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811A -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811A
KR20170028811A KR1020150148318A KR20150148318A KR20170028811A KR 20170028811 A KR20170028811 A KR 20170028811A KR 1020150148318 A KR1020150148318 A KR 1020150148318A KR 20150148318 A KR20150148318 A KR 20150148318A KR 20170028811 A KR20170028811 A KR 20170028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information
user terminal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훈
Original Assignee
유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훈 filed Critical 유성훈
Priority to US15/757,12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276998A1/en
Priority to EP16842145.1A priority patent/EP3346441A4/en
Priority to PCT/KR2016/008930 priority patent/WO2017039179A1/ko
Priority to JP2018512322A priority patent/JP2018534654A/ja
Publication of KR2017002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08G5/0026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locat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73Surveillance aids
    • G08G5/0082Surveillance aids for monitoring traffic from a groun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 또는 디텍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부터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METHOD FOR MONITOR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 USER TERMINAL, SERVER AND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무인 비행체로부터의 안전을 도모하고 보안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를 예방하며 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 비행체는 승무원이 없이 조종이 될 수 있는 비행기를 말한다. 무인 비행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인 비행기, 무인기, 드론(drone), 무인 항공기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무인 비행체는 과거에는 주로 군사용으로 적기(敵機)를 나타내는 표적 용도로 사용되거나 정찰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 들어 민간 분야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양상이다. 특히, 최근 상업용 무인 비행체가 미국을 포함하여 전세계의 많은 국가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거나 사용 준비를 위해 법적 승인이 검토되고 있으며, 취미용 무인 비행체도 급속한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무인 비행체는 예기치 못한 추락으로 인해 인명이나 시설에 피해를 줄 위험이 있는 안전 문제를 가지고 있고, 카메라나 도청장치 등이 장착되는 경우 허가 받지 않은 상황에서 상대방이 인지하지 못한 채로 영상 촬영이나 음성 녹음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보안 누설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법적인 규제책을 포함하여 다양한 해결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비용 및 기술의 한계로 인해 상기와 같은 위험성이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무인 비행체로부터의 안전을 도모하고 보안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를 예방하며 비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획기적인 기술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로부터의 안전을 도모하고 보안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를 예방하며 비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상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의 존재를 손쉽게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획득하여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의 존재를 손쉽게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를 사용자가 정부 기관에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고, 신고를 접수한 정부 기관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의 적법 여부를 적절히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 또는 디텍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부터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디텍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디텍팅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또는 디텍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부터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텍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텍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텍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로부터의 안전을 도모하고 보안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를 예방하며 비행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상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의 존재를 손쉽게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획득하여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의 존재를 손쉽게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익명의 무인 비행체를 사용자가 정부 기관에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고, 신고를 접수한 정부 기관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의 적법 여부를 적절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인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인 비행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무인 비행기, 무인기, 드론(drone), 무인 항공기라는 용어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무인 비행기, 무인기, 드론(drone), 무인 항공기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야외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디텍팅 장치(200)는 근접하여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400)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인 비행체(40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소정의 거리(A)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이나 디텍팅 장치(200)와 같은 통신 단말들에게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100)이나 디텍팅 장치(200)와 같은 통신 단말들은 이러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무인 비행체(400)의 비행을 검출할 수 있다. 무인 비행체(400)는 넓은 지역을 비행하여 이동하므로 이동 궤적에 존재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에 지속적으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비행체(400)가 (가) 지역에서 (나) 지역을 거쳐 (다) 지역으로 비행한다고 할 때, 무인 비행체(400)는 (가), (나), (다)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에 식별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무인 비행체(400)가 전송하는 식별 정보는 소정의 거리(A) 범위 내에 위치한 통신 단말들에만 전달되므로 무인 비행체(400)가 특정 지역을 벗어나서 특정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 등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A) 이상 떨어지게 되는 경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 등은 더 이상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400)가 비행을 하는 경우(예를 들어, 회전익이 가동되는 경우)에만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나 디텍팅 장치(200)는 수신한 식별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300)로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무인 비행체(4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등록된 다수의 무인 비행체의 식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100)이나 디텍팅 장치(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무인 비행체(4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무인 비행체(4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이나 디텍팅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디텍팅 장치(200)로 전송하는 경우 디텍팅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해당 상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300)가 자체적으로 보유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도 있고 서버(300)는 별도의 서버에 검색 쿼리를 전송하고 결과만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이나 디텍팅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세 정보란, 특정 무인 비행체(400)의 세부적인 특징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무인 비행체(400)의 스팩 정보, 비행 출발지 정보, 비행 목적지 정보, 비행 시간 정보, 비행 경로 정보, 운반 중인 물건 정보, 사고 이력 정보, 운용자 정보 및 무인 비행체(400)가 항공 규제를 준수하는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 정보는 그 자체로서 무인 비행체(400)의 식별 정보에 직접 매핑되어 있는 정보일 수도 있으나, 무인 비행체(400)의 현재 비행 상태 내지 조건으로부터 판단된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 무인 비행체(400)가 항공 규제를 준수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무인 비행체(400)의 등록된 비행 경로와 현재 비행 위치를 비교한 결과 정보가 될 수 있다. 현재 비행 위치는 사용자 단말(100)이나 디텍팅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후술하는 것처럼 무인 비행체(400)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수신된 상세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표시되거나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로부터 음향(또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익명의 무인 비행체(400)가 근처로 접근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전송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술한 상세 정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인 비행체(400)를 신고할 수도 있다. 다만,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는 사용자의 동의가 전제될 수 있다.
