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459A -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459A
KR20170031459A KR1020150129024A KR20150129024A KR20170031459A KR 20170031459 A KR20170031459 A KR 20170031459A KR 1020150129024 A KR1020150129024 A KR 1020150129024A KR 20150129024 A KR20150129024 A KR 20150129024A KR 20170031459 A KR20170031459 A KR 20170031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bracket
printed steel
layer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019B1 (ko
Inventor
박영준
안희석
박현종
김지용
이선웅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0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활도와 심미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프린트 강판(패턴 혹은 칼라 강판)을 이용하여 건축물 내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Architectural Printed Steel-sheet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활도와 심미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프린트 강판(패턴 혹은 칼라 강판)을 이용하여 건축물 내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내외장 벽면 하지 작업 마감을 할 경우, 주로 석고보드와 내수합판이 건축시장에서 주요 자재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석고보드 혹은 내수합판의 경우 외관의 심미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석고보드 혹은 내수합판 위에 본드나 풀을 바르고 종이 벽지를 바르거나, 한면에 접착재 처리가 된 합성수지 성분의 시트지를 바름으로써, 건물의 내외장 마감을 하여 심미성을 보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건축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 종이 벽지 혹은 시트지를 바르는 경우, 다량의 본드가 사용됨으로써, 시공 완료 후에도 벽지에서 장기간 악취 발생.
- 석고보드, 내수합판은 습기에 매우 취약하여, 결로발생시 곰팡이 발생 및 구조 성능이 급속히 저하됨.
- 내수합판, 벽지, 및 시트지는 화재에 매우 취약.
특히, 최종 마감재의 경우, 최근 한국 건축법 시행령 개정(2015.5.28시행)에 의해 난연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난연성을 가진 구조체로 내외장재를 구성할 필요성이 높아졌으나, 기존의 석고보드 및 내수합판을 이용한 방식의 경우 난연성을 확보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해, 석고보드 및 내수합판을 이용하면서 다른 최외측 마감재를 난연성을 가진 재질로 적용하는 기술이 고안되어 왔으나, 기존 시공방식에서 마감재만 난연성을 가진 재질을 도입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실제적으로 적용이 되지 못하고, 실험적인 단계에서 대부분이 중단되었다.
- 석고보드와 내수합판으로 하지를 구성할 경우 벽지와 시트지처럼 유연하고 부드러운 재질의 마감재의 경우 비교적으로 용이하게 붙일 수 있지만, 다른 난연성을 갖는 재질의 경우 대부분이 강도가 강하고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정한 부착강도 유지가 매우 어려움.
- 마감상태의 경우, 직진도와 평활도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나, 벽지와 시트지 마감이 적용되는 대부분의 경우 석고보드와 내수합판 작업에서 이러한 직진도와 평활도의 품질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벽지와 시트지의 직진도와 평활도가 결정됨. 그러나, 마감재가 벽지 혹은 시트지가 아닌 경우, 석고보드와 내수합판과 강도가 비슷하거나 혹은 오히려 강도가 더욱 강하여, 하지 작업에 있어서 평활도와 직진도를 잡아주지 못하고, 마감재의 반곡에 오히려 하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특히 석고보드의 경우 심재인 석고와 외피인 종이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함.
- 기존 액상 본드의 사용의 경우, 벽지와 시트지가 아닌 이보다 중량이 무거운 난연성 자재를 사용하는 경우, 액상 본드가 굳어지며 접합력을 발휘하는 시점까지 고정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현장에서의 시공이 거의 불가능하고,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조립공장에서 석고보드나 내수합판과 난연성 자재를 수평상태에서 접합하여 판넬 복합체를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나, 이는 실제 현장에서 요구하는 규격 사항들에 유동적으로 적응하기는 매우 어려워짐.
