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004A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2004A KR20170032004A KR1020150129711A KR20150129711A KR20170032004A KR 20170032004 A KR20170032004 A KR 20170032004A KR 1020150129711 A KR1020150129711 A KR 1020150129711A KR 20150129711 A KR20150129711 A KR 20150129711A KR 20170032004 A KR20170032004 A KR 201700320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channel
- data
- digital
- us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000591286 Homo sapiens Myocardin-related transcription factor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099 Myocardin-related transcription factor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 신호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시청 제한 정보를 파싱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이 불가능하면,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에 관한 것이다.
PC(Personal Computer), TV(Television)와 같은 고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에 이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의 발전이 눈부시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는 종래에는 고유의 영역을 구축하며 개별적으로 발전해 왔으나,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붐에 따라 상호 간에 구축된 영역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스마트TV나 스마트폰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스마트TV나 스마트폰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종래 TV에서는 단지 리모컨을 통한 볼륨이나 채널 변경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나, 스마트TV가 보급되면서 스마트폰을 통한 상기 스마트TV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만, 스마트폰을 통한 스마트TV 제어 시에 그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컨텐트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시청 제한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폰을 통한 스마트TV의 제어를 위한 다양한 기준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스마트TV 역시도 바보상자의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고 부모 등 이러한 상황을 통제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 기능 자체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TV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TV의 제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권한이 있는 이동 단말기 유저만 상기 디지털 TV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TV의 컨텐트에 대한 시청 제한뿐만 아니라 EPG,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유저에 적응적인 제어만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부모와 같은 주요 고객층에게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등에 따라 개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개선하여 구매 욕구를 고취시키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시청 제한 정보를 파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이 불가능하면,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 신호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시청 제한 정보를 파싱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이 불가능하면,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TV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TV의 제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권한이 있는 이동 단말기 유저만 상기 디지털 TV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TV의 컨텐트에 대한 시청 제한뿐만 아니라 EPG,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유저에 적응적인 제어만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부모와 같은 주요 고객층에게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등에 따라 개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개선하여 구매 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상술한 도 7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공하는 GUI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9 내지 11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공하는 GUI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13 내지 14에 따라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G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상술한 도 7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공하는 GUI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9 내지 11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공하는 GUI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13 내지 14에 따라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G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등은 단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양자는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로 기술한 경우에도 그것이 순서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용어의 설명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러한 용어나 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단지 그 명칭이 아니라 그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명세서 또는/및 도면에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컨텐트(content)를 수신, 처리, 출력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방송국(broadcasting station) 등 서버(server), 외부 입력(external input) 등을 통해 상기 컨텐트나 상기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다운로드(download) 받을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무선 네트워크(wire/wireless network)를 통하여 상기 서버 등과 상기 컨텐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고정형 디바이스(standing device)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고정형 디바이스로는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V), PC(Personal Comput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슬레이트 PC(Slate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와 3은 고정형 디바이스의 하나인 디지털 TV(Digital TV)를, 도 4와 5는 각각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로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워치)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예로 도시하였으며, 해당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가 고정형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단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만을 구비한 사이니지(Signage) 형태일 수도 있고,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셋톱박스(Set-Top Box, STB) 등과 함께 세트(SET)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전술한 서버와 디지털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connecting) 또는 페어링(pairing), 데이터 커뮤니케이션(data communication) 등을 위한 모든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표준(Standard)에 의해 현재 지원되거나 향후 지원될 네트워크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wire connection)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Wi-Fi), Wi-Fi 다이렉트(dire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등과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범용 OS(Operating System), 웹OS(Web OS)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범용 OS 커널(OS kernel),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등에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추가(adding), 삭제(deleting), 수정(amending), 업데이트(updating) 등 처리가 가능하며, 그를 통해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서버(105)와 디지털 TV(11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TV(110)는, 이동 단말기(120)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서버(105)와 디지털 TV(110) 외에 추가로 이동 단말기(120)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3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TV(110)는, 전용 리모컨(115)과 같은 제어 수단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 신호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시청 제한 정보를 파싱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이 불가능하면,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방송 프로그램상에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채널 변경이 제한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GUI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 해당 채널을 블록 또는 해당 채널을 스킵하여 다음 또는 이전 채널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기 채널 변경 제한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 가부를 판단하되,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 가부 판단 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외에 제2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른 채널 전환 가부 판단에 따라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의 변경 가부도 판단하여, 모두 변경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되, 상기 응답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미리 저장된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응답을 미리 저장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로의 전환 허가에 대한 요청과 권한 설정 변경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제어부는, 해당 이동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 이후에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만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연결된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및 제2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응답을 해당 이동 단말기로 리턴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로부터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이 필터링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상기 응답을 하거나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와 관계없이 상기 저장된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응답을 하되, 상기 응답으로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이다.