또한, 디텍팅 장치(200)가 무인 비행체(400)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디텍팅 장치(200)에 접근 권한을 가지는 단말 또는 인접한 사용자 단말(100)로 수신된 상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디텍팅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에 접근 권한을 가지는 단말에 제공하여 무인 비행체(4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에게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는 이러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는 비콘(beacon)을 탑재하여 상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에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비콘(beacon)은 반경 0.5m~70m 범위 안에 있는 통신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단말이다. 비콘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디텍팅 장치(200)는 블루투스가 온(ON)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비콘과 다른 통신 모듈이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는 소정의 거리 범위 내의 통신 단말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탑재될 통신모듈은 법적으로 장착이 의무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임의 탈부착 방지를 위해 메인보드 등에 In Mold 방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통신부(110)에 대해서 설명하면, 통신부(110)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나, 다른 장치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직접 획득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스팩 정보, 비행 출발지 정보, 비행 목적지 정보, 비행 시간 정보, 비행 경로 정보, 운반 중인 물건 정보, 사고 이력 정보, 운용자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가 항공 규제를 준수하는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이와 다른 종류의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는, 무인 비행체의 식별 정보(34) 외에 특정 무인 비행체의 사진(35), 특정 무인 비행체의 과거 사고이력 정보, 특정 무인 비행체의 적재 정보, 특정 무인 비행체의 운용 목적 정보, 특정 무인 비행체의 비행 허가 일시 정보, 특정 무인 비행체의 비행 허가 지역 정보 등을 상세 정보로서 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는, 특정 무인 비행체가 허가 시간에 비행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36)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세 정보는 그 자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식별 정보에 직접 매핑되어 있는 정보일 수도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현재 비행 상태 내지 조건으로부터 판단된 결과 정보가 될 수도 있다. 특정 무인 비행체가 허가 시간에 비행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36)는, 특정 무인 비행체의 등록된 비행 허가 일시와 현재 날짜 및 시간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판단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3에서 식별 정보 #153, #988A를 가지는 무인 비행체는 비행 허가 시간에 비행 중인 것으로 표시되고 있는 반면, 식별 정보 #142를 가지는 무인 비행체는 비행 금지 시각에 비행 중인 것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는,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신고 버튼 UI(33)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무인 비행체가 비행 금지 구역을 비행하는 등 규제를 위반하여 비행하거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상세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신고 버튼 UI(33)를 조작하여(사용자 단말(100)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터치할 수 있다.)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신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 항공 규제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의 다른 서버가 될 수도 있다.)는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로부터 신고를 수신하여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비행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비행 허용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특정 무인 비행체의 운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통지할 수 있다. 특정 무인 비행체가 규제를 위반하고 있거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것으로 인정될 때, 특정 무인 비행체의 운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무인 비행체의 경로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적절한 제재가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상기 비행 허용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추가 상세 정보로서 전술한 특정 무인 비행체가 비행 허가 시간에 비행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36)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특정 무인 비행체가 비행 허가 시간에 비행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36)는 처음에는 상세 정보로는 제공되지 않다가 사용자의 신고가 접수되고 비행 허용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추가 상세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무인 비행체가 비행 금지 구역을 비행하거나 비행 금지 시간에 비행하는 등 규제를 위반하여 비행하거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신고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무인 비행체를 제외한 모든 무인 비행체에 대한 신고를 자동적으로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알고 있는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신고 예외 비행체로 등록할 수 있는데, 등록된 신고 예외 비행체 외에 식별 정보가 수신된 모든 무인 비행체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신고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신고된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상세 정보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저장 한도가 모두 채워진 경우 서버(300) 또는 다른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신고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신고를 받은 서버(300)는 항공규제를 담당하고 있는 정부기관의 서버로 무인 비행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사용자 단말(100)의 경우는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부기관의 서버는 비행 규제 구역 정보, 항공 규제 정보(예를 들어, 사전 허가를 받고 비행을 하게 되어 있는 경우 사전 허가 정보, 특정 장소의 사전 허가가 되어 대기 중인 신청현황 정보 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부기관은 항공 관제센터, 보안필요기관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는, 디텍팅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디텍팅 장치(200)로부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거나 디텍팅 장치(200)로부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통해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텍팅 장치(200)는 건물의 옥상과 같은 야외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도 사용자가 곧바로 쉽게 확인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텍팅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이나 인근에 위치하는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신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가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함에도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거나 획득된 식별 정보에 의해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는, 특정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인식한 결과로서 획득된 특정 무인 비행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장치(200)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나 