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750A - Method and product of the stone design - Google Patents

Method and product of the stone desig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750A
KR20170028750A KR1020150125762A KR20150125762A KR20170028750A KR 20170028750 A KR20170028750 A KR 20170028750A KR 1020150125762 A KR1020150125762 A KR 1020150125762A KR 20150125762 A KR20150125762 A KR 20150125762A KR 20170028750 A KR20170028750 A KR 2017002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granite
glaze
panel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8265B1 (en
Inventor
최중갑
최재호
박대진
Original Assignee
최중갑
최재호
주식회사 나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갑, 최재호, 주식회사 나조산업 filed Critical 최중갑
Priority to KR102015012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265B1/en
Publication of KR2017002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7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2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 B41F17/3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on articles with surface irregularities, e.g. fruits,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glazed colorful pattern panel on granite by using a ceramic printer or a 3D printer, which includes: a first step of photographing a surface of natural marble to be reproduced; a second step of color-separating magenta (red), cyan (blue), yellow, and black; a third step of setting white opaque glaze as a base on the surface of the granite and drying the white opaque glaze; a fourth step of printing ceramic glaze color-developed into the four colors such as the magenta, cyan, yellow, and black by using a ceramic printer and a 3D printer to apply transparent glaze to the prints; a fifth step of removing an organic agent by slowly preheating the granite from the room temperature up to between 170C and 780C step by step; a sixth step of firing the ceramic glaze in a firing furnace at the temperature of 170C to 780C for 5 to 30 minutes; and a seventh step of slowly cooling down the granite from the temperature between 170C and 780C to the temperature of 80C.

Description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및 그 제조방법{Method and product of the stone desig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amic glaze panel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on a granite,

본 발명은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 우레탄 발포 난연시트, 실리콘 발포 난연시트(이하, “수지시트패널”이라 한다)가 결합된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amic glaze color pan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eramic glaze panel using the ceramic printing press and the 3D printing machine for granit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poxy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urethan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silicon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eramic glaze panel ")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eramic glaze panel using the ceramic printing press and the 3D printing machine.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 외장용으로 사용되는 천연 대리석, 천연 화강석 대신에 응용되는 제품으로써, 값싼 화강석을 이용하여 화강석 표면에 세라믹 유약을 이용하여 다채무늬(세라믹 프린트 인쇄 및 3D 인쇄)하여 열처리하면 자외선에 파괴되지 않는 다채무늬의 천연 대리석과 같은 제품이 되게 함으로써 화강석을 고가의 대리석처럼 자연 상태의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is applied to natural marble and natural granite which is used for interior and exterior of a building. It is applied to various granular patterns (ceramic print printing and 3D printing) using a ceramic glaze on the granite surface using cheap granite, To a product such as a natural marble of a variety of patterns which is not destroyed by the granite so that the granite can be realized in a natural state like an expensive marble

관련 기술로서, 건축물에 쓰이는 천연석재 박판(薄板)을 이용한 경박(輕薄)한 내외장재(內外裝材)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 보여지는 노출면이 석재판으로 이루어져 석재 고유의 미감을 충실히 표현하면서도 경량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연성 및 가공 견고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내외장용 장식패널 등과 같은 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석재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As a related technology, it relates to a thin inner and outer material using a natural stone thin plate used in a building, and the exposed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s made of a stone plate, faithfully expressing the intrinsic beauty of the st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ne composite panel which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durability,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processing robustness and can be utilized as a material such as decorative panels for interior and exterior use of a building.

최근 들어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친환경 소재인 석재(building stone)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as increased, the use of eco-friendly building stone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여기서, 석재란 암석의 원재(原材) 또는 이의 가공으로 얻어진 토목 및 건축재료를 총칭한다.Here, stone is a generic term of a raw material of a rock or a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material obtained by its processing.

