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961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961A
KR20180041961A KR1020160134395A KR20160134395A KR20180041961A KR 20180041961 A KR20180041961 A KR 20180041961A KR 1020160134395 A KR1020160134395 A KR 1020160134395A KR 20160134395 A KR20160134395 A KR 20160134395A KR 20180041961 A KR20180041961 A KR 2018004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gital
dongle
scree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961A/ko
Publication of KR2018004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동글이 결합된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되는 제1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글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식별 데이터를 저장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종래 PC, TV와 같은 고정 디바이스의 발전에 이어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전이 눈부시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전과 더불어 디지털 컨버전스의 붐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들 상호 간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및 그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일 예로, 상대적으로 스크린 사이즈가 작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실행 화면을 상대적으로 스크린 사이즈 큰 TV 등을 통해 시청하고자 화면 공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화면 공유를 위해서는 미라캐스트, Wi-Di 등의 연결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TV 설정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설정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 이와 같이, 상기 화면 공유 기술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유용한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유저는 그 이용 과정이 복잡하여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은 상기 화면 공유 기술의 이용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에 화면 공유(screen share)를 종래보다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있도록 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동글(dongle)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에 화면 공유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면 공유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interrupt)를 포함한 다양한 이벤트(event)에 따른 대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동글이 결합된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되는 제1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글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식별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에 화면 공유(screen share)를 종래보다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글(dongle)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에 화면 공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 공유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interrupt)를 포함한 다양한 이벤트(event)에 대한 대응을 적절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다른 구성 또는 상세 구성에 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글을 이용한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글의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동글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동글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동글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화면 공유 예시;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디지털 TV와 동글의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리모컨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내지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동글이 결합 시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등은 단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양자는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로 기술한 경우에도 그것이 순서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용어의 설명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러한 용어나 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단지 그 명칭이 아니라 그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명세서 또는/및 도면에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컨텐트를 수신, 처리(디코딩과 같거나 그를 포함), 출력/디스플레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역시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방송국 등 서버, 외부 입력 등을 통해 상기 컨텐트나 상기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 등과 상기 컨텐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상호 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고정형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디바이스에는 네트워크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 IPTV(Internet Protocol TV),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울트라북,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2와 3은 고정형 디바이스의 하나인 디지털 TV를, 그리고 도 4와 5는 각각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로 이동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예로 도시하였으며, 해당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가 고정형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단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만을 구비하거나 사이니지(Signage) 형태일 수 있고, 셋톱박스(Set-Top Box, STB)일 수도 있고, 또는 상술한 양자를 포함한 세트(SET)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는, 전술한 서버와 디지털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또는 연결,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등을 위한 모든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표준에 의해 현재 지원되거나 향후 지원될 네트워크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Wi-Fi), Wi-Fi 다이렉트(dire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등과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범용 OS(Operating System), 웹OS(Web OS)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범용 OS 커널(OS kernel),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등에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추가, 삭제, 수정, 업데이트 등 처리가 가능하며, 그를 통해 더욱 유저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은, 서로 통신 가능하며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디지털 디바이스들(110,120,13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디지털 디바이스들(110,120,130) 사이의 통신 내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하거나 상기 복수 개의 디지털 디바이스들(110,120,130) 중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위하여 서버(105)가 서비스 시스템에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105)는 경우에 따라, 게이트웨이(gateway), 중계기, 갭필러, 통신 중계기 등 다양한 프로세서(processor) 내지 디바이스이거나 그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비록 디지털 디바이스로 디지털 TV(110), 스마트폰(120), 스마트 워치(130)만 도시되었으나, 그 밖의 다양한 디바이스들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복수 개의 디지털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나머지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디지털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구체적인 제어 과정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 내지 5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구성 블록도를 예로 설명한다. 후술하는 도 2 내지 5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디지털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각각 싱글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복수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화면 공유 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로,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TV(110)를 예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TV(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2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2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203), SI 디코더(204), 역다중화부(demuxer or demultiplexer)(2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2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2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2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210),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SI & metadata DB)(211),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212), 서비스 매니저(213), UI 매니저(2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 (IP) packet(s)) 또는 IP 데이터그램(들)(IP datagram(s))(이하 ‘IP 패킷(들)’이라 한다)을 서버(105)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105)로 송신한다. 일 예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도 1의 서버(105)로부터 지상파, 케이블, 위성, IP 등 매체를 통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컨텐트, 방송 프로그램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CP/IP 매니저(202)는, 디지털 TV(2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디지털 TV(20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와 목적지 사이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상기 TCP/IP 매니저(202)는 수신된 패킷(들)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으로 상기 분류된 패킷(들)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하여 역다중화부(205)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213)의 제어에 따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한다.
