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157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157A
KR20170032157A KR1020160063957A KR20160063957A KR20170032157A KR 20170032157 A KR20170032157 A KR 20170032157A KR 1020160063957 A KR1020160063957 A KR 1020160063957A KR 20160063957 A KR20160063957 A KR 20160063957A KR 20170032157 A KR20170032157 A KR 2017003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alue
reference value
captured image
sharp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히코 스기모토
야스히로 요시무라
유키 이나가키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H04N5/217
    • H04N5/23216
    • H04N5/232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간소한 처리에 의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불선명함의 보정에 따른 통지를 적확하게 유저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촬상 장치(1)는, 목표 영역으로부터의 빛을 촬상 소자(14)에 결상 시키는 촬상부(10)와, 촬상 소자(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부(21)와, 촬상 화상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부(22)를 구비한다. 화상 처리부(21)는, 촬상 소자(14)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라미터의 실측값을 취득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취득한 실측값을 기준값으로서 기억부(22)에 기억시키고, 그 후에 취득한 실측값과 기억부(22)에 기억된 기준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에 대한 선명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21)는, 선명화 처리를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부(26)에 출력시킨다.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목표 영역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나 안개 등의 발생에 의해 선명함이 저하될 수 있는 풍경을 촬상할 때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가로(街路)나 교차점을 감시 카메라로 촬상하는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촬상 장치에서는, 촬상된 화상이, 예를 들면, 교통 사고의 검증 등에 이용된다. 검증에서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상황이나, 신호기의 점등 상황 등이 확인된다. 즉, 사고시에 신호기가 적색, 청색, 황색의 어느 색으로 점등하고 있었는지가 확인된다.
그러나, 가로나 교차점 등에서는, 비나 안개의 발생에 의해 피사체의 콘트라스트(contrast)가 저하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차점이 안개로 덮이면, 차량이나 보행자의 상황이나, 신호기의 점등 상황 등을 깨끗하게 촬상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렇게 되면, 촬상 화상을 이용한 검증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비나 안개의 발생에 의해 피사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된 경우, 화상 처리에 의해 자동으로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개선시키는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촬상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촬상 현장에 있어서 실제로는 비나 안개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나, 그의 정도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촬상 현장에 대한 조치를 적확하게 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감시 카메라 장치와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감시 카메라 장치가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안개나 흐릿함이 검출된다. 안개나 흐릿함의 발생은, 미리 촬상한 화상과 현재의 화상을 비교하여, 그 결과, 백색 부유가 발생했는지 아닌지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안개나 흐릿함의 강도는, 디지털 영상 신호 성분 중에서 영상의 밝기가 최저가 되는 부분의 레벨(흑색 피크 레벨)이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아닌지에 의해 판정된다. 이렇게 하여 안개나 흐릿함이 검출되고, 추가로, 안개나 흐릿함의 강도가 판정되면, 안개나 흐릿함의 강도에 대응하는 경보가 제어 장치로부터 외부 기기로 출력된다. 또한, 판정된 안개나 흐릿함의 강도에 따른 흐릿함 보정이 행해진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4-192762호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수법에서는, 화상을 보정하기 위해, 안개나 흐릿함의 검출과, 안개나 흐릿함의 강도의 판정의 2스텝의 처리가 필요했다. 안개나 흐릿함의 강도의 판정은, 흑색 피크 레벨이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는지에 의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원래 영상 신호의 흑색 피크 레벨이 높아지는 풍경이 촬상 대상이 된 바와 같은 경우는, 보정에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보정에 오동작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안개나 흐릿함에 관한 경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간소한 처리에 의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불선명함의 보정에 따른 통지를 적확하게 유저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된 실시 형태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는, 목표 영역으로부터의 빛을 촬상 소자에 결상시키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부와, 촬상 화상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소정의 파라미터의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외부에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라미터의 실측값을 취득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취득한 실측값을 상기 기준값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그 후에 취득한 실측값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기준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에 대한 선명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는, 촬상 화상에 대한 선명화 처리를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촬상 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기준값이 설정되기 때문에, 설정된 기준값은, 촬상 대상의 풍경에 따른 것이 된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가 교차점을 촬상하기 위해 설치된 경우, 기준값은, 교차점의 규모나 신호기의 설치 상황 등, 목표 영역의 풍경(구조물의 레이아웃 등)에 따른 것이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설정된 