디지털 TV(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2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2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203), SI 디코더(204), 역다중화부(demuxer or demultiplexer)(2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2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2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2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210),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SI&metadata DB)(211),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212), 서비스 매니저(213), UI 매니저(2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 (IP) packet(s)) 또는 IP 데이터그램(들)(IP datagram(s))(이하 ‘IP 패킷(들)’이라 한다)을 서버(105)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105)로 송신한다. 일 예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도 1의 서비스 프로바이더(20)로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컨텐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CP/IP 매니저(202)는, 디지털 TV(2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디지털 TV(20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사이의 패킷 전달(packet delivery)에 관여한다. 상기 TCP/IP 매니저(202)는 수신된 패킷(들)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으로 상기 분류된 패킷(들)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역다중화부(205)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213)의 제어에 따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
역다중화부(2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 SI 디코더(204)에 전송한다.
SI 디코더(204)는, 역다중화된 SI 데이터 즉,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rmation), DTMB/CMMB(Digital Television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ing/Coding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또한, SI 디코더(204)는, 디코딩된 서비스 정보들을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해당 구성에 의해 독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는,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와 서비스 매니저(213)를 포함하며, 디지털 TV(200)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디지털 TV(2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UI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디바이스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213)에 전송한다.
서비스 매니저(2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2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생성하고 UI 매니저(2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된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 등을 제어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는 SI 디코더(204)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역다중화부(205)에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되는 PID는 상술한 역다중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역다중화부(205)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SI 데이터를 필터링(PID or section filtering) 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S 게이트웨이(250)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매니저(2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SI 디코더(2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2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가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IMS 게이트웨이(2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디지털 TV는, 방송 수신부(305),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 저장부(318),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20), 제어부(325), 디스플레이부(330), 오디오 출력부(335), 전원 공급부(34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310), 복조부(3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튜너(310)와 복조부(312)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310)를 거쳐 복조부(312)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3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3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325)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310)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312)는, 튜너(3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12)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3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복조부(3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325)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25)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33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디지털 TV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디지털 TV의 제어부(325)로 전달한다. 제어부(325)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TV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TV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여, 제어부(325) 또는 저장부(318)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디지털 TV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TV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디지털 TV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network provider)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되는 영화(Movie), 광고(Commercials), 게임(Game),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18)는, 제어부(325)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program)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318)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18)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18)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18)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18)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TV는, 저장부(318)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a는 저장부(318)가 제어부(325)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저장부(318)는 제어부(325)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25)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25)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325)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25)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25)에 전달하거나, 제어부(325)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튜너(310), 복조부(312)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3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5)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3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어부(325)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디지털 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5)는, 튜너(3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TV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TV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5)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3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325)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30) 또는 오디오 출력부(33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325)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330) 또는 오디오 출력부(33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25)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318)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5)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지털 TV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5)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TV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TV는,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3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 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325)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325)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25)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335)는, 제어부(325)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33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TV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제어부(325)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325)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25)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40)는, 디지털 TV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325)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33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34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2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 디바이스(345)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2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 디바이스(345)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TV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350), 영상 처리부, OSD 생성부(366), 믹서(mixer)(37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380), 및 포맷터(formatter)(3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5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35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5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는, 영상 디코더(362) 및 스케일러(364)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6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364)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362)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362)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37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66)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66)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TV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366)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370)는, OSD 생성부(366)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39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38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
포맷터(39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9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9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TV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TV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TV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의 다른 예로는, 도 3a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30)와 오디오 출력부(335)가 제외된 셋톱-박스(STB),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400)는, 무선 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전원 공급부(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이동 단말기(4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통신 모듈(412), 무선 인터넷 모듈(413), 근거리 통신 모듈(414), 위치정보 모듈(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과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하며,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4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을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예를 들어, ATSC,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S(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수신 모듈(4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와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4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모듈(4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4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4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RS-232, RS-385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415)은,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예로 할 수 있다.