역다중화부(2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or Signaling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 SI 디코더(204)에 전송한다.
SI 디코더(204)는, 역다중화된 SI 데이터 즉,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rmation), DTMB/CMMB(Digital Television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ing/Coding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등 다양한 표준에 의해 송/수신단 사이에 약속된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또한, SI 디코더(204)는, 디코딩된 서비스 정보들을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의 요청 등에 의해 해당 구성에 의해 독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는,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하여 유저에게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와 서비스 매니저(213)를 포함하며, 디지털 TV(200)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디지털 TV(2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
UI 매니저(214)는, 유저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UI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유저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디바이스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는 유저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213)에 전송한다.
서비스 매니저(2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213)는, 채널 맵을 생성하고 UI 매니저(2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된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 등을 제어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는 SI 디코더(204)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역다중화부(205)에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되는 PID는 상술한 역다중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역다중화부(205)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SI 데이터를 필터링(PID or section filtering) 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유저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S 게이트웨이(250)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매니저(2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SI 디코더(2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2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가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IMS 게이트웨이(2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이다.
도 2에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 애플리케이션 매니저의 적어도 일 구성, 후술하는 도 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 후술하는 도 4의 무선통신부(410)의 일 구성이나 인터페이스부(470), 후술하는 도 5의 일 구성 등은 유저,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등과의 통신 내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다른 구성 또는 상세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디지털 TV는, 방송 수신부(305),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 저장부(318), 유저 인터페이스부(320), 제어부(325), 디스플레이부(330), 오디오 출력부(335), 전원 공급부(34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310), 복조부(3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튜너(310)와 복조부(312)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310)를 거쳐 복조부(312)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30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3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3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325)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310)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312)는, 튜너(3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12)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RS)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3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복조부(3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325)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25)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33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디지털 TV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블루투스 디바이스,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디지털 TV의 제어부(325)로 전달한다. 제어부(325)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TV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 단자, HDMI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TV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DLNA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여, 제어부(325) 또는 저장부(318)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디지털 TV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 (Wi-Fi), Wibro, Wimax, HSDPA 통신 표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유저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TV에 미리 등록된 다른 유저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중 선택된 유저 또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디지털 TV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18)는, 제어부(325)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318)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18)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18)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4)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18)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18)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TV는, 저장부(318)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a는 저장부(318)가 제어부(325)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저장부(318)는 제어부(325)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는, 유저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25)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25)의 신호를 유저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제어 디바이스(345)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325)의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디바이스(345)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25)에 전달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는, 유저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25)에 전달하거나, 제어부(325)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튜너(310), 복조부(312)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3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5)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3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어부(325)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디지털 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5)는, 튜너(310)를 제어하여, 유저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입력된 유저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TV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유저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TV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5)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3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325)는, 유저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30) 또는 오디오 출력부(33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325)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330) 또는 오디오 출력부(33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25)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318)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5)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지털 TV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5)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TV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5)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TV는,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3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325)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325)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25)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부(325)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16)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335)는, 제어부(325)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5.1 채널 등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33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유저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TV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에서 감지된 신호는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제어부(325)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유저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325)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25)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유저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40)는, 디지털 TV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325)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33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34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디바이스(345)는, 유저 입력을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32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디바이스(345)는, 블루투스, RF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 지그비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디바이스(345)는, 유저 인터페이스부(32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 제어 디바이스(345)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TV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350), 영상 처리부, OSD 생성부(366), 믹서(mixer)(37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380), 및 포맷터(formatter)(3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5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35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5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는, 영상 디코더(362) 및 스케일러(364)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6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364)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한다. 영상 디코더(362)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362)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 방식 또는 H.264/H.265 등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H.265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37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66)는, 유저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66)는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이나 텍스트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TV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시청률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366)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370)는, OSD 생성부(366)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하여 포맷터(39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38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
포맷터(39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9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9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80)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이면,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TV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TV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TV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의 다른 예로는, 도 3a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30)와 오디오 출력부(335)가 제외된 셋톱-박스(STB),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 예로 이동 단말기(120)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400)는, 무선 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유저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전원 공급부(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이동 단말기(4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 통신 모듈(412), 무선 인터넷 모듈(413), 근거리 통신 모듈(414), 위치 정보 모듈(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과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하며,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4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을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예를 들어, ATSC,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S(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4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와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4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4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Fi), Wibro, Wimax, HSDP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RS-232, RS-385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415)은,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예로 할 수 있다.
