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851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851A
KR20170032851A KR1020160116070A KR20160116070A KR20170032851A KR 20170032851 A KR20170032851 A KR 20170032851A KR 1020160116070 A KR1020160116070 A KR 1020160116070A KR 20160116070 A KR20160116070 A KR 20160116070A KR 20170032851 A KR20170032851 A KR 2017003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material
printing
signal
imag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1222B1 (en
Inventor
타카유키 지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8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2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525Arrangement for multi-colour printing, not covered by group B41J2/21, e.g.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nk Jet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Color, Grada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The image process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color image data of an image and gloss image data; a step of changing the color image data to a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indicating a use amount of a dark printing material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a step of generating changing the us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loss image data among the use amount of the dark printing material which the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indicates, to the use amount corresponding to a soft printing material with the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a step of changing a second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to pass decomposition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inting injection of an image generating device; and a step of generating a record signal generating an overlap of on-dots of the soft printing material in the printing injection of the image generating device by performing halftone processing on the pass decomposition data to generate a printing signal indicating the printing position of the on-dots for each of the dark printing material and the soft printing material.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0001]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0002]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성될 화상의 광택(Gloss)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articularly relates to control of gloss of an image to be generated.

물에 용해하기 쉬운 염료를 색재에 사용한 염료 잉크를 화상 생성에 사용하면, 용매 중의 색재가 인쇄 매체의 섬유 내에 침투하여, 화상 생성 후에도 인쇄 매체의 표면 형상이 유지되고, 인쇄 매체 자체의 광택이 인쇄 화상의 광택으로서 유지된다. 다만, 염료 분자는 빛에 의해 분해하기 쉽고, 염료 잉크를 사용한 인쇄 화상은 퇴색하기 쉽다. 또한, 염료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이 물에 젖으면, 섬유에 침투한 염료 분자가 물에 용해하기 때문에, 인쇄 화상에 번짐이 발생한다. When a dye ink using a dye which is easily dissolved in water is used for image formation, the coloring material in the solvent penetrates into the fibers of the printing medium, the surface shape of the printing medium is maintained even after the image is formed, And is maintained as the gloss of the image. However, dye molecules are easily decomposed by light, and printed images using dye inks are liable to discolor. Further, when the printed matter using the dye ink is wetted with water, the dye molecules that have penetrated into the fibers dissolve in water, so that the printed image is blurred.

이들 염료 잉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색재로서 안료를 사용한 안료 잉크가 화상 생성에 이용된다. 용매 중에 분자로서 존재하는 염료와 다르게, 안료는 수 10nm ~ 수 ㎛의 크기의 입자로서 용매 중에 존재하기 때문에, 안료 잉크를 사용하면 내후성(weather resistance)이 높은 인쇄물을 취득할 수 있다. 안료는, 인쇄 매체 내에 침투하기 어렵지만, 인쇄 매체의 표면에 부착되고, 인쇄 화상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안료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의 광택은 인쇄 매체 자체의 광택과는 다르다. 또한, 안료 잉크에 사용하는 수지(resin)와 안료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안료 잉크를 사용한 인쇄 화상의 표면 반사율은, 염료 잉크를 사용한 인쇄 화상보다 커진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se dye inks, pigment inks using pigments as coloring materials have recently been used for image formation. Unlike dyes present as molecules in a solvent, since the pigment is present in the solvent as particles having a size of several 10 nm to several 탆,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inted article having high weather resistance by using a pigment ink. The pigment is difficult to penetrate into the print medium, bu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int medium and forms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print image, so that the gloss of the print using the pigment ink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int medium itself. Furth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n used in the pigment ink and the pigment itself, the surface reflectance of the printed image using the pigment ink becomes larger than the printed image using the dye ink.

또한, 인쇄물에 있어서, 광택의 차를 이용해서 장식 효과를 얻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31708호는, 영역마다, 또는, 오브젝트(object)마다 광택을 변화시켜서 장식 효과를 얻는 발명을 개시한다. 최근, 안료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에 있어서도, 광택의 차를 이용함으로써 장식 효과를 얻으려고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Further, in the printed matter, a technique of obtaining a decorative effect by using a difference in gloss has been develop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331708 discloses an invention for obtaining a decorative effect by changing the gloss for each area or each object. 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for obtaining a decorative effect by using a difference in gloss even in a printed matter using a pigment ink.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31708호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오브젝트마다 설정된 광택도에 근거하여, 광택재인 투명 토너의 사용량을 결정해서 원하는 광택을 얻는다. 그러나, 광택의 제어 범위는, 광택재의 사용량만으로 제어 가능한 범위에 한정된다. 예를 들면, 광택재를 사용하지 않는 영역에 관해서는 광택을 전혀 제어할 수 없다.According to the technique describ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31708, the amount of use of the transparent toner, which is a glossy materi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gloss level set for each object to obtain a desired gloss. However, the control range of gloss is limited to a controllable range only by the use amount of the gloss material. For example, the glossiness can not be controlled at all in the area not using the glossing material.

또한, 장식 효과를 얻을 목적은 아니지만 광택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84951호는, 상대적으로 광택이 높은 고선명도 영역에 있어서 잉크를 같은 위치에 인쇄하여, 인쇄 화상의 표면 요철을 증가시켜 광택을 저하시키는 발명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광택이 낮아지는 경향에 있는 저선명도 영역의 광택을 증가시키는 등의 제어는 행할 수 없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84951 discloses a technique of controlling the gloss even though it is not intended to obtain a decorative effect. However,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284951 discloses a technique of printing ink at the same position in a high- Thereby increasing the unevenness to lower the gloss. 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control such as increasing the gloss of the low definition area which tends to lower the gloss rela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안료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에 있어서는, 광택의 차를 이용해서 장식 효과를 얻으려고 할 때도, 광택의 제어 범위의 제한에 의해, 충분한 장식 효과를 취득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in a printed matter using pigment ink, even when it is intended to obtain a decorative effect by using a difference in gloss, a sufficient decorative effect can not be obtained due to the restriction of the control range of gloss.

본 발명의 국면은, 인쇄물에 있어서의 광택 제어를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gloss control in a printed matter.

본 발명의 국면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화상처리장치는, 생성해야 할 화상의 색 화상 데이터 및 광택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유닛과, 상기 색 화상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진한 인쇄재(print material)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1 인쇄재량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1 색분해 유닛과, 상기 제1 인쇄재량(print material amount)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 중,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량을,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연한 인쇄재에 해당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제2 인쇄재량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색분해 유닛과, 상기 제2 인쇄재량 신호를 화상생성장치의 각 인쇄 주사에 해당하는 패스 분해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패스 분해 유닛과, 상기 진한 인쇄재 및 상기 연한 인쇄재마다, 온 닷(on-dots)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스 분해 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톤 처리를 행하여, 상기 화상생성장치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상기 연한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을 발생시키는 상기 인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프톤 처리 유닛을 구비한다.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lor image data and glossy image data of an image to be generated, and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color image data as a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indicating a usage amount of a darker print material A first color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amount of use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represented by the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into the amount of use of the glossy image data in a soft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density A second color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printing discretion signal to be exchanged for a corresponding usage amount; a path disassembly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second printing discretion amount signal into path disassembly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inting scan of the image generation apparatus; A print signal indicating the print position of on-dots is generated for each of the dark print material and the light print material Subjected to a halftone processing with respect to the decomposition pass data to, and a halfton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print signals to generate the light-on-dot printing material overlapping in the printing scan of the image generating device.

화상처리장치는, 생성해야 할 화상의 색 화상 데이터 및 광택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유닛과, 상기 색 화상 데이터를 기본색 인쇄재의 사용량 및 상기 기본색 인쇄재와 다른 색을 재현하는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1 인쇄재량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1 색분해 유닛과, 상기 제1 인쇄재량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 중,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사용량을, 상기 특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본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제2 인쇄재량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색분해 유닛과, 상기 제2 인쇄재량 신호를 화상생성장치의 각 인쇄 주사에 대응하는 패스 분해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패스 분해 유닛과, 상기 기본색 인쇄재 및 상기 특색 인쇄재마다,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스 분해 데이터에 대해 하프톤 처리를 행하여, 상기 화상생성장치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상기 특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기본색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을 발생시키는 상기 인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프톤 처리 유닛을 구비한다.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lor image data and gloss image data of an image to be generated, and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color image data from the usage amount of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 color printing material A first color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convert a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loss image data among the usage amount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represented by the first printing discretion amount signal to a first printing disposal amount signal indicating a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A second color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printing discretion amount signal to be exchanged with a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and a second color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second printing discretion amount signal into path disassembly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inting scan of the image generation apparatus And a printing unit for printing on-dot printing positions for each of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Where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s halftone processing on the path disassembly data to generate a print signal so as to generate superposition of on-dots of the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in the printing scan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a halfton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print signal.

화상처리방법은, 생성해야 할 화상의 색 화상 데이터 및 광택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색 화상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1 인쇄재량 신호로 변환하는 것과, 상기 제1 인쇄재량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 중,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사용량을,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연한 인쇄재에 대응한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제2 인쇄재량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인쇄재량 신호를 화상생성장치의 각 인쇄 주사에 대응하는 패스 분해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과, 상기 진한 인쇄재 및 상기 연한 인쇄재마다,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스 분해 데이터에 대해 하프톤 처리를 행하여, 상기 화상생성장치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상기 연한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을 발생시키는 상기 인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An image processing method includes: receiving color image data and gloss image data of an image to be generated; converting the color image data into a first printing discretion amount signal indicating an amount of use of a dark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density; 1) generating a second printing discretion signal for exchanging a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lossy image data among the usage amount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indicated by the printing disposal signal to a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a soft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density, 2 printing discretion signal into the path disassembly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inting sca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or each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and the light printing material, The halftone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data, and in the printing scan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To generate a superposition of the dot-on includes generating the printing signal.

화상처리방법은, 생성해야 할 화상의 색 화상 데이터 및 광택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색 화상 데이터를 기본색 인쇄재의 사용량 및 상기 기본색 인쇄재와 다른 색을 재현하는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1 인쇄재량 신호로 변환하는 것과, 상기 제1 인쇄재량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 중,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사용량을, 상기 특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본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제2 인쇄재량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인쇄재량 신호를 화상생성장치의 각 인쇄 주사에 대응하는 패스 분해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과, 상기 기본색 인쇄재 및 상기 특색 인쇄재마다,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스 분해 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톤 처리를 행하여, 상기 화상생성장치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상기 특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기본색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을 발생시키는 상기 인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image processing method includes receiving color image data and glossy image data of an image to be generated and outputting the color image data as a usage amount of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an amount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used to reproduce a color different from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The amount of use corresponding to the gloss image data among the usage amount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represented by the first printing discretion amount signal to a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The second printing discretion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path disassembled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inting scan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The halftone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path disassembly data to generate a print signal indicating the print position of the on dot And includes in the printing scan of the image generation device to generate the print signals to generate a superposition of the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ed material on a dot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material characteristic.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국면에 의하면, 인쇄물의 광택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인쇄물의 광택 제어 범위가 확대되어, 인쇄물에 의해 높은 장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loss of the printed matter. For example, the gloss control range of the printed matter is enlarged, and a decorative effect can be imparted to the printed matter.

본 발명의 추가 국면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Addition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exemplary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1b, 1c, 1d, 1e, 1f, 1g는, 인쇄 매체 위에 안료의 인쇄재(print material)가 적층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의 구성 예를 게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제1색분해 처리부가 참조하는 색분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정보처리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화상처리장치에 의한 화상 생성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제2 색분해 처리부가 참조하는 광택 제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7b, 7c는, 패스 분해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8b, 8c는, K" 신호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1비트의 구동 신호로 양자화하는 하프톤 처리용의 4x4 디더 매트릭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K"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의 하프톤 처리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10b는, Gy"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의 하프톤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2a, 12b는, 광택 제어 변환 및 패스 분해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R"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의 하프톤 처리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Y"M"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의 하프톤 처리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6a, 16b는, CL 값의 결정 및 패스 분해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 17b는, 하프톤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3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한 화상 생성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제4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0a, 12b는, 광택 제어 변환 및 패스 분해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a, 12b는, Gy 인쇄재의 하프톤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a, 22b는, Lgy 인쇄재의 하프톤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BK계 인쇄재의 최종적인 닷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이다.
1A, 1B, 1C, 1D, 1E, 1F and 1G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int material of a pigment is laminated on a print medium.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lor separation table referred to by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generation processing of image generation data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loss control table referred to by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Figs. 7A, 7B and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ath decomposing process. Fig.
8A, 8B and 8C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4x4 dither matrix for halftone processing for quantizing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K "signal into a 1-bit drive signal.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halftone processing of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value of K ".
10A and 10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halftone processing of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Gy "value.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12A and 1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gloss control conversion and pass decomposition processing.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halftone processing result of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R "value. Fig.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halftone processing result of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value of Y "M ".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16A and 1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etermination of the CL value and the path decomposition process.
17A and 1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halftone processing.
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generation processing of image generation data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20A and 1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gloss control conversion and pass decomposition processing.
Figs. 21A and 1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halftone processing of the Gy printing material. Fig.
22A and 2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halftone processing of the Lgy printing material.
23 is a diagram showing the final dot layout of the BK series printing materia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하는 구성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laims and all combinations of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not essential to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개요][summary]

도 1a, 1b, 1c, 1d, 1e, 1f, 1g는 인쇄 매체 위에 안료의 인쇄재가 적층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소정 영역의 전체 에어리어에 블랙(K)의 인쇄재에 의해 화상이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리어(area)"는, 닷의 온/오프가 제어가능한 최소 단위를 나타낸다.1A, 1B, 1C, 1D, 1E, 1F and 1G schematically show a state in which a printing material of a pigment is laminated on a printing medium. 1A shows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generated by a printing material of black (K) in the entire area of a predetermined area.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a" represents a minimum unit in which dot on / off can be controlled.

도 1b는, K 인쇄재와 글레이(Gy) 인쇄재의 조합에 의해 화상이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재현되는 색은 도 1a에 나타낸 것과 같다. 도 1b에 있어서, 어떤 에어리어에는 일층의 K 인쇄재가 형성되지만, 또 다른 에어리어에는 2층의 Gy 인쇄재가 적층되어 있다. 즉, 도 1a,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하는 인쇄재, 인쇄재의 조합, 인쇄재의 사용량, 및 인쇄재의 적층 상태에 따라, 같은 색을 재현하면서 소정영역의 화상 표면의 요철을 변화시킬 수 있다.1B shows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a K printing material and a Gy printing material. The color reproduced is the same as shown in Fig. In Fig. 1B, one layer of K printing material is formed in one area, while two layers of Gy printing material are laminated in another area. That is,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unevenness of the image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region can be changed while reproducing the same color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rinting material, the printing material to be used, the amount of the printing material to be used, .

인쇄재 자체가 요철을 가지고 있고, 상기로부터 봤을 때 닷의 형상이 거의 원형이기 때문에, 도 1a에 나타낸 경우에는, 도 1a에 나타낸 화상의 표면이 완전히 평활하지 않지만, 비교적 평활하다. 한편, 도 1b에 나타낸 경우에는, 한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인쇄재 층의 두께가 다른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인쇄재 층과 달라서, 도 1a에 나타낸 경우와 비교하면 평활성이 저하한다. 즉, 도 1b에 나타낸 화상은, 도 1a에 나타낸 화상과 같은 발색이지만, 도 1a에 나타낸 화상보다도 낮은 광택이 된다. Since the printing material itself has irregularities and the shape of the dot is almost circular as viewed from the above, in the case shown in Fig. 1A, the surface of the image shown in Fig. 1A is not completely smooth but is relatively smoot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shown in FIG. 1B,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material layer in one area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other areas, so that the smoothness is lowered as compared with the case shown in FIG. That is, the image shown in Fig. 1B has the same color as the image shown in Fig. 1A but has a lower gloss than the image shown in Fig. 1A.