A/V 입력부(420)는, 오디오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421)와 마이크(4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4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4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4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4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4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4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440)는, 이동 단말기(4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4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4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가 이동되거나 기울어진 경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내지 기울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470)의 외부 디바이스 결합 여부 등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44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 근접 센서(3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451), 음향 출력 모듈(452), 알람부(453), 및 햅틱 모듈(4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4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4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451)는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4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부(4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4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4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이동 단말기(4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부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453)는, 이동 단말기(4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4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51)나 음성 출력 모듈(4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451,452)은 알람부(4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4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4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이동 단말기(4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460)는, 제어부(4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4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4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4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이하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디바이스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4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4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터치-스크린상에서 이루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4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 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software code)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460)에 저장되고, 제어부(4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동작 또는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이동 단말기(4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4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4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4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즉, 스마트 워치(500)는 디스플레이부(551)를 구비하는 본체(501) 및 본체(5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5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워치(500)는 도 4의 이동 단말기(4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5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 케이스(501a) 및 제2 케이스(5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5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 워치(5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5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5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5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5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51)의 윈도우(551a)는 제1 케이스(5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5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501)에는 음향 출력부(552), 카메라(521), 마이크로폰(522), 사용자 입력부(5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5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5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5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5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502)는 본체(5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5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502)에는 파스너(fastener; 5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5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5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 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front panel)(미도시)이나 제어 수단(입력 수단)이 이용된다.
한편, 제어 수단은 유, 무선 통신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610), 키보드(630), 포인팅 디바이스(6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되나,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전용의 제어 수단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 목적이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이동 단말기 등도 제어 수단에 포함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다.
리모컨(610)은,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입력 수단을 말한다.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pointer)를 구현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소정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키보드(630)는, 디지털 디바이스(6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6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한편, 리모컨(610), 포인팅 디바이스(620), 키보드(630) 등 제어수단은,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처리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1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과정에서 제2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커맨드(control command)에 따른 데이터 처리 등 동작 수행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지털 TV를 일 실시 예로 하고, 상기 제2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를 일 실시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디지털 TV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는 리모트 애플리케이션(remote application)을 실행하고, 실행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 상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터치하는 방식에 의해 생성되고 상호 간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단말기 유저의 음성, 이동 단말기 유저의 제스처, 이동 단말기 유저의 아이-트랙킹, 이동 단말기 유저의 몸에 이식된 칩 등 각각 또는 그 어떤 조합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터치, 음성, 제스처 등과 조합에 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제어 커맨드에 관련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기본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운로드 후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디지털 TV의 입력 또는 제어 수단의 하나인 리모트 컨트롤러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어 커맨드는 반드시 이동 단말기에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만 생성되고 전송되는 것은 아니나 편의상 상기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시청 제한 정보를 파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이 불가능하면,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방송 프로그램상에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채널 변경이 제한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GUI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 변경 제한은, 해당 채널을 블록하거나 해당 채널을 스킵하여 다음 또는 이전 채널을 제공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 가부 판단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외에 제2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른 채널 전환 가부 판단에 따라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의 변경 가부도 판단하여, 모두 변경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는 단계에서, 상기 응답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미리 저장된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답이 미리 저장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로의 전환 허가에 대한 요청과 권한 설정 변경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 이후에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만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연결된 경우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및 제2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응답을 해당 이동 단말기로 리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되는 EPG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청에 따른 응답은,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로부터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이 필터링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을 포함, 또는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와 관계없이 상기 저장된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응답에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상술한 도 7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공하는 G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8은 특히,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age)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가 디지털 TV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한편, 도 7은 특히, 디지털 TV(720)가 싱글 이동 단말기(710)와만 데이터 커뮤니케이션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710)에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S702), 디지털 TV(720)의 전원이 오프(power-off)되어 있는 경우, 상기 디지털 TV(720)의 전원을 온(power-on)시키는 제어 커맨드를 전송한다(S704). 상기 이동 단말기(710)와 디지털 TV(720)는 상기 디지털 TV(720)의 전원이 온 된 이후에 자동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페어링 이전에 이동 단말기(710)에서 디지털 TV(720)로 전원 온을 위한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것은 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디지털 TV(720)로 전원 온 키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TV(7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온 제어 커맨드에 따라 턴-온 된다(S706). 디지털 TV(720)는, 상기와 같이 턴-온이 되면, 디폴트 채널을 튜닝하고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애플리케이션을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S708). 여기서,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TV(720)가 전원이 온되면, 미리 설정된 방송 채널을 튜닝하고, 해당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디지털 TV(720)의 전원 온 시에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등 설정된 내용이 있으면, 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편의상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방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즉, 방송 프로그램(broadcast program)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TV(720)가 상기 S708 단계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710)의 커맨드 수신 및 그에 따른 동작 가능 상태가 되면, 이동 단말기(710)는 실행 중인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채널 변경 요청에 대한 제어 커맨드를 디지털 TV(720)로 전송하고(S710), 상기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도 전송한다(S712).