기준값과, 그 후의 촬상시에 취득되는 실측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에 대한 선명화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촬상 대상의 목표 영역이 어느 정도 불선명하게 되었는지를 적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선명화 처리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기준값과 실측값의 차이에 따라서 적정하게 선명화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별도, 촬상 화상이 불선명하게 됐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간소한 처리에 의해 촬상 화상의 선명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촬상 화상에 대한 선명화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부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선명화 처리가 실행된 후의 선명한 화상이 표시되어도, 아울러, 선명화 처리가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함으로써, 유저가 촬상 현장의 상황을 오인한다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이 억제되기 때문에, 선명화 처리가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잘못되어 출력된다는 오동작도 또한,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불선명함의 보정에 따른 통지를 보다 적확하게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측값과 기준값의 차이」란, 실측값으로부터 기준값을 감산하여 얻은 값뿐만 아니라, 기준값에 대한 실측값의 비율 등, 기준값으로부터 실측값이 어느 정도 상위(相違)한지를 나타내는 값이면 어떠한 값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설정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취득한 상기 파라미터의 실측값을 상기 기준값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목표 영역이 불선명한 타이밍에 기준값이 취득되어 설정되는 것을 원활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실측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에 출력시키는 상기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저는, 촬상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실측값에 기초하는 제1 기준값과는 별도로 미리 제2 기준값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상 처리부는, 실측값에 기초하는 상기 제1 기준값을 이용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실측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값을 취득하여 상기 선명화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제2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선명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제1 기준값의 설정에 적합한 선명한 촬상 화상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제1 기준값을 이용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제2 기준값을 이용하여 선명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실측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을 선명화하기 위한 조정값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정값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감마 보정을 행하기 위한 값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마 보정을 행하기 위한 값을 조정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간단하고 용이한 처리에 의해 원활하게, 선명화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는, 촬상 화상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면,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1화상분의 신호로부터 취득한 휘도의 표준 편차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휘도의 표준 편차를 이용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처리에 의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불선명함의 보정에 따른 통지를 적확하게 유저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기재된 것에 하등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도 3(d)는,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화상의 상황과 휘도의 히스토그램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도 4(d)는,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보정 방법(선명화 처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도 5(b)는, 실시 형태에 따른 감마값을 변화시킨 경우의 휘도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도 6(b)는,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화상이 선명하더라도 히스토그램의 휘도의 분포 범위가 좁은 경우의 목표 영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선명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선명화 처리에 이용하는 감마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도 9(b)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명화 처리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명화 처리 후의 화상의 표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변경예에 있어서의 선명화 처리 후의 화상의 표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교차점이나 가로 등을 촬상하는 감시 카메라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도 1은, 촬상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촬상 장치(1)는, 촬상부(10)와, 화상 처리부(21)와, 기억부(22)와, 필터 구동부(23)와, 아이리스 구동부(24)와, 입력부(25)와, 출력부(26)를 구비한다.
촬상부(10)는, 렌즈(11)와, 아이리스(12)와, 필터(13)와, 촬상 소자(14)를 구비한다.
렌즈(11)는, 목표 영역으로부터의 빛을 취입하여, 목표 영역의 상을 촬상 소자(14)의 수광면에 결상시킨다. 아이리스(12)는, 목표 영역으로부터의 빛의 강약에 따라서 적절한 광량이 촬상 소자(14)에 입사하도록, 외부로부터의 빛을 제한한다. 아이리스(12)는, 아이리스 구동부(24)에 의해, 조리개량이 조정된다.
필터(13)는, 적외선을 제거하기 위한 IR 컷 필터와, 가시광과 함께 적외선도 투과시키는 더미 유리로 이루어져 있다. 필터(13)는, 필터 구동부(23)를 통하여 화상 처리부(21)에 의해, IR 컷 필터와 더미 유리의 어느 한쪽이, 아이리스(12)와 촬상 소자(14)의 사이의 광로에 자리매김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소자(14)에 있어서 통상 레벨 이상의 조도가 얻어지는 경우는, IR 컷 필터가 광로에 삽입되어, 적외선이 제거된다. 또한, 촬상 소자(14)에 있어서 얻어지는 조도가 낮은 경우는, 더미 유리가 광로에 삽입되고, 가시광과 함께 적외선도 촬상 소자(14)에 유도되어, 감도가 높아진다.