A/V 입력부(420)는, 오디오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421)와 마이크(4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4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4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4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4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4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4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입력부(430)는, 유저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유저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440)는, 이동 단말기(4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유저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4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4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가 이동되거나 기울어진 경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내지 기울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470)의 외부 디바이스 결합 여부 등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44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 근접 센서(3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451), 음향 출력 모듈(452), 알람부(453), 및 햅틱 모듈(4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4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유저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4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451)는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4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부(4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4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이동 단말기(4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 부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453)는, 이동 단말기(4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4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51)나 음성 출력 모듈(4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451,452)은 알람부(4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454)은, 유저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4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저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이동 단말기(4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460)는, 제어부(4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인터넷 상에서 상기 메모리(4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4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4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유저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유저 인증 모듈(Universal SIM,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이하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카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디바이스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4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유저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4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터치-스크린상에서 이루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DSPs, DSPDs, PLDs, FPGAs,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4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 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460)에 저장되고, 제어부(4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동작 또는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HMD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이동 단말기(4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4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4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4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즉, 스마트 워치(500)는 디스플레이부(551)를 구비하는 본체(501) 및 본체(5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5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워치(500)는 도 4의 이동 단말기(4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5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 케이스(501a) 및 제2 케이스(5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5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 워치(5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5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5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5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5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51)의 윈도우(551a)는 제1 케이스(5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5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501)에는 음향 출력부(552), 카메라(521), 마이크로폰(522), 유저 입력부(5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유저 입력부(5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5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5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5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502)는 본체(5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유저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5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502)에는 파스너(fastener; 5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502a)는 버클,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5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 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미도시)이나 제어 수단(입력 수단)이 이용된다.
한편, 제어 수단은 유, 무선 통신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610), 키보드(630), 포인팅 디바이스(6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되나,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전용의 제어 수단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 목적이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이동 단말기 등도 제어 수단에 포함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포인팅 디바이스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수단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DLNA,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다.
