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783A -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 - Google Patents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783A
KR20170028783A KR1020150125834A KR20150125834A KR20170028783A KR 20170028783 A KR20170028783 A KR 20170028783A KR 1020150125834 A KR1020150125834 A KR 1020150125834A KR 20150125834 A KR20150125834 A KR 20150125834A KR 20170028783 A KR20170028783 A KR 20170028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entilation
type thermometer
adhesive layer
patch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은
엄성수
오준재
이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8783A/ko
Priority to CN201690001134.8U priority patent/CN208818370U/zh
Priority to PCT/KR2016/000157 priority patent/WO2017039083A1/ko
Publication of KR20170028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K13/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01K1/143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s
    • G01K13/00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치형 온도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상물, 특히 인체의 피부에 접착이 용이한 패치형 온도계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패치형 온도계의 통기성을 높여 착용감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패치형 온도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 {PATCH TYPE THERMOMETER WITH IMPROVED PERMEABILITY}
본 발명은 패치형 온도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상물, 특히 인체의 피부에 접착이 용이한 패치형 온도계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패치형 온도계의 통기성을 높여 착용감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패치형 온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온은 신체의 면역력을 좌우하고, 신체 건강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되므로 정확하게 측정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특히 유아들의 건강에 있어서 체온은 아주 중요한 몸의 상태를 말해준다.
또한 유아의 체온 상승은 체내에 침입한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유아의 건강관리를 위해서 지속적인 체온의 측정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의 체온 측정에는 타 체온계보다 감지 오차가 적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막대형 눈금 체온계를 많이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런 종래의 막대형 눈금 체온계는 유리 막대 형상으로 인해 체온 측정 시 측정 대상자의 겨드랑이에 끼우고 장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체온 측정 대상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장시간의 대기시간을 견디지 못하여 겨드랑이에 고정된 체온계가 이탈될 경우에는 온도 측정이 불가능해지거나 바닥에 떨어져 파손으로 인한 수은의 누출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피부에 간이하게 붙일 수 있는 형태의 온도계 형태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패치형 온도계는 사용자의 피부에 지속적으로 부착이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자칫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한 착용감이 들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부착 환경에 따라 사용자 피부에의 트러블 발생의 원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패치형 온도계를 구현함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자 통기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27972호 (2013.03.18. 공개)
본 발명은 대상물의 온도, 그 중에서도 특히 사람의 체온을 상시 측정하기에 적합한 패치형 온도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패치형 온도계의 통기성을 개선시키고자 복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통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패치형 온도계가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통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때, 본 발명은 통기성 개선 여부를 MVTR 값을 통해 객관적으로 밝힘으로써 그 효과가 수치적으로 뒷받침되는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치형 온도계에 포함되는 통기층 뿐 아니라 통기층 상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고려하여 상기 통기층과 점착제의 조합에 따른 MVTR 값을 수치적으로 구해봄으로써 통기성 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조합의 패치형 온도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는 복수의 통기구멍을 포함하는 통기층; 상기 통기층 상에 배치되는 온도 감지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치형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은,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이 때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통기층은, 60 내지 200 g/m2의 MVTR(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치형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은 부직포로 구현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드, 스펀레이스(spunlace), 폴리에스터 스펀레이스 또는 탄 레이온(Tan Rayon)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치형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점착제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치형 온도계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은, 조각판(wafer) 표면에 논리 소자가 집적된 온도 감지 칩; 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치형 온도계를 대상물, 특히 사람의 피부에 쉽게 부착하고 뗄 수 있어 대상물의 온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온도계와 달리 사용자로 하여금 거부감 없이 패치형 온도계를 지속적으로 부착하도록 할 수 있어 특히 상시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 예를 들어 유아의 경우 부모가 손쉽게 체온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통기층을 포함시킴으로써 땀, 습기 등이 패치형 온도계 내부에 고여 발생될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층 뿐 아니라 상기 통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의 조합까지도 고려한 패치형 온도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 통기성 등을 동시에 개선시킨 패치형 온도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가 실제 사용자 피부에 부착되어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 내 통기층과 상기 통기층 상에 배치된 온도 감지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통기층의 통기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통기층, 통기층과 접착층의 조합들에 대해 통기성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통기성 측정 실험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의 개략적인 모습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가 대상물, 그 중에서도 특히 사람의 피부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는 상시 모니터링이 필요한 유아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유아의 경우 감기 등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 체온의 지속적인 확인을 요하는데, 종래 온도계는 유아의 몸에 상시 접촉 시킬 수 없어 부모가 매번 체온 확인을 할 때마다 온도계를 유아의 입 또는 겨드랑이에 대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불편함을 줄이고자 고안된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인체의 피부에 쉽게 부착시키는 것 만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특히 패치형 온도계(1000)는 부착된 상태로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수 있어 대상의 체온을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를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패치형 온도계(1000)의 핵심적인 두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패치형 온도계(1000)는 크게 i)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수단(500) 및 ii) 상기 온도 감지 수단(500)이 배치되는 통기층(100)을 포함한다.