디지털 TV(720)는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커맨드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 내 SI 데이터를 통해 획득된 시청 제한 정보를 추출하고(S714), 상기 추출된 시청 제한 정보와 상기 전송된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요청된 채널을 제공 가능한지 즉, 채널 변경해도 되는지를 판단한다(S716).
디지털 TV(720)는 상기 S716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의 시청 제한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할 때, 채널 변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해당 채널을 스킵/블록(skip/block) 처리하고(S718), 상기 채널 스킵 또는 블록에 대한 응답(response) 즉, 제어 커맨드를 이동 단말기(710)로 전송한다(S720). 이후 디지털 TV(720)는 상기 이동 단말기(710)의 다음 제어 커맨드 수신 전까지 대기한다(S726). 상기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채널 블록이라 하더라도 채널 스킵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동 단말기(710)에서 다시 채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S722), 디지털 TV(720)는 전술한 S714 내지 S716 과정을 통해 판단 결과에 따라 채널 제공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채널로 변경한다(S724). 디지털 TV(720)는 그리고 다시 이동 단말기(710)의 제어 커맨드 수신 시까지 대기한다(S726).
상기에서 이동 단말기(710)의 채널 변경 요청은 예를 들어,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리모트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되는 숫자 키 버튼 등을 통해 입력된 채널 넘버에 따라 현재 채널에서 특정 채널로의 다이렉트 변경(direct change)을 요청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단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되는 채널 업/다운 키 버튼(channel up/down key button)을 통해 채널 업/다운에 따라 현재 채널의 다음 채널/직전 채널(next channel/previous channel)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상기 두 가지의 채널 변경 방식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에서, 디지털 TV(720)는 이동 단말기(710)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이 오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기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획득하여 생성한 채널 맵 데이터와 채널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 제한 데이터를 독출한다. 한편, 도 7에서는 이동 단말기(710)에서 유저 나이 정보를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커맨드 전송과 함께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때, 상기 유저의 나이 정보는 매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 커맨드 전송 시에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리모트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최초 한 번만 유저의 나이 정보를 전송하고 다음에는 특별히 요청하는 경우에만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710)는 상기 채널 변경 제어 커맨드 전송과 동시에 또는 순차로 유저의 나이 정보를 먼저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TV(720)에서 요청하는 경우에만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TV(720)는 상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기저장된 유저의 나이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기저장된 유저의 나이 정보가 없거나 재차 확인이 필요한 채널로의 전환 등의 경우에만 유저의 나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I 데이터는 도 2에서 전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상기에서 이동 단말기(710)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판단 결과 변경 요청된 채널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경우에, 디지털 TV(720)는 해당 채널을 블록한다. 이 경우, 디지털 TV(720)는 도 8b 내지 8d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처리하고, 이동 단말기(710)로는 도 8a와 같이 해당 채널이 블록 되었음을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710)는 디지털 TV(720)의 변경 요청 채널 불가에 따른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채널이 블록되었으며, 이용을 위해서는 권한 설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안내하는 GUI(810)를 제공한다.
도 8b는 디지털 TV(720)에서 상기 S716 단계 판단 결과, 해당 채널을 제공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EPG 애플리케이션(820)을 실행하여 화면상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실행되는 EPG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 유저의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채널 변경 등 디지털 TV(720)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상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EPG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EPG 데이터에는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가 접근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된 EPG 화면을 제공하여, 유저가 채널 변경의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하고, 디지털 TV(720)는 반복적인 판단 과정에 따른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EPG 데이터는 상기 유저가 요청한 채널을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8c는 디지털 TV(710)는 블랙 화면에 제1 영역(832)에는 상기 유저가 요청한 채널에 대한 채널 넘버, 프로그램 정보, 방송국 정보 등이 포함된 제1 GUI를 제공하고, 제2 영역(834)에는 해당 채널이 블록되었음을 표시하고 이용을 위해서는 권한을 재설정하라고 안내하는 제2 UGI가 제공된다.