음향을 획득할 수 있는 마이크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에 의해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획득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무인 비행체의 비행 지역이나 비행 궤적이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그것과 전혀 다른 것으로 판단되면, 디텍팅 장치(200)는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거나,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서버(300)나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획득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무인 비행체의 특성에 비추어 접근하고 있는 특정 무인 비행체와 동일한 무인 비행체일 확률이 소정의 값 미만인 경우에도 위와 같이 영상이나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디텍팅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가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함에도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거나 획득된 식별 정보에 의해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접근하는 무인 비행체에 대한 영상 또는 음향을 지속적으로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접근하는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거나 식별하도록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특정 무인 비행체가 특정 구역을 비행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을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 무인 비행체가 더 운용될 수 있다. 감시 무인 비행체는 특정 구역을 비행하면서 특정 구역에 접근하는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거나,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서버(300) 또는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무인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이는 디텍팅 장치(20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무인 비행체의 위치 정보(41, 42, 43)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인 비행체 각각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 수단(예를 들어, GPS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100)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45)를 획득하여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도 위치 검출 수단(예를 들어,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100)로 접근하는 무인 비행체의 거리 정보가 지도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무인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인근의 다른 단말로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접근하는 무인 비행체가 상기와 같이 위치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GPS 정보)를 인근의 다른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접근 중인 무인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간접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도 상에 표시된 특정 무인 비행체를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는 사용자가 지도 상에 표시된 특정 무인 비행체를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상에 표시되거나 상세 정보를 통해 표시되는 무인 비행체는 무인 비행체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구호용 무인 비행체는 청색으로 표시되고 산업용 무인 비행체는 황색으로 표시되며 취미용 무인 비행체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직접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와 달리 프로세서(130)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는 이렇게 수신되거나 산출된 속도 정보가 소정 값 이상이면, 고속 접근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디텍팅 장치(200)도 이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후술할 디텍팅 장치(200)의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직접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디텍팅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신 또는 산출된 속도 정보가 소정 값 이상이면, 고속 접근 경고 신호를 출력하거나 다른 장치나 인접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고속 접근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가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와 함께 긴급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이는 디텍팅 장치(200)가 수행할 수도 있다.). 무인 비행체는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 외에 별도의 통신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긴급 상황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무인 비행체에 탑재된 두 가지 통신 모듈은 모두 비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체가 90도 기울면 안전한 기체 착륙을 위해 낙하산이 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또 다른 비콘이 가동되어 신호를 발송하고, 해당 신호에 대한 고유번호 영역을 별도로 할당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해당 고유번호 영역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인 비행체에 문제가 생겼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면(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영상을 인식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취미용 무인 비행체를 허가된 지역에서 안전하게 비행시키는 경우, 비행쇼 등을 할 수 있어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구매의욕을 느끼게 할 수도 있는데 이때,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해당 무인 비행체를 촬영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무인 비행체에 대한 구매정보, 구매화면, 또는 이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정보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 및 사용자 단말(100)의 다른 구성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20) 및 다른 구성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디텍팅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디텍팅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팅 장치(200)는, 통신부(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디텍팅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거나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 및 디텍팅 장치(200)의 다른 구성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220)는 디텍팅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통신부(210) 및 다른 구성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3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서버(300)의 동작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면,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로부터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특히,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가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함에도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거나 획득된 식별 정보에 의해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310)는, 특정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인식한 결과로서 획득된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로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가 감지된 지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가 획득된 시간이 비행 금지 시간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가 감지된 지역이 비행 금지 구역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디텍팅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비행이 