리모컨(610)은,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입력 수단을 말한다.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자이로 센서 등을 탑재하여 유저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를 구현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소정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키보드(630)는, 디지털 디바이스(6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6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한편, 리모컨(610), 포인팅 디바이스(620), 키보드(630) 등 제어수단은,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에 화면 공유를 동글(dongle)을 이용하여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화면 공유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interrupt)를 포함한 다양한 이벤트(event)에도 적절히 대응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TV를 그리고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화면 공유 기술로 미라캐스트(Miracast) 방식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공유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와이파이-다이렉트, 블루투스 등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표준서(Standard)에서 정의된 기술은 그대로 차용한다. 따라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그 밖에, 이하 도 7 내지 18에 도시된 각 도면과 해당 기술 내용은 그 자체로 하나의 실시 예일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도면과 해당 기술 내용과 조합하여 하나의 실시 예가 될 수도 있다. 또한, 각 도면이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실시 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비록 특정 도면에 대한 내용으로 기술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이 다른 도면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도 7 내지 18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단위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동글이 결합된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되는 제1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글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식별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에서, 동글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식별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 데이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네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동글이 결합된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를 전송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컨텐트 미출력에 따른 제어 커맨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커맨드(control command)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넌-리스닝 모드(non-listening mode)를 리스닝 모드(listening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가 최초 수신 이후에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 미수신과 관련된 제어 커맨드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커맨드 브로드캐스트 이후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가 재수신되면, 상기 재수신되는 제1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컨텐트 출력, 팝-업 윈도우, 또는 상기 제1 컨텐트 출력 이전에 실행 중이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신부는,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 수신 중, 상기 동글이 결합된 제2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2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2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컨텐트를 상기 제1 컨텐트를 대체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2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컨텐트를 상기 제1 컨텐트와 화면 분할 또는 PIP 형태로 화면상에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동글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결합되면, 상기 동글 내 식별 데이터를 읽은 후 상기 동글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동기화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된 리모컨 펌웨어 데이터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상기 동글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TV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글을 이용한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의 화면 공유의 개략도이다.
도 7a는 디지털 TV(710)를, 도 7b는 화면 공유를 위한 동글(720)을, 도 7c는 상기 동글(720)이 삽입된 이동 단말기(730)를 그리고, 도 7d는 상기 이동 단말기(730)의 화면을 출력하는 디지털 TV(710’)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TV(710)와 이동 단말기(730) 사이에 화면 공유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TV(710)와 이동 단말기(730) 각각은, 상기 화면 공유를 위하여 복잡한 설정 과정이 요구되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화면 공유 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반면, 본 발명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글(725)을 이동 단말기(720)에 하드웨어적으로 삽입, 부착, 결합 등(이하 ‘결합’)시킴으로써, 종래 화면 공유 기술에 비하여 손쉽게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730)의 화면을 디지털 TV(710)의 스크린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공유 방법과 관련하여, 동글(720)과 이동 단말기(730)의 관련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글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8과 9에서는 예컨대, 화면 공유 기술을 지원하는 각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들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동글(720)은 프로세서(810), 메모리(820), 커넥터(8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810)는 동글(720) 내 모든 구성을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82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라 함은, 상기 동글(720)을 통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에 화면 공유 기술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로 예컨대, 동글이 결합된 디바이스의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바이스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820)는 동글이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TV의 supplementId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 예로, 상기 디지털 TV의 supplementId(82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TV의 mac_address 데이터, device_name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upplementId(825)는 텍스트, xml, html 등 다양한 형태로 상기 메모리(820)의 특정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30)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결합하며 결합된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커넥터(830)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830)는 편의상 USB 또는 마이크로 USB 타입을 예로 한다. 다만, 상기 커넥터(830)의 타입은 상기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730)의 구성으로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730)에 결합되는 상술한 동글(720)과 관련된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비록 도 9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필요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730)는 입력 포트(910), 프로세서(920), 메모리(9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은 예컨대, 도 4의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메모리(460) 등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입력 포트(910)는, 동글(720)과 결합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예로, 상기 입력 포트(910)는 상기 동글(720)의 타입에 따라 USB 포트 또는 마이크로 USB 포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920)는, 이동 단말기(730)의 전반적인 제어를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920)는 특히, 상기 결합되는 동글(720)을 인식하고, 입력 포트(9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동글(720)의 데이터를 식별한다. 상기 프로세서(920)는, 상기 인식된 동글(720)에 supplementId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920)는 상기 수신되는 동글(720)의 데이터로부터 supplementId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supplementId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supplementId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730) 내 화면 공유 기능을 론칭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기능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것이다.
