(300)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는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컷팅유닛(200)을 이격시킨다.
또한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각각이 균일한 크기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복수 개가 삽입되며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컷팅유닛(200)이 분쇄작업 시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키고 상기 컷팅유닛(200)이 서로 인접했을 때 상기 메인컷터(240)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분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로 상기 스페이서(300)는 다양한 두께를 갖는다.
도 5의 (b)는 상기 스페이서(300)의 두께가 서로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는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200) 이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방향에 따라 불균일한 이격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300)는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배치되며, 분쇄작업 시 상기 컷팅유닛(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키고, 분쇄하는 작업에 따라 사용자가 작업에 용이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0)은 상기 컷팅유닛(200)과 일체로 구성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스페이서(300)가 상기 컷팅유닛(200)의 분쇄 시 완충역할을 감당하는 역할이므로 상기 컷팅유닛(2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샤프트(100)에 삽입되는 상기 컷팅유닛(200)과 상기 스페이서(3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둘레와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 또한 사용자에 의해 크기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스페이서(300)는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에 배치되어 분쇄작업 시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는 역할과 분쇄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200) 사이를 이격시키는 역할로 상기 컷팅유닛(200)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된다면, 형태와 소재에 제한이 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100)의 길이와 둘레 또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본체 120: 고정수단
200: 컷팅유닛 220: 삽입홀
240: 메인컷터 300: 스페이서
400: 이탈방지유닛 420: 보조컷터

Claims (11)

  1.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
    둘레상에 돌출 형성된 메인컷터가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샤프트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컷팅유닛;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컷팅유닛이 상기 회전샤프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이탈방지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컷팅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유닛은,
    복수 개의 각각의 둘레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컷터는,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 사이에서 상호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균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 개의 상기 컷팅유닛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이격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컷팅유닛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는,
    삽입된 상기 컷팅유닛의 상대회전을 방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홈이 형성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는 단면이 다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회전샤프트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둘레를 따라 보조컷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결합식 임펠러.


KR1020150130126A 2015-09-15 2015-09-15 적층 결합식 임펠러 KR20170032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126A KR20170032913A (ko) 2015-09-15 2015-09-15 적층 결합식 임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126A KR20170032913A (ko) 2015-09-15 2015-09-15 적층 결합식 임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913A true KR20170032913A (ko) 2017-03-24

Family

ID=5850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126A KR20170032913A (ko) 2015-09-15 2015-09-15 적층 결합식 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29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7258B2 (en) Organic material grinder
EP2653230B1 (en) Crushing roll with edge protection
US20100107845A1 (en) Arbor mount with punch out center for use with a variety of arbor shapes - five side square shape
KR101737890B1 (ko) 절단휠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마장치
US10391567B2 (en) Rotary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therefor
KR20140145553A (ko) 응력 완화부들을 구비한 밀링 커터
TWM342259U (en) Helical planning cutter device
US20140332613A1 (en) Shredder support frame
TW201908034A (zh) 切削刀具及具有一固持構件以固持一耦合螺絲的切削刀具本體
US20170348695A1 (en) Secondary shredder
KR20170051662A (ko)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임펠러
KR20170032913A (ko) 적층 결합식 임펠러
KR101370161B1 (ko) 파쇄기용 커터
EP3317018B1 (en) Crushing shell with rotational lock
KR20190047401A (ko) 분쇄기 커터
KR102216868B1 (ko) 연마장치
CN108579963A (zh) 高保密碎纸刀具组
JP2005153079A (ja) 回転研削工具の取付装置
CN210010831U (zh) 一种医用陶瓷磨头
CN109906117B (zh) 超细粉碎机
TWI593461B (zh) 破碎機用的旋轉刀及破碎機
US20170348696A1 (en) Secondary shredder
KR101606513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US20150283675A1 (en) Disc for power tools for supporting abrasive material and abrasive disc comprising said support
KR101761192B1 (ko) 볼트 및 이를 구비한 커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