도 8d는 상술한 도 8c와는 달리, 디지털 TV(710)는 이동 단말기(710)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해당 채널이 아닌 다음 또는 이전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다음 또는 이전 채널 제공 화면상의 소정 영역(844)에 상기 해당 채널은 블록되었고, 이용하려면 권한을 재설정하라는 안내 GUI가 제공된다. 이때, 디지털 TV(710)는 제1 영역(842)에 상기 다음 또는 이전 채널에 대한 채널 넘버, 프로그램 정보, 방송국 정보 등을 제공하고, 화면에는 상기 다음 또는 이전 채널의 프로그램 실행 화면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안내 GUI(834, 844)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용 권한 재설정에 관한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모에게 권한 요청 메시지 전달이나 권할 재설정이나 권한 인증을 위한 패쓰워드(password) 입력 등을 위한 GUI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전술한 도 7과 유사하나, 상기 도 7과 달리 디지털 TV(920)가 하나의 이동 단말기(910)가 아닌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과 페어링되어 데이터 커뮤니케이션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커맨드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전술한 도 7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할 때, S902 단계 내지 S926 단계는 전술한 도 7의 S702 단계 내지 S720 단계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제2 이동 단말기(930)의 리모트 애플리케이션 실행 과정(S904),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 전송(S916) 단계, 그리고 디지털 TV(920)의 채널 블록에 따른 제어 커맨드 전송(S926) 단계만 더 추가되었을 뿐이다. 상기에서, 제2 이동 단말기(930)의 리모트 애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는 반드시 도시된 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유저 나이 정보 역시, 전술한 도 7과 같이, 제1 이동 단말기의 유저 나이 정보 전송 시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한편, 제2 이동 단말기(930)는 제1 이동 단말기(910)를 통해 또는 직접 디지털 TV(92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플로우(flow)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방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를 참조하여, 만약 제1 이동 단말기(910)의 채널 변경 요청(S912)에 따라 해당 채널로의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S920), 디지털 TV(920)는 비록 상기 채널 변경 요청을 제1 이동 단말기(910)로부터 수신하였으나, 페어링되고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제2 이동 단말기(930)의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채널의 제공이 가능한지 추가로 판단한다(S928). 이때, 상기 디지털 TV(920)는 단지 페어링만 된 이동 단말기는 배제하고 상기 페어링 이후에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이동 단말기들만을 상대로 상기 S928 단계의 시청 제한 여부 즉, 변경 요청된 채널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지털 TV(920)는 상기 S928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제1 이동 단말기 유저는 변경 요청된 채널을 시청 가능하나 제2 이동 단말기의 유저가 유저의 나이 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을 시청 불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제공을 보류하여 블록 처리하고, 전술한 채널 블록에 따른 응답 즉, 제어 커맨드를 제1 이동 단말기(910) 또는/및 제2 이동 단말기(930)로 전송한다.
이후 S930 단계 내지 S936 단계는 전술한 도 7의 S722 단계 내지 S726 단계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S930 단계의 채널 변경 요청은 제1 이동 단말기(910)를 대신하여 제2 이동 단말기(930)에서 수행했을 뿐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비록 S920 단계와 S928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전술한 바와 같이, 페어링되고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모든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S920 단계에서 한꺼번에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의 유저들에 대한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요청된 채널의 제공 가부에 대한 판단을 한 번에 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 유저에 의해 해당 채널이 블록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명의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기준으로 판단 결과, 1명의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때문에 해당 채널이 블록되는 경우에는 채널 변경 등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고 유저들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기에, 채널 제공 여부를 판단한 결과 모든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결과 한 명이라도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를 해소하기 위한 안내 GUI를 디지털 TV와 해당 이동 단말기 또는 모든 이동 단말기들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의 제2 이동 단말기(930)는 제1 이동 단말기(910)와 함께 또는 동시에 디지털 TV와 페어링되고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라고 가정하면, 이와 달리 도 10은 최초에는 도 7과 같이 제1 이동 단말기(1010)만 디지털 TV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다고 중간에 새롭게 제2 이동 단말기(1030)가 추가된 경우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동 단말기(1030)는 상기 추가 시점에 페어링 및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수도 있고, 그 이전에 페어링은 되었으나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 시점에 실행된 경우로 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7 및 도 9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해당 설명을 원용 또는 준용하고,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010)와 디지털 TV(1020) 사이에 S1002 단계 내지 S1024 단계는 전술한 도 7의 S702 단계 내지 S724 단계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7의 설명을 원용 또는 준용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S1024 단계 수행 이후 디지털 TV(1020)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다음 제어 커맨드 수신 전까지 대기한다. 이때, 상기 제어 커맨드 예를 들어, 채널 변경 요청(S1030, 1032)이 수신되면, S1034 단계 내지 S1042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S1034 단계 내지 S1042 단계는 예컨대, 상기 S1016 단계 내지 S1024 단계 또는 전술한 도 9의 S920 단계 내지 S928 단계와 대동소이하다.
상기 S1034 단계 내지 S1042 단계의 수행은 반드시 모든 단계를 순차로 수행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S1032 단계의 제1 이동 단말기(1010)로부터 추가로 채널 변경 요청을 수신과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제2 이동 단말기(1030)에 페어링되고,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S1026)에만, S1042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1016 단계 내지 S1024 단계와 같이 S0142 단계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제2 이동 단말기(1030)는 제1 이동 단말기(1010)를 거쳐 또는 직접 디지털 TV(1020)로 유저의 나이 정보를 전송(S1028)할 수 있다.