촬상 소자(14)는, 컬러의 CMOS 이미지 센서이다. 촬상 소자(14)는, CCD 이미지 센서라도 좋다. 촬상 소자(14)는, 화상 처리부(21)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촬상 화상에 따른 신호를 화상 처리부(21)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2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처리 회로를 구비하여, 기억부(22)에 보존유지(保持)된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22)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매체를 구비하여, 화상 처리용의 프로그램을 보존유지하는 것 외에, 화상 처리부(21)에 의한 처리시에 워크 영역으로서도 이용된다. 기억부(22)에는, 촬상 화상의 선명함의 레벨에 따른 복수의 감마 보정값이 보존유지되어 있다. 기억부(22)에 보존유지된 감마 보정값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필터 구동부(23) 및 아이리스 구동부(24)는, 각각, 화상 처리부(21)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필터(13) 및 아이리스(12)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이다. 입력부(25)는, 조작 버튼 등의 입력 수단을 가져,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한다. 출력부(26)는, 화상 처리부(21)에 의해 처리된 영상 정보를, 출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 기기에 출력한다.
도 3은, 화상 처리부(21)의 기능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부(21)는, 모자이크 처리부(101)와, 리니어 매트릭스 처리부(102)와, 감마 보정 처리부(103)와, Y/C 분리 처리부(104)와, 윤곽 보정 처리부(105)와, 색차 보정 처리부(106)와, 노이즈 제거 처리부(107, 108)를 구비한다.
도 1의 촬상 소자(14)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모자이크 처리부(101)에 입력된다. 모자이크 처리부(101)는, 각 화소로부터의 신호로부터 R, G, B의 3색분의 신호를 생성한다. 리니어 매트릭스 처리부(102)는, 모자이크 처리부(101)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대하여, 분광(分光) 특성 보정을 행한다.
감마 보정 처리부(103)는, 분광 특성 보정이 이루어진 신호에 대하여, 감마 보정을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억부(22)에는, 촬상 화상의 선명함의 레벨에 따른 복수의 감마 보정값이 보존유지되어 있다.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는, 촬상 화상의 선명함에 따른 감마 보정값이 적용된다. 감마 보정 처리부(103)는, 적용된 감마 보정값에 의해, 리니어 매트릭스 처리부(102)로부터의 신호에 감마 보정을 행한다.
Y/C 분리 처리부(104)는, 감마 보정이 행해진 신호를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분리한다. 윤곽 보정 처리부(105)는, 모자이크 처리 후의 신호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윤곽을 빼내고, Y/C 분리 후의 휘도 신호에 윤곽 신호를 더한다. 색차 보정 처리부(106)는, Y/C 분리 후의 색차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색을 강조하는 등의 보정 처리를 행한다. 노이즈 제거 처리부(107, 108)는, 각각, Y/C 분리 후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에 중첩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노이즈가 제거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는, 도 1의 출력부(26)에 출력된다. 출력부(26)는,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를 시리얼 변환하여, 외부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3(a)∼도 6(b)를 참조하여, 화상 처리부(21)에 있어서의 선명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편의상, 교차점이나 가로 이외의 풍경이 피사체로 되어 있다.
도 3(a)∼도 3(d)는,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화상의 상황과 휘도의 히스토그램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촬상 화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이며, 도 3(d)는, 도 3(c)의 촬상 화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이다. 또한, 도 3(a), 도 3(c)는, 실제는 컬러의 화상이다. 즉, 화상 중의 모자이크 타일과 인형은 여러 가지의 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또한, 도 3(c)의 촬상 화상은, 촬상 광학계에 안개 필터(foggy filter)를 삽입하여 촬상한 것이다.
도 3(b),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사체가 동일하더라도, 촬상 화상의 선명도에 의해, 히스토그램상의 휘도의 분포 범위(R1, R2)가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화상이 불선명한 경우의 분포 범위 R2는, 촬상 화상이 선명한 경우의 분포 범위 R1보다도 좁아져 있다. 이와 같이, 촬상 화상의 선명도(콘트라스트)가 저하될수록, 휘도의 분포 범위가 좁아진다. 따라서, 휘도의 분포 범위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의 선명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상 화상의 선명도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는, 휘도의 히스토그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오토 아이리스의 스터티스틱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촬상 화상의 선명도를 판정할 수도 있다.
도 4(a)∼도 4(d)는,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보정 방법(선명화 처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도 4(c)는, 각각, 도 3(b), 도 3(d)에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며, 도 3(a), 도 3(c)의 촬상 화상의 히스토그램에 대응한다. 또한, 도 4(b), 도 4(d)는, 각각, 휘도의 히스토그램이 도 4(a), 도 4(b)인 경우의 감마 보정값(감마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도 4(b)에 있어서, 가로축은,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며, 세로축은, 감마 보정 후의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스토그램에 있어서의 휘도의 분포 범위 R1이 넓은 경우는, 도 4(b)에 나타내는 통상의 감마 보정값을 이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한다. 한편,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스토그램에 있어서의 휘도의 분포 범위 R2가 좁은 경우는, 도 4(d)에 나타내는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한 감마 보정값을 이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한다.
