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787A - 스마트 안전 장갑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787A
KR20170029787A KR1020150126809A KR20150126809A KR20170029787A KR 20170029787 A KR20170029787 A KR 20170029787A KR 1020150126809 A KR1020150126809 A KR 1020150126809A KR 20150126809 A KR20150126809 A KR 20150126809A KR 20170029787 A KR20170029787 A KR 20170029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loves
smart safety
glove
distanc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3233B1 (ko
Inventor
강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
Priority to KR102015012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2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41D19/0027Measuring instruments, e.g. watch, ther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스마트 안전 장갑이 개시된다. 이는 적어도 손등 부위 및 손가락 등부위에 배치된 보호층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도록 배치된 제1거리측정부와, 적외선을 이용하는 제2거리측정부와, 디스플레이부와,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착용자의 손을 보호하면서 거리측정을 위해 장갑을 벗고 끼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거리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 장갑{SMART SAFETY GLOVES}
본 발명은 안전 장갑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리측정 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 안전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보온 또는 보호하기 위해 손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장갑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겨울철에 손의 보온을 위해 끼는 장갑, 야구와 같이 운동도구로서의 글러브, 및 작업자들이 손의 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작업용이 있다.
한시적으로 사용되는 여타 다른 종류와는 달리 작업용 장갑은 작업자라면 안전을 위해 언제나 착용하여야 하는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다.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함으로써 오물이 묻지 않거나 화상, 골절, 절단 등과 같은 심각한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용 장갑에 대해, 근래들어 손의 보호를 강화한 장갑들이 소개된 바 있다. 이를테면, 한국특허공개 1986-0006225호에는 장갑 등쪽에 프로텍터 요소를 접착시킨 장갑을 개시한다. 이 특허기술은 손목이나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손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프로텍터를 가지는 장갑이 보호 장갑의 한 유형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부착된 프로텍터로 인해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장갑은 상대적으로 손이나 손가락의 움직임을 둔화시키기 때문에 다른 도구를 작동시키는 데에 있어서 거추장스럽다. 따라서, 어쩔 수 없이 빈번하게 장갑을 벗고 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여야 하였다.
한국특허공개 1986-000622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보호기능이 강화됨과 더불어 거리측정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안전 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자체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 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 장갑을 제공하며, 이는: 적어도 손등 부위 및 손가락 등부위에 배치된 보호층; 초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도록 배치된 제1거리측정부;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는 적어도 한쪽 장갑의 표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연결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쪽 장갑에 배치되는 발광부와, 다른쪽 장갑에 배치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제2거리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CIGS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장갑에 배치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기능과 거리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안전 장갑이 제공된다. 이는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장시간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또는 광선을 이용하는 거리측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간단하고 편리한 동작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더구나, 다양한 방식 및 자세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2개의 거리측정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편리하고 신속하게 거리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장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안전 장갑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안전 장갑에 채용된 제1거리측정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안전 장갑에 채용된 제2거리측정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거리측정 기능 및 보호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안전 장갑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마트 안전 장갑은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장시간 구비된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특히, 초음파 또는 광선을 이용하는 거리측정부를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장갑을 벗고 끼는 번잡함 없이 편리하게 거리를 측정하고 표시된 측정값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장갑을 착용한 채 줄자 등의 도구를 다루는 불편함이나 도구를 다루기 위해 장갑을 벗고 끼는 동작을 반복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장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안전 장갑에 채용된 요소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장갑은 한쪽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왼쪽과 오른쪽을 포함하는 한 쌍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 장갑은 적어도 손등 부위 및 손가락 등부위에 배치된 보호층(11)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층(11)은 예를 들어 완충성을 갖춘 실리콘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층(11)은 서로 분리된 다수개로 이루어져서 관절부위나 절곡되는 부위의 움직임에 제약을 덜 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보호층(11)은 관절부위나 절곡되는 부위를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 장갑은 또한 초음파를 이용하는 제1거리측정부(12)를 포함한다. 제1거리측정부(12)는 송신부와 반사부를 가지는 초음파 센서모듈(121)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거리측정부(12)는 그 초음파 센서모듈(121)이 방향을 지시하기 용이한 위치인 손가락 끝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 장갑은 또한 제2거리측정부(1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2거리측정부(13)는 초음파 또는 광을 이용할 수 있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적외선을 이용한다. 제2거리측정부(13)는 한쪽 장갑에 배치되고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모듈(131)과, 다른쪽에 배치되는 반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133)는 예를 들어 반사경이나 금속체일 수 있다. 이들 제2거리측정부(13)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모듈(131)과 반사부(133)는 자연스럽게 서로 마주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손바닥을 하향한 수평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엄지와 검지의 안쪽은 어느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제1거리측정부(12)와 제2거리측정부(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4)가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장갑에 설치되거나 양쪽의 장갑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14)는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141)을 포함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141)은 바람직하게는 CIGS(CuInGaS(Se/S))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4)는 태양전지 모듈(141)과 연결되는 충전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부(14)는 별도의 건전지와 같은 전원공급수단을 교체할 필요 없이 반영구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양쪽 장갑에 모두 제1거리측정부(12)를 배치하고 전원부(14) 역시 양쪽 장갑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한쪽 장갑에만 제1거리측정부(12)와 전원부(14)가 배치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제2거리측정부(13)는 한쪽에 적외선 센서모듈(131)이 배치되고 다른 쪽에 반사부(133)가 배치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만, 한쪽에만 전원이 필요한 요소, 즉, 제1거리측정부(12)나 후술되는 디스플레이(15), 제어부(16)가 배치될 경우에는 전원부(14)가 그 한쪽에만 배치되는 것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 장갑은 디스플레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는 측정된 거리값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어부(16)는 어느 한쪽이나 양쪽에 모두 배치되어 해당 장갑에 배치된 이상의 요소들을 제어한다.
또한, 장갑에는 거리측정의 동작을 위한 초음파, 적외선 등의 송신의 개시를 위한 스위치(17)가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장갑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스위치(17)를 이용하여 제어부(16)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장갑에 배치된 요소들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안전 장갑은 보호층(11)을 통해 착용자의 손을 보호하면서 거리측정 기능을 갖게 됨으로써, 거리측정 등을 위해 장갑을 벗고 끼는 일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손의 보호가 더 철저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 보호층 12: 제1거리측정부
121: 초음파 센서모듈 13: 제2거리측정부
131: 적외선 센서모듈 132: 반사부
14: 전원부 141: 태양전지 모듈
142: 충전부 15: 디스플레이부
16: 제어부 17: 스위치