온도 감지 수단(500)은 대상물의 표면, 특히 사람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거나 또는 그 사이에 다른 물질이 존재해 간접 접촉되어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접촉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대상물과의 접촉 없이 온도를 측정하는 비접촉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접촉식으로 구현된 온도 감지 수단(500)은 대상물과 직간접적으로 접촉되어 대상물과의 온도 평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측정값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비접촉식으로 구현된 온도 감지 수단(500)은 대상물과 접촉되지 않아도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예를 들어 적외선 감지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온도 감지 수단(500)은 사람의 피부에 부착 되는 기재 위에 형성되는데, 이 때 기재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것인 이상 사용자의 활동성에 따라 유연하게 그 형태가 변할 수 있는 기재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기재의 소재로는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PVC(polyvinyl chloride), 셀룰로오드,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돋을 새김(embossed) 폴리에틸렌, 스펀레이스(spunlace), 폴리에스터 스펀레이스(polyester spunlace), 탄 레이온(tan ray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앞서도 언급하였듯 본 발명은 통기성을 개선시킨 패치형 온도계(1000)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상기 기재에 복수의 통기 구멍(110)을 형성시킨 통기층(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기층(100)이란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소재의 기재에 복수의 통기 구멍(110)을 형성시킨 것을 의미하며, 상기 통기층(100) 상에는 온도 감지 수단(500)이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할 때 통기층(100)에는 복수의 통기 구멍(110)이 통기층(100) 표면의 가로, 세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될 수 있다. 통기 구멍(110)은 통풍 및 땀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로 천공됨이 바람직한데, 통기 구멍(110)의 크기를 패치형 온도계(1000)를 제작할 시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기 구멍(110)은 통기층(100) 상에 인위적으로 천공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통기층(100) 소재 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불규칙한 복수의 틈새 역시 상기 통기 구멍(110)에 준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부직포는 섬유가 얽히도록 기계적인 처리를 하여 만든 소재를 일컫는데, 섬유가 얽히면서 발생되는 틈을 통해서도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렇게 소재 자체의 특성에 따른 틈새 역시 통기 구멍(11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통기층(100)의 일면에는 온도 감지 수단(500)이 구비되는데, 이 때 상기 온도 감지 수단(500)이 구비되는 통기층(100) 영역에는 통기 구멍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온도 감지 수단(500)을 통기층(100)에 견고하게 실장시킴과 동시에, 특히 온도 감지 수단(500)이 접촉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통기층(100)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시킴으로써 대상물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는 도 2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았던 패치형 온도계(1000)의 구성으로서 접착층(200)과 커버 필름(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따를 때,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는 그 전제가 대상물에 부착되는 것인 이상 대상물과 점착될 수 있는 별도의 층인 접착층(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00)은 상기 통기층(100)의 배면, 즉 온도 감지 수단(500)이 배치되어 있는 일면의 배면에 형성되며, 대상물, 특히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여 점착된다. 위 접착층(200)은 아크릴, 실리콘 타입의 물질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200)은 통기층(100)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통기 구멍(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00)은 사람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통기층(100)과 같이 통풍 및 땀 배출 기능을 하기 위한 통기 구멍(210)을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접착층(200) 상의 통기 구멍(210)은 통기층(100)에 형성된 통기 구멍과 그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 상기 통기층(100)과 접착층(200)이 맞닿은 채로 일률적으로 천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는 커버 필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커버 필름(300)은 온도 감지 수단(500)을 전체적으로 덮어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 온도 감지 수단(500)의 상부를 둘러싸 외부로의 노출을 차단하여 기계적, 전기적 기능을 유지시키고,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는 통기성을 개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통기성 효과의 좋고 나쁨을 MVTR이라는 수치로 구별하기로 한다.
