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112A -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112A
KR20170030112A KR1020150126880A KR20150126880A KR20170030112A KR 20170030112 A KR20170030112 A KR 20170030112A KR 1020150126880 A KR1020150126880 A KR 1020150126880A KR 20150126880 A KR20150126880 A KR 20150126880A KR 20170030112 A KR20170030112 A KR 20170030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flow
inlet
trap
key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안
Priority to KR1020150126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0112A/ko
Publication of KR2017003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업소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하수 본관 등으로 배출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배출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탈착형의 트랩을 구비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오수받이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것으로, 일측면의 벽에 배출공(11)이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의 벽에서 상기 배출공(11)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공(12)이 형성된 오수받이 본체(10); 및 상기 오수받이 본체(10) 내에 위치하고 'ㄱ'자 형으로 꺾이어 형성되는 관형의 것으로, 수평부측 단부가 유입공(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부측 단부에 봉수유지공간(21a)을 가지는 트랩(21)이 형성된 유입부 내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공(12) 주변의 벽면 내측에는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키고정부(14)가 위치하고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외면에는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키고정부(22)가 위치하며 상기 제1·2 키고정부(14, 22)의 관통홀에는 고정키(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Sewage drain with multi-trap}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업소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하수 본관 등으로 배출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배출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탈착형의 트랩을 구비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오수받이는 가정 또는 업소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고형분을 걸러내거나 또는 걸러내지 않고 하수 본관 등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오수받이에 일시 저장되는 오수가 변기에서 배출된 것일 경우 오수받이 내에 저장된 오수에서 악취가 역류할 수 있으므로 오수의 인입관과 연결된 트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랩은 오수받이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는 유효하나, 봉수를 유지하기 위한 형태적인 특성상 오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할 수 밖에 없으므로 오수 인입관의 폐색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런데 오수받이에 트랩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오수받이 내부공간으로 접근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폐색된 인입관을 뚫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오수받이에 트랩이 별도로 형성된 경우에는 트랩을 분리하여 폐색된 인입관을 비교적 쉽게 뚫을 수 있으나 트랩을 다시 설치하는 것이 번거롭고 오수받이의 사용시 오수가 유입되는 압력에 의하여 트랩이 분리될 위험이 있다.
KR 10-2010-0112752 A KR 10-081112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탈착형의 트랩을 구비하되 오수받이의 사용시에 오수의 유입 압력에 의해 트랩이 분리될 위험이 없고, 오수받이의 측면 벽에 3개 이상의 트랩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것으로, 일측면의 벽에 배출공(11)이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의 벽에서 상기 배출공(11)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공(12)이 형성된 오수받이 본체(10); 및 상기 오수받이 본체(10) 내에 위치하고 'ㄱ'자 형으로 꺾이어 형성되는 관형의 것으로, 수평부측 단부가 유입공(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부측 단부에 봉수유지공간(21a)을 가지는 트랩(21)이 형성된 유입부 내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공(12) 주변의 벽면 내측에는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키고정부(14)가 위치하고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외면에는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키고정부(22)가 위치하며 상기 제1·2 키고정부(14, 22)의 관통홀에는 고정키(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입공(12)은, 배출공(11)이 형성된 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의 벽에 3개 이상 형성되고, 각각의 유입공(12) 모두에 유입부 내관(2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입부 내관(40)의 수평부측 말단에서 이격된 위치의 외면에는 분리용 턱(23)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외면에는 고리(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하면과 본체(10)의 바닥 상면 중 일측에는 유입공(12)의 횡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리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는 트랩을 구비하고 있어 오수받이에서 발생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수 내에 포함된 고형분이 쌓여 오수받이의 유입부 내관을 청소하거나 교체하여야 할 때 유입부 내관을 다시 쉽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유입공 주변의 제1 키고정부 및 유입부 내관 외면의 제2 키고정부를 관통하는 고정키에 의해 유입부 내관이 오수의 압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수받이는 다수 개의 유입공을 구비하기 때문에 여러 곳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오수받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업소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고형분을 걸러내거나 또는 걸러내지 않고 하수 본관 등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탈착형의 트랩을 구비하되 오수받이의 사용시에 오수의 유입 압력에 의해 트랩이 분리될 위험이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오수받이(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1)는 크게, 오수받이 본체(10) 및 상기 오수받이 본체(10) 내에 위치하는 유입부 내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오수받이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수받이 본체(10)의 일측면 벽에는 배출공(11)이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의 벽에는 상기 배출공(11)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공(12)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12)은 가정 또는 업소에서 발생한 오수를 오수받이 본체(1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개구이며, 배출공(11)은 오수받이 본체(10)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던 오수를 하수 본관 등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개구이다.
