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390A - 신체를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신체를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390A
KR20160037390A KR1020140129656A KR20140129656A KR20160037390A KR 20160037390 A KR20160037390 A KR 20160037390A KR 1020140129656 A KR1020140129656 A KR 1020140129656A KR 20140129656 A KR20140129656 A KR 20140129656A KR 20160037390 A KR20160037390 A KR 20160037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ouch
wearable device
thumb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오
Original Assignee
임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오 filed Critical 임성오
Priority to KR1020140129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7390A/ko
Publication of KR2016003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08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f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e.g. watches, p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를 포함한 신체을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e)의 밴드부에 터치패널을 일체화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로써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밴드부의 면적을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장치로서 활용하여 기존 스마트 워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터치액정을 통한 제한된 입력 방법을 확장하여 사용자의 편의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부에 밴드터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에 밴드터치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다양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신체를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touch panel embedded bandage of smart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를 포함한 신체을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e)의 밴드부에 터치패널을 일체화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부에 밴드터치수단을 구비하여서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밴드부의 면적을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위한 장치로서 활용하여 기존 스마트 워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터치액정을 통한 제한된 입력 방법을 확장하여 사용자의 편의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의 일부에 일상적으로 착용하며 사용자 입력 정보를 받아 처리한 후 다양한 정보를 액정장치를 통해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받고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액정부, 기판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신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밴드부를 그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상적으로 신체에 착용하며 사용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상 경량화 및 최소화 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상적 착용은 용이하나 좁은 면적의 터치를 통한 액정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 입력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치디스플레이 액정을 통한 터치 입력 방식은 조작시 액정화면을 보기 위하여 디바이스를 착용한 부위를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장시간 있어야 하고 근육 및 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 중에 착용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상 액정디스플레이를 보는 기존의 조작은 이동 중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좁은 면적의 터치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한하고 정확한 터치가 힘들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작동의 가능성이 높아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일상적으로 신체에 착용하며 사용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상 경량화 및 최소화 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상적 착용은 용이하나 좁은 면적의 터치를 통한 액정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 입력은 불편한 문제점과, 터치디스플레이 액정을 통한 터치 입력 방식은 조작시 액정화면을 보기 위하여 디바이스를 착용한 부위를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장시간 있어야 하고 근육 및 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 이동 중에 착용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상 액정디스플레이를 보는 기존의 조작은 이동 중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 및 무엇보다 좁은 면적의 터치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제한하고 정확한 터치가 힘들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작동의 가능성이 높아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부에 밴드터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에 밴드터치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다양한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입체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를 일 실시 예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평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을 받고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액정부, 기판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신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밴드부로 구성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부에 밴드터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밴드터치수단은 밴드의 표면에 터치패드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터치패드는 저항막 또는 정전용량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밴드터치수단은 밴드의 인장을 감지하는 스트렌게이지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밴드터치수단의 제어방법은 시프트레프트액션과 시프트라이트액션, 로어핀치 액션, 어퍼 핀치 액션 으로서 그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시프트 레프트 액션은 신체를 감싸고 있는 손목의 밴드부를 반대편 손의 엄지를 이용하여 왼쪽으로 쓸어올려 조작하는 것이다.
상기 시프트 라이트 액션은 신체를 감싸고 있는 손목의 밴드부를 반대편 손의 엄지를 이용하여 밴드부의 오른쪽으로 쓸어올려 조작하는 것이다.
상기 로어 핀치 액션은 신체를 감싸고 있는 손목의 밴드부를 반대편 손의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좁은 간격으로 벌려 터치한 다음 엄지와 검지를 모으면서 그 간격을 줄이며 조작하는 것이다.
상기 어퍼 핀치 액션은 신체를 감싸고 있는 손목의 스마트워치 쪽 밴드부를 반대편 손의 엄지와 검지를 좁은 간격으로 벌려 터치한 다음 엄지와 검지를 모으면서 그 간격을 줄이며 조작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부에 밴드터치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밴드부의 터치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어 그 조작을 다양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사용자 입력을 받고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액정부, 기판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신체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밴드부로 구성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부에 밴드터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을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밴드터치수단은 밴드의 표면에 터치패드와 밴드의 인장을 감지하는 스트렌게이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을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밴드터치수단의 시프트레프트액션과 시프트라이트액션, 로어핀치 액션, 어퍼 핀치 액션으로서 제어되게 구성되되,
    상기 시프트 레프트 액션은 신체를 감싸고 있는 손목의 밴드부를 반대편 손의 엄지를 이용하여 왼쪽으로 쓸어올려 조작되게 구성되고,
    상기 시프트 라이트 액션은 신체를 감싸고 있는 손목의 밴드부를 반대편 손의 엄지를 이용하여 밴드부의 오른쪽으로 쓸어올려 조작되게 구성되며,
    상기 로어 핀치 액션은 신체를 감싸고 있는 손목의 밴드부를 반대편 손의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좁은 간격으로 벌려 터치한 다음 엄지와 검지를 모으면서 그 간격을 줄이며 조작되게 구성되고,
    상기 어퍼 핀치 액션은 신체를 감싸고 있는 손목의 스마트워치 쪽 밴드부를 반대편 손의 엄지와 검지를 좁은 간격으로 벌려 터치한 다음 엄지와 검지를 모으면서 그 간격을 줄이며 조작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을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KR1020140129656A 2014-09-27 2014-09-27 신체를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KR20160037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656A KR20160037390A (ko) 2014-09-27 2014-09-27 신체를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656A KR20160037390A (ko) 2014-09-27 2014-09-27 신체를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390A true KR20160037390A (ko) 2016-04-06

Family

ID=5579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656A KR20160037390A (ko) 2014-09-27 2014-09-27 신체를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73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444A (ko) 2017-11-24 2019-06-03 전자부품연구원 핸드제스처 인식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레이어
KR20190073924A (ko) 2017-12-19 2019-06-27 전자부품연구원 탈착식 제스처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스처 입력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444A (ko) 2017-11-24 2019-06-03 전자부품연구원 핸드제스처 인식용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센서 레이어
US11347318B2 (en) 2017-11-24 2022-05-31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ensor for recognizing hand gesture and sensor array using same
KR20190073924A (ko) 2017-12-19 2019-06-27 전자부품연구원 탈착식 제스처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스처 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951B2 (en) Wearable muscle interfa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hat interact with content displayed on an electronic display
US10459495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having an inward facing input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6415592B2 (ja) ウェアラブル装置
EP2990853B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EP3341819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80356890A1 (en) Wearable device
US20140320383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A300719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displayed on head-mounted displays
ATE535855T1 (de) Rückseitenschnittstelle für tragbare geräte
WO2012135412A3 (en) Thumb mountable cursor control and input device
US102749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ouch inputs by using human body
KR101015337B1 (ko) 터치스크린용 조향 어답터
JP6536881B2 (ja) 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20160037390A (ko) 신체를 감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부의 터치패널을 이용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장치
US20150277742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299810A1 (en) Fingertip Input Device
JP6561712B2 (ja) 電子機器
US20120146899A1 (en) Wearable pointing device
CN203722794U (zh) 一种可穿戴设备
KR20180010919A (ko) 휴대용 팔찌형 자외선 측정장치
CN216906954U (zh) 一种力学可视化的推拿操作手套
KR20120103389A (ko) 터치패널용 핑거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장갑
US11709554B1 (en) Finger devices with adjustable housing structures
CA2992000A1 (en) Removable finger sock and cuff wearable input device and single-motion input method
TW201523336A (zh) 穿戴式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