상기 메모리(930)는, 상기 결합된 동글(720)로부터 입력 포트(91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93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는 전술한 도 8의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TV의 supplementId(825)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동글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화면 공유를 위하여 동글(720)을 이동 단말기(730)에 결합하였으나, 디지털 TV(710)가 리스닝 모드(listening mode)가 아닌 즉, 넌-리스닝 모드(non-listening mode)인 경우에 그 처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스닝 모드라 함은 예컨대, 디지털 TV(710)가 동글(720)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730)로부터 화면 공유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TV(710)가 화면 공유 데이터를 받을 수 없는 상태를 넌-리스닝 모드라 한다. 상기 넌-리스닝 모드는, 디지털 TV(710)가 통신 인터페이스가 턴-오프(turn off), 파워 오프(power off), 파워 온이나 스탠바이(stand-by) 상태 중 어느 하나의 경우를 예로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지털 TV(710)는 넌-리스닝 모드 상태이다(S1002).
상기 디지털 TV(710)가 넌-리스닝 모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동 단말기(730)가 결합된 동글(720)을 인식하면(S1004), 상기 이동 단말기(730)는 상기 인식된 동글(720) 내 supplementId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s1006), 상기 supplementId가 포함되어 있으면 미라캐스트 실행한다(S1008).
이동 단말기(730)는 상기 미라캐스트가 실행되면, 제1 데이터를 디지털 TV(710)로 전송한다(S1010).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730)에서 미라캐스트가 실행되어 화면 공유 요청 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730)에서 디지털 TV(710)로 실제 화면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기 이전에 전송하는 각종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710)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디지털 TV(710)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상기 디지털 TV(710)가 넌-리스닝 모드로 판단하여 제2 데이터를 전송한다(S1012). 상기 제2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 응답이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730)는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바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한 번 이상 제1 데이터를 재전송하고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전송에도 불구하고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TV(710)의 넌-리스닝 모드를 리스닝 모드로의 전환 요청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이동 단말기(730)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여 디지털 TV(710)에 자신이 화면 공유 준비가 되었으며 화면 공유 데이터 수신 요청을 한다. 이러한 제2 데이터는 예컨대, 상기 제1 데이터를 재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TV(710)에서 이동 단말기(730)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에 따라 화면 공유를 위한 준비 다시 말해, 리스닝 모드로 전환한다(S1014). 디지털 TV(710)는 상기 리스닝 모드로 전환 이후에 자신이 이제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 가능함을 알리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응답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730)로 리턴한다(S1016).
이동 단말기(730)는 디지털 TV(710)로부터 응답 신호가 리턴되면, 제3 데이터 즉, 실제 화면 공유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TV(710)로 전송한다(S1018).
디지털 TV(710)는 이동 단말기(730)로부터 실제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기초하여 컨텐트를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020).
상기 화면 공유를 위하여 디지털 TV(710)와 이동 단말기(73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신호 등은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또는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또는/및 제2 데이터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BLE(Blooth Low Energy)에 기반하여 송/수신되나 제3 데이터는 와이파이, 와이파이-다이렉트에 기반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동글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11은 디지털 TV(710)와 이동 단말기(730) 사이에 소정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화면 공유 중 상기 이동 단말기(730)가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정의된 또는 상기 디지털 TV(710)가 화면 공유 가능한 커버리지(coverage)를 이탈하거나 네트워크 사정이 안 좋은 경우 등의 인터럽트 내지 이벤트(이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에 관한 것이다. 편의상 전자 즉, 커버리지에 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730)에서 동글(720)이 결합되었음을 인식하면(S1102),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전송한다(S1104,S1106).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는 전술한 도 10의 제1 데이터와 제3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디지털 TV(710)는 이동 단말기(730)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컨텐트를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1108).
S1108 단계를 통해 디지털 TV(710)에서 이동 단말기(730)의 화면을 공유 중에, 상기 이동 단말기(730)가 화면 공유 가능한 커버리지를 이탈하였다고 하자. 관련하여, 상기 디지털 TV(710)는 S1108 단계 이후 이동 단말기(730)로부터 제2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계속하여 체크한다(S1110).