허용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세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 및 서버(300)의 다른 구성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330)는 서버(3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 및 다른 구성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33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서버(300)는 항공 규제를 담당하는 정부기관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으로 인해 불특정인의 신체 및 재산 피해를 예방 또는 최소화하고, 사생활 침해 위험을 예방 또는 최소화하며, 무인 비행체의 법률 준수 여부 감시 및 규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가 인근에 비행하고 있음을 일정 반경 내 위치한 사람들에게 알림으로써, 무인 비행체와의 충돌 위험 또는 무인 비행체에 장착된 각종 부속물 및 운반 중인 물건 등으로 인한 물리적/신체적 피해를 입을 수 있음을 사전에 인지하고 대비함으로써 신체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인의 사생활 침해(촬영, 엿보기 등)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고 허락되지 않은 비행(항공법에 의해 규제되는 비행 금지 시간의 비행, 비행금지 구역이나 보안상 출입금지 구역으로의 비행)인지 감시하고 법적으로 제재하여 그 피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디텍팅 장치
300 : 서버
110 : 통신부
12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130 : 프로세서
210 : 통신부
220 : 프로세서
310 : 통신부
32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330 : 프로세서

Claims (28)

  1.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 또는 디텍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부터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가 감지된 지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가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함에도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거나 획득된 식별 정보에 의해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인식한 결과로서 획득된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팅 장치는,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거나,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상기 서버 또는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가 특정 구역을 비행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을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 무인 비행체가,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거나,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상기 서버 또는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직접 속도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속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수신 또는 산출된 속도 정보가 소정 값 이상이면, 고속 접근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스팩 정보, 비행 출발지 정보, 비행 목적지 정보, 비행 시간 정보, 비행 경로 정보, 운반 중인 물건 정보, 사고 이력 정보, 운용자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가 항공 규제를 준수하는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신고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비행 허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운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무인 비행체를 제외한 모든 무인 비행체에 대한 신고를 자동적으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는 비콘을 탑재하여 상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에 상기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항공 규제를 담당하는 정부기관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디텍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텍팅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디텍팅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가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함에도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거나 획득된 식별 정보에 의해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인식한 결과로서 획득된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팅 장치는,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거나,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서버나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가 특정 구역을 비행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을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 무인 비행체가,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영상이나 음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거나, 상기 획득된 영상이나 음향을 상기 서버 또는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를 식별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직접 속도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속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수신 또는 산출된 속도 정보가 소정 값 이상이면, 고속 접근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의 스팩 정보, 비행 출발지 정보, 비행 목적지 정보, 비행 시간 정보, 비행 경로 정보, 운반 중인 물건 정보, 사고 이력 정보, 운용자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가 항공 규제를 준수하는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신고를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의 비행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무인 비행체를 제외한 모든 무인 비행체에 대한 신고를 자동적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가 특정 무인 비행체로부터 식별 정보와 함께 긴급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는 상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영상을 인식하여 상기 특정 무인 비행체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디텍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디텍팅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또는 디텍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부터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디텍팅 장치로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서버.
  27.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8.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텍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텍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텍팅 장치.
KR1020150148318A 2015-09-04 2015-10-23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 KR20170028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57,125 US20180276998A1 (en) 2015-09-04 2016-08-12 Method, user terminal, server, and detecting device for monitor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
EP16842145.1A EP3346441A4 (en) 2015-09-04 2016-08-12 METHOD, USER DEVICE, SERVER AND DETECTIO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FLIGHT OF AN UNMANAGED AIRCRAFT
PCT/KR2016/008930 WO2017039179A1 (ko) 2015-09-04 2016-08-12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
JP2018512322A JP2018534654A (ja) 2015-09-04 2016-08-12 無人飛行体の飛行をモニタリングする方法、使用者端末、サーバおよびディテクティン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5862 2015-09-04