즉, 광택신호가 나타내는 광택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인쇄재(이하, 진한 인쇄재)를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인쇄재(이하, 연한 인쇄재)로 교환하고, 연한 인쇄재를 겹쳐서 색을 재현함으로써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킨다. 이것에 의해 광택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That is, the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den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ck printing material) is replaced with a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den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ft printing material), and a soft printing material is superposed Thereby increas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image. As a result, the gloss can be controlled.

이하, 인쇄재의 적층상태는, 어떤 색의 인쇄재와 어떤 색의 인쇄재가 어떠한 순서로 적층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n층(n은 자연수)의 제1 인쇄재(예를 들면, K 인쇄재)의 발색과, m층(m은 자연수, n < m)의 제2 인쇄재(예를 들면, Gy 인쇄재)의 발색이 같다고 간주할 수 있는 인쇄재의 조합이 전제로 된다. Hereinafter, the lamination state of the printing material indicates the order in which the printing material of a certain color and the printing material of a certain color are lamina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loring of the first printing material (for example, K printing material) of the n layer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the second printing material of the m layer (m is a natural number, n < m) , Gy printing material) can be regarded as having the same color.

또한, 제1 및 제2 인쇄재보다도 농도가 낮은 제3 인쇄재(예를 들면, 라이트 그레이(Light Gray)(Lgy) 인쇄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블랙계 인쇄재의 조합에 한정하지 않고, 시안(C) 인쇄재와 연한 시안(Lc) 인쇄재, 및 마젠타(M) 인쇄재와 연한 마젠타(Lm) 인쇄재의 조합도 이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K 인쇄재와 Gy 인쇄재의 조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third printing material (for example, a light gray (Lgy) printing material) having a lower density than the first and second printing materials. Of course, a combination of a cyan (C) printing material and a soft cyan (Lc) printing material, and a combination of a magenta (M) printing material and a light magenta (Lm) printing material are available. Hereinafter, in order to simplify the explanation, a combination of the K printing material and the Gy printing material will be mainly describ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도 2는 제1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2)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에 있어서, 입력부(101)는, 인쇄 대상의 화상의 각 화소의 색을 나타내는 색 화상 데이터 RGB, 및, 인쇄 대상의 화상의 각 화소의 광택 명확성(clarity)을 의미하는 광택 화상 데이터 GI를 정보처리장치(11)로부터 수신한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of the first embodiment. 2, the input unit 101 receives color image data RGB representing the color of each pixel of the image to be printed and glossy image data GI representing the clarity of gloss of each pixel of the image to be print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1.

입력부(101)는, 입력 데이터(색 화상 데이터 RGB 및 광택 화상 데이터 GI)의 해상도와, 화상생성장치(13)의 인쇄 해상도가 다른 경우, 양자의 해상도를 일치시키는 해상도 변환을 행한다. 입력 데이터의 해상도가 600 ppi, 인쇄 해상도가 주주사 방향으로 2400 dpi, 부주사 방향으로 1200 dpi인 경우, 입력부(101)는 예를 들면 바이큐빅(bicubic)법 등의 해상도 변환에 의해, 입력 데이터를 주주사 방향 2400 dpi, 부주사 방향 1200dpi의 데이터로 변환한다.The input unit 101 performs resolution conversion to match the resolutions of the input data (the color image data RGB and the gloss image data GI) and the resolution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when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resolution of the input data is 600 ppi and the printing resolution is 2400 dpi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1200 dpi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the input unit 101 converts the input data by a resolution conversion such as a bicubic method Into 2400 dpi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1200 dpi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색 화상 데이터 RGB 및 광택 화상 데이터 GI은, 컴퓨터 장치인 정보처리장치(11)에서 가동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작성, 편집 또는 가공된 데이터이며, 색 화상 데이터 RGB은 예를 들면, sRGB 데이터다. 색 화상 데이터 RGB 및 광택 화상 데이터 GI은, 정보처리장치(11)에 한정하지 않고, 화상 입력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미디어, 또는 웹 사이트 등으로부터 취득되어도 된다. 또한, 입력부(101)로서는, USB와 같은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또는 유선이나 무선 LAN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이용 가능하다.The color image data RGB and the gloss image data GI are data created, edited or processed by various applications operating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1 which is a computer apparatus, and the color image data RGB is, for example, sRGB data. The color image data RGB and the glossy image data GI are not limi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1, and may be acquired from a recording medium such as an image input device, a memory card, or a web site. As the input unit 101, a serial bus interface such as USB or a network interface such as a wired or wireless LAN can be used.

컬러 매칭부(102)는, 룩업 테이블(LUT) 형식의 컬러 매칭 테이블(103)을 참조하고, sRGB 데이터를 화상생성장치(13)의 색 전반에 매핑해서 R'G'B' 신호를 출력한다. R'G'B' 신호는 각색 8비트의 신호를 포함한다. 컬러 매칭 테이블(103)로서 인쇄 매체의 종류와 화상 생성의 목적에 대응하는 복수의 테이블이 준비되고, 유저는, 적절한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The color matching unit 102 refers to the color matching table 103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LUT), maps the sRGB data to the color gamut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and outputs an R'G'B 'signal . The R'G'B 'signal includes an 8-bit signal of each color. As the color matching table 103, a plurality of table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print medium and the purpose of image creation are prepared, and the user can select an appropriate table.

제1색분해 처리부(104)는, LUT 형식의 색분해 테이블(105)을 참조하고, 컬러 매칭부(102)로부터 출력되는 R'G'B' 신호를 색재량 신호 CMYK로 변환한다. 색재량 신호 CMYK는, 화상생성장치(13)의 시안 C, 마젠타 M, 옐로우 Y, 및 블랙 K의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을 나타내고, 각색 8비트의 신호를 포함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색 화상 데이터 RGB은 인쇄 데이터 CMYK로 변환된다.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4 refers to the color separation table 105 in the LUT format and converts the R'G'B 'signal output from the color matching section 102 into the colorant amount signal CMYK. The colorant amount signal CMYK indicates the usage amount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of cyan C, magenta M, yellow Y, and black K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and includes signals of 8 bits for each color. By the above processing, the color image data RGB is converted into the print data CMYK.

예를 들면, 색재량 신호 CMYK가 (0, 20, 100, 255)인 경우, CMYK 색재의 각 닷은 각각 0/255, 20/255, 100/255, 및 255/255의 확률로 인쇄된다. 바꿔 말하면, 화소수 n의 화상에 있어서, 0/255 × n개의 C 닷, 20/255 × n개의 M 닷, 100/255 × n개의 Y 닷, 255/255 × n개의 K 닷이 인쇄된다. 예를 들면, 16×16 화소(n=256) 모두의 색재량 신호 CMYK이 (0, 20, 100, 255)의 화상인 경우, 0개의 C 닷, 20개의 M 닷, 100개의 Y 닷, 및 256개의 K 닷이 인쇄된다. For example, when the colorant amount signal CMYK is (0, 20, 100, 255), each dot of the CMYK color material is printed with a probability of 0/255, 20/255, 100/255, and 255/255, respectively. In other words, 0/255 x n C dots, 20/255 x n M dots, 100/255 x n Y dots, and 255/255 x n K dots are printed in the image of the number of pixels n. For example, when the colorant amount signals CMYK of all 16 × 16 pixels (n = 256) are images of (0, 20, 100, 255), 0 C dot, 20 M dot, 100 Y dot, 256 K dots are printed.

도 3은 제1색분해 처리부(104)가 참조하는 색분해 테이블(105)의 일례를 나타낸다. 색분해 테이블(105)은, 예를 들면 R'G'B' 각각이 0, 16, 32, 48, 64, 80, 96, 112, 128, 144, 160, 176, 192, 208, 224, 240, 255의 17값 중의 하나인 173=4913의 격자점을 나타낸다. 각 격자점의 R'G'B' 값(입력값)에 대응하는 색재량 신호 값(출력값)이 색분해 테이블(105)에 저장된다. 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color separation table 105 referred to by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4. Fig. The color separation table 105 is a table in which the color difference table R'G'B 'is set to 0, 16, 32, 48, 64, 80, 96, 112, 128, 144, 160, 176, 192, 208, Represents a lattice point of 17 3 = 4913, which is one of 17 values of 255. The color discretionary signal value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R'G'B 'value (input value) of each lattice point is stored in the color separation table 105.

제2 색분해 처리부(106)는, 제1색분해 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되는 CMYK 신호 및 광택 화상 데이터 GI을 수신하고,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해 CMYK 신호를 연한 인쇄재의 신호 값을 포함하는 C'M'Y'K'LcLmGy 신호로 변환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2 색분해 처리부(106)는, 광택 화상 데이터 GI가 나타내는 광택값이 낮을수록, C'M'Y'K'LcLmGy 신호의 합계 값이 CMYK 신호의 합계 값보다도 커지는 변환을 행한다.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receives the CMYK signal and the gloss image data GI output from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4 and outputs the CMYK signal based on the gloss image data GI to the C ' M'Y'K'LcLmGy signal.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performs conversion so that the sum value of the C'M'Y'K'LcLmGy signals becomes larger than the sum value of the CMYK signals as the gloss value indicated by the glossy image data GI becomes lower .

상기한 바와 같이, 재현하는 광택이 낮을수록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인쇄재의 적층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광택 값이 낮을수록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을 연한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바꿔 놓는 변환을 행한다. 이하, 제2 색분해 처리부(106)에 의한 이 변환을 "광택 제어 변환"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layers of the printing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as the reproducible gloss becomes lower. Therefore, as the gloss value is lower, the conversion is performed so as to change the usage amount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to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light printing material. Hereinafter, this conversion by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will be referred to as "gloss control conversion ".

제1 색분해 처리부(104)와 제2 색분해 처리부(106)의 2종류의 색분해 처리를 행하는 이유는, 장식 인쇄를 행하지 않을 경우, 즉 광택 화상 데이터 GI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광택 제어 변환을 행하지 않고, CMYK 신호를 그대로 다음의 처리에 사용하기 위해서다. 바꿔 말하면, 제2 색분해 처리부(106)는, 광택 화상 데이터 GI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CMYK 신호를 통과시킨다. The reason why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4 and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are performed is that the gloss control conversion is not performed when the decorative printing is not performed, that is, when the gloss image data GI is not input , So that the CMYK signal is used as it is for the next process. In other words, when the gloss image data GI is not input,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passes the CMYK signal.

패스 분해부(108)는, 제2 색분해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C'M'Y'K'LcLmGy 신호를, 멀티패스(멀티패스) 인쇄를 행하는 화상생성장치(13)의 각 인쇄 주사(패스)에 할당하는 패스 분해 처리를 행한다. 멀티패스 인쇄의 상세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하기 위해서 광택값에 근거해 같은 연한 인쇄재의 적층을 행하기 위해서, 동일 영역에 동일 인쇄재를 인쇄할 필요가 있고, 여러 번의 인쇄 주사에 의해 이것을 실현한다. Pass decomposition unit 108 outputs the C'M'Y'K'LcLmGy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06 to each printing scan (image data) of the image generation apparatus 13 that performs multi-pass Path). The details of the multipass printing will be omitted. However, in order to control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in detail, it is necessary to print the same printing material on the same area in order to laminate the same soft printing material on the basis of the gloss value. Realization.

하프톤 처리부(109)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패스 분해 처리 후의 CiMiYiKiLciLmiGyi에 대해서 닷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처리를 행하고, 화상생성장치(13)의 인쇄헤드의 각 인쇄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performs a process of determining a dot layout for C i M i Y i K i Lc i Lm i Gy i after the path decomposition process, And generates driving data for driving each printing element of the head.

출력 데이터 버퍼(110)는, 하프톤 처리부(109)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데이터를 화상 생성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출력 데이터 버퍼(110)에 저장된 화상 생성 데이터는, 화상생성장치(13)의 화상 생성 동작에 동기하여, 출력부(111)를 통해서 화상생성장치(13)에 출력된다. 출력부(111)로서는, USB, eSATA, PCI, 또는 PCIe(등록상표) 등의 범용 인터페이스나 전용 인터페이스가 이용가능하다.The output data buffer 110 stores the drive data output from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as image generation data. The image generation data stored in the output data buffer 110 is output to the image generation apparatus 13 via the output unit 11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mage generation operation of the image generation apparatus 13. [ As the output unit 111, a universal interface or a dedicated interface such as USB, eSATA, PCI, or PCIe (registered trademark) can be used.

[화상 생성장치와 정보처리장치][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화상생성장치(13)의 구성의 상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화상생성장치(13)는, 인쇄 매체에 대하여 인쇄헤드를 종횡으로 이동시켜, 화상 생성 데이터가 나타내는 각 색재의 2진 화상을 인쇄 매체 위에 인쇄한다. 또한, 화상생성장치(13)는, 인쇄 매체 위를 인쇄헤드에 의해 여러 번 주사해서 화상을 완성하는 멀티패스 인쇄 방식을 채용하고, 인쇄헤드의 왕로 주사와 귀로 주사 양쪽에 있어서 인쇄 동작을 행하는 소위 양방향 인쇄방식을 채용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생성장치(13)는, 복수의 인쇄 소자를 이용해서, 인쇄 매체의 동일 영역을 동일한 인쇄재를 이용해서 여러 번 인쇄 주사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is omitted,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moves the print hea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to print the binary image of each color material represented by the image generating data on the print medium do. Further,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employs a multipass printing method in which an image is completed by scanning the print medium by the print head several times,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3 performs a printing operation in both the forward scan and the return scan of the print head Bidirectional printing method is adopted. 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can print and scan the same area of the print medium several times by using the same printing material by using a plurality of printing elements.

도 4는 정보처리장치(11)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CPU(171)는, RAM(173)을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하고, ROM(172) 및 기억부(179)에 기억된 OS 및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시스템 버스(178)를 통해서 (후술하는) 각 부를 제어한다.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1. Fig. The CPU 171 uses the RAM 173 as a work memory and executes the OS 172 and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ROM 172 and the storage unit 179 to execute various programs through the system bus 178 .