이와 같이, 현재 현장에서는 기존의 공법에서 문제가 되었던 시공성, 난연성, 직진도, 평활도 등에 대하여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에 대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해결법이 제시되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44699호 ‘건축용 내외장재 부착판넬’ (2007년 8월 2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평활도와 심미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프린트 강판(패턴/칼라 강판)을 이용하여 건축물 내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1 이상의 면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체; 상기 벽면 구조체에 결합되는 복합자재; 상기 복합자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재층; 및 상기 접착재층에 의하여 상기 복합자재에 부착되는 프린트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린트 강판은 소지층; 및 프린트 도막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결합용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의 1 이상의 면에는 제1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자재는 상기 벽면 구조체의 제1 타공과 상기 결합용 스크류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합자재에는 제2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상기 제1 타공에 수용되는 제1 수용블럭 및 상기 제2 타공에 수용되는 제2 수용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 스크류는 상기 제1 수용블럭 및 제2 수용블럭에 수용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는 1 이상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앙카;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의 1 이상의 면에는 제1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앙카에 의하여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벽면 구조체는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복합자재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재층은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재층은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이고,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는, 제1 접착재층; 상기 제1 접착재층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재; 상기 기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접착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재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는 초기 접착력 (Peel Adhension) 이 200 N/100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가 복수의 띠 형태로 상기 복합자재와 상기 프린트 강판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린트 강판은, 소지층; 상기 소지층 위의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의 프린트 도막층; 및 상기 프린트 도막층 위의 클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린트 강판은 상기 소지층 아래의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2 이상의 면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체; 상기 벽면 구조체에 일면에 결합되는 복합자재; 상기 복합자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재층; 상기 접착재층에 의하여 상기 복합자재에 부착되는 제1 프린트 강판; 상기 벽면 구조체의 타면에 결합되는 측면 복합자재; 상기 측면 복합자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측면 접착재층; 및 상기 측면 접착재층에 의하여 상기 측면 복합자재에 부착되는 제2 프린트 강판; 상기 제1 프린트 강판은 1 이상의 단부가 절곡된 형태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는 1 이상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측면 복합자재는 1 이상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앙카;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 측면 앙카; 측면 제1 브라켓; 및 측면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의 상기 일면에는 제1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앙카에 의하여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벽면 구조체는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복합자재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벽면 구조체의 상기 타면에는 측면 제1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앙카에 의하여 상기 측면 제1 브라켓 및 상기 벽면 구조체는 서로 결합하고, 상기 측면 제1 브라켓과 상기 측면 제2 브라켓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측면 제2 브라켓과 상기 측면 복합자재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측면 복합자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재층 및 상기 측면 접착재층은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재층 및 상기 측면 접착재층은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이고,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는, 제1 접착재층; 상기 제1 접착재층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재; 상기 기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접착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재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프린트 강판 및 제2 프린트 강판은, 소지층; 상기 소지층 위의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의 프린트 도막층; 및 상기 프린트 도막층 위의 클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프린트 강판 및 제2 프린트 강판은 상기 소지층 아래의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린트 강판을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적용함으로써, 시공 원가를 절감하고, 높은 내연성을 확보함과 함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수려한 미관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자재를 사용함으로써 평활도, 구조강도, 난연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마감재로서는 