디지털 TV(1020)는 S1042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S0136 단계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거나 S0148 단계 즉, 변경 요청된 채널로 전환한다(S1048).
디지털 TV(1020)는 상기 S0148 단계 수행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 제어 커맨드 수신 대기 상태가 된다(S1050).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이동 단말기(1010)의 채널 변경(S1444) 또는 제2 이동 단말기(1030)의 채널 변경(S1446)이 수신되면, 다시 S1034 단계 내지 S1048 단계를 수행한다. 다만, 디지털 TV(1020)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1010, 1030) 중 어느 하나의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페어링이 해제되면 전술한 S1034 단계 내지 S1048 단계 대신에 S1016 단계 내지 S1024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디지털 TV(1020)는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1010, 1030)로부터 동시에 제어 커맨드가 수신되면, 이의 처리가 문제된다. 이 경우, 디지털 TV(1020)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1010, 10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커맨드의 속성을 먼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만약 각 제어 커맨드의 속성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커맨드만을 인식하여 그에 따라 대응하면 족하다. 다만, 상기 각 제어 커맨드가 서로 상충되는 속성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1010, 1030) 중 우선순위가 높거나 먼저 페어링되고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동 단말기, 신호 세기가 더 큰 이동 단말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또는 성별(sex),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들 간의 위치(location), 방향(direction) 또는 거리(distance), 제어 커맨드와 애플리케이션과의 관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하나의 이동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TV(1020)는 미리 정한 시간 내에 각 이동 단말기로부터 순차로 제어 커맨드 수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우선, 디지털 TV(1020)는 동일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계속하여 제어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는, 늦게 수신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 반대일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TV(1020)는, 서로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어 커맨드가 미리 정한 시간 내에 연속하여 수신된 경우에는, 각 이동 단말기의 거리, 각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와의 위치, 방향 내지 거리 등을 통해 동일 공간으로 인식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자의 제어 커맨드를 우선하나, 반대일 수도 있다. 또한, 각 이동 단말기가 서로 다른 공간인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들 중 디지털 TV와 같은 공간에 있다고 인식되거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우선할 수 있다. 한편, 각 이벤트 발생 시, 디지털 TV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들에 안내 GUI 내지 상태 GUI를 출력하도록 제어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제2 이동 단말기(1130)를 통해 디지털 TV(1120)를 제어하고자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고, 디지털 TV(1120)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 커맨드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가 예컨대, 자식인 경우에 특히, 디지털 TV(1120)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부모의 허락 등이 필요한 경우에 그 처리 방법에 대해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1의 전체 과정에서 S1102 단계 및 S1124 단계 내지 S1128 단계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도 7의 과정과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상기 단계들을 제외한 나머지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7의 설명을 원용 내지 준용하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단말기(1110)의 유저가 부모이고, 제2 이동 단말기(1130)의 유저가 자식이라고 가정한다.
제1 이동 단말기(1110)는 유저(부모)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 제2 이동 단말기(1130)의 권한 등을 설정하면, 이를 디지털 TV(1120)로 전송한다(S1102). 이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110)는 상기 설정 사항을 제2 이동 단말기(1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설정 사항이라 함은, 시청 제한 설정, 시청 시간 설정, 애플리케이션 속성 내지 종류(타입) 설정 등 다양한 설정 사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110)의 디지털 TV(1120)로의 설정 사항 포함 제어 커맨드는 비록 S1102 단계로 제2 이동 단말기(1130)의 리모트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전에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1 이동 단말기(1110)는 디지털 TV(1120)로 상기 설정 사항을 어느 단계에서나 전송 가능하며, 아예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디지털 TV(1120)에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110)의 폰 넘버 등이 등록되고, 상기 S1120 단계와 같이, 채널 블록 등이 필요한 경우에 그에 관한 권한 설정이나 허락 등을 요청(S1124)하는 경우에 설정 또는 설정 변경 또는 허락 등의 제어 커맨드를 전송할 수도 있다(S1126).