기억부(179)는, 예를 들면 SATA 인터페이스(I/F)(176)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78)에 접속되는 HDD, SSD, 플래시 메모리 등이다. 범용 I/F(175)은, USB 등의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이다.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14), 화상생성장치(13), 및 기록 미디어용의 범용 드라이브(17) 등이 범용 I/F(175)에 접속된다. The storage unit 179 is an HDD, an SSD, a flash memory,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system bus 178 via a SATA interface (I / F) 176, for example. The general purpose I / F 175 is a serial bus interface such as USB. An input device 14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an image generating device 13, and a universal drive 17 for a recording medium are connected to the general-purpose I / F 175. [

CPU(171)는, 입력 디바이스(14)를 통해서 유저가 지정하는 프로그램을 기억부(179)로부터 RAM(173)로 로드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비디오 카드(VC)(174)에 접속된 모니터(16)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유저는,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화상처리장치(12)에 입력하는 색 화상 데이터와 광택 화상 데이터의 선택, 작성, 편집을 행한다. 또한, 색 화상 데이터와 광택 화상 데이터 또는 그들 화상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가 기억부(179)나 범용 드라이브(17)의 기록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다.The CPU 171 loads the program designated by the user via the input device 14 from the storage unit 179 to the RAM 173 and executes the program to monitor the monitor connected to the video card (VC) And displays the user interface on the display unit 16. The user selects, creates, and edits the color image data and the glossy image data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using the user interface. Further, the color image data and the gloss image data or the data serving as the basis of the image data ar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of the storage unit 179 and the universal drive 17.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177)는, 정보처리장치(11)를 유선 LAN 또는 무선 LAN 등의 네트워크(15)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다. 정보처리장치(1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색 화상 데이터 및 광택 화상 데이터, 또는 이들 화상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는 네트워크상의 서버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The network interface card (NIC) 177 is a network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1 to a network 15 such as a wired LAN or a wireless LAN. The programs, color image data, and gloss image data execut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1, or data serving as a basis of these image data, may be stored in a server apparatus on the network.

화상처리장치(12)의 처리 및 기능은, 정보처리장치(11)가 실행하는 화상생성장치(13)용의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물론, 화상처리장치(12)를 하드웨어로서 화상생성장치(13)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화상처리장치(12)의 일부인 입력부(101), 컬러 매칭부(102), 및 제1 색분해 처리부(104)를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실현하고, 제2 색분해 처리부(106) 이후를 하드웨어로서 화상생성장치(13)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rocessing and the fun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can be realized by a printer driver for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execut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1.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as hardware in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Alternatively, the input section 101, the color matching section 102, and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4, which are a part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may be realized by a printer driver, and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and the following may be realized as hardwar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it in the generating apparatus 13.

[화상 처리][Image processing]

도 5는 화상처리장치(12)에 의한 화상 생성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다. 입력부(101)는, 색 화상 데이터 RGB와 광택 화상 데이터 GI을 수신한다(스텝 S501). 컬러 매칭부(102)는, 입력된 색 화상 데이터 RGB을 화상생성장치(13)에 의존하는 색 신호 R'G'B'로 변환하는 컬러 매칭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02).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generation processing of image generation data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Fig. The input unit 101 receives the color image data RGB and the glossy image data GI (step S501). The color matching unit 102 performs color matching processing for converting the inputted color image data RGB into a color signal R'G'B 'depending on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step S502).

제1 색분해 처리부(104)는, 색 신호 R'G'B'을 인쇄재량 신호 CMYK로 변환하는 제1 색분해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03). 제2 색분해 처리부(106)는, 입력된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하여, 인쇄재량 신호 CMYK을 연한 인쇄재의 신호 값을 포함하는 인쇄재량 신호 C'M'Y'K'LcLmGy로 변환하는 제2 색분해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04).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04 executes a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for converting the color signal R'G'B 'into the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CMYK (step S503).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performs a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 for converting the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CMYK into the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C'M'Y'K'LcLmGy containing the signal value of the light printing material based on the input glossy image data GI (Step S504).

패스 분해부(108)는 인쇄재량 신호 C'M'Y'K'LcLmGy을 멀티패스 인쇄하는 패스 분해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05). 하프톤 처리부(109)는, 패스 분해 처리의 결과를 화상생성장치(13)의 각 인쇄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하프톤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06). The path decomposing unit 108 performs path decomposition processing for multipass printing the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C'M'Y'K'LcLmGy (step S505).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performs halftone processing for converting the result of the path decomposition processing into driving data for driving each printing element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step S506).

출력부(111)는, 화상생성장치(13)의 화상 생성 동작에 동기하여, 출력 데이터 버퍼(110)에 기억된 화상 생성 데이터를 화상생성장치(13)에 출력한다(스텝 S507). 화상 생성 데이터는, 화상 전체 또는 인쇄 주사의 대역폭 등의 단위로 출력된다. 또한, 스텝 S501에서 스텝 S506까지의 처리는 화소 단위로 반복해서 실행된다. The output unit 111 outputs the image generation data stored in the output data buffer 110 to the image generation apparatus 13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mage generation operation of the image generation apparatus 13 (step S507). The image generation data is output in units of the whole image or the bandwidth of the print scan or the like. The processing from step S501 to step S506 is repeatedly performed on a pixel-by-pixel basis.

[제2 색분해 처리부][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색분해 처리부(106)는,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하여, 제1 색분해 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된 색재량 신호 CMYK을 연한 인쇄재의 신호 값을 포함하는 인쇄재량 신호 C'M'Y'K'LcLmGy로 변환한다. 그때, 광택 화상 데이터 GI가 나타내는 광택값이 감소할수록, C'M'Y'K'LcLmGy 신호의 합계 값이 CMYK 신호의 합계 값보다도 커지는 변환을 행한다. 인쇄재의 적층 수를 증가시켜서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키고, 인쇄 화상이 재현하는 광택을 저하시킨다.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gloss image data GI,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converts the colorant amount signal CMYK output from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4 into the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C 'including the signal value of the printing material, M'Y'K'LcLmGy. At that time, as the gloss value indicated by the gloss image data GI decreases, conversion is performed so that the sum value of the C'M'Y'K'LcLmGy signals becomes larger than the sum value of the CMYK signals. The number of lamination of the printing material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and to lower the gloss reproduced by the printed image.

광택값에 대해서는, 시료 표면에 비친 물체의 상의 선명도(sharpness)를 측정하는 상 명료성(image clarity) 시험 방법을 나타낸 상 명료성 값 C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 명료성의 값 C와 시안재량값 C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광택값을 GI으로 표기한다. 상 선명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인쇄물에 장식 효과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고,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함으로써 상 선명도의 제어가 가능하다. 게다가, 시료 표면의 헤이즈(hase) 정도를 측정하는 헤이즈 측정 방법에 규정된 반사 헤이즈나 경면 상 명료성(specular image clarity) 등, 시료의 광택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이용 가능하다. The gloss value is explained using the image clarity value C, which shows the image clarity test method for measuring the sharpness of the image of the object reflected on the sample surfa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gloss value is denoted by GI in order to avoid confusion between the value C of the image clarity and the cyan content value C. [ It i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give a decorative effect to the printed matter by changing the image clarity and control of the image clarity can be made by controll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In addition, an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gloss of the sample, such as a reflection haze or specular image clarity specified in the haze measuring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hase of the sample surface, is available.

상기 지표의 각각은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이 변화되면 다른 값을 나타내는 지표다. 다만, 상기 지표 중, 반사 헤이즈만이 그것의 값이 커질수록 광택이 낮아지는 지표다. 이하에서는, 그것의 값이 클수록 광택이 높아지는 광택값을 설명하기 때문에, 반사 헤이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역수를 이용하는 등의 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 지표는, 화상 관찰자가 느끼는 광택감과 선형 관계가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유저가 광택 화상 데이터 GI을 생성할 때에, 광택값과 광택감의 관계가 직관적으로 이해되기 쉽도록, 광택값으로서 사용하는 지표에 근거하여 적절한 변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ach of the indices is an index indicating a different value when the irregularities of the surface of the print image are changed. However, among the above indices, only the reflection haze is an indicator that the gloss decreases as the value increases. Hereinafter, since a gloss value that increases the gloss becomes larger as the value thereof is larger, it is necessary to use a reciprocal in the case of using reflection haze. These indexes may not have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glossiness felt by the image observer. Therefore, when the user generates the glossy image data GI,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ppropriate conversion based on the index used as the gloss value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loss value and glossiness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도 6은 제2 색분해 처리부(106)가 참조하는 광택 제어 테이블(107)의 일례를 나타낸다. 광택 제어 테이블(107)은, 예를 들면 CMYK 각각에 대해서 0, 32, 64, 96, 128, 160, 192, 224, 255의 9값 중의 어느 하나와, CMYK 값 중의 하나의 조합에 대하여 다섯 개의 광택값 GI를 규정하고, 93 × 5 = 3645의 격자점을 나타낸다. 광택값 GI로서는, 예를 들면 60, 55, 50, 45, 40이 규정된다. 그리고, 각 격자점의 CMYKGI 값(입력값)에 대응하는 색재량 신호값(출력값)이 광택 제어 테이블(107)에 저장된다. Fig. 6 shows an example of the gloss control table 107 referred to by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06. Fig. The gloss control table 107 is a table in which one of 9 values of 0, 32, 64, 96, 128, 160, 192, 224 and 255 for each of CMYK, The gloss value GI is defined, and a lattice point of 9 3 x 5 = 3645 is shown. As the gloss value GI, for example, 60, 55, 50, 45, and 40 are specified. Then, the colorant amount signal value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CMYKGI value (input value) of each lattice point is stored in the gloss control table 107. [

예를 들면, CMYK = (0, 0, 0, 255)에 있어서 광택값 GI이 변화되면, 출력값이 변화되고, GI 값이 감소할수록 K 인쇄재의 사용량이 Gy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교환되어, Gy 값이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Gy 인쇄재의 적층 수를 2층으로 해서 설명하지만, 제2 색분해 처리부(106)의 처리 결과에는, 이 적층 수가 고려되어 있다. Gy 값을 2로 제산한 값과 K'값을 더하면, 광택값 GI에 관계없이 합계가 256이 된다. 다만, Gy = 0이 되는 GI = 60의 경우에만 합계가 255가 된다. For example, when the gloss value GI is changed in CMYK = (0, 0, 0, 255), the output value is changed, and as the GI value is decreased, the usage amount of the K printing material is changed to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y printing material, Gy value increases.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layers of the Gy printing material is described as two layers, but the number of layers is considered a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 When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Gy value by 2 and the value of K 'are added, the total is 256 regardless of the gloss value GI. However, the sum becomes 255 only in the case of GI = 60 where Gy = 0.

제2 색분해 처리부(106)는, 입력되는 CMYKGI 값이 광택 제어 테이블(107)의 격자점의 값이면, 해당 격자점에 인쇄된 색재량 신호 C'M'Y'K'LcLmGy를 출력한다. 또한, 입력되는 CMYKGI 값이 광택 제어 테이블(107)의 격자점 간의 값이면, 제2 색분해 처리부(106)는 입력된 값을 둘러싸는 격자점에 인쇄된 값을 사용하는 보간 처리에 의해 색재량 신호 C'M'Y'K'LcLmGy를 출력한다. If the inputted CMYKGI value is the value of the lattice point of the gloss control table 107,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outputs the colorant amount signal C'M'Y'K'LcLmGy printed at the corresponding lattice point. If the input CMYKGI value is a value between lattice points in the gloss control table 107,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performs interpolation processing using the value printed at the lattice point surrounding the input value, C'M'Y'K'LcLmGy.

도 6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화상생성장치(13)의 광택 재현 범위는 40≤GI≤60이다. 즉, 광택의 상한 값(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60)을 넘는 광택값과, 하한값(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GI < 40) 미만의 광택값에 해당하는 광택은 재현이 어렵다. 또한, 재현 불가능한 광택값이 입력되었을 경우, 정보처리장치(11)의 어플리케이션이 경고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gloss reproduction range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is 40? G? 60. That is,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a gloss value that exceeds the gloss upper limit value (6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and a gloss value that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GI <4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In addition, when a non-reproducible gloss value is input,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lic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1 generates a warning.

재현 불가능한 GI 값이 입력되었을 경우, 제2 색분해 처리부(106)는, 해당 GI 값을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 클립핑하여, GI 값을 광택 재현 범위 내에서 설정함으로써, 제2 색분해 처리를 행한다. 즉, GI 값이 광택 재현 범위의 상한값 이하인 경우, CMYK 신호가 나타내는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 중, GI 값에 대응한 사용량을, 연한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할 수 있어, C'M'Y'K'LcLmGy 신호값의 총 합계가 CMYK 신호값의 총 합계보다도 커진다. 이 사용량의 교환은, GI 값이 광택 재현 범위의 상한값 이하인 경우에 행해지고, 이 사용량의 교환에 있어서의 교환량은 GI 값의 감소에 따라 증가한다.When a non-reproducible GI value is inputted,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06 clips the GI value to the upper limit value or the lower limit value, and sets the GI value within the gloss reproduction range, thereby performing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 That is, when the GI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gloss reproduction range,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I value among the usage amount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represented by the CMYK signal can be replaced with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oft printing material, The total sum of the K'LcLmGy signal values becomes larger than the total sum of the CMYK signal values. This exchange of the usage amount is performed when the GI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gloss reproduction range, and the exchange amount in the exchange of the usage amount increases with the decrease of the GI value.

제2 색분해 처리부(106)가 다차원 LUT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제2 색분해 처리부(106)는, 하기식을 사용해서 제2 색분해 처리를 행해도 된다.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06 uses the multidimensional LUT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6 may perform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sing the following formula.

if (Gl > 60) Gl = 60;if (G1 > 60) G1 = 60;

if (Gl < 40) Gl = 40;if (G < 40) G1 = 40;

if (C < 255){if (C <255) {

C' = C - Wc × (Glm - Gl);      C '= C - Wc x (Glm - Gl);

}else{} else {

C' = C + 1 - Wc × (Glm - Gl);      C '= C + 1 - Wc x (Glm-Gl);

}}

if (C' > 255) C' = 255;if (C '&gt; 255) C' = 255;

if (C' < 0) C' = 0;if (C &lt; 0) C &apos; = 0;

if (M < 255){if (M < 255) {

M' = M - Wm × (Glm - Gl);      M '= M - Wm x (Glm-Gl);

}else{} else {

M' = M + 1 - Wm × (Glm - Gl);      M '= M + 1 - Wm x (Glm-Gl);

}}

if (M' > 255) M' = 255;if (M '&gt; 255) M' = 255;

if (M' < 0) M' = 0;if (M '<0) M' = 0;

Y' = Y;Y '= Y;

if (K < 255){if (K < 255) {

K' = K - Wk × (Glm - Gl);      K '= K - Wk x (Glm - Gl);

}else{} else {

K' = K + 1 - Wk × (Glm - Gl);      K '= K + 1 - Wk x (Glm-Gl);

}}

if (K' > 255) K' = 255;if (K '&gt; 255) K' = 255;

if (K' < 0) K' = 0;if (K '<0) K' = 0;

Lc = Nlc × Wc × (Glm - Gl);Lc = Nlc x Wc x (Glm-Gl);

Lm = Nlm × Wm × (Glm - Gl);Lm = Nlm x Wm x (Glm-Gl);

Gy = Ngy × Wk × (Glm - Gl); …(1)Gy = Ngy x Wk x (Glm-Gl); ... (One)

여기에서, Glm은 광택 재현 범위의 상한값이고, Here, Glm i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gloss reproduction range,

Wc, Wm, Wk은 C, M, K의 값에 의존한 무게 계수이며, Wc, Wm, and Wk are weight factors depending on the values of C, M, and K,

Nlc, Nlm, Ngy는 적층 수이다.Nlc, Nlm, and Ngy are stacked numbers.