상기 S1110 단계 체크 결과, 만약 제2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73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디지털 TV(710)는 이동 단말기(710)로부터 제2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한다(S1112). 이러한 신호의 브로드캐스트는 예컨대, 종래 디지털 TV(710)와 이동 단말기(730) 사이에 화면 공유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고 그보다 커버리지가 넓은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때 이동 단말기(730)는 상기와 같이, 디지털 TV(710)의 화면 공유 커버리지를 이탈하면 그에 관한 팝-업 윈도우 등을 화면을 통해 제공하여 유저가 인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화면 공유 중인 경우에 디지털 TV(710)에서 주기/비주기로 화면 공유 중임을 알리는 등의 신호 피드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화면 공유 중 일정 주기로 상기 피드백 신호가 디지털 TV(710)에서 이동 단말기(730)로 전송된다면, 이동 단말기(730)에서 해당 주기에도 불구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화면 공유가 중단될 수 있음을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팝-업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730)가 이동 중이라면 상기 화면 공유 가능한 커버리지를 이탈하였음을 식별 가능하고, 이동 중이 아니라면 네트워크 사정이 문제가 있음을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유저는 상기 이벤트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손쉽고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TV(710)는 상기 S1112 단계의 신호 브로드캐스트 이후에 계속하여 이동 단말기(730)의 재진입 여부를 체크한다(S1114).
상기 재진입 여부 체크 결과, 만약 이동 단말기(730)가 화면 공유 커버리지 내로 재진입하였으면, 별도의 인증 등의 절차 없이 다시 컨텐트를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116).
다만, 상기 재진입 여부 체크 결과, 만약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상기 이동 단말기(730)가 화면 공유 커버리지 내로 재진입하지 않으면, 화면 공유를 위한 연결을 해제하고 그에 관한 팝-업 윈도우 또는 화면을 전환한다(S1118). 여기서, 상기 화면 전환은 예컨대, 화면 공유 이전에 시청 중인 애플리케이션, 채널 등으로 전환할 수도 있고 또는 화면 공유된 컨텐트와 관련하여 디지털 TV(710) 내부 또는 외부에 동일 또는 유사 컨텐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외부는 인터넷 등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동일 또는 유사 컨텐트가 복수 개이면, 이에 관한 리스트를 제공하여 선택에 따를 수도 있다. 한편, S1118 단계와 관련하여, 예컨대 상기와 같이 화면 전환 이후에 만약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디지털 TV(710)로 아무런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TV(710)를 시청할 유저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디지털 TV(710)의 전원 오프에 관한 메시지 등을 제공 이후에 전원 오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우에 다른 수단 등을 통해 이동 단말기(730)의 화면 공유 커버리지 이탈 이후에 디지털 TV(710) 시청 유저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TV와 동글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예컨대, 하나의 디지털 TV(710)에 동글이 결합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1210,1220)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처리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동글이 결합되면 상기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지털 TV)의 supplementId에 기초하여 화면 공유를 시작하고, 상기 화면 공유 시작 이후에는 상기 동글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결합 해제되더라도 화면 공유 종료 요청과 같은 이벤트가 없는 한 상기 화면 공유를 계속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하나의 동글이 제1 이동 단말기(1210)와 결합하여 화면 공유 시작 후, 상기 동글이 다시 제2 이동 단말기(1220)와 결합하여 화면 공유를 디지털 TV(710)로 요청할 수도 있다. 이의 처리에 관한 실시 예가 도 12에 개시되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이동 단말기(1210)는 동글이 결합되었음을 인식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디지털 TV(710)로 전송한다(S1202,S1204,S1206).
디지털 TV(710)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210)로부터 수신되는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컨텐트를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208).
여기서, 동글이 제1 이동 단말기(1210)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제2 이동 단말기(1220)에 결합되면, 제2 이동 단말기(1220)는 상기 동글이 인식되면, 전술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3 데이터와 제4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TV(710)로 전송한다(S1210,S1212,S1214).
이때, 디지털 TV(710)는 제1 이동 단말기(1210)와의 화면 공유에 따른 제1 컨텐트를 출력 중에 상기 S1214 단계에 따라 제2 이동 단말기(1220)의 제4 데이터가 수신되면, 새로운 화면 공유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윈도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216).