상기 석재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면서도 자연스럽고 깊은 아름다움을 주고 어느 장소에나 잘 어울리며 시간이 지나도 싫증나지 않는 고유의 미감을 지니고 있어 건축물의 인테리어 소재로 새로이 각광을 받고 있다.The stone is easy to see from the surroundings, but it has a natural beauty and deep beauty. It is well suited to any place and has a unique beauty that does not bother over time.

더욱이 석재는 그 종류가 다양하면서도 각각의 질감이 달라 선택의 폭이 넓다.Moreover, although the stone types are various, the texture of each stone is wide and the choice is wide.

일례로 과거로부터 널리 사용되던 대리석은 물론 화강암류, 사문암류, 안산암류, 응회암류, 섬록암, 반려암, 점판암 등 이미 많은 종류가 내외장용 인테리어 소재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For example, many kinds of marble such as granite, serpentinite, andesite, tuff, diorite, gabbro, slate, etc. have been actively used as interior materials for interior and exterior as well as marble widely used from the past.

특히, 천연대리석, 인조대리석, 화강암 등은 건축물의 내, 외장재로 많이 사용된다.In particular, natural marble, artificial marble and granite are widely used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buildings.

이러한 석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질감이 양호하여 건축물을 고품격으로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견고하여 품질을 오래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별달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매우 바람직한 건축자재이다.As described above, such a stone is a highly desirable building material which not only exposes the building with high quality, but also has durability and is capable of maintaining the quality for a long time and does not emit harmful substances to the human body.

그러나, 이들 석재는 채취하고 가공하는 과정이 힘들고, 그에 따라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se stones are difficult to be collected and processed, and accordingly, they are not widely used because they are formed at a high price.

특히, 통상의 석재는 절단공정에서 수반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일정두께 이하의 패널형태로 가공하기 어렵고, 얇은 패널형태를 얻더라도 쉽게 부러지는 등 파손 가능성이 커서 제품화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process a conventional stone in the form of a panel having a thickness less than a certain thickness due to an impact accompanied by a cutting process, and even if a thin panel form is obtained, it is likely to be broken easily.

또한, 시공시 지나친 무게로 인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결과적으로, 대리석 등의 천연석을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할 때에는 대리석 자체의 비용 이외에도 시공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conomical efficiency and workability are deteriorated due to excessive weigh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s a result, when natural stone such as marble is used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onstruction costs are incurred in addition to the cost of marble itself.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대리석 등의 석재를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석재판을 일반적인 합성수지 패널에 접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stone such as marble has been cut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cut stone plate is adhered to a general synthetic resin panel.

그리고, 건축물 외장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유리를 사용하고 있는 바, 상기와 같은 화강암이나 대리석과 같은 다양한 무늬를 촬영하여 유리표면에 스크린 인쇄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In addition, glass is used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screen printing various patterns such as granite and marble as described above on a glass surface have been developed.

본 발명도 이와 같은 기술이 응용되고 있는바, 이를 종래 기술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ed to such a technique, which will be described in the prior art.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부호 11은 기판(유리), 12:는 인쇄층, 13은 백색의 불투명 유약층인 바, 대리석 또는 화강암 등 재현하고자 하는 천연석재의 표면을 촬영하여 빨강(마젠타), 파랑(시안), 노랑(옐로우), 검정(블랙)의 기본색으로 색분해하는 제1 단계와; 색분해된 필름에 의거하여 유리의 표면에 빨강, 파랑, 노랑, 검정의 4가지 색으로 발색되는 유약을 실크스크린(silk screen)으로 각각 인쇄하고, 백색의 불투명 유약을 인쇄면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제2 단계와; 이를 소성로에서 450∼800℃의 온도에서 3∼30분간 소성한 후, 냉각시키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substrate (glass), 12 denotes a printing layer, 13 denotes a white opaque glaze layer, and a surface of natural stone to be reproduced, such as marble or granite, , Cyan (C), yellow (Y), and black (B); Based on the color-separated film, the glaze which is colored in four colors of red, blue, yellow and black on the surface of the glass is printed with a silk screen, respectively, and a second, opaque glaze ; And calcining it in a calcining furnace at a temperature of 450 to 800 ° C. for 3 to 30 minutes, followed by cooling.