연한 인쇄재의 적층 수(또는 사용량)를 변화시킨 인쇄물을 측색하고,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에 대하여 거의 같은 농도를 취득할 수 있는 연한 인쇄재의 적층 수(또는 사용량)를, K에서 Gy로, C에서 Lc로, M에서 Lm로 교환하는 경우의 연한 인쇄재의 적층 수로서 사용한다. 또는, 각 인쇄재를 1층(또는 등량) 인쇄한 인쇄물의 측색값으로부터 하기식에 의해, 적층 수를 취득할 수 있다.The number of stacks (or the amount of use) of the soft printing material which can obtain the almost same density with respect to the usage amount of the dark printing material is changed from K to Gy and from C to Lc , And is used as the lamination number of the light printing material when exchanging from M to Lm. Alternatively, the number of laminated layers can be obtained from the colorimetric values of the printed materials obtained by printing one layer (or the same amount) of each printing material by the following formula.

우선, K 인쇄재 또는 Gy 인쇄재를 1층(또는 등량), 인쇄 매체에 인쇄한 화상의 반사율 R'(K) 또는 R'(Gy)은 하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rst, the reflectance R '(K) or R' (Gy) of an image obtained by printing a K print material or a Gy print material on one layer (or an equivalent amount) and a print medium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R'(K) = R(K)× Rp;R '(K) = R (K) x Rp;

R'(Gy) = R(Gy) × Rp; … (2)R '(Gy) = R (Gy) x Rp; ... (2)

여기에서, R(K)은 K 인쇄재 단체의 반사율이고, Here, R (K) is the reflectance of the K printing material,

R(Gy)은 Gy 인쇄재 단체의 반사율이며,R (Gy) is the reflectance of the Gy printing material,

Rp는 인쇄 매체 자체의 반사율이다.Rp is the reflectance of the print medium itself.

식(2)에 있어서 R'(K), R'(Gy), Rp는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반사율 R(K) 및 R(Gy)은 계산 가능하다. 또한, 인쇄 매체에 Gy 인쇄재를 Ngy회 적층했을 경우의 반사율 R'(Gy_Ngy)은 하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Since R '(K), R' (Gy) and Rp are measurable in the formula (2), the reflectances R (K) and R (Gy) can be calculated. Further, the reflectance R '(Gy_Ngy) when the Gy printing material is laminated Ngy times on the print medium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R'(Gy_Ngy) = R(Gy)Ngy × Rp; … (3)R '(Gy_Ngy) = R (Gy) Ngy × Rp; ... (3)

따라서, R'(K) = R'(Gy_Ngy)을 얻기 위한 적층수 Ngy는 하기식으로 나타낸다.Therefore, the number of stacks Ngy for obtaining R '(K) = R' (Gy_Ngy)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Ngy = log{R(K)}/log{R(Gy)}; … (4) Ngy = log {R (K)} / log {R (Gy)}; ... (4)

또한, 식(4)에 의해 산출되는 Ngy에 가장 가까운 자연수를 적층 수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무게 계수 Wc, Wm, Wk은, 진한 인쇄재를 연한 인쇄재로 바꿔 놓는 비율(면적율)을 변화시킨 인쇄물의 광택값 GI을 측정함으로써 설정 가능하다.Further, the natural number closest to Ngy calculated by the formula (4) may be set as the number of layers. The weight coefficients Wc, Wm, and Wk can be set by measuring the gloss value GI of the printed matter by changing the ratio (area ratio) at which the thick printing material is changed to the soft printing material.

● Ly 인쇄재● Ly printing material

상기는, Y 인쇄재에 대응하는 연한 인쇄재인 라이트 옐로우(Ly) 인쇄재가 화상생성장치(13)에 미탑재된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Y'= Y로 가정해서 설명을 행했다. 그 이유는 Y 인쇄재의 농도가 낮아서, Ly 인쇄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C = 0, M = 0, Y > 0, K = 0의 영역에 있어서 광택을 제어할 수 있지 않기 때문에, Ly 인쇄재를 화상생성장치(13)에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Y값에서 Ly값으로의 교환은 하기식을 따른다. The above assumes that a light yellow (Ly) printing material, which is a soft print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Y printing material, is not yet placed in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so that the description is given on the assumption that Y '= Y. This is because the density of the Y printing material is low and the Ly printing material is not generally used. However, since gloss can not be controlled in the region of C = 0, M = 0, Y> 0, and K = 0,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Ly printing material on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In this case, the exchange from the Y value to the Ly value follows the following equation.

if (Y < 255){if (Y <255) {

Y' = Y - Wy × (Glm - Gl);      Y '= Y - Wy X (Glm - Gl);

}else{} else {

Y'= Y + 1 - Wy × (Glm - Gl);      Y '= Y + 1 - Wy X (Glm-Gl);

}}

if (Y' > 255) Y' = 255;      if (Y '> 255) Y' = 255;

if (Y' < 0) Y'=0;      if (Y '<0) Y' = 0;

Ly = Nly × Wy × (Glm - Gl);Ly = Nly x Wy x (Glm-Gl);

if (Ly > 255) Ly = 255; …(5)      if (Ly > 255) Ly = 255; ... (5)

여기에서, Glm은 광택 재현 범위의 상한값이며,Here, Glm i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gloss reproduction range,

Wy는 C, M, K의 값에 의존한 무게 계수이며,Wy is a weight coefficient depending on the values of C, M, and K,

Nly는 적층수이다.Nly is the number of layers.

[패스 분해부][Path disassembly section]

패스 분해부(108)는, 제2 색분해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C'M'Y'K'LcLmGy 신호를 각 기록 주사(패스)에 분담시키는 패스 분해 처리를 행한다.The pass decomposition unit 108 performs a path decomposition process for distributing the C'M'Y'K'LcLmGy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06 to each recording scan (path).

멀티패스 인쇄 방식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잉크젯 기록 방식에는, 인쇄범위에 해당하는 인쇄 소자를 구비하는 인쇄헤드를 사용하고, 인쇄 매체만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종이 보내기)해서 화상을 인쇄하는 라인 방식이 있다. 또한, 라인형의 인쇄헤드보다 적은 수의 인쇄 소자를 구비하는 인쇄헤드를 사용하고, 인쇄헤드의 주주사 방향으로의 이동(인쇄 주주사)과 용지 공급을 교대로 반복하여, 차례로 화상을 인쇄하는 직렬 방식이 있다. "인쇄 주주사"는, 인쇄헤드가 탑재된 캐리지를 인쇄 매체에 대하여 이동(주사)하는 것이며, "용지 공급"은 인쇄 주주사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쇄 매체를 소정 길이씩 공급하는 것이다.A multipass printing method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the inkjet recording method, there is a line method in which a print head having a printing element corresponding to a printing range is used, and an image is printed by moving only the printing medium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paper feeding). In addition, a print head having a smaller number of printing elements than a line-type print head is used, and a serial method (printing method) in which images are sequentially printed by alternately repeating movement of the print head in the main- . The "paper main feeder " is a device for feeding a print medium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scan of the print by a predetermined length.

인쇄헤드의 인쇄 소자의 배열 밀도와 수에 의해, 일 회의 인쇄 주주사를 행함으로써 인쇄되는 영역의 폭이 결정된다. 일 회의 인쇄 주사로 화상을 인쇄하면, 인쇄 소자의 제조 오차와, 인쇄 주주사에 의한 인쇄헤드 주변에서 발생되는 기류 등의 영향에 의해, 인쇄재가 인쇄 매체에 도달하는 위치가 변한다. 그 결과, "밴딩(banding)"이라고 불리는 그늘선(shaded line)이 형성되어 화상 품질을 열화시킨다.The width of the area to be printed is determined by performing the printing main scan one time by the arrangement density and the number of printing elements of the print head. When an image is printed by one print scan, the position at which the printing material reaches the print medium changes due to the manufacturing error of the printing element and the influence of the air flow generated around the print head by the printing main scan. As a result, a shaded line called "banding " is formed to deteriorate image quality.

상기의 문제를 경감해서 화상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멀티패스 기록 방식이 채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하기 위해서 연한 인쇄재를 적층한다. 따라서, 같은 영역에 동일 인쇄재를 인쇄할 필요가 있고, 여러 번의 인쇄 주사에 의해, 이것을 실현하는 멀티패스 인쇄를 행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by alleviating the above problem, a multipass recording system is employed. In this embodiment, a light printing material is laminated to control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int the same printing material in the same area, and multi-pass printing for realizing this i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printing scans.

멀티패스 기록 방식은, 여러 번의 인쇄 주주사에 의해 화상을 완성한다. 따라서, 인쇄가능한 화상 생성 데이터가 일 회의 인쇄 주주사에 의해 완전히 기록되지 않는다. 도 7a, 7b, 7c를 참조하여 패스 분해 처리를 설명한다. 도 7a는 인쇄 주사마다의 인쇄율을 나타내는 인쇄율 테이블 예를 나타낸다. C'M'Y'K'LcLmGy 신호의 값은, 인쇄율 테이블에 따라, 각 인쇄 주사(패스)에 할당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신호 값에 인쇄율을 승산한 값이 각 패스에 있어서의 인쇄재의 사용량이 된다. In the multipass printing method, an image is completed by a plurality of print main scanning lines. Therefore, the printable image generation data is not completely recorded by one printing main scan. The path decompos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7B and 7C. 7A shows an example of a print rate table showing the print rate for each print scan. The value of the C'M'Y'K'LcLmGy signal can be assigned to each print scan (pass) according to the print rate table. In other words,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ignal value by the printing rate is the amount of printing material used in each pass.

후단의 하프톤 처리의 단위 영역이 예를 들면 4 x 4 닷을 갖는 경우, 4 x 4 닷에 의해 재현 가능한 계조 수는 16이다. 이 경우, 패스 분해부(108)는, 각 색 8비트의 C'M'Y'K'LcLmGy 신호를 0-15를 나타내는 각색 4비트의 신호로 변환한다. 도 7b는 제2 색분해 처리 후의 K'Gy 값(각색 8비트)의 상위 4비트를 각색 4비트의 신호로 변환한 결과를 나타낸다.When the unit area of the halftone process in the subsequent stage has, for example, 4 x 4 dots, the number of grayscales capable of being reproduced by 4 x 4 dot is 16. In this case, the path resolving section 108 converts the C'M'Y'K'LcLmGy signal of 8 bits of each color into a 4-bit color signal indicating 0-15. FIG. 7B shows the result of converting the upper 4 bits of the K'Gy value (8 bits of each color) after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 into a 4-bit color signal.

도 7c는 4비트로 변환된 K"Gy" 값을 인쇄율에 의거하여 각 패스에 할당한 패스 분해 데이터를 나타내고, 즉 패스 분해부(108)로부터의 출력을 나타낸다. 패스 분해부(108)는, C'M'Y'K'LcLmGy 신호를 i번째의 패스의 패스 분해 데이터인 CiMiYiKiLciLmiGyi로 변환한다.7C shows the path disassembled data assigned to each path based on the printing rate, that is, the output from the path disassembling section 108. The value of K "Gy" The path decomposing unit 108 converts the C'M'Y'K'LcLmGy signal into the path decomposition data C i M i Y i K i Lc i Lm i Gy i of the i- th path.

패스 분해부(108)는, 제1 패스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쇄율 테이블에 따라 패스 분해 데이터를 결정하고, 여분을 다음 패스에 전파하는 오차 확산 처리와 유사한 처리를 행한다. 즉, 주목 패스에 있어서의 오차(여분)를 다음 패스에 전파하고, 오차를 가산한 신호 값과 다음 패스의 인쇄율에 의해 해당 패스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결정한다. 또한, 4비트의 신호 값이 0xF = 15인 경우, 패스 분해부(108)는, 해당 신호 값을 "16"으로 해서 패스 분해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 7b 및 7c는 또한 참고용 GI 값을 나타내지만, GI 값이 패스 분해부(108)의 처리와 직접 관계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The pass decomposition unit 108 determines pass decomposition data in accordance with the print rate table sequentially from the first pass and performs processing similar to the error diffusion processing for propagating the redundancy to the next pass. That is, the error (extra) in the noticed path is propagated to the next path, and the path decomposition data of the path is determined by the signal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error and the printing rate of the next path. When the signal value of 4 bits is 0xF = 15, the path disassembling section 108 performs the path disassembling process with the signal value being "16 ". 7B and 7C also show reference GI valu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GI value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cessing of the path resolving section 108. [

[하프톤 처리부][Halftone processor]

하프톤 처리부(109)는, 패스 분해 데이터 CiMiYiKiLciLmiGyi에 대응한 닷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즉, 하프톤 처리부(109)는, 인쇄재마다, 패스 분해 데이터로부터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1비트의 인쇄 신호를 생성한다. 이 인쇄 신호는, 출력부(111)를 통해서 화상생성장치(13)의 각 인쇄 소자의 구동신호(1비트)로서 출력된다.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determines the dot layout corresponding to the path disassembly data C i M i Y i K i Lc i Lm i Gy i . That is,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generates a 1-bit print signal representing the print position of on-dot from the path disassembly data for each print material. The print signal is outputted as a drive signal (1 bit) of each printing element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through the output section 111. [

● 진한 인쇄재● thick printing material

도 8a, 8b, 8c는 K" 신호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1비트의 구동신호로 양자화하는 하프톤 처리용의 4 x 4 디더 매트릭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하프톤 처리부(109)는, 도 8a, 8b, 8c에 나타낸 디더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K 인쇄재의 각 패스의 닷 레이아웃을 결정한다.8A, 8B and 8C show an example of a 4x4 dither matrix for halftone processing for quantizing the path-separated data of the K "signal into a 1-bit drive signal. , 8b, and 8c are used to determine the dot layout of each pass of the K printing material.

제1 패스에 있어서, 하프톤 처리부(109)는, 초기의 디더 매트릭스(도 8a)에 있어서 최소의 값을 갖는 셀로부터 순차적으로, 패스 분해 데이터와 같은 값을 갖는 셀까지의 인쇄 신호로서‘1'(닷 온)을 설정하고, 다른 셀의 인쇄 신호로서 '0'(닷 오프)을 설정한다.In the first pass,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sequentially outputs, as a print signal from the cell having the minimum value in the initial dither matrix (FIG. 8A) to the cell having the same value as the path disassembled data, (Dot on), and sets '0' (dot off) as a print signal of another cell.

그리고, 하프톤 처리부(109)는, 디더 매트릭스의 각 셀의 값으로부터 제1 패스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감산한다. 만약에 0보다 작은 값을 갖는 셀이 출현한 경우에는, 하프톤 처리부(109)는 셀 값을 1-16의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해당 셀에 16을 가산한다. 도 8b 및 8c는 패스 분해 데이터가 "4"인 경우의 디더 매트릭스의 갱신을 각각 나타낸다.Then,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subtracts the path disassembly data of the first pass from the value of each cell of the dither matrix. If a cell having a value smaller than 0 appears,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adds 16 to the cell in order to keep the cell value within the range of 1-16. 8B and 8C show the update of the dither matrix when the path disassembled data is "4 ".