도 4(d)의 감마 보정값에서는, 범위 W보다도 신호 레벨이 낮은 입력 신호는, 일률적으로 최저 레벨의 출력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범위 W보다도 신호 레벨이 높은 입력 신호는, 일률적으로 최고 레벨의 출력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흑색 부근의 그레이의 입력 신호는 일률적으로 흑색으로 변환되고, 흰색 부근의 그레이의 입력 신호는 일률적으로 흰색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높아진다.
도 5(a), 도 5(b)는, 감마값(감마 특성)을 변화시킨 경우의 휘도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있어서, 파선은, 감마값이 0.45인 경우의 통상의 감마 보정에 이용하는 감마 특성이며, 실선은, 촬상 화상의 선명도(콘트라스트)가 낮은 경우에 적용되는 감마 특성이다. 도 5(a)에서는, 세로축과 가로축이 1로 규격화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있어서, 파선은, 소정의 촬상 화상에 대하여, 도 5(a)의 감마값이 0.45인 파선의 감마 특성을 적용한 경우의 히스토그램이며, 실선은, 동일한 촬상 화상에 대하여, 도 5(a)의 저(低)콘트라스트용의 실선의 감마 특성을 적용한 경우의 히스토그램이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콘트라스트용의 감마 특성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하면, 보정 후의 촬상 화상의 히스토그램은, 보정 전에 비해, 휘도의 분포 범위가 현저하게 확대되어 있다. 즉, 선명도가 낮은 저콘트라스트의 촬상 화상에, 도 5(a)의 저콘트라스트용의 감마 특성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함으로써, 화상의 선명도(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적용되는 감마 보정값을 선택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도 1의 화상 처리부(21)는, 촬상 화상의 선명도(콘트라스트)가 낮은 경우에, 도 2의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 적용하는 감마값(감마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기억부(22)는, 선명도가 높은 경우의 통상의 감마값(감마 특성)과 함께, 촬상 화상의 선명도가 낮은 경우에 적용되는 감마값(감마 특성)을 기억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21)는, 촬상 소자(14)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의 선명도(콘트라스트)가 낮은 경우에, 해당 촬상 화상의 선명도에 적합한 감마값을 기억부(22)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감마값을 도 2의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 적용한다. 이에 따라, 촬상 화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촬상 화상의 선명도가 낮은지 아닌지는,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휘도 분포의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 있다.
그러나, 촬상 화상에 따라서는, 선명도가 저하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피사체의 레이아웃 등에 의해, 히스토그램의 휘도의 분포 범위가 좁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촬상 화상(실제는 컬러 화상)의 히스토그램은, 도 6(b)와 같이 된다. 이 히스토그램에서는, 촬상 화상이 선명함에도 불구하고, 휘도의 분포 범위 R3은 좁은 것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저콘트라스트용의 감마값이 적용되면, 오히려 촬상 화상의 선명도가 저하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선명한 촬상 화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억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도 7은, 화상 처리부(21)에서 행해지는 선명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7의 플로 차트에서는, 촬상 화상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휘도의 히스토그램(예를 들면 도 3(b), 도 3(d) 참조)의 표준 편차 σ가 이용된다. 또한, 도 1의 기억부(22)에는, 통상의 선명도의 경우에 적용되는 감마값 G3의 외에, 선명도가 낮은 경우에 적용되는 2종류의 감마값 G1, G2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플로 차트에서는, 처리가 개시되기 전, 혹은, 개시된 후에, 도 1에 나타내는 입력부(25)를 통하여, 유저에 의해, 선명화 처리의 모드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목표 영역을 촬상하여 얻은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표준 편차의 기준값 σRef가 설정되는 모드를 프리셋 ON 모드라고 칭하고, 기억부(22)에 미리 보존유지된 범용적인 표준 편차 σ0이 기준값 σRef로 설정되는 모드를 프리셋 OFF 모드라고 칭한다. 표준 편차 σ0은, 예를 들면, 표준적인 풍경을 선명한 상태로 촬상하여 얻어진 촬상 화상의 휘도 히스토그램의 표준 편차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촬상 장치(1)에 전원이 투입되고, 초기화 처리가 완료되면, 화상 처리부(21)는 촬상 동작을 개시한다. 이렇게 하여, 촬상 동작을 개시한 후, 화상 처리부(21)는, 수직 동기(同期) 신호(Vsync)의 출력 타이밍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01).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인 경우(S101: YES), 화상 처리부(21)는, 오토 아이리스 처리(S102)와 오토 화이트 밸런스 처리(S103)를 실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21)는, 촬상 소자(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히스토그램의 표준 편차 σ를 산출한다(S104).