도 2의 경우는 유리에 대리석 무늬를 넣어 대리석 모양을 재현한 것이나, 안정감이 떨어지는 느낌이 많았고, 이러한 스크린 인쇄방법은 유리에 인쇄하는 것으로, 건물의 외장재로서 안전감이 가장 큰 것이 석재인데, 화강석에 이를 적용하여 무늬를 대리석화하는 방법이 연구되지 못하였다.In the case of Fig. 2, the marble pattern was put on the glass to reproduce the marble pattern, but there was a lot of feeling of lowering of stability. Such a screen printing method is printing on glass, There has been no study on how to apply this to marble patterning.

더구나, 천연 대리석은 고가이고, 기존 천연 대리석은 대부분 석회질로 구성되어 외부시공시 산성비 또는 자외선에 약해서 표면 부식이 급속히 진행되는 관계로 외부 시공이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고, 화강석만으로는 그 외부의 무늬로 보아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In addition, natural marble is expensive, and the existing natural marble is composed of mostly calcareous material, which causes corrosion on the surface due to acid rain or ultraviolet rays during the exterior construction, which causes difficulty in exterior construction. In the case of granite, There was a problem of fall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643호(2009. 06. 02. 공고, 명칭: 천연석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00643 (published on Jun. 02, 2009, entitled: Natural Stone Composite Panel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44095호(2013.3.18. 공고, 명칭: 프로파일 구조물이 부착된 허니콤 판넬 및 이를 구비한 석재복합판넬)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44095 (Honeycomb panel having a profile structure attached thereto and a stone composite panel having the sam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06580호(2001. 9. 24. 공고, 명칭: 다채무늬 유리판넬의 제조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306580 (published on September 24, 2001, entitl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ful pattern glass panel")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강석을 이용한 다채무늬 판넬은 시공이 가능하고 천연대리석의 변화로 인한 디자인의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현재 건축물의 외벽은 65%%가 화강석으로 시공되어 있는 관계로 건축물의 다양성을 요구하는 현대 건축물에 화강석을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은 화강석을 이용한 관계로 기존 건축 소재로써 문제점도 해결하면서 다양한 다채무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solving the imbalance of design due to the change of natural marble, Is used as a grani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colorful patterns while solving problems as existing building materials due to the use of granite as a ceramic glazing panel using granite for a modern building that requires diversity of buildings.

또한,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 우레탄 발포 난연시트, 실리콘 발포 난연시트, PE 발포 난연시트, PVC 발포 난연시트의 구조를 그 자체로 접착하여도 석재의 절단시에 파손이 없도록 하고, 벽면 등에 접착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게 하여, 외부로 보여지는 노출면이 석재판으로 이루어져 석재 고유의 미감을 충실히 표현하면서도 경량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연성 및 가공 견고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내외장용 장식패널과 같은 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단일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Furthermore, even when the structure of the epoxy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the urethan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the silicon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the P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nd the PVC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is adhered itself,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at the time of cutting the stone, And it is easy to construct, and the exposed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s made of stone plate, faithfully expressing the original beauty of stone, excellent in lightness and durability, and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processing robustness. In which a single resin sheet panel is manufactured so that the single resin sheet panel is manufactured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더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기재층은 얇거나 다층구조로 되어 있거나, 경질이어서 상호 천연석재를 직각 등으로 결합시에 기재층을 자를 때에 천연석재와 함께 잘라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작업시에 칼로 재단이 용이한 기재판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Furthermore, since the base layer of the prior art has a thin, multi-layered structure or is hard,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natural stone is mutually bonded at right angles, the base layer is cut with natural stone when cutting the base layer,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can be cut easily with a knife.