MVTR(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은 수증기가 단위 시간 당 얼마나 많이 통과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나, 수증기가 짧은 시간 동안 많이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의 의미는 곧 공기 입자 역시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이 통과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궁극적으로는 통기 효과에 대한 지표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 내 통기층(100)에서 공기가 통기 구멍(110)을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통기성은 단위 시간 동안 복수의 통기 구멍(110)을 통해 얼마나 많은 양의 공기가 통과하였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한편, 통기성은 수증기가 단위 시간 동안 통기 구멍(110)을 통과하는 양인 투습성(MVTR)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통기성을 직접 측정하는 대신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지표로서 투습성(MVTR)을 차용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의 통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최선의 통기층(100) 및 접착층(200)의 조합을 찾기 위한 실험 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실험 세트는 복수개의 뚜껑이 덮여 있지 않은 용기들에 일정양의 물을 채운 후 이들 용기들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실험군에 대해서는 접착층(200)이 형성된 통기층(100)을 씌우고 대조군에 대해서는 아무 기재도 씌우지 않은 상태로 준비한다.
이 때 실험군에 대해서는 다양한 재질의 통기층(100)을 씌우며, 나아가 상기 다양한 통기층(100)에는 부가적으로 여러 종류의 접착층(200)을 형성시킨 채 실험을 진행하여 다양한 조합의 통기층(100), 접착층(200) 조합 중 통기성이 더 좋은, 즉 MVTR 수치가 더 높은 조합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더 구체적으로, 실험군으로는 총 11개의 통기층(100), 접착층(200) 조합으로 구성하였으며, 여기에는 필름 타입의 폴리우레탄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의 제1조합, 필름 타입의 PVC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의 제2조합, 부직포 타입의 셀룰로오드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의 제3조합, 필름 타입의 폴리에틸렌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의 제4조합, 필름 타입의 돋을 새김(embossed) 폴리에틸렌과 아크릴 접착층(200)의 제5조합, 필름 타입의 폴리우레탄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의 제6조합, 부직포 타입의 스펀레이스 통기층(100)과 실리콘 접착층(200)의 제7조합, 부직포 타입의 폴리에스터 스펀레이스와 아크릴 접착층(200)의 제8조합 및 제9조합, 부직포 타입의 탄 레이온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의 제10조합, 폼(foam) 타입의 폴리에틸렌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의 제11조합이 포함된다.
실험의 진행은 복수의 실험군 용기들과 하나의 대조군 용기를 동일한 장소에 배치하고 24시간 동안 관찰한 후 용기에 채워져 있던 물의 양이 얼마나 줄었는지를 측정하여 MVTR 수치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 세트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각 용기들의 초기 질량, 즉 물, 용기, 통기층(100) 및 접착층(200)을 합한 질량을 구하고, 24시간 후 다시 질량을 측정한 뒤 그 차이를 계산하였으며,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질량 차이를 입구 면적으로 나누어 최종적인 MVTR 수치를 획득하였다.
Figure pat00001
도 6은 실험 결과에 따른 각 조합에서의 24시간 이전과 이후 질량값과 최종적으로 획득한 MVTR 수치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대조군 용기를 살펴볼 때, 통기층(100)을 씌우지 않은 용기의 경우 24시간 전후의 질량차가 4.5그램이었으며 이를 용기의 면적(0.006644m2)으로 나눈 MVTR 수치는 677.30g/m2 이었다.
다음으로 실험군 용기들을 살펴볼 때, 가장 높은 MVTR 수치를 보인 조합은 부직포 타입의 탄 레이온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으로 이루어진 제10조합이었으며 180.61g/m2의 MVTR 수치를 나타내었다. 제10조합에 이어 높은 수치를 보인 조합은 부직포 타입의 셀룰로오드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으로 된 제3조합(120.41g/m2), 부직포 타입의 스펀레이스 통기층(100)과 실리콘 접착층(200)으로 된 제7조합(75.26g/m2), 부직포 타입의 폴리에스터 스펀레이스 통기층(100)과 아크릴 접착층(200)으로 된 제8조합(60.20g/m2) 및 제9조합(60.20g/m2)이었다.
도 6의 실험 결과를 살펴볼 때, 전반적으로 필름 타입의 통기층(100) 보다는 부직포 타입의 통기층(100)을 사용한 경우 MVTR 수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크릴 계열의 접착층(200)을 사용한 경우 대체적으로 높은 MVTR 수치가 나타났다.