디지털 TV(1120)는 제1 이동 단말기의 채널 변경 허락 또는 권한 설정 변경 등의 제어 커맨드가 수신되면(S1126), 상기 제어 커맨드를 파싱하여 채널 변경 등을 허락한 것인지 판단하여(S1128),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S1130). 그리고 디지털 TV(1120)는 다시 대기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9 내지 11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공하는 G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제1 이동 단말기를, 그리고 도 12b는 제2 이동 단말기를 예시한 것이고, 각 이동 단말기는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라고 가정한다. 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유저는 부모, 그리고 상기 제2 단말기 유저는 자식일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2a의 제1 이동 단말기 또는 도 12b의 제2 이동 단말기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로 인해 요청된 채널이 블록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커맨드가 전송되는 것과 별개로 디지털 TV는 도 12c 내지 12e와 같이 현재 상태를 안내하는 GUI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디지털 TV는 제1 영역(1210)에 채널, 프로그램, 방송국 정보 등을 제공하는 채널 바를 제공하고, 제2 영역(1220)에는 해당 채널이 블록 되었으며 권한 설정 변경을 알리는 GUI를 제공하고, 제3 영역(1230)에는 채널 스킵에 따라 다음 또는 이전 채널로 전환됨을 알리는 또는 선택 가능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d를 참조하면, 디지털 TV는 제1 영역(1240)에 채널 바를, 제2 영역(1250)에 새로운 단말기가 페어링 되었음을 그리고 제3 영역(1260)에 상기 새로운 단말기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안내하는 GUI를 출력한다. 도 12d는 예를 들어, 도 9 또는 10에서 제공되는 안내 GUI에 대한 실시 예로 볼 수 있다.
도 12e를 참조하면, 디지털 TV는 제1 영역(1270)에 채널 바를 그리고 제2 영역(1280)에는 요청된 채널의 채널 블록이 해제되어 시청 가능함을 안내하는 GUI를 제공한다. 도 12d는 예컨대, 도 11에서 S1128 단계 판단 결과, 해당 채널에 대한 채널 블록 해제를 부모가 허락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채널 블록 등이 해제된 경우에 대한 GUI로 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13 내지 14에 따라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G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과 14는 모두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TV에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처리하는 실시 예에 대한 것이다. 다만, 도 13이 디지털 TV에서 이동 단말기 유저에 따라 필터링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함에 반하여, 도 14는 디지털 TV에서는 이동 단말기 유저와 관계없이 풀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동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필터링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차이가 있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310)는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1302), 디지털 TV의 전원을 턴-온 요청한다(S1304).
디지털 TV(1320)는 상기 이동 단말기(1310)의 전원 온 요청에 따라 턴-온되면(S1306), 디폴트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S1308), 상기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SI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한다(S1310).
이후 디지털 TV(1320)는 이동 단말기(1310)로부터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와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면(S1312/S1314), 상기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상기 나이 정보에 따라 시청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만을 포함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310)로 전송한다(S1316).
이동 단말기(1310)는 상기 디지털 TV(1320)로부터 수신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도 15a와 같이 그대로 화면상에 출력한다(S1318).
반면, 도 14를 참조하면, S1402 단계 내지 S1414 단계까지는 전술한 도 13의 S1302 단계 내지 S1314 단계와 동일하다. 다만, 도 14에서는 상기 S1414 단계의 이동 단말기(1310)의 EPG 애플리케이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관계없이 기저장된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1310)로 전송한다(S1416).
이동 단말기(1310)는 상기 디지털 TV(1320)로부터 수신된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하고(S1418), 도 15a와 같이,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한다(S1420).
따라서, 도 14와 같이, 디지털 TV(1320)에서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풀-EPG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S1412 단계의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해당 단계는 스킵될 수 있다.