그리고, 건축용 자재로서 단열 효과는 경제적 측면에서 주요한 이슈이고, 8~50㎜ 정도 얇게 컷팅된 석재에 우레탄 등의 수지를 견고하게 부착함으로써 불연성은 물론 단열성이 높일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The insulation effect as a building material is a major issue in terms of economy, and the necessity of attaching a resin such as urethane to a stone cut to a thickness of about 8 to 50 mm has made it necessary to increase the heat insulation as well as the incombustibility.

또한, 천연석재판을 벽면에 부착할 경우에 접착제만으로 가능케 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가 벽면에 습기 등으로 떨어질 경우에는 예기치 않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므로, 결합볼트 등으로 안전하게 체결할 수 있는 기재층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Further,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natural stone plate to the wall surface, if it is made possible only by the adhesive, there is a problem that unexpected accident may occur when the adhesive drops to moisture on the wall surface. Therefore, Lay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재현하고자 하는 천연 대리석의 표면을 촬영하는 제1단계;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glaze panel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photographing a surface of a natural marble to be reproduced;

마젠타(빨강), 시안(파랑), 옐로우(노랑), 검정(블랙)을 색분해하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coloring magenta (red), cyan (blue), yellow (yellow), and black (black);

백색 불투명 유약으로 화강석 표면에 바탕을 잡고 건조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of drying and drying the granite surface with a white opaque glaze;

색분해된 필름에 의거하여 마젠타, 시안, 옐로우, 블랙의 4가지 색으로 발색되는 세라믹 유약을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각각 인쇄하고 투명유약을 도포하는 제4단계;A fourth step of printing a ceramic glaze, which is developed in four colors of magenta, cyan, yellow and black, on the color-separated film by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respectively, and applying a transparent glaze;

상온에서 170도 내지 780도까지 단계별로 서서히 화강석 온도를 예열하여 유기제를 탈포하는 제5단계;A fifth step of slowly degasifying the granite temperature stepwise from 170 ° C to 780 ° C at room temperature to defoam the organic agent;

소성로에서 170도 내지 780도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간 세라믹 유약을 소성하는 제6단계;A sixth step of baking the ceramic glaze at a temperature of 170 ° C to 780 ° C for 5 minutes to 30 minutes in a baking furnace;

170도 내지 780도의 화강석을 80도까지 서냉하는 제7단계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을 제조하는 방법이다.And a seventh step of gradually cooling the granite of 170 ° C. to 780 ° C. to 80 ° C.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eramic glaze color pattern panel using the ceramic printing press and the 3D printing machine in the grani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4, 5단계의 온도 대역은 170도 내지 650도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을 제조하는 방법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eramic glaze color pattern panel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on granit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ranges of the fourth and fifth steps are in the range of 170 to 650 degrees.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에 접착제층으로 접착되는 각각 두께 10㎜의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 우레탄 발포 난연시트, 실리콘 발포 난연시트, PE 발포 난연시트, PVC 발포 난연시트의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poxy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urethan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silicon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P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nd a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each having a thickness of 10 mm and adhered to an adhesive layer on a ceramic glaze pattern panel using a ceramic print printer and a 3D printer, Sheet, and PVC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The ceramic glaze panel is a ceramic glaze panel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에는 "T"자형 결합공(121)을 형성하여 체결볼트(150)의 끼움판(152)을 여기에 끼우고 난 다음, 기역자 앵글(140)의 개방형결합공(141)으로 볼트부(151)에 끼운 후, 상기 체결볼트(150)의 상부로 와셔부(153)가 형성된 체결너트(154)를 끼워 조이게 되면, 상기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에 체결수단(300)이 고정되며, 기역자 앵글의 측부에 형성된 둥근결합공(142)으로 벽면의 다른 결합요소와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 -shaped fitting hole 121 is formed in the epoxy foamed flame-retardant sheet to fit the fitting plate 152 of the fastening bolt 150 into the opening- The bolts 151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41 and then the bolts 154 ar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fastening bolts 150. The fastening means 300 And fixed with other engaging elements on the wall surface by a round engaging hole 142 formed on the side of the visiting angel. The ceramic glazing panel is made of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본 발명에 따르면,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다채무늬 판넬은 시공이 가능하고 천연대리석의 변화로 인한 디자인의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현재 건축물의 외벽은 65%%가 화강석으로 시공되어 있는 관계로 건축물의 다양성을 요구하는 현대 건축물에 화강석을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은 화강석을 이용한 관계로 기존 건축 소재로써 문제점도 해결하면서 다양한 다채무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pattern panel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for a granite stone can be applied and a method for solving the design imbalance due to the change of natural marble is provided. The outer wall of the present building has 65% , The ceramic glaze color pattern panel using granite in a modern building which requires diversity of the building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variety of colorful patterns while solving the problems as the existing building material due to the use of granite.