즉, 도 6을 참조할 때 패치형 온도계(1000)의 통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직포 타입의 통기층(100), 아크릴 타입의 접착층(200) 조합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패치형 온도계(1000)의 통기층(100) 및 접착층(200)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조합을 해 본 결과 60 g/m2 내지 200 g/m2 의 MVTR 수치를 가지는 통기층(100) 및 접착층(200) 조합이 구현 가능한 범위 내에서 통기성이 개선된 결과를 보였으며, 바람직하게는 제7조합과 제10조합의 MVTR 수치가 포함되는 75 g/m2 내지 200 g/m2 사이의 MVTR 수치를 가지도록, 더 바람직하게는 통기층(100) 및 접착층(200)이 제10조합의 MVTR 수치가 포함되는 180 g/m2 내지 200 g/m2 사이의 MVTR 수치를 가지도록 할 때에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1000)를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패치형 온도계(1000) 내 포함되는 구성 중 통기층(100)과 통기층(100)에 형성된 접착층(200)이 어떤 조합을 이룰 때에, 또는 어느 구간 내의 MVTR 수치를 가질 때에 통기성이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1000)는 상기 통기층(100) 상에 온도 감지 수단(500)이 더 구비되는데, 이 때 온도 감지 수단(500)이란 바람직하게는 반도체의 얇고 작은 조각판(wafer)표면에 논리 소자가 집적된 온도 감지 칩을 의미한다.
또한, 온도 감지 칩이란 실질적으로 다양한 온도 감지 방식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것으로서 접촉식, 비접촉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며, 온도 감지 칩은 정상적인 구동을 위해 제어부(MCU)를 포함할 것을 전제로 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온도계 및 온도 감지 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며,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패치형 온도계
100 통기층
110 통기 구멍(통기층)
200 접착층
210 통기 구멍(접착층)
300 커버 필름
500 온도 감지 수단

Claims (7)

  1. 패치형 온도계에 있어서,
    복수의 통기구멍을 포함하는 통기층;
    상기 통기층 상에 배치되는 온도 감지 수단;
    을 포함하는 패치형 온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은,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형 온도계.
  3. 제2항에 있어서,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통기층은,
    60 내지 200 g/m2의 MVTR(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형 온도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형 온도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층은 셀룰로오드, 스펀레이스(spunlace), 폴리에스터 스펀레이스 또는 탄 레이온(Tan Ray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형 온도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점착제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형 온도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은,
    조각판(wafer) 표면에 논리 소자가 집적된 온도 감지 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형 온도계.
KR1020150125834A 2015-09-04 2015-09-04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 KR20170028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834A KR20170028783A (ko) 2015-09-04 2015-09-04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
CN201690001134.8U CN208818370U (zh) 2015-09-04 2016-01-08 温度感测装置
PCT/KR2016/000157 WO2017039083A1 (ko) 2015-09-04 2016-01-08 적외선 온도 측정 방식을 이용한 패치형 온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834A KR20170028783A (ko) 2015-09-04 2015-09-04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83A true KR20170028783A (ko) 2017-03-14

Family

ID=5846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834A KR20170028783A (ko) 2015-09-04 2015-09-04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87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7972A1 (en) 2011-07-25 2013-01-31 Minebea Co., Ltd.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7972A1 (en) 2011-07-25 2013-01-31 Minebea Co., Ltd.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40841A1 (en)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2584804B (zh) 可适应的粘性伤口敷料
US5636382A (en) Protective systems for sensitive skin
US9066812B2 (en) Ostomy appliance with a leakage indicator
US6836901B2 (en) Multi-use strips for wearable articles
US4846164A (en) Vapor permeable dressing
CA2947698C (en) Firefighter protective garment having a thermal barrier with spacers to increase dissipation of metabolic heat
US20210401293A1 (en) Wearable Temperature Indicator
WO2013005728A1 (ja) X線検知用絆創膏およびx線検知用絆創膏の製造方法
JP3863634B2 (ja) 粘着シート
CN110167428A (zh) 具有增加的表面能的封装的可穿戴装置和系统
KR102140954B1 (ko) 남성용 유두 가림 밴드
KR20170028783A (ko) 통기성이 개선된 패치형 온도계
US20190192352A1 (en) Translucent bandag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70135417A1 (en) Air pocket sensor
JP4467457B2 (ja) 触感鋭敏化グローブ
EP1474042B1 (en) Epicutaneous test plaster
JP4361551B2 (ja) 粘着シート
EP2854582B1 (en) A wearable apparatus with wicking properties
US20220257189A1 (en) Adhesive bandages and methods for their use and manufacture
JP4489694B2 (ja) 粘着シート
US10285875B1 (en) Skin-attached perspiration absorption and capture system
WO2023242754A1 (en) System,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fferential temperature in body part
EP3772291A1 (en) Self-adhesive sun protection dressing to be placed on a body part
CN112419662A (zh) 冻伤警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