디지털 TV(710)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팝-업 윈도우에 대한 선택에 따라, 제1 컨텐트를 제2 컨텐트로 대체하여 스크린상에 제공하거나 상기 제1 컨텐트와 제2 컨텐트를 화면 분할하여 함께 제공한다(S1218).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화면 공유 예시이다.
도 13과 14는 각각 동글이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과 결합된 경우에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고, 도 15는 동글이 하나의 이동 단말기와 결합하였으나 복수의 디지털 TV와 화면 공유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디지털 TV(710)는 동글(1310)이 제1 이동 단말기(1320)와 결합되면, 전술한 도 7 내지 12에 기초하여 화면 공유를 시작하게 되고, 화면(1330)상에 상기 동글이 결합된 제1 이동 단말기(1320)의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에 해당하는 컨텐트(제1 컨텐트)를 출력한다.
이후, 디지털 TV(710)는 상기 동글(1310)이 제1 이동 단말기(1320)와 결합 해제되더라도 계속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320)와 관련된 제1 컨텐트를 화면 공유하나, 상기 동글(1320)이 제2 이동 단말기(1350)와 결합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텐트를 대신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350)의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컨텐트(제2 컨텐트)를 화면(1360)상에 출력할 수 있다.
반면, 도 14의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에서 디지털 TV(710)에서 제1 이동 단말기(1310)에 관한 제1 컨텐트를 화면상에 출력 중에 상기 동글이 제2 이동 단말기(1350)와 결합에 따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1350)에 관한 제2 컨텐트를 기존 제1 컨텐트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화면상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분할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컨텐트를 전체 화면을 통해 제공하고 나머지 컨텐트를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POP(Picture of Picture)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4의 방식은 예컨대, 적어도 3개 이상의 이동 단말기가 하나의 디지털 TV(710)와 화면 공유를 시도하는 경우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5의 경우에는, 전술한 도 13 내지 14와 달리, 동글이 결합된 하나의 이동 단말기와 복수의 디지털 TV들 사이의 화면 공유 방법이다. 이는 상기 동글에 예컨대, 복수의 디지털 TV들에 대한 supplementId가 저장되면,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동글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와 화면 공유하는 복수의 디지털 TV들 각각은 동일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이동 단말기가 멀티-뷰를 구성하거나 화면 공유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각 디지털 TV 화면상에 서로 다른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는 동글이 결합될 때, 화면 공유 가능한 디지털 TV에 대한 항목과 화면 공유할 애플리케이션 항목 등에 대한 팝-업 윈도우와 같은 UI를 제공하고, 그 선택에 따라 디지털 TV와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지털 TV(1510)에서 뉴스를 그리고 제2 디지털 TV(1520)에서 영화를 제공 중이라고 하자. 이때, 동글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디지털 TV(1510)에 웹 브라우저 실행 화면을 그리고 상기 제2 디지털 TV(1520)에 게임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각각 화면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글이 결합된 이동 단말기상에 재난 문자와 같이 긴급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이를 상기 제1 디지털 TV(1510)와 제2 디지털 TV(1520) 모두에 동일하게 화면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디지털 TV와 동글의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동글은 디지털 TV와 세트로 판매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세트로 판매되는 경우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된 supplementId는 상기 세트인 디지털 TV의 supplementId일 수 있다.