제2 패스에 있어서, 하프톤 처리부(109)는, 갱신 디더 매트릭스(도 8c)를 사용하여, 제1 패스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처리를 모든 패스에 대하여 반복 실행함으로써 진한 인쇄재의 각 패스의 닷 레이아웃이 결정된다.In the second pass,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performs the same processing as the first pass using the updated dither matrix (Fig. 8C). This process is repeatedly executed for all passes to determine the dot layout of each pass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도 9는 도 7c에 나타낸 K"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의 하프톤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 "K"을 인쇄한 셀이 온 닷에 해당한다. 또한, 도 9는 참고용 GI 값을 나타내지만, GI 값이 하프톤 처리부(109)의 처리에 직접 관계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9 shows the halftone processing result of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K "value shown in FIG. 7C. In FIG. 9, the cell on which" K "is printed corresponds to on-do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GI value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cessing of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

● 연한 인쇄재● Soft printing material

도 10a 및 10b를 참조하여 Gy"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의 하프톤 처리를 설명한다. 도 10a는 Gy" 신호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1비트의 구동신호로 양자화하는 하프톤 처리용의 4 x 4 디더 매트릭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하프톤 처리부(109)는, 도 10a에 나타낸 디더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Gy 인쇄재의 각 패스의 닷 레이아웃을 결정한다.10A and 10B illustrate halftone processing of the path disassembly data of the Gy "value. Fig. 10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halftone processing of the 4x4 dither signal for halftone processing which quantizes the path- Represents an example of a matrix. That is,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determines the dot layout of each pass of the Gy print material by using the dither matrix shown in Fig. 10A.

제1 패스에 있어서, 하프톤 처리부(109)는, 진한 인쇄재의 하프톤 처리와 마찬가지로, 최소의 값을 갖는 셀로부터 순차적으로 패스 분해 데이터와 같은 값을 갖는 셀까지의 인쇄 신호로서 '1'(닷 온)을 설정하고 다른 셀의 인쇄 신호로서 '0'을 설정한다.In the first pass,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sequentially outputs '1' ("1") as a print signal from the cell having the minimum value to the cell having the same value as the path disassembled data Dot on) and sets '0' as the print signal of the other cell.

진한 인쇄재의 하프톤 처리의 경우, 각 패스의 하프톤 처리 후에 디더 매트릭스를 갱신한다. 한편, 연한 인쇄재의 하프톤 처리의 경우, 전체 패스의 수를 P, 적층 수를 N이라고 하면 패스 수 int(P/N)에 해당하는 하프톤 처리를 행한 후, 하프톤 처리부(109)는, 디더 매트릭스를 초기화해서 연한 인쇄재의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 이 초기화에 의해, 화상생성장치(13)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연한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the halftone processing of a thick printing material, the dither matrix is updated after halftone processing of each pass. On the other hand, in the halftone processing of the light printing material,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performs halftone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asses int (P / N) when the total number of passes is P and the number of layers is N, The dither matrix is initialized to enable the lamination of the light printing material. By this initialization, on-dot overlap of the light printing material occurs in the printing scan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예를 들면, P = 4, N = 2의 경우에는, 제2 패스의 하프톤 처리 후, 디더 매트릭스가 초기화되고, 연한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이 발생한다. 또, P = 4, N = 3의 경우에는, 제1, 제2, 및 제3 패스의 하프톤 처리 후, 디더 매트릭스가 초기화되고, 연한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이 발생한다. 디더 매트릭스의 초기화에 의해, 이미 "온 닷"으로 한 셀을 다시 닷 온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같은 셀 위치에 있어서 연한 인쇄재를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P = 4 and N = 2, after the halftone processing of the second pass, the dither matrix is initialized, and overlapping of on-dots of the light print material occurs. In the case of P = 4 and N = 3, after the halftone processing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asses, the dither matrix is initialized, and overlapping of on-dot of the light printing material occurs. By initializing the dither matrix, cells which have already been made "on dot" can be turned on again, and lighter printing materials can be stacked at the same cell position.

도 10b는 도 7c에 나타낸 Gy"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하프톤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b에 있어서, "G"가 인쇄된 셀이 온 닷에 해당하고, "2G"가 인쇄된 셀이 Gy 인쇄재가 2층을 갖는 닷에 해당한다. 또한, 도 10b는 참고용 GI 값을 나타내지만, GI 값이 하프톤 처리부(109)의 처리에 직접 관계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0B shows the halftone processing result of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Gy "value shown in Fig. 7C. In Fig. 10B, a cell in which" G "is printed corresponds to on- 10B shows the reference GI value, but needless to say that the GI value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cessing of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09. [

도 9 및 도 10b에 나타낸 최종적인 닷 레이아웃을 비교하면, K 닷과 Gy 닷이 배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안다. 즉, 광택값 GI 에 따라, 각 K 닷이 2층의 Gy 닷으로 교환되어 있다. 또한, 광택값 GI가 최저값(이 예에서는 GI = 40)을 갖는 경우, K 닷의 면적율과 Gy 닷의 면적율이 같아서, 1층의 K 닷과 2층의 Gy 닷이 바둑판 모양으로 배치된다. 그 결과, 인접하는 닷의 사이에서 인쇄재의 두께가 다르게 되고,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고저차)이 최대가 된다. When comparing the final dot layout shown in Figs. 9 and 10B, it is known that K-dot and Gy-dot are arranged exclusively. That is, according to the gloss value GI, each K dot is exchanged with a Gy dot of two layers. When the gloss value GI has the lowest value (GI = 40 in this example), the area ratio of the K dot and the area ratio of the Gy dot are the same, and the K dot of the first layer and the Gy dot of the second layer are arranged in a checkerboard pattern.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material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adjacent dots, and the unevenness (height difference)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becomes maximum.

상기에서는, 4회의 인쇄 주사(4 패스)의 예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2층의 연한 인쇄재와 1층의 진한 인쇄재를 인쇄하면 되므로, 2 패스로도 화상이 생성 가능하다. 또한, 4 패스를 이용할 때에도, 연속한 패스에서 같은 영역에 연한 인쇄재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 관계없이, 4패스 인쇄를 행하여, 인쇄재를 연속한 패스에서 같은 영역에 극력 인쇄하지 않는 다음의 이유가 있다. In the above, an example of four print scans (four passes) has been described. However, since the two-layer light printing material and the one-layer thick printing material can be printed, an image can be generated even with two passes. In addition, even when four passes are used, a light printing material can be recorded in the same area in successive passes. However, regardless of this, there is the following reason for performing 4-pass printing and not printing the printing material as much as possible in the same area in successive passes.

인쇄재는, 액체의 상태에서 인쇄 매체에 착탄하고, 용매의 인쇄 매체 내에의 침투나 공기 중에의 증발에 의해 점차로 고체로서 인쇄 매체 위에 정착한다. 즉, 인쇄 매체에 착탄한 직후의 인쇄재는 젖은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착탄에 시간차를 줌으로써 먼저 착탄한 인쇄재의 정착을 기다리고, 그 후에 같은 영역에 인쇄재를 착탄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젖은 인쇄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보다 부피 구연한 인쇄재를 적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inting material adheres to the printing medium in a liquid state, and is gradually fixed on the printing medium as solid by infiltration of the solvent into the printing medium or evaporation in the air. That is, the printing material immediately after landing on the printing medium is in a wet state. For this reason, by waiting for the fixation of the landed printing material first by giving a time difference in landing, the printing material is then landed on the same area. By doing so, it is an object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wet printing material and to laminate a more bulky printing material.

상술한 것처럼, 입력된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하여, 색 화상 데이터의 색분해 처리에 의해 취득되는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을, 연한 인쇄재의 사용량으로 교환한다. 또한, 인쇄재의 닷이 중첩하도록 연한 인쇄재의 닷 레이아웃을 결정하여,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한다. 따라서, 재현하는 광택값이 낮을수록,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키는 면적율이 증가한다. 그 결과, 인쇄 화상에 있어서 원하는 광택 재현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on the basis of the input gloss image data GI, the usage amount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obtained by the color separation processing of the color image data is replaced with the usage amount of the light printing material. Further, the dot layout of the soft printing material is determined so that the dot of the printing material is superimposed, thereby controll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Therefore, the lower the gloss value to be reproduced, the more the area ratio for increas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increases. As a result, desired gloss reproduction can be obtained in the printed image.

[제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개요][summary]

제1 실시예에서는,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해 재현하는 광택값이 낮을수록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을 연한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하고, 연한 인쇄재의 닷이 중첩하도록 연한 인쇄재의 닷 레이아웃을 결정함으로써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했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the gloss value reproduced based on the gloss image data GI is lower, the usage amount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is replaced with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oft printing material, and the dot layout of the soft printing material is determined Thereby controll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화상생성장치(13)는, CMYK의 인쇄재(이하, 기본색 인쇄재) 이외에, CMY와 보색관계에 있는 레드(R) 인쇄재, 블루(B) 인쇄재, 및 그린(G) 인쇄재 등의 특색이라고 불리는 인쇄재(이하, 특색 인쇄재)를 탑재하는 경우가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CMYKRGB의 7색의 인쇄재를 탑재하는 화상생성장치(13)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3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d (R) printing material, a blue (B) printing material, and a green (G) printing material in a complementary color relationship with CMY in addition to the CMYK printing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quot;) may be mount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for mounting the CMYKRGB seven-color printing material will be described.

기본색 인쇄재와 특색 인쇄재를 탑재하는 화상생성장치(13)는, 재현하는 광택값이 낮을수록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을 CMY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하고 CMY 인쇄재가 중첩하도록 CMY 인쇄재의 닷 레이아웃을 결정함으로써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한다.The image generation device 13 that mounts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replaces the usage amount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with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MY printing material as the reproducible gloss value is lower and controls the dot amount of the CMY printing material Th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are controlled by determining the layout.

도 1c는, 소정 영역의 전 에어리어에 화상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d는, 1층의 R 인쇄재, 및, Y 인쇄재와 M 인쇄재의 중첩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재현되는 색은 도 1c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도 1d에 나타낸 경우, R인쇄재만으로 형성되는 에어리어와, Y 인쇄재와 M 인쇄재의 적층으로 형성되는 에어리어가 혼재하여,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이 증가하고, 광택이 저하한다.1C shows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formed in all the areas in a predetermined area. FIG. 1D shows a state in which an image is formed by overlapping one layer of the R printing material and the Y printing material and the M printing material. The colors reproduced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1C. In the case shown in Fig. 1 (d), the areas formed only by the R printing material and the areas formed by the lamination of the Y printing material and the M printing material are mixed, so that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increases and the gloss decreases.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도 11은 제2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2)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제1색분해 처리부(114)는, 색분해 테이블(115)을 참조하여, 컬러 매칭부(102)로부터 출력되는 R'G'B' 신호를 색재량 신호 CMYKRGB로 변환한다. 색재량 신호 CMYKRGB은, 화상생성장치(13)의 기본색 인쇄재의 사용량, 및,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을 나타낸다. CMYKRGB 신호의 각각은 각색 8비트의 신호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색 화상 데이터 RGB은 인쇄 데이터 CMYKRGB으로 변환된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14 refers to the color separation table 115 and converts the R'G'B 'signal output from the color matching section 102 into the colorant amount signal CMYKRGB. The colorant amount signal CMYKRGB indicates the amount of use of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and the amount of use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Each of the CMYKRGB signals is an 8-bit color signal. By the above process, the color image data RGB is converted into the print data CMYKRGB.

제2 색분해 처리부(116)는, 제1색분해 처리부(114)로부터 출력되는 CMYKRGB 신호 및 광택 화상 데이터 GI을 수신하고,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해 CMYKRGB 신호를 C'M'Y'KR'G'B' 신호로 변환한다. 제2 색분해 처리부(116)는, C'M'Y'KR'G'B' 신호의 합계 값이 CMYKRGB 신호의 합계 값보다도 커지는 변환을 행한다. 즉, 재현하는 광택이 낮을수록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2 색분해 처리부(116)는 RGB 인쇄재의 사용량을 CMY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광택 제어 변환을 행한다.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16 receives the CMYKRGB signal and the gloss image data GI output from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14 and outputs the CMYKRGB signal as C'M'Y'KR'G ' B 'signal.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16 performs conversion such that the total value of the C'M'Y'KR'G'B 'signals becomes larger than the total value of the CMYKRGB signals. Tha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as the reproducible gloss becomes lower,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16 performs gloss control conversion in which the used amount of the RGB printing material is replaced with the use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MY printing material.

제2 색분해 처리부(116)는, 광택 제어 테이블(117)을 참조해서 광택 제어 변환을 행한다. 입력되는 CMYKRGBGI 값이 광택 제어 테이블(117)의 격자점의 값이면, 제2 색분해 처리부(116)는 해당 격자점에 인쇄된 색재량 신호 C'M'Y'KR'G'B'을 출력한다. 또한, 입력되는 CMYKRGBGI 값이 광택 제어 테이블(117)의 격자점 간의 값이면, 제2 색분해 처리부(116)는 해당 값을 둘러싸는 격자점에 인쇄된 값을 사용하는 보간 처리에 의해 색재량 신호 C'M'Y'KR'G'B'을 출력한다.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16 performs gloss control conversion with reference to the gloss control table 117. [ If the inputted CMYKRGBGI value is the value of the lattice point of the gloss control table 117,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16 outputs the colorant amount signal C'M'Y'KR'G'B 'printed at the lattice point . If the input CMYKRGBGI value is a value between the lattice points of the gloss control table 117,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16 converts the colorant amount signal C (C) by the interpolation process using the value printed at the lattice point surrounding the corresponding value 'M'Y'KR'G'B' is output.

도 12a 및 12b를 참조해서 광택 제어 변환 및 패스 분해 처리를 설명한다. 도 12a는 CMYKRGB 값(0, 0, 0, 0, 255, 0, 0)을 갖는, 즉 R 인쇄재만으로 재현 가능한 적색의 인쇄 데이터가 제2 색분해 처리부(116)에 입력되었을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도 12a에 나타낸 테이블에 있어서의 제2 칼럼으로부터 제4 칼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택값 GI = 60의 경우에는 Y 인쇄재와 M 인쇄재는 미사용이지만, 광택값 GI이 감소할수록, R 인쇄재의 사용량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감법(subtractive) 혼색에 의해 적색을 재현 가능한 Y 인쇄재와 M 인쇄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물론, R 인쇄재만으로는 재현할 수 없는 적색의 경우, 제1색분해 처리의 결과는 Y ≥ 0, M ≥ 0, K ≥ 0, R < 255가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광택값 GI이 감소할수록, R 인쇄재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Y 인쇄재와 M 인쇄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The gloss control conversion and pass decomposition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A and 12B. 12A shows a case where red print data having CMYKRGB values (0, 0, 0, 0, 255, 0, 0), i.e., red printable only by the R print material, is input to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16. Fig.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ourth column from the second column in the table shown in Fig. 12A, the Y printing material and the M printing material are unused when the gloss value GI = 60. However, as the gloss value GI decreases, 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printing material used. Then, the amount of the Y printing material and the M printing material capable of reproducing the red color is increased by subtractive color mixing. Of course, in the case of red which can not be reproduced by only the R printing material, the result of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is Y? 0, M? 0, K? 0, R <255. In this case, however, as the gloss value GI decreases, the amount of the R printing material used is decreased and the amount of the Y printing material and the M printing material used is increased.

도 12a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1색분해 처리의 결과가 G = 255를 나타낼 경우 등은, 광택값 GI이 감소할수록, G 인쇄재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감법 혼색에 의해 녹색을 재현 가능한 Y 인쇄재와 C 인쇄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마찬가지로, 제1색분해 처리의 결과가 B = 255를 나타낼 경우 등은, 광택값 GI이 감소할수록, B 인쇄재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감법 혼색에 의해 청색을 재현 가능한 C 인쇄재와 M 인쇄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2A, when the result of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 indicates G = 255, the amount of the G printing material used is decreased as the gloss value GI is decreased, and the Y printing material capable of reproducing green by subtractive color mixing,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printing material used. Likewise, when the result of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 indicates B = 255 or the like, as the gloss value GI decreases, the amount of the B printing material used is decreased and the amount of the C printing material and the M printing material capable of reproducing the blue color by subtractive color mixing .

