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789A -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789A
KR20170029789A KR1020150126819A KR20150126819A KR20170029789A KR 20170029789 A KR20170029789 A KR 20170029789A KR 1020150126819 A KR1020150126819 A KR 1020150126819A KR 20150126819 A KR20150126819 A KR 20150126819A KR 20170029789 A KR20170029789 A KR 2017002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list
message
purchase
list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용
임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26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789A/ko
Publication of KR2017002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텍스트 메시지를 기반으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식별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를 분석하는 구매자 분석부,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부,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상품 매칭부 및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구매 목록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SERVER, SYSTEM AND USER DEVICE FOR GENERATING BUYING LIST}
본 발명은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e-커머스(e-commerce)란, 전자상거래의 일종으로, 이동전화기나 인터넷 정보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상거래를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e-커머스는 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이동전화나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를 이용한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인터넷 기능을 기반으로 한다.
한편, e-커머스 중 모바일 커머스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으로 편리성과 휴대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커머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7-0087976호는 모바일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e-커머스를 이용하여 쇼핑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구매할 상품을 검색하고, 반복적으로 장바구니 담기를 수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웹(web) 또는 앱(App)을 온라인 커머스 상에서, 사용자가 자주 구매한 상품 이력 또는 자주 검색한 상품 이력에 기초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텍스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를 분석하는 구매자 분석부, 상기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부, 상기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상품 매칭부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구매 목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품 리스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아이디 및 상기 입력받은 상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구매 목록 메시지를 구매 목록 생성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구매 목록을 상기 구매 목록 생성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구매자 정보는 상기 식별 아이디에 해당함으로써 분석되고, 상기 구매 목록 메시지는 상기 구매 목록 생성 서버에 의해 분석되고, 상기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은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구매 목록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 및 구매 목록 생성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품 리스트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아이디 및 상기 입력받은 상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상기 구매 목록 생성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구매 목록 생성 서버는 상기 식별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웹(web) 또는 앱(App)을 온라인 커머스 상에서, 사용자가 자주 구매한 상품 이력 또는 자주 검색한 상품 이력에 기초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텍스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메시지를 기반으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서버에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및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 및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품 리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품 리스트는 예를 들어, 제품명, 개수, 용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구마 1박스', '햇반 5개' 등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 및 입력받은 상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는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와 매칭된 것일 수 있으며, 구매 목록 메시지는 텍스트기반의 다양한 메시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텍스트 메시지, 채팅 메시지,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edia Message Ser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구매 목록 메시지를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예를 들어, SMS 또는 MMS 형태의 구매 목록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의 발신 번호를 이용하여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앱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지 않아도, 단순한 텍스트 메시지만을 통하여 온라인 구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구매 목록을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해남 고구마 1박스', 'CJ 제일제당 햇반 5개'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을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에 대한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구마 1박스'의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고구마 1박스의 구매가 불가능합니다."와 같은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알림 메시지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3G, 4G, 5G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일반적인 PC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매 목록 메시지는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edia Message Ser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는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와 매칭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이라고 가정하자.