Claims (6)

  1. 스마트 안전 장갑으로서:
    적어도 손등 부위 및 손가락 등부위에 배치된 보호층;
    초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도록 배치된 제1거리측정부;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 장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적어도 한쪽 장갑의 표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안전 장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연결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안전 장갑.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쪽 장갑에 배치되는 발광부와, 다른쪽 장갑에 배치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제2거리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안전 장갑.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CIGS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인, 스마트 안전 장갑.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장갑에 배치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안전 장갑.
KR1020150126809A 2015-09-08 2015-09-08 스마트 안전 장갑 KR101733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09A KR101733233B1 (ko) 2015-09-08 2015-09-08 스마트 안전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09A KR101733233B1 (ko) 2015-09-08 2015-09-08 스마트 안전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787A true KR20170029787A (ko) 2017-03-16
KR101733233B1 KR101733233B1 (ko) 2017-05-24

Family

ID=5849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09A KR101733233B1 (ko) 2015-09-08 2015-09-08 스마트 안전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5404A (zh) * 2019-10-08 2019-12-20 苏州韵之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测量手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225A (ko) 1985-02-15 1986-09-09 야마모도 고오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프로텍터가 부착된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55596A1 (en) 2000-12-15 2002-06-20 Amir Belson Obstetrical imaging system and integrated fetal vacuum extra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225A (ko) 1985-02-15 1986-09-09 야마모도 고오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프로텍터가 부착된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233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3835B1 (en) Head mounted display providing eye gaze calib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4272849A (en) Flexible form fitting glove
EP2193768A1 (en) Welding mask that can control LCD shielding goggle without taking off
US20190007084A1 (en) Protective/control receptacle
CA2115026A1 (en) Protective Glove for Baseball
US20170295869A1 (en) Protective Glove
NO20025230D0 (no) Hjelm
US20150128323A1 (en) Medical face shield
KR101733233B1 (ko) 스마트 안전 장갑
US10948980B2 (en)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controllers
KR102458477B1 (ko) 충격감지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안전모
CN204579983U (zh) 一种新型数据采集手套
WO2019177459A3 (en) Wearable data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KR101752483B1 (ko) 다기능 장갑
US11432602B2 (en) Nighttime hand signal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90010219A (ko) 체온측정장치
KR101696659B1 (ko) 손 보호 및 작업용 군용 장갑
CN212014546U (zh) 集成有可拆卸式温度感应装置的防护面罩
KR102268730B1 (ko) 핫팩 장갑
US20150164183A1 (en) Light-emitting button module
KR20160037390A (ko) 신체를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KR101625764B1 (ko) 손가락걸이용 시계
CN213307651U (zh) 一种新型撞击手套
CN218164359U (zh) 一种具有辐射监测功能的辐射防护手套
CN203313229U (zh) 一种触摸式的透明玻璃手机保护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