패스 분해부(118)는, 제2 색분해 처리부(116)로부터 출력되는 C'M'Y'KR'G'B의 신호 값을 각 인쇄 주사(패스)에 할당하는 패스 분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패스 분해부(118)는 도 7a에 나타낸 인쇄율 테이블을 사용하고, 하프톤 처리부(119)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은 4 x 4 닷을 갖는다. 따라서, 패스 분해부(118)는, 각 8비트의 C'M'Y'KR'G'B' 신호를 각색 4비트의 신호로 변환한다. 도 12a에 나타낸 테이블에 있어서의 제5 칼럼 내지 제7 칼럼은 제2 색분해 처리 후의 R'Y'M' 값(각색 8비트)의 상위 4비트로부터 각색 4비트의 신호로 변환한 결과를 나타낸다.The pass decomposition unit 118 performs a path decomposition process for assigning signal values of C'M'Y'KR'G'B output from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16 to each print scan (path).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ath resolving section 118 uses the print rate table shown in Fig. 7A, and the unit area in the halftone processing section 119 has 4 x 4 dots. Thus, the path resolving section 118 converts the C'M'Y'KR'G'B 'signal of each 8 bits into a signal of each color 4 bits. The fifth column through seventh column in the table shown in Fig. 12A show the result of converting the upper 4 bits of the value R'Y'M '(8 bits of each color) after the second color separation processing into 4-bit color signals.

도 12b는 4비트로 변환된 후의 R"Y"M" 값을 인쇄율에 의거하여 각 패스에 할당한 패스 분해 데이터를 나타내고, 패스 분해부(118)의 출력을 나타낸다. 패스 분해부(118)는, C'M'Y'KR'G'B' 신호를 i번째의 패스의 패스 분해 데이터인 CiMiYiKiRiGiBi로 변환한다.12B shows the path disassembly data assigned to each path on the basis of the print rate, and shows the output of the path disassembling section 118. The path disassembling section 118 is configured to divide the R "Y" , C'M'Y'KR'G'B 'signals into C i M i Y i K i R i G i B i which is the path decomposition data of the i-th path.

하프톤 처리부(119)는, 패스 분해 처리 후의 CiMiYiKiRiGiBi에 대한 닷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즉, 하프톤 처리부(119)는, 인쇄재마다, 패스 분해 데이터로부터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1비트의 인쇄 신호를 생성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특색 인쇄재용의 초기 디더 매트릭스로서 도 8a가 사용된다. 또한, 기본색 인쇄재용의 초기 디더 매트릭스로서 도 10a가 사용된다. 다만, 같은 인쇄재를 적층 하는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색이 다른 인쇄재를 적층하기 때문에, 하프톤 처리 중에 디더 매트릭스의 초기화는 행해지지 않는다.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19 determines a dot layout for C i M i Y i K i R i G i B i after the path decomposition process. That is,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19 generates a 1-bit print signal indicating the print position of on-dot from the path disassembly data for each print material. In this process, Fig. 8A is used as the initial dither matrix for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Also, Fig. 10A is used as the initial dither matrix for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same printing material is laminated, the dither matrix is not initialized during halftone processing because printing materials of different colors are laminated.

도 13은 도 12b에 나타낸 R"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의 하프톤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R"를 인쇄한 셀은 온 닷에 해당한다. R 인쇄재로부터 교환된 Y 인쇄재와 M 인쇄재에 대해서는, 같은 셀이 온 닷에 할당된다. 도 14는 도 12b에 나타낸 Y"M"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의 하프톤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에 있어서, "YM"이 인쇄된 셀은 Y 인쇄재와 M 인쇄재의 온 닷에 해당한다. 도 13과 도 14는 또한 참고용 GI 값을 나타내지만, GI 값이 하프톤 처리부(119)의 처리에 직접 관계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13 shows the halftone processing result of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R "value shown in FIG. 12B. In FIG. 13, the cell on which" R "is printed corresponds to on-dot. 14 shows the halftone processing result of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value of Y "M" shown in Fig. 12B. In Fig. 14, "YM" 13 and 14 also show a reference GI valu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GI value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cessing of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19 There is no.

도 13과 도 14에 나타낸 최종적인 닷 레이아웃을 비교하면, R 닷과 YM 닷이 배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안다. 즉, 광택값 GI에 따라, 각 R 닷이 2층의 YM 닷으로 교환되어 있다. 또한, 광택값 GI가 최저값(이 예에서는, GI =4 0)을 갖는 경우, R 닷의 면적율과 YM 닷의 면적율이 같아서, 1층의 R 닷과 2층의 YM 닷이 바둑판 모양으로 배치된다. 그 결과, 인접하는 닷 사이에서 인쇄재의 두께가 다르게 되고,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고저 차)이 최대가 된다.Comparing the final dot layout shown in Figs. 13 and 14, it is known that R dot and YM dot are arranged exclusively. That is, according to the gloss value GI, each R dot is exchanged with the YM dot of the second layer. When the gloss value GI has the minimum value (GI = 40 in this example), the area ratio of R dot and the area ratio of YM dot are the same, and the R dot of the first layer and the YM dot of the second layer are arranged in a checkerboard pattern .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material is different between the adjacent dots, and the unevenness (height difference)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becomes maximum.

상기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모든 인쇄재의 인쇄율 테이블로서 도 7a를 적용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 때문에, Y 인쇄재와 M 인쇄재가 같은 패스 수로 같은 에어리어에 인쇄된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중첩되는 인쇄재들 간의 착탄 시간(hit time)의 차를 얻기 위해서는, C 인쇄재, Y 인쇄재, M 인쇄재 각각에 상이한 인쇄율 테이블을 사용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FIG. 7A is applied as the printing rate table of all printing materials has been describ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Y printing material and the M printing material are printed in the same area with the same number of passes. Different printing rate tables are used for the C printing material, the Y printing material and the M printing material, respectively, in order to obtain a difference in hit time between overlapping printing materials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설명한 것처럼, 입력된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하여, 색 화상 데이터의 색분해 처리에 의해 취득되는,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을 CMY 인쇄재의 사용량으로 교환한다. 또한, CMY 인쇄재가 중첩하도록 CMY 인쇄재의 닷 레이아웃을 결정하여,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한다. 따라서, 재현하는 광택값이 낮을수록,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키는 면적율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인쇄 화상에 있어서 원하는 광택 재현을 얻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input gloss image data GI, the usage amount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which is acquired by the color separation processing of the color image data, is replaced with the usage amount of the CMY printing material. Further, the dot layout of the CMY printing material is determined so that the CMY printing material is superimposed, thereby controll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ing image. Therefore, the lower the gloss value to be reproduced, the more the area ratio for increas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increases. As a result, desired gloss reproduction can be obtained in the printed image.

또한, 도 5의 스텝 S503의 처리를 R'G'B' → CMYKRGB로, 도 5의 스텝 S504의 처리를 CMYKRGB → C'M'Y'KR'G'B'로 바꾸어 쓰면, 도 5는 제2 실시예의 화상 생성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와 같아진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화상 생성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는 생략한다. If the process of step S503 in Fig. 5 is changed from R'G'B 'to CMYKRGB and the process of step S504 of Fig. 5 is changed from CMYKRGB to C'M'Y'KR'G'B' 2 is a flowchart showing generation processing of image generation data. Therefore, a flowchart showing the generation processing of the image generation data of the second embodiment is omitted.

[제3 실시예] [Thir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개요][summary]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으로부터 연한 인쇄재의 사용량으로의 교환,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으로부터 CMY 인쇄재의 사용량으로의 교환, 연한 인쇄재 또는 CMY 인쇄재의 적층을 설명했다. 화상생성장치(13)에는, 진한 인쇄재(기본색 인쇄재), 연한 인쇄재, 및 특색 인쇄재 이외에, 실질적으로 무색 투명한 클리어재(clear material)를 탑재하는 경우가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CMYK 4색의 기본색 인쇄재와 CL재를 탑재하는 화상생성장치(13)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exchange of the amount of thick printing material from the usage amount of soft printing material, the replacement of the amount of use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to the usage amount of CMY printing material, and the lamination of soft printing material or CMY printing material have been described. In addition to the dark printing material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the soft printing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the image generating device 13 may be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clear color clear material. In the thir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for mounting a CMYK four-color primary color printing material and a CL material will be described.

클리어재(이하, CL재)는, 주로, 인쇄물의 광택을 조정하기 위한 광택 조정 재로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광택을 높이는 용도에 사용된다. 한편,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현하는 광택이 낮을수록 CL재의 사용량을 증가시켜서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킨다. 또한, CL재에는 약간의 색이나 약간의 흐림이 있어도 개의치 않는다.The clear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 material) is mainly used as a gloss adjusting material for adjusting the gloss of a printed material, and is generally used for applications such as gloss enhance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amount of CL material used is increased as the reproducible gloss is lower, thereby increas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In addition, the CL material does not care if there is some color or slight cloudiness.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도 15는 제3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2)의 구성 예를 블럭도이다. 클리어재 부가부(CL재 부가부)(126)는, 제1 색분해 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되는 CMYK 신호 및 광택 화상 데이터 GI을 수신하고,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해 CL 값을 결정하며, CMYKCL 신호를 출력한다. CL재 부가부(126)는, 광택 화상 데이터 GI가 나타내는 광택값이 감소할수록 CL 값을 증가시킨다. 즉, 재현하는 광택이 감소할수록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CL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of the third embodiment. The CLY re-attaching unit (CL re-attaching unit) 126 receives the CMYK signal and the gloss image data GI output from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unit 104, determines the CL value based on the gloss image data GI, And outputs a signal. The CL reattacher 126 increases the CL value as the gloss value indicated by the glossy image data GI decreases. That is, the amount of CL material used is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as the reproducible gloss decreases.

CL재 부가부(126)는, 1차원의 광택 제어 테이블(127)을 참고하여 CL 신호값을 결정한다. 입력되는 광택값 GI가 광택 제어 테이블(127)의 기록 값이면, CL재 부가부(126)는, 해당 광택값 GI에 대응하는 CL 값을 부가한 CMYKCL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입력되는 광택값 GI가 광택 제어 테이블(127)의 인쇄 값 사이의 값이면, CL재 부가부(126)는, 해당 광택값을 사이에 둔 인쇄 값을 사용하는 보간 처리에 의해 결정된 CL 값을 부가한 CMYKCL 신호를 출력한다.The CL re-adder 126 refers to the one-dimensional gloss control table 127 to determine the CL signal value. If the input gloss value GI is a recording value of the gloss control table 127, the CL reattacher 126 outputs a CMYKCL signal to which a CL value corresponding to the gloss value GI is added. If the input gloss value GI is a value between the printing values of the gloss control table 127, the CL re-appending unit 126 adds the CL value determined by the interpolation process using the printing value between the gloss values And outputs the CMYKCL signal.

도 16a 및 16b를 참조하여 CL 값의 결정 및 패스 분해 처리를 설명한다. 도 16a는 CMYK 값(0, 0, 0, 255), 즉 K 인쇄재만으로 재현 가능한 흑색의 인쇄 데이터가 CL재 부가부(126)에 입력되었을 경우를 나타낸다. 도 16a의 테이블에 있어서의 제2 칼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K 인쇄재의 사용량은 광택값 GI에 무관계이다. 한편, 제3 칼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택값 GI = 60의 경우에는 CL재를 미사용으로 하고, 광택값 GI이 감소할수록 CL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바꿔 말하면, CMYK 신호 값을 유지한 채, 광택값 GI가 감소할수록 CL 인쇄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The determination of the CL value and the path decomposi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A and 16B. 16A shows a case in which black print data reproducible by the CMYK value (0, 0, 0, 255), that is, only the K print material, is input to the CL re- As shown in the second column in the table of Fig. 16A, the usage amount of the K printing material is irrelevant to the gloss value GI.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third column, when the gloss value GI = 60, the CL material is unused, and the CL amount is increased as the gloss value GI is decreased. In other words, as the gloss value GI decreases while maintaining the CMYK signal value, the amount of the CL printing material used is increased.

패스 분해부(128)는, CL재 부가부(126)로부터 출력되는 CMYKCL 신호값을 각 인쇄 주사(패스)에 할당하는 패스 분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패스 분해부(128)는 도 7a에 나타낸 인쇄율 테이블을 사용하고, 하프톤 처리부(129)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은 4 x 4 닷을 갖는다. 따라서, 패스 분해부(128)는, 각 8비트의 CMYKCL 신호를 각 4비트의 신호로 변환한다. 도 16a에 나타낸 테이블에 있어서의 제4 칼럼과 제6 칼럼은 KLC 신호(각색 8비트)의 상위 4비트로부터 각 4비트의 신호로 변환한 결과를 나타낸다.The path decomposition unit 128 performs path decomposition processing for assigning the CMYKCL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CL reattach unit 126 to each print scan (path).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ath resolving unit 128 uses the printing rate table shown in Fig. 7A, and the unit area in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29 has 4 x 4 dots. Therefore, the path decomposing unit 128 converts each of the 8-bit CMYKCL signals into 4-bit signals. The fourth column and the sixth column in the table shown in Fig. 16A show the result of conversion from the upper 4 bits of the KLC signal (each color 8 bits) to each 4-bit signal.

도 16b는 4비트로 변환된 후의 K"LC" 값을 인쇄율에 의거하여 각 패스에 할당한 패스 분해 데이터를 나타내고, 패스 분해부(128)로부터의 출력을 나타낸다. 패스 분해부(128)는, CMYKLC 신호를 i번째의 패스의 패스 분해 데이터인 CiMiYiKiLCi로 변환한다. 16B shows the path disassembled data assigned to each path on the basis of the printing rate, and shows the output from the path disassembling section 128. In Fig. The path decomposition unit 128 converts the CMYKLC signal into C i M i Y i K i LC i which is the path decomposition data of the i-th path.

하프톤 처리부(129)는, 패스 분해 처리 후의 CiMiYiKiCLi에 대해서 닷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즉, 하프톤 처리부(129)는, 인쇄재마다 패스 분해 데이터로부터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1비트의 인쇄 신호를 생성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 기본색 인쇄재용의 초기 디더 매트릭스로서 도 8a가 사용된다. 또한, CL재용의 디더 매트릭스로서 도 10a가 사용된다. 다만, 같은 인쇄재를 적층하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기본색 인쇄재와 CL재를 적층하기 때문에, 하프톤 처리 중에 디더 매트릭스의 초기화는 행해지지 않는다.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29 determines the dot layout for C i M i Y i K i CL i after the pass decomposition process. That is,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29 generates a 1-bit print signal indicating the printing position of the dot from the path disassembly data for each printing material. In this process, Fig. 8A is used as the initial dither matrix for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10A is used as a dither matrix for CL.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same printing material is laminated, since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the CL material are laminated, the dither matrix is not initialized during halftone processing.