프린트 강판이 이용됨으로써 미관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층으로써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프린트 강판과의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시트지 혹은 벽지 부착을 위한 본드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환경오염과 악취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린트 강판과 복합자재를 조립하는 형태로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시공성이 비약적으로 높아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리벳, 볼팅이 아니라 접착층으로 복합자재와 프린트 강판을 접합시키기 때문에, 용접, 리벳, 볼팅으로 인한 칼라강판의 손상을 최소화 하고, 또한 최외장재인 프린트층을 두드리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강판의 울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 성능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패턴의 미려한 칼라강판을 최종 마감재로 보다 손쉽고, 보편적으로 사용 가능토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위치하는 부재가 프린트 강판이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에 있어서 시트지 등과 달리 프린트 강판의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각진 부분을 표현할 수 있고,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각진 형태가 아니라 라운드 진 형태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1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2 실시예의 앙카의 체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강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적어도 1 이상의 면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체(10); 상기 벽면 구조체(10)에 결합되는 복합자재(30); 상기 복합자재(3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접착재층(40); 및 상기 접착재층(40)에 의하여 상기 복합자재(30)에 부착되는 프린트 강판(50);을 포함하고, 상기 프린트 강판(50)은 소지층(50.2); 및 프린트 도막층(50.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공(11), 제2 타공(31), 제1 수용블럭(20), 제2 수용블럭(32), 및 결합용 스크류(33)는 4개의 세트가 될 수도 있고, 이들의 세트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벽면 구조체(10)는 콘크리트 벽면과 같은 구조체임이 바람직하고,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면을 가진 형태일 수도 있고, 다른 형태의 강도가 높은 구조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면 구조체(10)는 1 이상의 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합자재(30)는 난연성을 가진 복합자재(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자재(30)는 복합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소재를 포함하는 복합판넬, 더욱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복합판넬 혹은 스틸 복합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합판넬은 0.1 ~ 20mm의 두께를 가지는 상, 하판으로 구성되는 금속재 혹은 강판 사이에 난연2급 성능의 난연성을 갖는 심재를 접합시킨 복합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합자재(30)는 평활도와 직진도 및 강도가 매우 우수하며, 이는 내수합판과 석고보드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내수합판이나 석고보드와 비교시 화재와 습기 등의 노출시에 상대적으로 월등한 구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합자재(30)는 콘크리트 용벽, 각 파이프 등 구조체들과의 결합시에도 용접, 스크류 볼팅, 리벳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결합용 스크류(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1 이상의 면에는 제1 타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자재(30)는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제1 타공(11)과 상기 결합용 스크류(33)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복합자재(30)에는 제2 타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상기 제1 타공(11)에 수용되는 제1 수용블럭(20) 및 상기 제2 타공(31)에 수용되는 제2 수용블럭(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 스크류(33)는 상기 제1 수용블럭(20) 및 제2 수용블럭(32)에 수용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10)와 상기 복합자재(3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제2 타공(31)은 일단부의 경우, 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어 뾰족한 형태를 갖는 산형 부분을 갖는 타공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2 수용블럭(32)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용 스크류(33)는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타단부에는 플랜지 형태로 폭이 확장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자재(30)의 제2 타공(31)에 수용되는 상기 제2 수용블럭(32)은 건축용 타공자석이면 더욱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합자재(30)에 포함된 금속 재질에 의하여 제2 수용블럭(32)이 결합하게 되고, 이러한 제2 수용블럭(32)에 상기 결합용 스크류(33)가 결합됨으로써, 결합용 스크류(33)는 상기 복합자재(30)와 상기 벽면 구조체(1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제2 수용블럭(3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타공(31)은 상기 제2 수용블럭(32)의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1 실시예의 조립된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구조체(10), 복합자재(30), 접착재층(40), 프린트 강판(50)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벽면구조체와 복합자재(30)는 결합용 스크류(33)로 결합되고, 복합자재(30)와 프린트 강판(50)은 접착재층(40)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시공 편의성 혹은 다른 요구사항을 맞추기 위하여, 벽면 구조체(10)와 복합자재(30)는 서로 맞대어 있는 구조가 아니라,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구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단순히 결합용 스크류(33)가 복합자재(30)를 관통하여 벽면 구조체(10)에 체결되는 형태가 아니라, 결합용 스크류(33)가 제1 