배출공(11)은 상기 유입공(12)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하므로 오수의 흐름이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오수받이 본체(10)의 바닥면은 유입공(12)에서 배출공(11)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배판(13)으로 이루어져, 오수받이(1) 내 오수의 흐름이 유입공(12)에서 배출공(11)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오수받이 본체(10)의 외면으로는 상기 유입공(12) 및 배출공(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짧은 관이 위치하여, 가정 등의 오수관 및 하수본관 등을 오수받이(1)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오수받이 본체(10)의 상단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오수받이(1)의 유지보수 등을 위한 맨홀(M)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맨홀(M)의 상단부는 오수받이(1)에서 발생한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뚜껑(C)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부 내관(20)은 오수받이 본체(10) 내에 위치하고 'ㄱ'자 형으로 꺾이어 형성되는 관형의 것으로, 유입공(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수평부측 단부는 유입공(12)에 연결되고, 수직부측 단부에는 봉수유지공간(21a)을 가지는 트랩(21)이 형성된다. 상기 트랩(21)의 봉수유지공간(21a)에 채워진 봉수는 오수받이(1)에서 발생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유입부 내관(20)은 유입공(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트랩(21)이 막힌 경우 오수받이 본체(10) 내에 작업도구 등을 넣어 어렵게 트랩(21)내부를 청소할 필요 없이, 유입공(12)에서 유입부 내관(20)을 분리하여 트랩(21)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유입공(12) 주변의 벽면 내측에는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키고정부(14)가 위치하고,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외면에는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키고정부(22)가 위치한다.
상기 유입부 내관(20)은 'ㄱ'자 형으로 꺾이어 형성되기 때문에 오수받이(1) 내로 유입되는 오수가 유입부 내관(20)의 내벽에 계속해서 부딪혀 유입부 내관(20)이 유입공(12)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1 키고정부(14)와 제2 키고정부(22)는 이러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부 내관(20)의 수평부측 단부가 유입공(12)에 연결되었을 때 서로 겹쳐져, 각각의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고정키(30)를 삽입하면 유입부 내관(20)이 유입공(12)에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입공(12)은, 배출공(11)이 형성된 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의 벽에 3개 이상 형성되고, 각각의 유입공(12) 모두에 유입부 내관(2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오수받이는(1)는 4개의 유입공(12)을 구비하고 각각의 유입공(12)에 유입부 내관(20)이 연결되어 있다.
참고로, 도 2는 일부 유입공(12)에 유입부 내관(20)이 연결되어 있고, 일부 유입공(12)에는 유입부 내관(20)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유입공(12)이 오수받이 본체(10)의 여러 방향에 다수 개 형성된 경우, 여러 곳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하나의 오수받이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오수받이를 설치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각각의 유입공(12) 모두에는 트랩(21)을 가지는 유입부 내관(20)이 연결되기 때문에 하나의 유입공(12)을 통해 유입된 하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다른 유입공(12)을 통해 역류할 위험은 없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인접한 측면 벽에 형성되는 유입공(12)들은 서로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측면 벽의 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모든 유입공(12)에 유입부 내관(20)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각 유입부 내관(20)의 트랩(21)이 서로 간격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하나의 유입부 내관(20)을 통해 유입된 하수가 다른 유입부 내관(20)의 트랩 내로 들어가는 않는다.