그리고, 본 발명은 내산, 내한, 내습에 강한 화강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건축물 내외장로서 어떠한 조건의 환경에도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Further, since granite resistant to acid, cold, and humidity is used,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applied to any environment in an interior or exterior of a building.

또한,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 우레탄 발포 난연시트, 실리콘 발포 난연시트, PE 발포 난연시트, PVC 발포 난연시트의 구조를 그 자체로 접착하여도 석재의 절단시에 파손이 없도록 하고, 벽면 등에 접착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게 하여, 외부로 보여지는 노출면이 석재판으로 이루어져 석재 고유의 미감을 충실히 표현하면서도 경량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연성 및 가공 견고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내외장용 장식패널과 같은 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Furthermore, even when the structure of the epoxy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the urethan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the silicon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the P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nd the PVC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is adhered itself,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at the time of cutting the stone, And it is easy to construct, and the exposed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s made of stone plate, faithfully expressing the original beauty of stone, excellent in lightness and durability, and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processing robustness.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그리고, 기존 스크린 인쇄기법은 기능공의 능력 또는 기계적 정밀성이 약하며, 세라믹 유약 도포량의 편차에 의하여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판넬 소성 후 색상의 이색이 발생하였으나, 세라믹 프린트기 및 3D인쇄기로 생성한 세라믹 다채무늬의 판넬은 소성 후 색상의 변화가 일정했다.In the conventional screen printing technique, the ability or mechanical precision of the functioner is weak, and the color unevenness occurs after firing of the ceramic glaze panel by the variation of the amount of the ceramic glaze applied. However, the ceramic screen of the ceramic screen The change in color after firing was constant.

더구나,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종래 기술의 기재층은 얇게 되어 있거나, 경질이어서 상호 천연석재를 직각 등으로 결합시에 기재층을 자를 때에 천연석재와 함께 잘라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작업시에 칼로 재단이 용이한 기재판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e layer of the prior art is thin or hard,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natural stone is cut at the right angle, the base layer is cut together with the natural stone, There is an effect of the base plate which is easy to cut with the knife at the time.

그리고, 폴리우레탄은 합판, 유리섬유, 스티로폼 등 여타 단열재 대비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냉방/난방 등에 따른 에너지 보존능력이 탁월하여,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단열재로 교체설비했을 때의 실제 난방 에너지 절감은 약 50%에 달하며, CO2 배출 또한 절반 가량 감축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를 석재와 접합함으로써 석재가 가지고 있는 단열성과 난연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되고, 양자 모두 얇게 제작하여 가벼워 시공이 용이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Since polyurethane has a low thermal conductivity compared to other insulation materials such as plywood, glass fiber, and styrofoam, energy storage efficiency due to cooling / heating is excellent, thereby enhanc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uilding. It is found that the actual heating energy savings when replacing with the polyurethane insulation material is about 50%, and the CO2 emission is also reduced by about half, and by bonding this with the stone,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and flame retardancy possessed by the stone are complex And both of them are made thin so that it is light and the construction is easy.