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구매 목록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 목록 메시지를 발신한 전화번호인 '010-1234-5678'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인 'kimchulsu'를 추출하고, 식별 아이디 'kimchulsu'에 대한 구매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로그인 없이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번호와 매칭된 식별 아이디를 추출함으로써, 구매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 목록 메시지로부터 상품명 및 각 상품에 대응하는 수량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로부터 '고구마- 1박스', '햇반-5개'와 같이 상품명 및 각 상품에 대응하는 수량을 추출할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분서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제품명, 제조사, 용량,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상품 추천 리스트에 더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구매 이력 및 상품 추천 리스트 간의 우선 순위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전에 설정받을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구매 목록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목록 메시지에 '고구마 1박스', '햇반 5개'를 포함하는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해남-호박 고구마 1박스', 'CJ 제일제당-햇반 5개'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는 "고구마 1박스의 구매가 불가능합니다."와 같은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입력부(210), 메시지 생성부(220), 전송부(230) 및 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품 리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품 리스트는 예를 들어, 제품명, 개수, 용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구마 1박스', '햇반 5개'를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2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 및 입력받은 상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는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와 매칭된 것일 수 있으며, 구매 목록 메시지는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생성된 구매 목록 메시지를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240)는 구매 목록을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수신부(240)는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40)는 '해남 고구마 1박스', 'CJ 제일제당 햇반 5개'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을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에 대한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수신부(240)는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40)에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고구마 1박스'의 구매가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표시부(미도시)에서 "고구마 1박스의 구매가 불가능합니다."와 같이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팝업 메시지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상품 리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 및 입력받은 상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구매 목록 메시지를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구매 목록 메시지는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구매 목록을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정보는 식별 아이디에 해당함으로써 분석되고, 구매 목록 메시지는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에 의해 분석되고,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은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고, 구매 목록은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수신부(410), 구매자 분석부(420), 메시지 분석부(430), 상품 매칭부(440), 구매 목록 생성부(450), 전송부(460), 결제부(470) 및 상품 데이터베이스(48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4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매 목록 메시지는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 분석부(420)는 식별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구매자 분석부(4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는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와 매칭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이라고 가정하자. 수신부(410)에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구매 목록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구매자 분석부(420)는 구매 목록 메시지를 발신한 전화번호인 '010-1234-5678'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인 'kimchulsu'를 추출하고, 식별 아이디 'kimchulsu'에 대한 구매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매자 분석부(420)는 사용자 단말(110)의 로그인 없이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매칭된 식별 아이디를 추출함으로써, 구매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메시지 분석부(430)는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메시지 분석부(430)는 구매 목록 메시지로부터 상품명 및 각 상품에 대응하는 수량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 분석부(430)는 구매 목록 메시지로부터 상품명 및 각 상품에 대응하는 수량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분석부(4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로부터 '고구마- 1박스', '햇반-5개'와 같이 상품명 및 각 상품에 대응하는 수량을 추출할 수 있다.
상품 매칭부(440)는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48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매칭부(440)는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48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이 '호박 고구마'를 구매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품 매칭부(44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밤 고구마', '호박 고구마', '꿀 고구마' 중 구매 이력이 존재하는 '호박 고구마'를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매칭부(440)는 상품 추천 리스트에 더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48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에서 '고구마'를 구매한 이력이 존재하지 않고, 상품 추천 리스트에서 '1순위-밤고구마', '2순위-꿀고구마'를 포함하는 경우, 상품 매칭부(440)는 '밤 고구마'를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구매 이력 및 상품 추천 리스트 간의 우선 순위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전에 설정받을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부(450)는 추출된 상품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목록 메시지에 '고구마 1박스', '햇반 5개'를 포함하는 경우, 구매 목록 생성부(450)는 '해남-호박 고구마 1박스', 'CJ 제일제당-햇반 5개'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460)는 생성된 구매 목록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에 대한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전송부(460)는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460)는 "고구마 1박스의 구매가 불가능합니다."