유입공(12)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경우, 유입공(12)들에서 유입되는 오수의 양과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의 양을 맞추어 너무 많은 양의 오수가 오수받이(1) 내에 머물러 있지 않도록 배출공(11)의 크기를 유입공(1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유입부 내관(20)의 하면과 구배판(13), 즉 본체(10)의 바닥 상면 중 일측에는 유입공(12)의 횡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리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유입부 내관(20)의 트랩(21)에는 오수의 고형분이 쌓일 수 있으므로 종종 유입부 내관(20)을 청소하거나 교체해줄 필요가 있는데, 보통 좁은 맨홀(M)을 통해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유입부 내관(20)을 유입공(12)의 위치에 맞추어 정확하게 끼우는 것이 쉽지 않다. 상기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유입부 내관(20)을 육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의 위치가 어느 정도만 맞추어지면 유입부 내관(20)을 유입공(12) 내에 정확하게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수평부측 말단에서 이격된 위치의 외면에는 분리용 턱(2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용 턱(23)은, 유입부 내관(20)이 유입공(12)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수받이 본체(10)의 벽면 내측과의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하여, 오수받이(1)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유입부 내관(20)을 분리할 때 상기 공간에 연장 등을 끼워 유입부 내관(20)을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유입부 내관(20)의 분리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외면에는 고리(24)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 내관(20)의 트랩(21)에 오수의 고형분이 쌓였을 때 유입부 내관(20)을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은, 보통 좁은 맨홀(M)을 통해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유입부 내관(20)을 유입공(12)의 위치에 맞추어 정확하게 끼우는 것이 쉽지 않다.
상기 고리(24)에는 긴 끈 또는 도구를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접근이 쉽지 않은 좁은 맨홀(M)을 통해 오수받이(1)의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고리(24)는 트랩(21)을 포함한 유입부 내관(20)을 재설치할 때 유입부 내관(2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입부 내관(20)의 무게 중심 가운데에 형성되어 유입부 내관(20)을 유입공(12)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오수받이 10 : 오수받이 본체
11 : 배출공 12 : 유입공
13 : 구배판 14 : 제1 키고정부
20 : 유입부 내관 21 : 트랩
21a : 봉수유지공간 22 : 제2 키고정부
23 : 분리용 턱 24 : 고리
30 : 고정키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것으로, 일측면의 벽에 배출공(11)이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의 벽에서 상기 배출공(11)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공(12)이 형성된 오수받이 본체(10); 및
    상기 오수받이 본체(10) 내에 위치하고 'ㄱ'자 형으로 꺾이어 형성되는 관형의 것으로, 수평부측 단부가 유입공(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부측 단부에 봉수유지공간(21a)을 가지는 트랩(21)이 형성된 유입부 내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입공(12) 주변의 벽면 내측에는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키고정부(14)가 위치하고,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외면에는 수직한 관통홀이 형성된 제2 키고정부(22)가 위치하며, 상기 제1·2 키고정부(14, 22)의 관통홀에는 고정키(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12)은, 배출공(11)이 형성된 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의 벽에 3개 이상 형성되고, 각각의 유입공(12) 모두에 유입부 내관(2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내관(40)의 수평부측 말단에서 이격된 위치의 외면에는 분리용 턱(23)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외면에는 고리(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내관(20)의 하면과 본체(10)의 바닥 상면 중 일측에는 유입공(12)의 횡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리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20150126880A 2015-09-08 2015-09-08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170030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80A KR20170030112A (ko) 2015-09-08 2015-09-08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80A KR20170030112A (ko) 2015-09-08 2015-09-08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112A true KR20170030112A (ko) 2017-03-17

Family

ID=5850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80A KR20170030112A (ko) 2015-09-08 2015-09-08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011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25B1 (ko) 2006-08-14 2008-03-20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오수받이
KR20100112752A (ko) 2009-04-10 2010-10-20 이종보 오수받이용 유입관접속 연장 트랩 어셈블리 및 상기 오수받이용 유입관접속 연장 트랩 어셈블리가 구비된 오수받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25B1 (ko) 2006-08-14 2008-03-20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오수받이
KR20100112752A (ko) 2009-04-10 2010-10-20 이종보 오수받이용 유입관접속 연장 트랩 어셈블리 및 상기 오수받이용 유입관접속 연장 트랩 어셈블리가 구비된 오수받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3239B2 (ja)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101098900B1 (ko) 교량용 집수구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101710061B1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1717885B1 (ko) 집수구용 모래수거장치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MXPA02002795A (es) Conector de tubo de aguas residuales para interceptar malos olores.
KR20170030112A (ko) 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20180034011A (ko) 빗물 배수시설
KR101272416B1 (ko) 다용도 오폐수 침전조 오수받이 맨홀
KR101296212B1 (ko) 역류방지구를 구비한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RU2592376C2 (ru) Сливной колодец для сточной воды
KR100758714B1 (ko) 2중으로 형성된 맨홀커버
KR200358265Y1 (ko) 침전물 제거가 용이한 배수관 구조
JP2009108563A (ja) ます内に配置される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ターま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