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359A - 음원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359A
KR20170030359A KR1020150127859A KR20150127859A KR20170030359A KR 20170030359 A KR20170030359 A KR 20170030359A KR 1020150127859 A KR1020150127859 A KR 1020150127859A KR 20150127859 A KR20150127859 A KR 20150127859A KR 20170030359 A KR20170030359 A KR 20170030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information
music contents
music
soun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호
박동규
임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0359A/ko
Publication of KR2017003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03
    • H04W4/008
    • H04W76/0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스피커, 음원 공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가 입력된 경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음원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USER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하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음원 소비 행태는 CD와 CD 플레이어, 음원 다운로드와 MP3 등에서 스트리밍 방식을 이용하는 온라인 음악서비스와 사용자 단말로 옮겨가고 있다. CD나 다운로드 등의 방식에서는 음원을 사용자가 소유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CD를 전달하거나 다운로드된 음원을 전송함으로써 음원을 공유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스트리밍 방식을 이용하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의 경우, 특정 웹 사이트에 음원 정보를 게시하면 타 사용자가 온라인 접속하여 재생함으로써 음원 공유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음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더욱 간편하게 음원을 공유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하나의 스피커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음원을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가 입력된 경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할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내부 스피커로 재생할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피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마스터 단말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상기 스피커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중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통신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된 슬레이브 단말과 상기 스피커 사이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피커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및 기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ID가 입력된 경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고, 상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켄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첸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할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내부 스피커로 재생할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피커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마스터 단말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상기 스피커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중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통신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된 슬레이브 단말과 상기 스피커 사이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피커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공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은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서 상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이 상기 스피커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피커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마스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단말이 상기 전송된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공유를 위한 스피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더욱 쉽고 간편하게 음원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공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블럭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럭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및 다중(multimodal)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폰 북 어플리케이션, 방송 어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어플리케이션, 결제 어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공유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공유 시스템(1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과 스피커(200)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은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내이게이션,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은 하나의 마스터 단말(100-1)과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100-2,...,100-n)을 포함한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은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은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가 입력된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은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ID는 스피커가 제조될 때 각각의 스피커에 부여된 ID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이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 각각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과 스피커 ID와 대응되는 스피커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은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는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리스트이거나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과 별도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리스트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은 외부 스피커 또는 내부 스피커 중 어느 것으로 재생할지 문의하는 안내 메시지와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은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url 정보, 노래 제목, 가수 이름, 가사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로부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스피커(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로부터 수신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로부터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스피커(200)는 url 주소에 접속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로부터 노래 제목, 가수 이름, 가사 등을 포함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스피커(200)는 온라인 음악서비스에 접속하고, 노래 제목, 가수 이름, 가사 등을 검색하여 해당하는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100-1)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n)에서 스피커(200)로 전송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마스터 단말(100-1)은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피커(200)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피커(200)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는 복수의 음악 컨텐츠가 스피커에 전송된 순서,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순서, 마스터 단말(100-1)에 의해 지정된 순서 등의 순서로 음악 컨텐츠를 정렬한 리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복수의 가전 기기가 복수의 가전 기기와 연결 가능한 스피커로 안내음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복수의 가전 기기는 스피커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연결이 수행된 후, 복수의 가전 기기는 안내음을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냉장고가 스피커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연결이 수행된 후, 냉장고는 "전원이 차단되었습니다", "온도가 10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등과 같은 경고음을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 경고음이 전송되면, 스피커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마이크가 하나의 스피커에 무선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마이크가 하나의 스피커에 연결되면, 스피커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마이크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스피커는 제2 마이크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10)는 스피커와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스피커(200)로부터 스피커(200)가 재생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0)는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스피커와 송수신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피커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30)는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30)는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30)는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스피커로 재생할지 스피커(200)로 재생할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내부 스피커로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스피커(200)로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스피커(200)와 통신 연결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200)를 통해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url 