이어서, 화상 처리부(21)는, 촬상 장치(1)에 설정된 선명화 처리의 모드가 프리셋 ON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05). 여기에서, 선명화 처리의 모드가 프리셋 ON 모드가 아닌 경우(S105: NO), 화상 처리부(21)는, 미리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범용적인 표준 편차 σ0을 표준 편차의 기준값 σRef로 설정한다(S108).
한편, 선명화 처리의 모드가 프리셋 ON 모드인 경우(S105: YES), 화상 처리부(21)는, 1개 전의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 있어서 선명화 처리의 모드가 프리셋 OFF 모드였는지 아닌지, 즉, 선명화 처리의 모드가 프리셋 OFF 모드로부터 프리셋 ON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06). 여기에서, 1개 전의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 있어서 선명화 처리의 모드가 프리셋 OFF 모드였을 경우(S106: YES), 화상 처리부(21)는, 스텝 S104에서 산출한 표준 편차 σ를 기준값 σRef로 설정하고, 설정한 기준값 σRef를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S107).
또한, 1개 전의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 있어서도 선명화 처리의 모드가 프리셋 ON 모드였을 경우(S106: NO), 즉, 프리셋 ON 모드가 전회(前回)로부터 계속 중인 경우, 화상 처리부(21)는, 스텝 S107을 스킵하고, 처리를 스텝 S109로 진행한다. 이 경우, 적어도 전회 이전의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 있어서, 기준값 σRef에, 그 타이밍에 취득된 촬상 화상에 기초하는 표준 편차 σ가 설정되고, 이 기준값이, 금회의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에 있어서도 유효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화상 처리부(21)는, 스텝 S104에서 취득된 표준 편차 σ에 의해 기준값 σRef를 나누어, 참조값을 취득한다(S109). 이렇게 하여 산출된 참조값은, 스텝 S104에서 취득된 표준 편차 σ가 기준값 σRef에 비해 작아질수록 커진다. 즉, 금회 취득된 촬상 화상에 대한 휘도 히스토그램의 휘도의 분포 범위가, 기준값 σRef에 대응하는 휘도 히스토그램의 휘도의 분포 범위에 비해 좁아질수록, 참조값이 커진다. 따라서, 참조값이 커질수록, 금회 취득된 촬상 화상의 선명도가 낮다고 평가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참조값을 산출한 후, 화상 처리부(21)는, 미리 설정한 문턱값 Th1, Th2(Th1>Th2)와 참조값을 비교한다(S110, S112). 여기에서, 참조값이 문턱값 Th1보다 크면(S110: YES), 화상 처리부(21)는,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저선명도용의 감마값 G1을, 도 2의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 적용한다(S111). 또한, 참조값이 문턱값 Th1 이하이고 또한 문턱값 Th2보다도 크면(S110: NO, S112: YES), 화상 처리부(21)는,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저선명도용의 감마값 G2를, 도 2의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 적용한다(S113). 또한, 참조값이 문턱값 Th2 이하인 경우(S110: NO, S112: NO), 화상 처리부(21)는,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통상의 선명도용의 감마값 G3을, 도 2의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 적용한다(S114). 도 2의 감마 보정 처리부(103)는, 이렇게 하여 적용된 감마값에 기초하여, 감마 보정을 실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21)는, 스텝 S111 또는 스텝 S116에 있어서 감마값 G1 또는 감마값 G2를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 적용한 경우에는, 얼러트(alert) 출력을 ON으로 설정하고(S115, S116), 스텝 S114에 있어서 감마값 G3을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 적용한 경우에는, 얼러트 출력을 OFF로 설정한다(S117). 즉, 화상 처리부(21)는, 촬상 화상에 대하여 선명도의 보정을 행한 경우는, 얼러트 출력을 ON으로 설정하고, 촬상 화상에 대하여 선명도의 보정을 행하지 않은 경우는, 얼러트 출력을 OFF로 설정한다. 화상 처리부(21)는, 얼러트 출력을 ON으로 설정한 경우, 얼러트 정보를 출력부(26; 도 1 참조)에 출력시킨다.