더구나, 에폭시 수지층의 경우에는 경질의 성질로 천연석재판을 벽면에 부착할 경우에 접착제만이 아니라 결합볼트 등으로 가능케 하였기 때문에 벽면에 습기 등이 있더라도 견고하게 천연석재판을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기재판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상기 접착제와 같은 예기치 않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epoxy resin layer,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natural stone plate to the wall surface due to its hard nature, not only by the adhesive but also by the coupling bolt. Therefore, even if there is moisture on the wall surface, Since it was developed as a trial, unexpected accidents such as the adhesiv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0306586호에 개시된 다채무늬 유리판넬의 제조방법의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리판을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의 제조방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에 컷팅부를 형성한 측단면도
도 6은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끼리 컷팅부를 형성하여 모서리 결합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을 설정된 무늬로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한 상태의 실물사진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을 설정된 무늬로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한 상태의 실물사진2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을 설정된 무늬로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한 상태의 실물사진3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을 설정된 무늬로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한 상태의 실물사진4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에 체결볼트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에 체결볼트가 결합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Fig. 1 is an exemplary view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patterned glass panel disclosed in the prior art publication No. 0306586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eramic glaze pattern panel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eramic glaze pattern panel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in gra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ne composite panel to which a resin shee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on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n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hotograph of a mar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print a set pattern,
FIG. 8 is a photograph of a mar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print a set pattern,
9 is a photograph of a mar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print a set pattern,
10 is a photograph of a gra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print a set patter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bolt is coupled to a ston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n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Terms to be give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의 제조방법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glaze pattern panel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in gra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생산 공정으로서, 제1단계로서, 대리석, 화강석 등 재현하고자 하는 천연 석재의 표면을 촬영하는 제1단계;As a produ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step, a first step of photographing the surface of a natural stone to be reproduced such as marble, granite, etc.;

제2단계로서, 마젠타(빨강), 시안(파랑), 옐로우(노랑), 검정(블랙)을 색분해하는 제2단계;As a second step, a second step of color separating magenta (red), cyan (blue), yellow (yellow), and black (black);

제3단계로서, 백색 불투명 유약으로 화강석 표면에 바탕을 잡고 건조하는 제3단계;As a third step, the third step is to dry the granite surface with a white opaque glaze and dry it;

제4단계로서, 색분해된 필름에 의거하여 마젠타, 시안, 옐로우, 블랙의 4가지 색으로 발색되는 세라믹 유약을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로 각각 인쇄하고 투명유약을 도포하는 제4단계;A fourth step of printing a ceramic glaze, which is developed in four colors of magenta, cyan, yellow and black, on the color-separated film, respectively, by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pplying a transparent glaze;

제5단계로서, 상온에서 170도 내지 780도까지 단계별로 서서히 화강석 온도를 예열하여 유기제를 탈포하는 제5단계;As a fifth step, a fifth step of slowly degasifying the granite temperature step by step from 170 ° C to 780 ° C at normal temperature to degas the organic material;

제6단계로서, 소성로에서 170도 내지 780도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간 세라믹 유약을 소성하는 제6단계;As a sixth step, a sixth step of baking the ceramic glaze at a temperature of 170 ° C. to 780 ° C. for 5 minutes to 30 minutes in a baking furnace;

제7단계로서, 170도 내지 780도의 화강석을 80도까지 서냉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다.As a seventh step, the seventh step is to slowly cool the granite of 170 to 780 degrees to 80 degrees.

그리고, 상기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적 사항인 실시예를 설명한다.In the above-mentioned method, concret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실시예><Examples>

상기 제1단계에서 촬영 사진의 영상도 및 정밀성을 위하여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매우 정밀한 스크린 인쇄를 구현하였다.In the first step, very precise screen printing is implemented using computer graphics for the image and accuracy of the photographed photograph.