정보, 노래 제목, 가수 이름, 가사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스피커(200)로부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피커(200)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스피커(200)를 통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스피커(200)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과 스피커(200)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슬레이브 단말과 스피커(200) 사이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통신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된 슬레이브 단말과 스피커(200) 사이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연결을 차단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스피커(200)와 통신하지 않은 슬레이브 단말과 스피커(200)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310), 오디오 출력부(320), 통신부(330), 저장부(340), 감지부(350), 입력부(36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는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명령 입력 기능, 음악 컨텐츠 송수신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영상 수신부(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미도시)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37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10)는 음원을 공유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200)에서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32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오디오 출력부(32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내부 스피커로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 출력부(32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30)는 와이파이 칩(331), 블루투스 칩(333), NFC칩(335),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통신부(33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30)는 근거리 통신기술(WPAN, WLAN 등), 이동통신기술(2G, 3G 등), 유선통신기술(이더넷, BcN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스피커(20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음원 공유를 위한 음악 컨텐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예를 들어, 저장부(34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모듈을 통해 스피커(20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34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사용자 단말(100)이 태블릿 PC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 롬(372), 램(371)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감지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주변 환경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350)는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GPS 센서, 사용자 단말(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압력 센서, 노이즈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36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터치 입력부, 버튼, 음성 입력부, 모션 입력부,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371), ROM(372), 그래픽 처리부(373), 메인 CPU(3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375-1 ~ 375-n), 버스(376)를 포함한다. 이때, RAM(371), ROM(372), 그래픽 처리부(373), 메인 CPU(3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375-1 ~ 375-n) 등은 버스(37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3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374)는 ROM(3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340)에 저장된 O/S를 RAM(3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374)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371)에 복사하고, RAM(37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37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포인터,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3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374)는 저장부(3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374)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375-1 ~ 37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버스(376)는 사용자 단말(100)과 스피커 사이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376)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70)는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37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웹 사이트(501)에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502)가 입력될 수 있다. 스피커 ID(502)가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위한 버튼(503)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503)을 입력받아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최초로 실행될 때, 제어부(370)는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ID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200)가 제조될 때 부여될 수 있고, 스피커(200)와 스피커 ID는 일 대 일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스피커 ID를 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식별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닉네임 등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제어부(370)는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601, 605)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는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리스트이거나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과 별도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리스트일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음악 컨텐츠(601, 605)가 선택되면, 제어부(37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스피커(200)로 전송할지 사용자 단말(100-1,100-2)의 내부 스피커로 재생할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내부 스피커로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실행중인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스피커(2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사용자 단말(100-1)과 슬레이브 단말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100-2)이 스피커(200)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 100-2) 각각은 Sweet Disarry(601), Nobody to love(605)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370)는 내부 스피커와 외부 스피커(603, 607) 중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스피커(603, 607)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Sweet Disarry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슬레이브 단말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370)는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37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스피커(703)로 전송할지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스피커(702)로 재생할지 문의하는 메시지(701)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의 배열 순서는 스피커(200)가 수신한 순서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마스터 단말인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370)는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7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스피커(804)로 전송할지 사용자 단말(100-1,100-2)의 내부 스피커(803)로 재생할지 문의하고, 스피커(200)와 연결된 타 사용자 단말의 연결 상태를 확인(802)하는 메시지(801)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피커(200)와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스피커(200)로부터 스피커(200)와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200)와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370)는 스피커(200)와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의 목록과 연결 끊기 항목을 함께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UI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명령이 입력된 슬레이브 장치와 상기 스피커 사이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200)와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단말을 나타내는 명칭(AAA, BBB 등)과 연결 끊기 항목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 단말을 나타내는 명칭은 마스터 단말(100)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 슬레이브 단말의 사용자가 지정한 이름 등일 수 있다. 스피커(200)와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 중 마스터 단말(100)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슬레이브 단말의 경우, 제어부(370)는 해당 슬레이브 단말의 전화번호를 명칭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200)와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 AAA(812)의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AAA(812)와 스피커(200) 사이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연결을 차단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것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제어부(370)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스피커(200)와 통신하지 않은 슬레이브 단말과 스피커(200)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우선, 웹 사이트에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S910).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920).