와 같이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부(470)는 구매자 정보 및 생성된 구매 목록에 기초하여 온라인 쇼핑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품 데이터베이스(480)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품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제품명, 제조사, 용량,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메시지를 기반으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a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생성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과 1박스'(510), '우유 500ml 1개'(520), '크리넥스 3박스'(530), '당근 5개'(540), '딸기 2박스'(550)를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 및 상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매 목록 메시지를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b는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에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을 구매 목록 생성 테이블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테이블은 구매 목록 구매 요구(561), 상품 DB(562), 구매이력(563), 추천 상품(564), 수량(565), 장바구니(566)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목록 메시지에 포함된 '사과 1박스'(510)의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562)로부터 '친환경 사과', '아침마루', '부사' 등의 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사과 1박스'(510)에 대한 구매이력(563)으로 '친환경 사과'를 추출할 수 있고, 추천 상품(564)으로 '아침마루'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구매이력(563) 및 추천 상품(564) 간의 우선순위에서 구매이력(563)이 높게 설정된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사과 1박스'(510)에 대해 '친환경 사과 1박스'(511)를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매 목록 메시지에 포함된 '우유 500ml 1개(520)의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562)로부터 '남양우유 500ml', '서울우유 500ml' 등의 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우유 500ml'에 대한 구매이력(563)으로 '서울우유 500ml'를 추출할 수 있고, 추천 상품(564)으로 '서울우유 500ml'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구매이력(563)이 존재하는 상품과 추천 상품(564)이 동일하므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서울우유 500ml 1개'(512)를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구매 목록 메시지에 포함된 '크리넥스 3박스'(530)의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562)로부터 '크리넥스 그린', '크리넥스 400' 등의 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크리넥스'에 대한 구매 이력(563)으로 '크리넥스 그린'을 추출할 수 있고, 추천 상품(564)으로 '크리넥스 그린'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구매이력(563)이 존재하는 상품과 추천 상품(564)이 동일하므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크리넥스 그린 3박스'를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구매 목록 메시지에 포함된 '당근 5개'(540)의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562)로부터 '당근'을 추출할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당근'에 대한 구매 이력(563)으로 '당근'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당근'에 대한 구매이력(563)만 존재하고, 추천 상품(564)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당근 5개'(541)를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구매 목록 메시지에 포함된 '딸기 2박스'(550)의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상품 데이터베이스(562)로부터 '청송 딸기', '가평 딸기' 등의 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딸기'에 대한 추천 상품(564)으로 '1순위: 가평 딸기', '2순위: 청송 딸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딸기'에 대한 구매이력(563)이 존재하지 않고, 추천 상품(564)만 존재하는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추천 상품(564)의 1순위에 해당하는 '가평딸기 2박스'(551)를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
도 5c는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에서 생성한 구매 목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을 포함하는 구매 목록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가 구매 목록 메시지에 포함된 '사과 1박스'(510)와 매칭되는 상품으로 '친환경 사과 1박스'(511), '우유 500ml 1개'(520)와 매칭되는 상품으로 '서울우유 500ml 1개'(521), '크리넥스 3박스'(530)와 매칭되는 상품으로 '크리넥스 그린 3박스'(531), '당근 5개'(540)와 매칭되는 상품으로 '당근 5개'(541), '딸기 2박스'(550)와 매칭되는 상품으로 '가평딸기 2박스'(551)를 장바구니에 담은 경우, 장바구니에 담긴 '친환경 사과 1박스'(511), '서울우유 500ml 1개'(521), '크리넥스 그린 3박스'(531), '당근 5개'(541), '가평딸기 2박스'(551)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서버에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에 의해 수행되는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에 의해 수행되는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10에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매 목록 메시지는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식별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 목록 메시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명 및 각 상품에 대응하는 수량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상품 추천 리스트에 더 기초하여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 이력 및 상품 추천 리스트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생성된 구매 목록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매 목록 생성 서버(120)는 구매자 정보 및 생성된 구매 목록에 기초하여 온라인 쇼핑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구매 목록 생성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구매 목록 생성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구매 목록 생성 서버
210: 입력부
220: 메시지 생성부
230: 전송부
240: 수신부
410: 수신부
420: 구매자 분석부
430: 메시지 분석부
440: 상품 매칭부
450: 구매 목록 생성부
460: 전송부
470: 결제부
480: 상품 데이터베이스

Claims (13)

  1. 텍스트 메시지를 기반으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아이디를 포함하는 구매 목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를 분석하는 구매자 분석부;
    상기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부;
    상기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상품 매칭부;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구매 목록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목록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텍스트 메시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분석부는, 상기 구매 목록 메시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명 및 상기 각 상품에 대응하는 수량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매칭부는, 상기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매칭부는, 상품 추천 리스트에 더 기초하여 상기 분석된 구매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매칭부는, 상기 구매 이력 및 상기 상품 추천 리스트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받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구매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전송부는,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정보 및 상기 생성된 구매 목록에 기초하여 온라인 쇼핑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서버.