그리고, 제2단계에서 마젠타, 시안, 옐로우, 블랙을 기본 색으로 하고, 특별한 색을 선명하게 발색시키기 위하여, 그 색만의 세라믹 유약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In the second step, a ceramic glaze of only the color was prepared and used in order to produce magenta, cyan, yellow and black as basic colors and to produce a specific color clearly.

이 경우 해당하는 색깔은 별색으로 되고, 이 경우 색분해도는 5도 이상이 되었다.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color becomes a spot color, and in this case, the degree of color resolution becomes 5 degrees or more.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제2단계의 기본 칼라색상을 색분해할 경우에 색상에 알갱이 등이 있거나 클랙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정리하여 평편한 바탕을 형성하였다.In addition, in the third step, when the basic color hue of the second step is color-separated, the hue or the like may be present in the hue, so that a flat background is formed.

상기 제4단계의 세라믹 유약은 저온 수성용 인쇄 유약을 사용하였다.The ceramic glaze used in the fourth step was a low temperature aqueous printing glaze.

이때, 표면이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레이를 사용하였다.At this time, a spray was used to prevent the surface from being damaged.

스프레이 대신에 붓으로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rush instead of spraying.

상기 제5단계의 예열단계는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된 상태의 전체로서 예열하였다.The preheating step in the fifth step was preheated as a whole in a ceramic print printed state on a granite.

관찰 결과, 박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Observation revealed no peeling phenomenon.

상기 제6단계의 소성단계에서 소성은 마젠타, 시안, 옐로우, 블랙으로 발색되는 유약을 사용하였는데 한가지의 색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주로 프리트(FRITS)와 발색 성분으로 이루었다.In the firing step of the sixth step, a glaze which develops magenta, cyan, yellow, or black was used for firing. In order to emphasize one color, frit is mainly composed of FRITS and coloring components.

또한, 각 색상별로 발색 성분의 조합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various combinations of color components for each color.

상기 제7단계에서는 상온에서 서서히 화강석을 냉각하는 과정으로 30분 정도 하게 되면, 취급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In the seventh step, it is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can be performed when the granite is slowly cool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30 minutes.

여기서, 제5단계인 상온에서 170도 내지 780도까지 단계별로 서서히 화강석 온도를 예열하여 유기제를 탈포하는 제5단계에 있어서, 170도 미만의 경우에는 유약 자체가 이와 같은 저온으로는 녹을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고, 780도 정도 이상의 경우에는 세라믹 유약이 녹아버리는 현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In the fifth step, in the fifth step of gradually degasifying the granite temperature stepwise from 170 ° C. to 780 ° C. at the normal temperature of the fifth step, in the fifth step of defoaming the organic agent, when the glaze is below 170 ° C., ,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amic glaze melts when the temperature is more than 780 degrees.

그래서, 세라믹 위약을 화강석에 적용할 경우에 실험한 결과 유리판에 적용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찾은 것으로, 상기와 같은 온도 대역에서 예열하거나 소성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바람직하게는 170도 내지 650도임을 찾아낸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eramic base material is applied to the granit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s similar to that applied to the glass plate, and it is possible to preheat or sinter in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range, and it is found that i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70 to 650 degrees.

또한 제6단계인 소성로에서 170도 내지 780도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간 세라믹 유약을 소성하는 제6단계에 있어서, 170도 미만의 경우에는 위약 자체가 이와 같은 저온으로는 녹을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고, 780도 정도 이상의 경우에는 세라믹 유약이 녹아버리는 현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In the sixth step of calcining the ceramic glaze at a temperature of 170 ° C. to 780 ° C. for 5 minutes to 30 minutes in the calcining furnace of the sixth step,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cebo itself could not be melted at such a low temperature in the case of less than 170 ° C. ,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amic glaze melts when the temperature is more than 780 degrees.