수용블럭(20)과 제2 수용블럭(32)에 그 양단이 경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결합용 스크류(33)의 길이를 확장하고, 제1 수용블럭(20)과 제2 수용블럭(32)에 수용된 부분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각면에 경사도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하측의 결합용 스크류(33) 그룹과 상측의 결합용 스크류(33) 그룹의 길이를 다르게 하거나, 혹은 좌측의 결합용 스크류(33) 그룹과 우측의 결합용 스크류(33) 그룹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하 혹은 좌우로 경사진 형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보다 나은 시공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구조체(10)와 상기 복합자재(30)는 1 이상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앙카(21); 제1 브라켓(22.1); 제2 브라켓(22.2); 제1 스크류(23.1), 제2 스크류(2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1 이상의 면에는 제1 타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앙카(21)에 의하여 상기 제1 브라켓(22.1) 및 상기 벽면 구조체(10)는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1 브라켓(22.1)과 상기 제2 브라켓(22.2)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 브라켓(22.2)과 상기 복합자재(30)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10)와 상기 복합자재(30)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벽면 구조체(10)와 제1 브라켓(22.1)은 상기 앙카(21)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은 제1 스크류(23.1)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2 브라켓(22.2)과 복합자재(30)는 제2 스크류(23.2)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공(11), 앙카(21), 제1 브라켓(22.1), 제2 브라켓(22.2), 제1 스크류(23.1), 및 제2 스크류(23.2)는 4개의 세트가 될 수도 있고, 이들의 세트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벽면 구조체(10)는 콘크리트 벽면과 같은 구조체임이 바람직하고,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면을 가진 형태일 수도 있고, 다른 형태의 강도가 높은 구조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면 구조체(10)는 1 이상의 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합자재(30)는 난연성을 가진 복합자재(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자재(30)는 복합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소재를 포함하는 복합판넬, 더욱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복합판넬 혹은 스틸 복합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합판넬은 0.1 ~ 20mm의 두께를 가지는 상, 하판으로 구성되는 금속재 혹은 강판 사이에 난연2급 성능의 난연성을 갖는 심재를 접합시킨 복합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합자재(30)는 평활도와 직진도 및 강도가 매우 우수하며, 이는 내수합판과 석고보드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내수합판이나 석고보드와 비교시 화재와 습기 등의 노출시에 상대적으로 월등한 구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합자재(30)는 콘크리트 용벽, 각 파이프 등 구조체들과의 결합시에도 용접, 스크류 볼팅, 리벳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1 이상의 면에는 제1 타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자재(30)는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제1 타공(11)과 앙카(21)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1 브라켓(22.1) 및 제2 브라켓(22.2)은 1차 절곡된 ‘ㄱ’ 형 브라켓임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브라켓은 도 3에 도시된 제1 스크류(23.1) 및 제2 스크류(23.2) 외에 다른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2 실시예의 조립된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구조체(10), 복합자재(30), 접착재층(40), 프린트 강판(50)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벽면구조체와 복합자재(30)는 앙카(21), 제1 브라켓(22.1), 제2 브라켓(22.2)으로 결합되고, 복합자재(30)와 프린트 강판(50)은 접착재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구조체(10)와 복합자재(30)는 서로 맞대어 있는 구조가 아니라,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구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단순히 결합용 스크류(33)가 복합자재(30)를 관통하여 벽면 구조체(10)에 체결되는 형태가 아니라, 2개의 브라켓에 의하여 벽면 구조체(10)와 복합자재(30)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부분의 브라켓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인 프린트 강판(50)에 경사를 부여하여,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보다 세련된 미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하측의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의 연결 길이와 상측의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의 연결 길이를 다르게 하거나, 혹은 좌측의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의 연결 길이와 우측의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의 연결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하 혹은 좌우로 경사진 형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에 있어서, 벽면 구조체(10)에 타 구조물과의 체결을 위한 앙카(21)와 브라켓 시공 과정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D)로 벽면 구조체(10)에 제1 타공 (11)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타공(11)에 앙카 (21)를 삽입하는 단계; 삽입된 앙카 (21)를 외부로부터 힘을 가해 벽면 구조체(10)에 더욱 확실하게 체결시키는 단계; 체결된 앙카(21)에 브라켓을 끼우고, 너트 등으로 더욱 견고하게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앙카(21)와 브라켓 구조 체결 구조를 가짐으로써, 금속재의 프린트 강판(5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 및 부착시킬 수 있고, 시공의 편의성을 비약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드 등을 사용하는 데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재층(40)은 접착 테이프임이 바람직하다. 