  10. 텍스트 메시지를 기반으로 구매 목록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품 리스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아이디 및 상기 입력받은 상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구매 목록 메시지를 구매 목록 생성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구매 목록을 상기 구매 목록 생성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고,
    구매자 정보는 상기 식별 아이디에 해당함으로써 분석되고,
    상기 구매 목록 메시지는 상기 구매 목록 생성 서버에 의해 분석되고,
    상기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은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구매 목록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목록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텍스트 메시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구매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수신부는, 구매가 불가능한 상품에 대한 목록을 상기 구매 목록 생성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3. 구매 목록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구매 목록 생성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품 리스트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아이디 및 상기 입력받은 상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 목록 메시지를 상기 구매 목록 생성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구매 목록 생성 서버는,
    상기 식별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매자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수신한 구매 목록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된 구매 목록 메시지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기초하여 구매 목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매 목록 생성 시스템.
KR1020150126819A 2015-09-08 2015-09-08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KR20170029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19A KR20170029789A (ko) 2015-09-08 2015-09-08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19A KR20170029789A (ko) 2015-09-08 2015-09-08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789A true KR20170029789A (ko) 2017-03-16

Family

ID=5849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19A KR20170029789A (ko) 2015-09-08 2015-09-08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97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56A (ko) * 2018-11-05 2020-05-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추천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686A (ko) * 2005-09-15 2007-03-20 성우 박 메시징 기술 기반의 이벤트 및 적립포인트 관리 시스템 및상기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00083760A (ko) * 2010-07-16 2010-07-22 주식회사 아레오네트웍스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한 구매 결제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40111225A (ko) * 2013-03-08 2014-09-18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전자상거래 추천 분석 시스템 및 추천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686A (ko) * 2005-09-15 2007-03-20 성우 박 메시징 기술 기반의 이벤트 및 적립포인트 관리 시스템 및상기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00083760A (ko) * 2010-07-16 2010-07-22 주식회사 아레오네트웍스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한 구매 결제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40111225A (ko) * 2013-03-08 2014-09-18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전자상거래 추천 분석 시스템 및 추천 분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56A (ko) * 2018-11-05 2020-05-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품 추천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9882C (en) Produc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ag and mobile device
US20110246291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s of dynamic product content display and synchronized distributed programming
CN108628687B (zh) 提供产品信息的系统及其方法
KR20060047939A (ko) 제품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매체
KR20150116451A (ko) 거래 방법, 거래 시스템 및 장치
US9373140B2 (en) Generation of an interface with computer-executable options and visual elements based on collected social network data
KR101823587B1 (ko) 쇼핑몰 연동 캘린더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31768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ail sequence identification
KR101533597B1 (ko) 상품 정보 공유 방법 및 쇼핑몰 서버
KR101435574B1 (ko) 주문 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
JP6424274B2 (ja) ウェブページの商品情報に対応するチャットメッセージを生成する方法及びサーバ、並びにチャットメッセージを受信するデバイス
US9299070B2 (en) Virtual receipts
KR20120076527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지역 내 점포 검색 시스템
US106921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or modifying electronic shopping lists from digital advertisements
JP2019040298A (ja) コンシェルジュシステム
KR20170029789A (ko) 구매 목록 생성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CN106327200A (zh) 一种信息交互处理方法及其终端、系统
JP2017531935A (ja) パケットの送信及び受信
CN105574757A (zh) 一种售货系统
CN103577601A (zh) 数据获取方法和装置
KR101760083B1 (ko) 대리기사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7021665A (ja) 販売情報提供サーバ、販売情報提供方法及び販売情報提供サーバ用プログラム。
KR101678468B1 (ko) 온라인 쇼핑의 주문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760161B1 (ko) 지인 기반 상품정보 제공방법
KR20230034534A (ko) 위치기반의 정육점 밀키트 배달 중개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