여기에서, 얼러트 정보는, 촬상 화상에 대하여 선명도의 보정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면, 어떠한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얼러트 정보는, 선명도의 보정이 이루어진 것을 통지하는 음성 정보나 화상 정보라도 좋고, 혹은, 단순하게 선명도의 보정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코드 정보라도 좋다.
그리고나서, 화상 처리부(21)는,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18).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이 종료되면(S118: YES), 화상 처리부(21)는,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려,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의 도래를 기다린다(S101). 그리고,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 타이밍이 도래하면(S101: YES), 화상 처리부(21)는, 재차, S102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촬상 장치(1)의 전원이 차단될 때까지 반복 실행된다.
도 8은, 감마값 G1, G2, G3의 감마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마값 G2는, 감마값 G3에 대하여 입력 신호의 저레벨측의 범위 W2가 제로 레벨의 출력 신호에 보정되고, 또한, 감마값 G3에 비해 입력 신호의 고레벨측이 보다 빨리 최대 레벨에 접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감마값 G1은, 입력측의 범위 W1이 감마값 G2의 범위 W2에 비해 확대되고, 또한, 감마값 G2에 비해 입력 신호의 고레벨측이 보다 빨리 최대 레벨에 접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감마값 G1, G2를 설정함으로써, 도 5(a),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감마값 G2를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하는 경우의 편이, 통상의 감마값 G3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촬상 화상의 선명도(콘트라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감마값 G1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감마값 G2를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더욱, 촬상 화상의 선명도(콘트라스트)가 높아진다.
따라서, 도 7의 스텝 S110에 있어서, 참조값이 문턱값 Th1보다도 큰, 즉, 촬상 화상의 선명도 저하가 심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감마값 G1을 감마 보정 처리부(103; 도 2 참조)에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선명화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스텝 S112에 있어서, 참조값이 문턱값 Th2보다도 큰, 즉, 촬상 화상의 선명도 저하가 중 정도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감마값 G2를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행함으로써, 촬상 화상에 대하여 과잉한 선명화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효과적으로, 촬상 화상의 선명화를 행할 수 있다.
도 9는, 촬상 장치(1)를 교차점에 설치한 경우의 촬상 화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비나 안개 등의 영향에 의해 촬상 화상의 선명도가 저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참조값의 크기, 즉, 촬상 화상의 선명도 저하의 레벨에 따라서 적절한 감마값이 적용되기 때문에, 도 9(b)와 같이, 촬상 화상의 선명도가 개선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촬상 화상에 의해, 신호기(2), 교차점(3), 사람(4) 및 자동차(5)의 상황을 적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a)는, 촬상 장치(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한 경우의 표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a)의 예에서는, 도 9(b)의 구성에 대하여, 추가로, 촬상 화상에 선명화 처리를 행한 것을 나타내는 표기(6)가 촬상 화상에 포함되어 있다. 이 표기(6)는, 도 7의 스텝 S115, S116에 있어서 알람 정보가 출력부(26)로부터 출력된 것에 기초하는 것이다. 알람 정보가 출력부(26)로부터 출력되지 않은 경우, 표기(6)는 생략된다. 이 표기(6)에 의해, 유저는, 표시된 화상이 선명화 처리 후의 것임을 알 수 있고, 촬상 현장에서는, 비나 안개 등에 의해 시야가 나쁜 상황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기(6)를 대신하여, 혹은, 표기(6)와 함께, 음성에 의해, 촬상 화상에 선명화 처리를 행한 것이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경보음을 울리는 방법이나, 선명화 처리를 행한 것의 음성을 출력하는 방법에 의해, 촬상 화상에 선명화 처리를 행한 것이 통지되어도 좋다. 이 외에, 파일럿 램프를 작동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촬상 화상에 선명화 처리를 행한 것이 통지되어도 좋다.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7의 스텝 S104, S10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소자(14)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휘도 히스토그램의 표준 편차)의 기준값 σRef가 설정된다. 이 때문에, 설정된 기준값 σRef는, 촬상 대상의 풍경에 따른 것이 된다. 예를 들면,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가 교차점(3)을 촬상하기 위해 설치된 경우, 기준값 σRef는, 교차점(3)의 규모나 신호기(2)의 설치 상황 등, 목표 영역의 풍경(구조물의 레이아웃 등)에 따른 것이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설정된 기준값 σRef와, 그 후의 촬상시에 취득되는 실측값(표준 편차 σ)의 차이(참조값: σRef/σ)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에 대한 선명화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촬상 대상의 목표 영역이 어느 정도 불선명하게 되었는지를 적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선명화 처리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 의하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 의하면, 기준값 σRef와 실측값(표준 편차 σ)의 차이(참조값: σRef/σ)에 따라서 적정하게 선명화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별도, 촬상 화상이 불선명하게 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 의하면, 간소한 처리에 의해 촬상 화상의 선명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 의하면, 촬상 화상에 대한 선명화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부(26)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선명화 처리가 실행된 후의 선명한 화상이 표시되어도,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울러, 선명화 처리가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표기(6))를 유저에게 제시함으로써, 유저가 촬상 현장의 상황을 오인한다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이 억제되기 