도 17a 및 17b를 참조하여 하프톤 처리를 설명한다. 도 17a는, 도 16b에 나타낸 K"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하프톤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a에 있어서, "K"을 인쇄한 셀이 온 닷에 해당한다. 도 17b는, 도 16b에 나타낸 CL"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하프톤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b에 있어서, "CL"을 인쇄한 셀이 CL재의 온 닷에 해당한다. 도 17b는 또한 참고용 GI 값을 나타내지만, GI 값이 하프톤 처리부(119)의 처리에 직접 관계되지 않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The halftone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A and 17B. Fig. 17A shows the result of halftoning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K "value shown in Fig. 16B. In Fig. 17A, the cell on which" K & Shows the result of halftoning the path decomposition data of the indicated CL "value. In Fig. 17B, the cell on which "CL" is printed corresponds to the on-dot of the CL material. 17B also shows a reference GI value,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GI value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cessing of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19. [

도 17a 및 17b는, K 인쇄재가 전 에어리어에 인쇄되고, GI = 60 이외의 경우에 K 인쇄재 위에 CL재가 중첩되고, 광택값 GI이 감소할수록 CL재의 중첩 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인쇄 화상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면 좋기 때문에, 기본색 인쇄재 위에 CL재를 배치해도 되고, CL재 위에 기본색 인쇄재를 배치해도 된다. FIGS. 17A and 17B show that CL ashes are superimposed on the K printing material when the K printing material is printed in the front area, and when the GI is other than 60, the overlapping area of the CL material increases as the gloss value GI decreases. Further, since unevennes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the CL material may be disposed on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or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may be disposed on the CL material.

도 18은 제3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2)에 의한 화상 생성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입력부(101)는, 색 화상 데이터 RGB와 광택 화상 데이터 GI을 입력한다(스텝 S601). 컬러 매칭부(102)는, 입력된 색 화상 데이터 RGB을 화상생성장치(13)에 의존하는 색신호 R'G'B'로 변환하는 컬러 매칭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02).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generation processing of image generation data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of the third embodiment. The input unit 101 inputs the color image data RGB and the gloss image data GI (step S601). The color matching unit 102 performs color matching processing for converting the input color image data RGB into color signals R'G'B 'depending on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step S602).

제1색분해 처리부(104)는, 색신호 R'G'B'을 인쇄재량 신호 CMYK로 변환하는 제1색분해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03). CL재 부가부(126)는, 입력된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하는 CL 재량을 부가한 인쇄재량 신호 CMYKCL을 출력한다(스텝 S604).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4 executes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for converting the color signal R'G'B 'into the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CMYK (step S603). The CL re-adder 126 outputs the printing material quantity signal CMYKCL added with the CL disposition based on the input glossy image data GI (step S604).

패스 분해부(128)는, 인쇄재량 신호 CMYKCL을 멀티패스 인쇄하기 위한 패스 분해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05). 하프톤 처리부(129)는, 패스 분해 처리 결과를 화상생성장치(13)의 각 인쇄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하프톤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06).The path disassembling section 128 executes a path disassembling process for multipass printing the printing material quantity signal CMYKCL (step S605).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29 performs halftone processing for converting the pass decomposition processing result into drive data for driving each printing element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step S606).

출력부(111)는, 화상생성장치(13)의 화상 생성 동작에 동기하여, 출력 데이터 버퍼(110)에 저장된 화상 생성 데이터를 화상생성장치(13)에 출력한다(스텝 S607). 화상 생성 데이터는, 화상 전체 또는 인쇄 주사의 대역폭 등의 단위로 출력된다. 또한, 스텝 S601로부터 스텝 S606까지의 처리는 화소 단위로 반복해 실행된다. The output unit 111 outputs the image generation data stored in the output data buffer 110 to the image generation apparatus 13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mage generation operation of the image generation apparatus 13 (step S607). The image generation data is output in units of the whole image or the bandwidth of the print scan or the like. The processes from step S601 to step S606 are repeatedly performed on a pixel-by-pixel basis.

상술한 것처럼, 입력된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해 CL재의 사용량을 결정하고, 광택값이 감소할수록 CL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기본색 인쇄재와 CL재가 중첩하도록 닷 레이아웃을 결정하여,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한다. 따라서, 재현하는 광택값이 감소할수록,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키는 면적율이 증가함으로써, 인쇄 화상에 있어서 원하는 광택 재현을 취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age amount of the CL materi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put glossy image data GI, and the amount of the CL material used is increased as the gloss value is decreased. Further, the dot layout is determined so that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the CL material overlap each other, thereby controll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Therefore, as the gloss value to be reproduced decreases, the area ratio for increas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is increased, so that desired gloss reproduction can be obtained in the printed image.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Hereinafter,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개요][summary]

제1 실시예에서는,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해 재현하는 광택값이 감소할수록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을 LcLmGy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하고, 연한 인쇄재가 중첩하도록 연한 인쇄재의 닷 레이아웃을 결정함으로써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했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the gloss value reproduced based on the gloss image data GI decreases, the usage amount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is changed to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LcLmGy printing material, and the dot layout of the soft printing material is determined so as to overlap the soft printing material, A method of controll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image has been described.

화상생성장치(13)는,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고농도 블랙계 인쇄재이며 기본색 인쇄재에 포함되는 K 인쇄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저농도 블랙계 인쇄재를 복수 탑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화상생성장치(13)는, 블랙계 인쇄재(이하, BK계 인쇄재)로서 농도가 높은 순으로 3종류의 인쇄재, 즉 K, Gy, Lgy를 탑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Gy와 Lgy가 저농도 블랙계 인쇄재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CMYKGyLgy의 6색의 인쇄재를 탑재하는 화상생성장치(13)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The image generating device 13 may be a high density black type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density and a plurality of low density black type printing materials having a relatively low density for the K print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may mount three types of printing materials, that is, K, Gy, and Lgy, in the order of higher density as a black printing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K printing material). In this case, Gy and Lgy are low-concentration black-based printing materials. In the fourth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13 for mounting the six color printing materials of CMYKGyLgy will be described.

3종류의 BK계 인쇄재를 사용하는 경우, K 인쇄재를, Gy 인쇄재의 적층, 또는, Lgy 인쇄재의 적층으로 교환하고, 1층의 K 인쇄재, Gy 인쇄재의 적층, 및 Lgy 인쇄재의 적층을 혼재시킴으로써 더 낮은 광택을 실현할 수 있다. When three kinds of BK-based printing materials are used, the K printing material is exchanged with a lamination of a Gy printing material or a lamination of an Lgy printing material, and lamination of one K printing material, a Gy printing material, and a Lgy printing material Low gloss can be realized by mixing.

도 1e는 K 인쇄재의 일부를 2층의 Gy 인쇄재로 교환하는 화상을 나타낸다. 도 1f는 K 인쇄재의 일부를 4층의 Lgy 인쇄재로 교환하는 화상을 나타낸다. 또한, 2층의 Gy 인쇄재가 재현하는 색, 4층의 Lgy 인쇄재가 재현하는 색, 및 1층의 K 인쇄재가 재현하는 색이 같다는 것이 전제다. 또한, 도 1g는 K 인쇄재의 일부를 2층의 Gy 인쇄재 또는 4층의 Lgy 인쇄재로 교환하는 화상을 나타낸다. Fig. 1E shows an image in which a part of the K printing material is replaced with a two-layer Gy printing material. 1F shows an image in which a part of the K printing material is replaced with four layers of Lgy printing material. In addition, it is presupposed that the color reproduced by the two-layer Gy printing material, the color reproduced by the four-layer Lgy printing material, and the color reproduced by the K printing material of the first layer are the same. Fig. 1G shows an image in which a part of the K printing material is replaced with a two-layer Gy printing material or a four-layer Lgy printing material.

도 1e, 1f, 1g 각각의 우측에 나타낸 그래프는, 대응하는 인쇄 화상의 표면의 법선 각도의 히스토그램(법선 히스토그램)을 나타낸다. 이들 히스토그램은, 도 1e, 1f, 1g 각각의 시료의 표면 형상의 측정 결과를, 미세한 영역으로 분할해서 각 미세한 영역의 법선방향을 측정함으로써 취득된다. The graphs shown on the right side of each of Figs. 1E, 1F, and 1G show a histogram (normal histogram) of the normal angles of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printed image. These histograms are obtained by divid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urface shape of the sample of each of Figs. 1E, 1F, and 1G into fine regions and measuring the normal direction of each fine region.

도 1e에 나타낸 법선 히스토그램과 도 1f에 나타내는 법선 히스토그램을 비교하면, 가장 빈도가 높은 법선 각도가 다르다는 것을 안다. 또한, 도 1g에 나타낸 법선 히스토그램에 있어서는 빈도 분포가 넓다. 즉, 도 1g의 화상에 나타낸 화상에 있어서의 미세한 영역의 표면은 다양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그 결과, 화상 표면에서 반사하는 빛의 방향도 다양한 각도로 분포된다. 따라서, 도 1g에 나타낸 화상의 광택은, 도 1e 및 1f에 나타낸 화상보다 더 낮다. When comparing the normal histogram shown in Fig. 1E with the normal histogram shown in Fig. 1F, it i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normal angle is different. In the normal histogram shown in Fig. 1G, the frequency distribution is wide. That is, the surface of the fine region in the image shown in the image of Fig. 1G is inclined in various directions, and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mage surface is also distributed at various angles. Therefore, the gloss of the image shown in Fig. 1G is lower than that shown in Figs. 1E and 1F.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도 19는 제4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2)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블랙계 분해 처리부(BK계 분해 처리부)(136)는, 제1색분해 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되는 CMYK 신호 및 광택 화상 데이터 GI을 수신하고, 광택 화상 데이터 GI에 근거해 BK계 인쇄재에 대해 분해 처리를 행하여, CMYK 신호를 CMYK'GyLgy 신호로 변환한다. BK계 분해 처리부(136)는, 광택 화상 데이터 GI가 나타내는 광택값이 감소할수록 K 인쇄재의 사용량을 Gy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이나 Lgy 인쇄재에 대응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변환을 행한다. 즉, 재현하는 광택이 감소할수록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Gy 인쇄재와 Lgy 인쇄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광택 제어 변환을 행한다.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2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black-based decomposition processing section (BK-based decomposition processing section) 136 receives the CMYK signal and the glossy image data GI output from the first color separation processing section 104 and decomposes the BK-based printing material based on the gloss image data GI And converts the CMYK signal into a CMYK'GyLgy signal. The BK-based decomposition processing unit 136 converts the used amount of the K printing material into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y printing material or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Lgy printing material as the gloss value indicated by the gloss image data GI decreases. Tha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as the reproduced gloss decreases, gloss control conversion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amount of use of the Gy printing material and the Lgy printing material.

BK계 분해 처리부(136)는, 광택 제어 테이블(137)을 참조하여 광택 제어 변환을 행한다. 입력되는 CMYKGI 값이 광택 제어 테이블(137)의 격자점의 값이면, 해당 격자점에 인쇄된 색재량 신호 CMYK'GyLgy를 출력한다. 또한, 입력되는 CMYKGI 값이 광택 제어 테이블(137)의 격자점 간의 값이면, BK계 분해 처리부(136)는, 해당 값을 둘러싸는 격자점에 인쇄된 값을 사용하는 보간 처리에 의해 색재량 신호 CMYK'GyLgy를 출력한다.The BK-type decomposition processing section 136 refers to the gloss control table 137 and performs gloss control conversion. If the input CMYKGI value is the value of the lattice point of the gloss control table 137, the colorant amount signal CMYK'GyLgy printed at the corresponding lattice point is output. If the input CMYKGI value is a value between lattice points in the gloss control table 137, the BK-type decomposition processing unit 136 performs interpolation processing using the values printed at the lattice points surrounding the corresponding values, Outputs CMYK'GyLgy.

도 20a 및 20b를 참조하여 광택 제어 변환 및 패스 분해 처리를 설명한다. 도 20a는 CMYK 값(0, 0, 0, 0, 255), 즉 K 인쇄재만으로 재현 가능한 흑색의 인쇄 데이터가 BK계 분해 처리부(136)에 입력되었을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도 20a의 테이블에 있어서의 제2 내지 제4 칼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택값 GI = 60의 경우에는 Gy 인쇄재와 Lgy 인쇄재는 미사용이다. 그렇지만, GI 값이 감소하면, K 인쇄재의 사용량이 감소되고, 먼저 Gy 인쇄재의 사용이 개시된다. 20A and 20B, gloss control conversion and pass decomposition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20A shows a case in which black print data reproducible by the CMYK value (0, 0, 0, 0, 255), that is, only the K print material, is input to the BK system decomposition processing unit 136. FIG.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second to fourth columns in the table of Fig. 20A, the Gy printing material and the Lgy printing material are unused when the gloss value GI = 60. However, if the GI value decreases, the usage amount of the K printing material decreases, and the use of the Gy printing material is first started.

또한, GI 값이 더 감소하면, Gy 인쇄재의 사용량이 증가되고, Lgy 인쇄재의 사용이 개시된다. 그 후에 GI 값이 더 감소하면, Gy 인쇄재의 사용량의 증가는 정지하고, Lgy 인쇄재의 사용량이 증가된다. 즉, GI 값에 대응한 수의 저농도 블랙계 인쇄재에 대하여, 사용량의 교환이 행해진다. Further, when the GI value is further reduced, the amount of use of the Gy printing material is increased, and the use of the Lgy printing material is started. Thereafter, when the GI value further decreases, the increase in the usage amount of the Gy printing material is stopped and the usage amount of the Lgy printing material is increased. That is, the usage amount is exchanged for the low density black type print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GI value.

패스 분해부(138)는, BK계 분해 처리부(136)로부터 출력되는 CMYK'GyLgy의 신호 값을 각 인쇄 주사(패스)에 할당하는 패스 분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같이, 패스 분해부(138)가 도 7a에 나타낸 인쇄율 테이블을 사용하고, 하프톤 처리부(139)에 있어서의 단위 영역이 4 x 4 닷을 갖는다. 따라서, 패스 분해부(138)는, 각 8비트의 CMYK'GyLgy 신호를 각 4비트의 신호로 변환한다. 도 20a의 테이블에 있어서의 제5 내지 제7 칼럼은 K'GyLgy 값(각색 8비트)의 상위 4비트로부터 각 4비트의 신호로 변환한 결과를 나타낸다. The path decomposing unit 138 performs a path decomposition process for assigning the signal value of CMYK'GyLgy outputted from the BK-type decomposition processing unit 136 to each print scan (path). Also,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ass decomposition unit 138 uses the printing rate table shown in Fig. 7A, and the unit area in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39 has 4 x 4 dots. Thus, the path decomposing unit 138 converts each 8-bit CMYK'GyLgy signal into a 4-bit signal. The fifth through seventh columns in the table of Fig. 20A show the result of conversion from the upper 4 bits of the K'GyLgy value (8 bits of each color) to each 4-bit signal.

도 20b는 4비트로 변환된 후의 K"LC" 값을 인쇄율에 의거하여 각 패스에 할당한 패스 분해 데이터를 나타내고, 패스 분해부(138)의 출력을 나타낸다. 패스 분해부(138)는, CMYK'GyLgy 신호를 i번째의 패스의 패스 분해 데이터인 CiMiYiKiGyiLgyi로 변환한다. 20B shows the path disassembled data assigned to each path based on the print rate, and shows the output of the path disassembling section 138. The value of K "LC" The path decomposing unit 138 converts the CMYK'GyLgy signal into C i M i Y i K i Gy i Lgy i which is the path decomposition data of the i-th path.