그리고,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한다(S930).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은 스피커(200)로부터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스피커(200)의 재생 음악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200)는 통신부(210), 오디오 출력부(220),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200)는 블루투스 스피커등의 와이어리스 스피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210)는 음원 공유를 위한 음악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2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된 음원 공유를 위한 음악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음악 스피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을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 재생 순서를 판단한다. 음악 컨텐츠 재생 순서는 스피커(200)가 전송받은 순서, 스피커(200)와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 순서, 음악 컨텐츠의 이름 순서 등일 수 있다. 판단된 재생 순서에 따라, 제어부(230)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을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판단된 재생 순서를 바탕으로 마스터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공유 시스템의 시퀀스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은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은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은 기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되어(S1101,S1103)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가 입력된 경우(S1105,S1115),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S1110,S1120). 이때, 스피커 ID는 스피커가 제조될 때 각각의 스피커에 부여된 ID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200-2)이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200-2) 각각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과 스피커 ID와 대응되는 스피커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은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은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00)로 전송할 수 있다(S1125,S1130). 이때,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url 정보, 노래 제목, 가수 이름, 가사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로부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스피커(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로부터 수신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1135).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로부터 url 주소를 포함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스피커(200)는 url 주소에 접속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로부터 노래 제목, 가수 이름, 가사 등을 포함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스피커(200)는 온라인 음악서비스에 접속하고, 노래 제목, 가수 이름, 가사 등을 검색하여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100-2)에서 스피커(200)로 전송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마스터 단말(100-1)은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피커(200)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4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는 하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음원을 다운로드하는 번거로움 없이 음원을 공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330: 통신부
120, 310: 디스플레이부
130, 370: 제어부
200: 스피커

Claims (15)

  1.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가 입력된 경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할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내부 스피커로 재생할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피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마스터 단말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상기 스피커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중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통신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된 슬레이브 단말과 상기 스피커 사이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피커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7.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및
    기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ID가 입력된 경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고, 상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음악 컨텐츠가 포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켄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음악 컨첸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할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내부 스피커로 재생할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피커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마스터 단말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상기 스피커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중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과 통신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 연결 차단 명령이 입력된 슬레이브 단말과 상기 스피커 사이의 통신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피커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3. 음원 공유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스피커에 대응되는 스피커 ID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은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서 상기 음원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이 상기 스피커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공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피커가 재생하는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마스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단말이 상기 전송된 음악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공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음원 공유를 위한 스피커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원 공유를 위한 스피커.
KR1020150127859A 2015-09-09 2015-09-09 음원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70030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859A KR20170030359A (ko) 2015-09-09 2015-09-09 음원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859A KR20170030359A (ko) 2015-09-09 2015-09-09 음원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359A true KR20170030359A (ko) 2017-03-17

Family

ID=5850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859A KR20170030359A (ko) 2015-09-09 2015-09-09 음원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03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4215B (zh) 用于便携式终端的音频内容回放方法和设备
JP4842383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通信プロトコルを使用するアクセサリ−移動体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間の通信
US9509826B2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selectively displaying list of peripheral devices based on short range communication
US20130219285A1 (en) Mirrored interface navigation of multiple user interfaces
JP6702451B2 (ja) 車載装置、車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7012495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701029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putting method thereof
EP303565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tting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201502865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layer agnostic programming interface for use with smartphones
JP2013004081A (ja) 携帯端末機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併合方法及び装置
KR102464911B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1013241A1 (ja) 携帯型端末装置、コンテンツ複製支援方法、コンテンツ複製支援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複製支援システム
KR20170030359A (ko) 음원 공유를 위한 사용자 단말, 이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12003610A (ja) 情報処理装置
JP2011076491A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
WO2019011270A1 (zh) 音频播放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277982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10877719B2 (en) Audio device, audio system
KR20150007569A (ko) 동적 위젯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75485B1 (ko)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4204303A (ja) 機器選択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提供装置および提供方法
JP2003090889A (ja) 目覚まし音設定システム、目覚まし時計、並びに、目覚まし音データ提供サーバ
JPWO2019058712A1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6048297A (ja) 移動体通信端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