건축용 접착 테이프가 최근 건축물들의 상호 접합에 조금씩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축용 접착 테이프는 통상 금속 부재가 아닌 합성수지 기반의 구조물들의 접합과 이음에 이용되어 왔을 뿐, 프린트 강판 및 내외장재의 마감재의 연결에는 이용되지는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접착 테이프를 강판 재질의 프린트 강판에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석고보드, 벽지, 시트지 등에서의 낮은 난연성, 본드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었고,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접착 테이프 구조를 단순히 사용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프린트 강판(50)의 직진도와 평활성을 개선할 수 있었고, 시공의 복잡성을 보다 감소시켰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로, 복합자재(30)의 평활도에 의하여 프린트 강판(50)의 직진도와 평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접착재는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는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는, 제1 접착재층; 상기 제1 접착재층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재; 상기 기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접착재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접착재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금속 재질의 프린트 강판(50)을 복합자재(30)에 보다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는 초기 접착력 (Peel Adhension) 이 200 N/100mm 이상이다. 이와 같은 초기 접착력의 경우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면서, 외부의 충격에도 접착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에 해당함을 본 발명자는 도출하였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재를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로 사용하는 경우, 이들은 복수의 띠 형태로 상기 복합자재(30)와 상기 프린트 강판(50) 사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표면으로 노출되는 프린트 강판(50)의 직진도 및 평활성이 중요하고, 이와 같은 직진도 및 평활성은 접착재를 띠 형상으로 나란하게 복수로 배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강판(50)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린트 강판(50)은 상기 프린트 강판(50)은 소지층(50.2); 상기 소지층(50.2) 위의 베이스층(50.3); 상기 베이스층 위의 프린트 도막층(50.4); 및 상기 프린트 도막층(50.4) 위의 클리어층(50.5)을 포함한다.
소지층(50.2)의 강판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공지의 강판들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지층(50.2)과 상기 베이스층(50.3) 사이에 인산 피막, 크로메이트 피막, 혹은 논-크로메이트 피막과 같은 화성피막의 전처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층(50.3)은 프린트 도막층(50.4)이 베이스 도막층에 흡착되는 부착성, 초기 건조성, 및 잉크 무늬의 선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입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불소형, 폴리 프로필렌,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 알키드계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층의 두께는 10 ~ 30 ㎛ 정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20 ㎛ 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두께를 사용하는 경우, 프린트 강판(50)으로서의 경제성, 색상, 및 물성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층의 소부조건은 170˚C ~ 250˚C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린트 도막층(50.4)은 수계 혹은 유성계 잉크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프린트 도막층(50.4)의 두께는 1 ~ 3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클리어층(50.5)은 베이스층 위에 적층된 프린트 도막층(50.4)을 보호하고, 전체적으로 표면에 광택을 내며, 전체적인 물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클리어층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실리콘 변성 폴리에테르, 알키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도막 두께는 약 3 ~ 18 ㎛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클리어층의 소부조건은 210˚C ~ 250˚C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린트 강판(50)은 상기 소지층(50.2) 아래의 도금층(50.1)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도금층(50.1)은 접착재와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금층(50.1)은 아연계 도금층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경우, 최외측에 표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프린트 강판이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에서 있어서도 프린트 강판 자체에 모서리를 형성하여, 모서리를 보다 부드럽게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2개의 절곡된 제1 프린트 강판(51)과 2개의 평면 제2 프린트 강판(52)을 사용함으로써, 모서리 부에 서로 다른 2개의 강판이 만나는 구조가 아니라, 하나의 강판이 모서리부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모서리부를 라운딩 처리를 한다거나 혹은 보다 부드럽게 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서로 다른 프린트 강판을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심미감과 재질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적어도 2 이상의 면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체(10); 상기 벽면 구조체(10)에 일면에 결합되는 복합자재(30); 상기 복합자재(3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접착재층(40); 상기 접착재층(40)에 의하여 상기 복합자재(30)에 부착되는 제1 프린트 강판(51);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8의 우측의 제1 프린트 강판(51)이 벽면 구조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타면에 결합되는 측면 복합자재(31); 상기 측면 복합자재(31)의 일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측면 접착재층(41); 및 상기 측면 접착재층(41)에 의하여 상기 측면 복합자재(31)에 