하프톤 처리부(139)는, 패스 분해 처리된 후의 CiMiYiKiGyiLgyi에 대해서 닷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즉, 하프톤 처리부(139)는, 인쇄재마다 패스 분해 데이터로부터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1비트의 인쇄 신호를 생성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 기본색 인쇄재용의 초기 디더 매트릭스로서 도 8a가 사용된다. 따라서, 도 20b에 나타낸 K"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하프톤 처리한 결과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다.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39 determines the dot layout for C i M i Y i K i Gy i Lgy i after the pass decomposition process. That is,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39 generates a 1-bit print signal indicating the printing position of the dot from the path disassembly data for each printing material. In this process, Fig. 8A is used as the initial dither matrix for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Therefore, the result of halftoning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K "value shown in Fig. 20B is as shown in Fig.

도 21a 및 21b를 참조하여 Gy 인쇄재의 하프톤 처리를 설명한다. 도 21a는 Gy 인쇄재용의 초기 디더 매트릭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Gy 인쇄재를 2층으로 중첩하기 위해서 제1 실시예와 같이, 하프톤 처리 중에 디더 매트릭스의 초기화가 행해진다. 도 21b는, 도 20b에 나타낸 Gy"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하프톤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1b에 있어서, "G"을 인쇄한 셀이 온 닷에 해당하고, "2G"을 인쇄한 셀이 2층의 Gy 인쇄재를 각각 갖는 닷에 해당한다. The halftone processing of the Gy printing materi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A and 21B. 21A shows an example of an initial dither matrix for a Gy print material. In order to overlap the Gy print material with two layers, the dither matrix is initialized during halftone processing as in the first embodiment. 21B shows a result of halftoning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Gy "value shown in Fig. 20B. In Fig. 21B, the cell on which" G "is printed corresponds to on- Corresponds to a dot having each of the two-layer Gy printing material.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여 Lgy 인쇄재의 하프톤 처리를 설명한다. 도 22a는 Lgy 인쇄재용의 디더 매트릭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Lgy 인쇄재를 4층으로 중첩하기 위해서(모든 패스에서 중첩을 행하기 위해서), 하프톤 처리 중에 디더 매트릭스의 초기화는 행해지지 않는다. 도 22b는, 도 20b에 나타낸 Lgy" 값의 패스 분해 데이터를 하프톤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2b에 있어서, "Lg"을 인쇄한 셀이 온 닷에 해당하고, "4L"을 인쇄한 셀이 4층의 Lgy 인쇄재를 각각 갖는 닷에 해당한다. 또한, 도 21b 및 도 22b는 또한 참고용 GI 값을 나타내지만, GI 값이 하프톤 처리부(139)의 처리에 직접 관계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The halftone processing of the Lgy printing materi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A and 22B. 22A shows an example of a dither matrix for an Lgy printing material. In order to overlap the Lgy print material with four layers (in order to overlap in all passes), the dither matrix is not initialized during halftone processing. 22B shows the result of halftoning the path disassembled data of the Lgy "value shown in Fig. 20B. In Fig. 22B, the cell in which" Lg " 21B and 22B also show reference GI values,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GI value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cessing of the halftone processing unit 139 There is no need.

도 23은 BK계 인쇄재의 최종적인 닷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광택값 GI가 감소함에 따라, 인쇄 화상 생성 닷이 "1층의 K 닷" → "1층의 K 닷 + 2층의 Gy 닷" → "1층의 K 닷 + 2층의 Gy 닷 + 4층의 Lgy 닷"으로 변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K 인쇄재의 농도 Dk, Gy 인쇄재의 농도 Dgy, 및 Lgy 인쇄재의 농도 Dlgy 간의 관계가 Dk:Dgy:Dlgy = 4:2:1이면, 도 23에 나타낸 4 x 4 영역 내에 있어서 색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아서, 광택값 GI에 해당하는 광택이 화상에서 재현된다. 23 shows the final dot layout of the BK series printing material. As the gloss value GI decreases, the print image generating dot is changed to "K dot of the first layer", "K dot of the first layer + Gy dot of the second layer", "G dot of the first layer + Gy dot of the second layer + Quot; Lgy dot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Dk of the K printing material, the density Dgy of the Gy printing material, and the density Dlgy of the Lgy printing material is Dk: Dgy: Dlgy = 4: 2: 1, Is not observed, and the gloss corresponding to the gloss value GI is reproduced in the image.

상술한 것처럼, 농도가 다른 복수의 BK계 인쇄재를 사용하고, K 인쇄재의 사용량을 복수의 저농도의 BK계 인쇄재의 사용량에 분배한다. 또한, 복수의 저농도의 BK계 인쇄재의 농도에 대응한 층수의 중첩을 취득하도록 복수의 저농도의 BK계 인쇄재의 닷 레이아웃을 결정하여,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제어한다. 따라서,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다단계로 증가시키는 면적율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인쇄 화상에 있어서 소망하는 광택 재현 및 보다 원활한 광택 변화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BK-based print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are used, and the usage amount of the K printing material is distributed to the usage amounts of the plurality of low-density BK-based printing materials. Also, the dot layout of a plurality of low-concentration BK-based printing materials is determined so as to obtain a superposition of the number of layers corresponding to the density of a plurality of low-concentration BK-based printing materials, thereby controlling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control the area ratio for increasing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in multiple steps. As a result, desired gloss reproduction and smoother gloss change in a printed image can be obtained.

또한, 계조에 관계없이 광택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화상의 어두운 부분에 있어서, 저광택측의 재현 범위를 넓힘으로써 장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리어 단위로,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고농도 인쇄재를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저농도 인쇄재로 교환해서 인쇄 화상의 표면의 요철을 증가시킬 때, 인접하는 에어리어의 색 또는 농도가 가능한 한 같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입상성(granularity)의 저하를 막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becomes possible to lower the gloss regardless of the gradation. Especially, in the dark part of the image, the decorative effect can be improved by widening the reproduction range on the low-gloss side. In addition, when increasing the concavity and convexity of the surface of the printed image by replacing the relatively high-density printing material with the relatively low-density printing material having a low density in the unit of area, the color or the density of the adjacent area becomes as close as possible.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granularity.

또한, 도 5의 스텝 S504의 처리를 CMYK → CMYK'GyLgy로 바꾸어 쓰면, 도 5는 제4 실시예의 화상 생성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와 같게 된다. 따라서, 제4 실시예의 화상 생성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는 생략한다.5 is replaced with CMYK? CMYK? GyLgy, the processing of step S504 in Fig. 5 is changed to the flowchart showing the generation processing of the image generation data in the fourth embodiment. Therefore, the flowchart showing the generation processing of the image generation data in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omitted.

그 밖의 실시예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Additional embodiments (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on a storage medium (e.g., 'non-tempora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o perform one or more of the above- One or more circuits (e.g.,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that read and execute possible instructions (e.g., one or more programs) and perform one or more of the above- ), And by reading and execut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from a storage medium to perform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 for example, And / or by the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er of the system or apparatus by controlling one or more circuits performing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of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 (s) Can be realized. The computer may comprise one or mor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processing unit (MPU), or other circuitry, and may comprise a separate computer or a network of independent computer processors. These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may, for example, be provided to a computer from a network or storage medium. The storage medium may be, for example, a hard disk, a random-access memory (RAM), a read-only memory (ROM), a storage of a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an optical disk (compact disc (CD), a digital versatile disc Disc (BD) TM, etc.), a flash memory device, and a memory card.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so as to encompass all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structures and functions.

Claims (11)

생성해야 할 화상의 색 화상 데이터 및 광택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유닛과,
상기 색 화상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1 인쇄재량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1 색분해 유닛과,
상기 제1 인쇄재량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 중,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량을,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연한 인쇄재에 해당하는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제2 인쇄재량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색분해 유닛과,
상기 제2 인쇄재량 신호를 화상생성장치의 각 인쇄 주사에 해당하는 패스 분해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패스 분해 유닛과,
상기 진한 인쇄재 및 상기 연한 인쇄재마다,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스 분해 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톤 처리를 행하여, 상기 화상생성장치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상기 연한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을 발생시키는 상기 인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프톤 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lor image data and glossy image data of an image to be generated;
A first color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color image data into a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indicating a usage amount of a thick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density;
And a second printing discretionary signal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second printing discretionary signal for exchanging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lossy image data among the usage amount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indicated by the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to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oft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density A two-color separation unit,
A path disassembly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second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into path disassembly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inting scan of the image producing apparatus,
The halftone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path disassembly data to generate a print signal indicating a print position of on-dot for each of the thick print material and the light print material, And a halfton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print signal that causes overlapping of the do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진한 인쇄재는 고농도 블랙계 인쇄재이며, 상기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연한 인쇄재는 저농도 블랙계 인쇄재인, 화상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tively high density printing material is a high density black printing material and the low density printing material is a low density black printing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생성장치는 상기 저농도 블랙계 인쇄재로서, 농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저농도 블랙계 인쇄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색분해 유닛은,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의 저농도 블랙계 인쇄재에 대하여 사용량의 교환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es a plurality of low-concentration black-based print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low-concentration black-
Wherein the second color separation unit exchanges the usage amount with respect to the low density black type print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gloss image dat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상생성장치의 광택 재현 범위의 상한값 이하인 경우, 사용량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화상처리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when the gloss image data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gloss reproduction range of the image generating apparatus, the usage amount is exch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량의 교환에 있어서의 교환량은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의 감소를 따라 증가하는, 화상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xchange amount in the exchange of the usage amount increases along with the decrease of the gloss image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량의 교환에 의해, 상기 제2 인쇄재량 신호의 신호 값들의 총 합계가 상기 제1 인쇄재량 신호의 신호 값들의 총 합계보다도 커지는, 화상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tal sum of the signal values of the second printing material quantity signal is larger than the total sum of the signal values of the first printing material quantity signal by the exchange of the usage amount.
생성해야 할 화상의 색 화상 데이터 및 광택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유닛과,
상기 색 화상 데이터를 기본색 인쇄재의 사용량 및 상기 기본색 인쇄재와 다른 색을 재현하는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1 인쇄재량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1 색분해 유닛과,
상기 제1 인쇄재량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 중,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사용량을, 상기 특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본색 인쇄재에 대응한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제2 인쇄재량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색분해 유닛과,
상기 제2 인쇄재량 신호를 화상생성장치의 각 인쇄 주사에 대응하는 패스 분해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패스 분해 유닛과,
상기 기본색 인쇄재 및 상기 특색 인쇄재마다,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스 분해 데이터에 대해 하프톤 처리를 행하여, 상기 화상생성장치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상기 특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기본색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을 발생시키는 상기 인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프톤 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lor image data and glossy image data of an image to be generated;
A first color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color image data into a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indicating a usage amount of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an amount of use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for reproducing a color different from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 second printing material quantity signal which is used for exchanging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loss image data among the usage amount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indicated by the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to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A second color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second color separation unit,
A path disassembly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second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into path disassembly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int scan of the image producing apparatus,
Wherein the halftone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path disassembly data to generate a print signal indicating a printing position of on-dot for each of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And a halfton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print signal that causes overlapping of on-dots of the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기본색 인쇄재는, 상기 특색 인쇄재가 재현하는 색을 재현 가능한 기본색 인쇄재의 조합인, 화상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are combinations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capable of reproducing colors reproduced by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생성해야 할 화상의 색 화상 데이터 및 광택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색 화상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1 인쇄재량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인쇄재량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진한 인쇄재의 사용량 중,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사용량을,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연한 인쇄재에 대응한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제2 인쇄재량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인쇄재량 신호를 화상생성장치의 각 인쇄 주사에 대응하는 패스 분해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진한 인쇄재 및 상기 연한 인쇄재마다,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스 분해 데이터에 대해 하프톤 처리를 행하여, 상기 화상생성장치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상기 연한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을 발생시키는 상기 인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방법.
Comprising: receiving color image data and glossy image data of an image to be generated;
Converting the color image data into a first printing material quantity signal indicative of an amount of use of a thick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density;
Generating a second printing discretionary signal for exchanging a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lossy image data among the usage amount of the thick printing material indicated by the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to a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a soft print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density; ,
Converting the second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into the path disassembly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inting scan of the image producing apparatus,
Wherein the halftone process is performed on the pass decomposition data to generate a print signal indicating a print position of on-dot for each of the thick print material and the light print material, And generating the print signal that causes overlapping of dot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진한 인쇄재는 고농도 블랙계 인쇄재이며, 상기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연한 인쇄재는 저농도 블랙계 인쇄재인, 화상처리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latively high density printing material is a high density black printing material and the low density printing material is a low density black printing material.
생성해야 할 화상의 색 화상 데이터 및 광택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색 화상 데이터를, 기본색 인쇄재의 사용량 및 상기 기본색 인쇄재와 다른 색을 재현하는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1 인쇄재량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인쇄재량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특색 인쇄재의 사용량 중, 상기 광택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사용량을, 상기 특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본색 인쇄재에 대응한 사용량으로 교환하는 제2 인쇄재량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인쇄재량 신호를 화상생성장치의 각 인쇄 주사에 대응하는 패스 분해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색 인쇄재 및 상기 특색 인쇄재마다, 온 닷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패스 분해 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톤 처리를 행하여, 상기 화상생성장치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상기 특색 인쇄재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기본색 인쇄재의 온 닷의 중첩을 발생시키는 상기 인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방법.
Comprising: receiving color image data and glossy image data of an image to be generated;
Converting the color image data into a first printing disposal amount signal indicating a usage amount of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an amount of use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reproducing a color different from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 second printing material quantity signal which is used for exchanging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gloss image data among the usage amount of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indicated by the first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to the us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
Converting the second printing material amount signal into the path disassembly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inting scan of the image producing apparatus,
The halftone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path disassembly data to generate a print signal indicating a printing position of on-dot for each of the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 printing material, And generating the print signal which causes overlapping of on-dots of the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asic color printing materials.
KR1020160116070A 2015-09-15 2016-09-09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0612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2229 2015-09-15
JP2015182229 2015-09-15
JPJP-P-2016-166014 2016-08-26
JP2016166014A JP6860307B2 (en) 2015-09-15 2016-08-26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ts method, and image form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851A true KR20170032851A (en) 2017-03-23
KR102061222B1 KR102061222B1 (en) 2019-12-31

Family

ID=5838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070A KR102061222B1 (en) 2015-09-15 2016-09-09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860307B2 (en)
KR (1) KR1020612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0240B2 (en) * 2015-12-11 2020-11-04 株式会社リコー Control device, liquid discharge device, printed matter 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3420B2 (en) 2009-06-15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DATA GENERATION DEVICE, INKJET RECORDING DEVICE, PROGRAM, AND DATA GENERATION METHOD
JP5825856B2 (en) * 2011-06-03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program
JP5957934B2 (en) * 2012-02-13 2016-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program
EP2902202A1 (en) 2014-01-31 2015-08-05 OCE-Technologies B.V. Gloss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56723A (en) 2017-03-23
JP6860307B2 (en) 2021-04-14
KR102061222B1 (en)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609B2 (en) Color processing device for determining colorless material recording amount data
JP501447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2431288B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jet printing method
JP571739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63415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51174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determine a dot arrangement of printing material by halftone processing
US983234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4417080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2049721A (en) Color processing apparatus and color processing method
WO201015045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985165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o control the gloss of an image to be printed
KR20170032851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30804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204971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560615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20038698A1 (en) Image printing apparatus, image prin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6341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20816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JP2012101531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2085123A (en) Image processor and processing method
JP201311851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64188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69742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733932B2 (en) Color processing apparatus and color processing method
JP2015197817A (en) Image proces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inted ma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