한편, 도 13과 14에서는 이동 단말기(1310)에서 도 15a와 같이,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한다고 하였는데, 상기 필터드 EPG는 예컨대,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아예 배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풀-EPG와 같이 시청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함께 출력이 되나 하이라이트 표시되거나 컬러가 다른 등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상기 차별화되지 않고 제공되나 해당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 시청 제한됨을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5a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디지털 TV(1320) 역시 도 15b와 같이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TV(1320)의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출력은 예컨대,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방향, 거리 등을 참고할 때, 상기 이동 단말기 유저가 디지털 TV(1320)도 유효하게 시청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TV(1320)는 도 15b와 같이,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저장된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1310)와 같이 동일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TV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TV의 제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권한이 있는 이동 단말기 유저만 상기 디지털 TV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TV의 컨텐트에 대한 시청 제한뿐만 아니라 EPG,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유저에 적응적인 제어만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고, 부모와 같은 주요 고객층에게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등에 따라 개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개선하여 구매 욕구를 고취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은 디지털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일 뿐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2: TCP/IP 매니저
203: 서비스 전달 매니저 204: SI 디코더
205: 역다중화부 206: 오디오 디코더
207: 비디오 디코더 208: 디스플레이부
209: 서비스 제어 매니저 2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211: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212: 메타데이터 매니저
213: 서비스 매니저 214: UI 매니저
203: 서비스 전달 매니저 204: SI 디코더
205: 역다중화부 206: 오디오 디코더
207: 비디오 디코더 208: 디스플레이부
209: 서비스 제어 매니저 2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211: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212: 메타데이터 매니저
213: 서비스 매니저 214: UI 매니저
Claims (20)
-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시청 제한 정보를 파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이 불가능하면,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방송 프로그램상에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채널 변경이 제한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GUI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 제한은,
해당 채널을 블록 또는 해당 채널을 스킵하여 다음 또는 이전 채널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 가부 판단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외에 제2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른 채널 전환 가부 판단에 따라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의 변경 가부도 판단하여, 모두 변경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는 단계에서,
상기 응답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미리 저장된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이 미리 저장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로의 전환 허가에 대한 요청과 권한 설정 변경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 이후에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만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연결된 경우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및 제2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응답을 해당 이동 단말기로 리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되는 EPG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청에 따른 응답은,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로부터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이 필터링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을 포함, 또는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와 관계없이 상기 저장된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응답에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특정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시그널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 신호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시청 제한 정보를 파싱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이 불가능하면,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방송 프로그램상에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채널 변경이 제한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GUI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채널을 블록 또는 해당 채널을 스킵하여 다음 또는 이전 채널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기 채널 변경 제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나이 정보와 상기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 가부를 판단하되,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 전환 가부 판단 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외에 제2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른 채널 전환 가부 판단에 따라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의 변경 가부도 판단하여, 모두 변경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된 채널로 변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커맨드를 응답으로 리턴하되, 상기 응답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미리 저장된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을 미리 저장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한에 따른 안내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변경 요청된 채널로의 전환 허가에 대한 요청과 권한 설정 변경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이동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 이후에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만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연결된 경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된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및 제2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응답을 해당 이동 단말기로 리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로부터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이 필터링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상기 응답을 하거나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 유저의 나이 정보와 관계없이 상기 저장된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응답을 하되,
상기 응답으로 풀-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 유저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필터드 EP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711A KR102423492B1 (ko) | 2015-09-14 | 2015-09-14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711A KR102423492B1 (ko) | 2015-09-14 | 2015-09-14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2004A true KR20170032004A (ko) | 2017-03-22 |
KR102423492B1 KR102423492B1 (ko) | 2022-07-21 |
Family
ID=5849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711A KR102423492B1 (ko) | 2015-09-14 | 2015-09-14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349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3680A (ko) * | 2020-12-28 | 2022-07-05 | (주)마크원테크놀로지 | Uwb를 이용한 텔레비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CN115804098A (zh) * | 2020-06-30 | 2023-03-14 | Lg电子株式会社 | 广播接收装置及其动作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5208A (ko) * | 2005-11-25 | 2007-05-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채널 자동 변환 방법 |
KR20090072521A (ko) * | 2007-12-28 | 2009-07-02 |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iptv 콘텐츠 제공 제어 서비스방법 및 장치 |
KR20090078503A (ko) * | 2008-01-15 | 2009-07-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
KR20090111039A (ko) * | 2008-04-21 | 2009-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
KR20100056836A (ko) * | 2008-11-20 | 2010-05-2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제한 방법 |
-
2015
- 2015-09-14 KR KR1020150129711A patent/KR1024234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5208A (ko) * | 2005-11-25 | 2007-05-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채널 자동 변환 방법 |
KR20090072521A (ko) * | 2007-12-28 | 2009-07-02 |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iptv 콘텐츠 제공 제어 서비스방법 및 장치 |
KR20090078503A (ko) * | 2008-01-15 | 2009-07-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
KR20090111039A (ko) * | 2008-04-21 | 2009-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
KR20100056836A (ko) * | 2008-11-20 | 2010-05-28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제한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804098A (zh) * | 2020-06-30 | 2023-03-14 | Lg电子株式会社 | 广播接收装置及其动作方法 |
KR20220093680A (ko) * | 2020-12-28 | 2022-07-05 | (주)마크원테크놀로지 | Uwb를 이용한 텔레비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3492B1 (ko) | 2022-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49955B2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 |
KR102404356B1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102063075B1 (ko) | 서비스 시스템, 디지털 기기 및 그 서비스 처리 방법 | |
KR102273751B1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US10324595B2 (en) |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 |
KR102423493B1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102348957B1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US10706083B2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in | |
KR102381142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11470375B2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in | |
KR20180041961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 |
KR102423492B1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20170045829A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20170017606A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20170031898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369588B1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102431976B1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20170018562A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20170042097A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20170023519A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20180038311A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