부착되는 제2 프린트 강판(52)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8의 측면(중앙)의 제2 프린트 강판(52)이 벽면 구조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모서리부의 개선을 위하여, 모서리부에서 제1 프린트 강판(51)과 제2 프린트 강판(52)이 맞대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제1 프린트 강판(51)은 1 이상의 단부가 절곡된 형태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보다 나은 시공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구조체(10)와 상기 복합자재(30) 및 상기 측면 복합자재(31)는 1 이상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오른쪽 측에 있어서 본 발명의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앙카(21); 제1 브라켓(22.1); 제2 브라켓(22.2); 제1 스크류(23.1), 제2 스크류(2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1 이상의 면에는 제1 타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앙카(21)에 의하여 상기 제1 브라켓(22.1) 및 상기 벽면 구조체(10)는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1 브라켓(22.1)과 상기 제2 브라켓(22.2)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 브라켓(22.2)과 상기 복합자재(30)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10)와 상기 복합자재(3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1 프린트 강판(51)이 벽면 구조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측면(중앙)에 있어서 본 발명의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측면 앙카(24); 측면 제1 브라켓(25.1); 측면 제2 브라켓(25.2); 측면 제1 스크류(26.1), 측면 제2 스크류(26.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1 이상의 면에는 측면 제1 타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앙카(24)에 의하여 상기 측면 제1 브라켓(25.1) 및 상기 벽면 구조체(10)는 서로 결합하고, 상기 측면 제1 브라켓(25.1)과 상기 측면 제2 브라켓(25.2)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측면 제2 브라켓(25.2)과 상기 측면 복합자재(31)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10)와 상기 측면 복합자재(31)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2 프린트 강판(52)이 벽면 구조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벽면 구조체(10)와 제1 브라켓(22.1)은 상기 앙카(21)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은 제1 스크류(23.1)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2 브라켓(22.2)과 복합자재(30)는 제2 스크류(23.2)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벽면 구조체(10)와 측면 제1 브라켓(25.1)은 상기 측면 앙카(24)에 의하여 결합되고, 측면 제1 브라켓(25.1)과 측면 제2 브라켓(25.2)은 측면 제1 스크류(26.1)에 의하여 결합되고, 측면 제2 브라켓(25.2)과 복합자재(30)는 측면 제2 스크류(26.2)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공(11), 앙카(21), 제1 브라켓(22.1), 제2 브라켓(22.2), 제1 스크류(23.1), 및 제2 스크류(23.2)는 4개의 세트가 될 수도 있고, 이들의 세트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제2 프린트 강판(52)과 관련된 측면의 구조체도 마찬가지다.
상기 벽면 구조체(10)는 콘크리트 벽면과 같은 구조체임이 바람직하고,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면을 가진 형태일 수도 있고, 다른 형태의 강도가 높은 구조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면 구조체(10)는 1 이상의 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벽면 구조체(10)가 3면을 가진 구조라면, 프린트 강판(50)의 수는 3개가 되고, 이에 따른 체결 구조 모듈의 수도 3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자재(30) 및 상기 측면 복합자재(31)는 난연성을 가진 복합자재(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자재(30) 및 상기 측면 복합자재(31)는 복합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소재를 포함하는 복합판넬, 더욱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복합판넬 혹은 스틸 복합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합판넬은 0.1 ~ 20mm의 두께를 가지는 상, 하판으로 구성되는 금속재 혹은 강판 사이에 난연2급 성능의 난연성을 갖는 심재를 접합시킨 복합판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합자재(30) 및 측면 복합자재(31)는 평활도와 직진도 및 강도가 매우 우수하며, 이는 내수합판과 석고보드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내수합판이나 석고보드와 비교시 화재와 습기 등의 노출시에 상대적으로 월등한 구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합자재(30)는 콘크리트 용벽, 각 파이프 등 구조체들과의 결합시에도 용접, 스크류 볼팅, 리벳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일면에는 제1 타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자재(30)는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제1 타공(11)과 앙카(21)에 의하여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타면에는 측면 제1 타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복합자재(31)는 상기 벽면 구조체(10)의 측면 제1 타공(12)과 앙카(21)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1 브라켓(22.1), 제2 브라켓(22.2), 측면 제1 브라켓(25.1), 및 측면 제2 브라켓(25.2)은 1차 절곡된 ‘ㄱ’ 형 브라켓임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브라켓은 도 8에 도시된 제1 스크류(23.1) 및 제2 스크류(23.2) 외에 다른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일면에 벽면 구조체(10), 복합자재(30), 접착재층(40), 제1 프린트 강판(51)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타면에 벽면 구조체(10), 측면 복합자재(31), 측면 접착재층(41), 제2 프린트 강판(52)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일면에서는, 벽면구조체와 복합자재(30)는 앙카(21), 제1 브라켓(22.1), 제2 브라켓(22.2)으로 결합되고, 복합자재(30)와 제1 프린트 강판(51)은 접착재로 결합되는 구조이고, 타면도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벽면 구조체(10)와 복합자재(30) 혹은 측면 복합자재(31)는 서로 맞대어 있는 구조가 