KR1020150125862 2015-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811A true KR20170028811A (ko) 2017-03-14

Family

ID=5846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318A KR20170028811A (ko) 2015-09-04 2015-10-23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276998A1 (ko)
EP (1) EP3346441A4 (ko)
JP (1) JP2018534654A (ko)
KR (1) KR2017002881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2162A3 (en) * 2017-05-13 2019-04-04 Airspace Systems Inc. SECURE DRIVE AND BEACON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PILOT AND REMOTE DRONE
KR20190134251A (ko) * 2018-05-25 2019-12-04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건물 관리 장치, 건물 관리 자율비행장치
KR20200072215A (ko) * 2018-12-12 2020-06-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농업 방제용 드론의 관리 및 제어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US10713959B2 (en) 2015-06-12 2020-07-14 Airspace Systems, Inc. Low altitude aircraft identification system
KR20210133716A (ko) * 2020-04-29 2021-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항공기들의 위치를 탐지하는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무인 항공 탐지 장치
KR102396773B1 (ko) * 2021-11-12 2022-05-12 주식회사 스마티 무인 비행체 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00005C (en) * 2015-09-30 2024-03-19 Alarm.Com Incorporated Drone detection systems
US10853756B2 (en) * 2016-03-02 2020-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hicle identification and interception
CN107295811B (zh) * 2016-07-05 2020-09-0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联网验证的方法及装置
US11068837B2 (en) * 2016-11-21 2021-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securely sending and receiving packages via drones
US11240274B2 (en) 2017-12-21 2022-02-01 Alarm.Com Incorporated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EP3616022B1 (en) * 2018-02-22 2021-07-21 SZ DJI Technology Co., Ltd.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JP6974247B2 (ja) * 2018-04-27 2021-12-01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提示指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2550756B (zh) * 2020-11-16 2022-11-01 西安爱生技术集团公司 一种伞降回收无人机检测面板
WO2023100307A1 (ja) * 2021-12-02 2023-06-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管理装置、情報処理端末装置、移動体制御装置、移動体管理方法、及び、移動体管理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1339B2 (en) * 2008-09-09 2013-08-27 Aeryon Lab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ng unmanned vehicles
US7969346B2 (en) * 2008-10-07 2011-06-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ransponder-based beacon transmitter for see and avoid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S8059489B1 (en) * 2009-04-17 2011-11-15 The Boeing Company Acoustic airport surveillance system
TW201235808A (en) * 2011-02-23 2012-09-01 Hon Hai Prec In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AV to flight in predefined area
US10089887B2 (en) * 2015-03-06 2018-10-02 Timothy Just Drone encroachment avoidance monitor
US9651944B2 (en) * 2015-03-22 2017-05-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manned aerial vehicle piloting authorization
US20190103030A1 (en) * 2015-06-12 2019-04-04 Airspace Systems, Inc. Aerial vehicle identification beacon and reader system
US9652990B2 (en) * 2015-06-30 2017-05-16 DreamSpaceWorld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nmanned aerial vehicles
AU2016300342B2 (en) * 2015-07-29 2019-09-12 Hitachi, Ltd. Moving body identification system and identification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3959B2 (en) 2015-06-12 2020-07-14 Airspace Systems, Inc. Low altitude aircraft identification system
WO2019032162A3 (en) * 2017-05-13 2019-04-04 Airspace Systems Inc. SECURE DRIVE AND BEACON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PILOT AND REMOTE DRONE
KR20190134251A (ko) * 2018-05-25 2019-12-04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건물 관리 장치, 건물 관리 자율비행장치
KR20200072215A (ko) * 2018-12-12 2020-06-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농업 방제용 드론의 관리 및 제어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KR20210133716A (ko) * 2020-04-29 2021-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항공기들의 위치를 탐지하는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무인 항공 탐지 장치
US11994881B2 (en) 2020-04-29 2024-05-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dentification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unmanned aerial vehicle detec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396773B1 (ko) * 2021-11-12 2022-05-12 주식회사 스마티 무인 비행체 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76998A1 (en) 2018-09-27
JP2018534654A (ja) 2018-11-22
EP3346441A1 (en) 2018-07-11
EP3346441A4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8811A (ko)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
US11961093B2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flight regulations
US202103751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o-fencing device communications
CN107533331B (zh) 具有动态特性的地理围栏设备
CN107409174B (zh) 用于管制无人飞行器操作的系统和方法
US9989965B2 (en) Object detection and analysis via unmanned aerial vehicle
CN107615785B (zh) 用于显示地理围栏设备信息的系统和方法
CN107430403B (zh) 具有地理围栏设备级别的系统和方法
US97280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flying vehicle flight paths
CN107615359B (zh) 用于检测未经授权的无人飞行器活动的认证系统和方法
CN107430402B (zh) 用于对地理围栏设备进行标识和认证的系统和方法
CN107407915B (zh) 用于生成飞行管制的认证系统和方法
CN107408351B (zh) 用于生成飞行管制的认证系统和方法
WO2017039179A1 (ko)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텍팅 장치
US20180091908A1 (en) Identif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based on audio signatures
US200801833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restricted area alerts
JP6652620B2 (ja) 無人航空機を操作するシステム
KR20110128685A (ko)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88278B1 (en) Traffic drone system
KR20230045146A (ko) 무인 비행 패턴 추적을 통한 목적 판별 및 불법행위 추적 분석/피드백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6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28

Effective date: 2019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