때문에, 선명화 처리가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잘못하여 출력된다는 오동작도 또한,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 의하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불선명함의 보정에 따른 통지를 보다 적확하게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서는, 도 7의 스텝 S10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부(25)를 통하여 유저로부터 프리셋 ON 모드의 설정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화상 처리부(21)가, 촬상 소자(1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취득한 파라미터의 실측값(표준 편차 σ)을 기준값 σRef로서 기억부(22)에 기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목표 영역이 선명한 타이밍에 프리셋 ON 모드의 설정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선명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는 표준 편차 σ를 기준값 σRef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표 영역이 불선명한 타이밍에 기준값이 취득되어 설정되는 것을 원활하게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경우의 오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서는, 실측값(표준 편차 σ)에 기초하는 기준값 σRef가 설정되기 전에, 미리 범용적인 기준값 σ0이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의 스텝 S105∼S10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부(21)는, 프리셋 ON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실측값에 기초하는 기준값 σRef를 취득하여 선명화 처리를 실행하고, 프리셋 ON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범용적인 기준값 σ0에 기초하여 선명화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의 기동(起動)시가 흐린 날씨인 경우 등, 기준값 σRef의 설정에 적합한 선명한 촬상 화상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프리셋 ON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범용적인 기준값 σ0을 이용하여 선명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서는, 도 7의 스텝 S110∼S1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조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을 선명화하기 위한 조정값(감마값 G1∼G3)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간단하고 용이한 처리에 의해 원활하게, 선명화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에서는, 촬상 화상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촬상 소자(14)로부터 출력되는 1화상분의 신호로부터 취득한 휘도의 표준 편차 σ를 이용했기 때문에,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 화상의 불선명함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변경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의 스텝 S115, S116에 있어서, 출력부(26)로부터 동일한 얼러트 정보가 출력되었지만, 스텝 S115에 있어서 출력되는 얼러트 정보의 내용과, 스텝 S116에 있어서 출력되는 얼러트 정보의 내용을 상위시켜도 좋다. 즉, 실측값(표준 편차 σ)과 기준값 σRef의 차이(참조값)의 크기에 따라서, 출력부(26)에 출력시키는 정보의 내용을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도 10(a)의 표시 화면은, 도 10(b)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표기(6)의 내용을 얼러트 정보의 내용에 대응시켜도 좋다. 도 10(b)에서는, 실측값(표준 편차 σ)과 기준값 σRef의 차이(참조값)가 크고, 감마값 G1에 의해 촬상 화상이 보정된 것이 표기(6)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감마값 G2에 의해 촬상 화상이 보정된 경우는, 표기(6)의 내용이, 「선명화: 저」로 변경된다. 감마값 G3에 의해 촬상 화상이 보정된 경우는, 표기(6)가 생략된다.
이와 같이, 선명화 처리가 어느 레벨에서 행해졌는지의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유저는, 촬상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음성 등에 의해 선명화 처리가 어느 레벨에서 행해졌는지의 정보가 제시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감마 보정 처리부(103)에 적용되는 감마값을 조정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선명화가 행해졌지만, 촬상 화상의 선명화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선명화를 행하기 위한 선명화 처리 엔진을 탑재하는 촬상 장치에서는, 선명화 처리 엔진에 설정하는 파라미터값을 조정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선명화가 행해져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선명도가 낮은 촬상 화상의 보정용으로 2개의 감마값 G1, G2가 준비되었지만, 선명화 처리에 이용하는 감마값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7의 플로 차트에 있어서, 참조값과 비교하는 문턱값을 3개 이상 설정하여, 선명화 처리에 이용하는 감마값을 3개 이상 설정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보다 적확한 선명화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혹은, 문턱값을 1개로 하여, 감마값을 1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감마값을 3개 이상 설정하는 경우는, 얼러트 정보의 내용도, 감마값 마다 변경해도 좋다. 이에 따라, 도 10(b)의 표기(6)의 내용을 보다 자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촬상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참조값을 기준값 σRef와 실측값(표준 편차 σ)의 비(比)로 했지만, 참조값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기준값으로부터 실측값이 어느 정도 상위한지를 나타내는 값이면 어떠한 값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기준값 σRef로부터 실측값(표준 편차 σ)을 감산하여 얻은 값을 참조값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화상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휘도 히스토그램의 분산을 이용했지만, 촬상 화상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촬상 화상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반드시 1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종류 이상의 파라미터를 조합하여 촬상 화상의 선명도를 판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선명화 처리에 이용하는 값(감마값)의 갱신이 행해졌지만, 이러한 갱신이 행해지는 타이밍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몇 초∼수십 초) 마다 선명화 처리에 이용하는 값의 갱신이 행해져도 좋고, 혹은, 일시와 조도로부터 기후의 변화를 검출한 타이밍에서, 이러한 갱신을 행해도 좋다.