아니라,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구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단순히 결합용 스크류가 복합자재(30) 혹은 측면 복합자재(31)를 관통하여 벽면 구조체(10)에 체결되는 형태가 아니라, 2개의 브라켓에 의하여 벽면 구조체(10)와 복합자재(30)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부분의 브라켓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인 프린트 강판(50)에 경사를 부여하여,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보다 세련된 미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하측의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의 연결 길이와 상측의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의 연결 길이를 다르게 하거나, 혹은 좌측의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의 연결 길이와 우측의 제1 브라켓(22.1)과 제2 브라켓(22.2)의 연결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하 혹은 좌우로 경사진 형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제2 프린트 강판(52)이 부착되는 벽면 구조체(10)의 타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린트 강판을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적용함으로써, 시공 원가를 절감하고, 높은 내연성을 확보함과 함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수려한 미관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자재를 사용함으로써 평활도, 구조강도, 난연성능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마감재로서는 프린트 강판이 이용됨으로써 미관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층으로써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프린트 강판과의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시트지 혹은 벽지 부착을 위한 본드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환경오염과 악취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린트 강판과 복합자재를 조립하는 형태로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시공성이 비약적으로 높아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리벳, 볼팅이 아니라 접착층으로 복합자재와 프린트 강판을 접합시키기 때문에, 용접, 리벳, 볼팅으로 인한 칼라강판의 손상을 최소화 하고, 또한 최외장재인 프린트을 두드리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강판의 울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 성능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패턴의 미려한 칼라강판을 최종 마감재로 보다 손쉽고, 보편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위치하는 부재가 프린트 강판이기 때문에, 모서리진 부분에 있어서 시트지 등과 달리 프린트 강판의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각진 부분을 표현할 수 있고,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각진 형태가 아니라 라운드 진 형태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Claims (18)

  1. 적어도 1 이상의 면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체;
    상기 벽면 구조체에 결합되는 복합자재;
    상기 복합자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재층; 및
    상기 접착재층에 의하여 상기 복합자재에 부착되는 프린트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린트 강판은 소지층; 및 프린트 도막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결합용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의 1 이상의 면에는 제1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자재는 상기 벽면 구조체의 제1 타공과 상기 결합용 스크류에 의하여 결합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자재에는 제2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상기 제1 타공에 수용되는 제1 수용블럭 및 상기 제2 타공에 수용되는 제2 수용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 스크류는 상기 제1 수용블럭 및 제2 수용블럭에 수용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를 결합시키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는 1 이상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앙카;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의 1 이상의 면에는 제1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앙카에 의하여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벽면 구조체는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복합자재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를 결합시키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층은 접착 테이프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층은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이고,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는,
    제1 접착재층;
    상기 제1 접착재층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재;
    상기 기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접착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재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는 초기 접착력 (Peel Adhension) 이 200 N/100mm 이상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가 복수의 띠 형태로 상기 복합자재와 상기 프린트 강판 사이에 부착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강판은,
    소지층;
    상기 소지층 위의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의 프린트 도막층; 및
    상기 프린트 도막층 위의 클리어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강판은 상기 소지층 아래의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12. 적어도 2 이상의 면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체;
    상기 벽면 구조체에 일면에 결합되는 복합자재;
    상기 복합자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재층;
    상기 접착재층에 의하여 상기 복합자재에 부착되는 제1 프린트 강판;
    상기 벽면 구조체의 타면에 결합되는 측면 복합자재;