다만, 어떠한 이유에 의하여, 동글이 리셋(reset)되거나 추가로 다른 디지털 TV의 supplementId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6a와 같이 동글을 해당 디지털 TV와 결합하면, 해당 디지털 TV의 supplementId를 동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글이 디지털 TV에 결합되면, 상기 디지털 TV는 도 16b와 같은 OSD 윈도우 또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동글을 마치 USB와 같은 외부 저장장치처럼 이용할 수도 있어 디지털 TV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데이터도 선택적으로 상기 동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동글은 주로 화면 공유를 위한 디지털 TV의 supplementId를 저장하나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에 동글을 결합함으로써 해당 디지털 TV로부터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리모컨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내지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글을 디지털 TV와 결합함으로써 상술한 다양한 데이터에 상기 디지털 TV를 위한 리모컨의 펌웨어 또는 상기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과 같이, 리모컨(1710) 등에 상기 동글(1720)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리모컨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는, 리모컨(1710)이 해당 디지털 TV를 위한 키 버튼 데이터 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리모컨(1710)에 상기 디지털 TV를 위한 키 버튼 데이터 등이 저장된 동글(1720)을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동작 없이 바로 해당 디지털 TV 제어를 위한 입력 수단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동글이 결합 시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동글이 결합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미라캐스트와 같이 화면 공유 기능을 활성화하여 화면 공유를 바로 시작하였다. 다만, 도 18a와 같이, 상기 동글이 이동 단말기에 결합되면, 이동 단말기는 도 18b와 같이 디지털 TV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한편,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도 18a와 같이, 동글이 결합되어 인식되면, 화면 공유 기능과 도 18b의 디지털 TV 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UI를 제공하고 그 선택에 따라 처리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술한 기능 내지 실행 외에 다양한 기능 내지 실행 등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UI를 통해 제공되고, 그 선택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에 화면 공유를 종래보다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동글을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화면 공유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interrupt)를 포함한 다양한 이벤트(event)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및 디지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해당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상기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일 뿐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2: TCP/IP 매니저
203: 서비스 전달 매니저 204: SI 디코더
205: 역다중화부 206: 오디오 디코더
207: 비디오 디코더 208: 디스플레이부
209: 서비스 제어 매니저 2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211: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212: 메타데이터 매니저
213: 서비스 매니저 214: UI 매니저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동글이 결합된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되는 제1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글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식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글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식별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 데이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네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글이 결합된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를 전송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컨텐트 미출력에 따른 제어 커맨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넌-리스닝 모드를 리스닝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가 최초 수신 이후에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 미수신과 관련된 제어 커맨드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커맨드 브로드캐스트 이후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가 재수신되면, 상기 재수신되는 제1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컨텐트 출력, 팝-업 윈도우, 또는 상기 제1 컨텐트 출력 이전에 실행 중이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1 화면 공유 데이터 수신 중, 상기 동글이 결합된 제2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제2 화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2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컨텐트를 상기 제1 컨텐트를 대체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2 화면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컨텐트를 상기 제1 컨텐트와 화면 분할 또는 PIP 형태로 화면상에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글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결합되면, 상기 동글 내 식별 데이터를 읽은 후 상기 동글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동기화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된 리모컨 펌웨어 데이터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상기 동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60134395A 2016-10-17 2016-10-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80041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95A KR20180041961A (ko) 2016-10-17 2016-10-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95A KR20180041961A (ko) 2016-10-17 2016-10-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961A true KR20180041961A (ko) 2018-04-25

Family

ID=6208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395A KR20180041961A (ko) 2016-10-17 2016-10-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9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990A1 (en) * 2019-06-26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262920A1 (en) * 2019-06-26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14465838A (zh) * 2022-02-16 2022-05-10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智能家居系统及多屏控制方法
KR102463351B1 (ko) * 2021-09-15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544083B2 (en) 2019-06-26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990A1 (en) * 2019-06-26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262920A1 (en) * 2019-06-26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1866A (ko) * 2019-06-26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02282B2 (en) 2019-06-26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11544083B2 (en) 2019-06-26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63351B1 (ko) * 2021-09-15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42950A1 (ko) * 2021-09-15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4465838A (zh) * 2022-02-16 2022-05-10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智能家居系统及多屏控制方法
CN114465838B (zh) * 2022-02-16 2023-10-3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智能家居系统及多屏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9955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KR102273751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EP3141986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US10324595B2 (en)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KR20120116613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102348957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196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42086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3811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3763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06760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US11470375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in
KR201700475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189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3492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0456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8664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18562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88149B1 (ko) 영상 전송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73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2097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50035153A (ko) 디지털 기기 및 그의 다중 채널 서비스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23519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84060A (ko)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