또한, 촬상 장치(1)의 블록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 처리부(21)는, 하드웨어(회로)로 구성되어도 좋고, 혹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촬상 장치(1)는, 가로나 교차점을 촬상하는 감시 카메라의 외에, 여러 가지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하게,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1 : 촬상 장치
10 : 촬상부
21 : 화상 처리부
22 : 기억부
26 : 출력부

Claims (7)

  1. 목표 영역으로부터의 빛을 촬상 소자에 결상시키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부와,
    촬상 화상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소정의 파라미터의 기준값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라미터의 실측값을 취득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취득한 실측값을 상기 기준값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그 후에 취득한 실측값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기준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에 대한 선명화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촬상 화상에 대한 선명화 처리를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설정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취득한 상기 파라미터의 실측값을 상기 기준값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실측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에 출력시키는 상기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실측값에 기초하는 제1 기준값과는 별도로 미리 제2 기준값을 기억하고,
    상기 화상 처리부는, 실측값에 기초하는 상기 제1 기준값을 이용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실측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값을 취득하여 상기 선명화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제2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선명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실측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을 선명화하기 위한 조정값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값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감마 보정을 행하기 위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상 화상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1화상분의 신호로부터 취득한 휘도의 표준 편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160063957A 2015-09-14 2016-05-25 촬상 장치 KR20170032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1211 2015-09-14
JP2015181211A JP2017059904A (ja) 2015-09-14 2015-09-14 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57A true KR20170032157A (ko) 2017-03-22

Family

ID=5834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957A KR20170032157A (ko) 2015-09-14 2016-05-25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059904A (ko)
KR (1) KR20170032157A (ko)
CN (1) CN106534664A (ko)
TW (1) TW2017114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7297B2 (ja) * 2018-02-23 2022-08-30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センサ
CN112135012B (zh) * 2019-06-25 2022-02-11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图像采集装置及图像采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2762A (ja) 2013-03-27 2014-10-0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2762A (ja) 2013-03-27 2014-10-0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59904A (ja) 2017-03-23
CN106534664A (zh) 2017-03-22
TW201711441A (zh)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9954B2 (ja) 撮像装置
US85528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driving state of a driver in a vehicle
KR101367637B1 (ko) 감시장치
EP1887521A1 (en) Vehicle and road sign recognition device
US20140085473A1 (en) In-vehicle camera apparatus
JP5996970B2 (ja) 車載撮像装置
US1117217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ing device
JP2009244946A (ja) 信号機認識装置,信号機認識方法および信号機認識プログラム
US9105105B2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utilizing white balance correction
KR20130139788A (ko) 장치의 화상 센서에 의해서 생성된 고정형 패턴 노이즈를 억제하는 촬상 장치
KR20170032157A (ko) 촬상 장치
KR102333707B1 (ko) 저조도 이미징 시스템
KR20170032158A (ko) 촬상 장치
JP4435704B2 (ja) 撮像用照明の判定方法
JP2012008845A (ja) 画像処理装置
TWI630818B (zh) Dynamic image feature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KR101546917B1 (ko) 야간 영상 보정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770021B (zh) 摄影机与滤片切换方法
JP6561479B2 (ja) 色シェーディング補正が可能な撮像装置
EP3389257A1 (en) Method for adapting brightness of image data, image capturing system and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JP6906084B2 (ja) カラーカメラ装置及び光学部品
JP2014021716A (ja) 標識案内表示装置および標識案内表示方法
CN117746061A (zh) 一种获得颜色标识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7182331A (ja) 車番認識装置
KR20120055824A (ko) 차량용 카메라 시스템의 영상 획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