    상기 측면 복합자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측면 접착재층; 및
    상기 측면 접착재층에 의하여 상기 측면 복합자재에 부착되는 제2 프린트 강판;
    상기 제1 프린트 강판은 1 이상의 단부가 절곡된 형태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는 1 이상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측면 복합자재는 1 이상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는 앙카;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 측면 앙카; 측면 제1 브라켓; 및 측면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 구조체의 상기 일면에는 제1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앙카에 의하여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벽면 구조체는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복합자재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복합자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벽면 구조체의 상기 타면에는 측면 제1 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앙카에 의하여 상기 측면 제1 브라켓 및 상기 벽면 구조체는 서로 결합하고, 상기 측면 제1 브라켓과 상기 측면 제2 브라켓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측면 제2 브라켓과 상기 측면 복합자재는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벽면 구조체와 상기 측면 복합자재를 결합시키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층 및 상기 측면 접착재층은 접착 테이프인,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층 및 상기 측면 접착재층은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이고,
    상기 아크릴폼 접착 테이프는,
    제1 접착재층;
    상기 제1 접착재층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재;
    상기 기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접착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재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17.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린트 강판 및 제2 프린트 강판은,
    소지층;
    상기 소지층 위의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의 프린트 도막층; 및
    상기 프린트 도막층 위의 클리어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린트 강판 및 제2 프린트 강판은 상기 소지층 아래의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KR1020150129024A 2015-09-11 2015-09-11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KR10193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24A KR101933019B1 (ko) 2015-09-11 2015-09-11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24A KR101933019B1 (ko) 2015-09-11 2015-09-11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59A true KR20170031459A (ko) 2017-03-21
KR101933019B1 KR101933019B1 (ko) 2018-12-27

Family

ID=5850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024A KR101933019B1 (ko) 2015-09-11 2015-09-11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3924A (zh) * 2022-08-29 2022-10-25 北京阳光丽景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便于干式施工的装配式装饰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699B1 (ko) 2005-11-03 2007-08-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인삼점무늬병균 알타나리아 파낙스 동정 및 검출용 특이적프라이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699B1 (ko) 2005-11-03 2007-08-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인삼점무늬병균 알타나리아 파낙스 동정 및 검출용 특이적프라이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3924A (zh) * 2022-08-29 2022-10-25 北京阳光丽景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便于干式施工的装配式装饰墙
CN115233924B (zh) * 2022-08-29 2023-08-25 北京阳光丽景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便于干式施工的装配式装饰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019B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677B2 (en) Gypsum-panel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TWI614385B (zh) 石膏心牆板之吸音整體天花板
US20230399855A1 (en) Sound Damping Wall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Sound Damping Wallboard
EP2971391B1 (en) Gypsum-panel for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DE202006004493U1 (de) Dekorativ beschichtete Brandschutzplatte
CA2765354A1 (en) Methods of fastening a wall panel to a wall, kits, and wall assemblies
KR101933019B1 (ko)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US20180347182A1 (en) Sound Damping Wall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Sound Damping Wallboard
KR101758710B1 (ko) 건축용 프린트 강판 구조체 시공방법
DE202006018241U1 (de) System von Verblendplatten und Halteelementen zur Verblendung von Baukörpern
JPH0551980A (ja) 屈曲可能ボード
DE202006019663U1 (de) Flächiges Bauelement
CN210713325U (zh) 一种装配式轻钢墙体结构
KR20170125483A (ko) 불연성 건축용 패널
CN210086724U (zh) 一种墙板装配组件
CN217975134U (zh) 一种新型环保阻燃防潮秸秆装饰用板材
CN216476063U (zh) 一种锁扣式快装墙板
CN216340419U (zh) 一种环保氟碳膜铝板
CN220395074U (zh) 一种装配式墙面板材
CN218623052U (zh) 一种建筑装饰面板
GB2600563A (en) Insulation material
KR200309336Y1 (ko) 건축물의 내, 외부 마감용 경량복합판재조립체
JP5999810B2 (ja) トイレブース及びトイレブースの開口部構造
JP2020012373A (ja) 施工方法および壁構造体
US20080075913A1 (en) Reinforced wall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