그래서, 세라믹 위약을 화강석에 적용할 경우에 실험한 결과 유리판에 적용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찾은 것으로, 상기와 같은 온도 대역에서 예열하거나 소성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바람직하게는 170도 내지 650도임을 찾아낸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eramic base material is applied to the granit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s similar to that applied to the glass plate, and it is possible to preheat or sinter in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range, and it is found that i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70 to 650 degrees.

그리고, 제7단계인 170도 내지 780도의 화강석을 80도까지 서냉하는 제7단계에 있어서, 170도 미만의 경우에는 위약 자체가 이와 같은 저온으로는 녹을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고, 780도 정도 이상의 경우에는 세라믹 유약이 녹아버리는 현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In the seventh step of slowly cooling the granite of 170 ° C. to 780 ° C. to 80 ° C. in the seventh step,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cebo itself could not be melted at such a low temperature in the case of less than 170 ° C.,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amic glaze melts.

그래서, 세라믹 위약을 화강석에 적용할 경우에 실험한 결과 유리판에 적용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찾은 것으로, 상기와 같은 온도 대역에서 예열하거나 소성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바람직하게는 170도 내지 650도임을 찾아낸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eramic base material is applied to the granit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s similar to that applied to the glass plate, and it is possible to preheat or sinter in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range, and it is found that i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70 to 650 degrees.

기타 상기와 같은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및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제품을 완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실험과정에서 밝혀진 기술을 본 발명에서는 적용하였다.Others In the ceramic glaze panel using the ceramic printing press and the 3D printing machine in the granite as described abov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pplied to the technology which has been revealed in various experiments for the technical completion of the product.

혼화제는 묽기를 조절하여 인쇄가 용이하도록 저온 세라믹 유약 혼화제와 저비점 유기용매와 물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The admixture may als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low temperature ceramic glaze admixture and a low boiling organic solvent to facilitate printing by controlling the water vapor.

이렇게 사용하게 되면 유약들이 스크린으로부터 박리현상이 없게 된다.When used in this way, the glaze will not peel off the screen.

소성로는 회분식, 연속식 어떤 형태도 좋고, 소성로의 분위기는 환원이나 산화나 어느 것이던 다 좋은 방법이다.The baking furnace can be any type of batch or continuous type, and the atmosphere of the baking furnace is a good way of either reduction or oxidation.

소성로는 터널식 가마, 전기로 가마, 가스식 가마, 경유식 가마, 타일 제조시 연속 터널식 가마, 판유리 강화용 소성로가 있다.There are tunnel kiln, electric furnace kiln, gas kiln, light oil kiln, continuous tunnel kiln for manufacturing tiles, and firing furnace for plate glass reinforcement.

석재는 화강석 8mm 내지 50mm까지 판재상태로 가공하고 표면을 포광하여 세라믹 유약으로 인쇄한다.The stone is processed to a plate state up to 8mm to 50mm of granite, and the surface is collected and printed with a ceramic glaze.

석재 뒷면에 단열에 의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난연 우레탄, 실리콘,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를 접합할 수도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by heat insulation on the back side of the stone, it is also possible to bond the flame retardant urethane, the silicone and the epoxy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시공법은 일반 석재 시공법과 T자 시공법을 적용하되, 석재판 8mm 내지 20mm일 경우에는 벽면 시공시는 T자 앵글 시공법(내, 외벽 포함)을 적용하고, 20mm이상일 경우에 석재는 종래 일반 시공법에 의해서 시공한다.For the construction method, the general stone method and the T method are applied. When the stone plate is 8mm to 20mm, the T angle construction method (including the inner and outer walls) is applied for the wall construction and the stone is applied by the conventional general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ion.

세라믹 유약의 온도에 있어서, 현재 개발된 저온 세라믹 유약은 170도가 최저 온도이나, 가격이 너무 고가인 관계로 사용하기 어렵고, 보통 350도 환원 내지 780도 환원, 산화 유약이 저가로서 적합하다.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of the ceramic glaze, the low-temperature ceramic glaze which is currently developed has a minimum temperature of 170 DEG C. However, since it is too expensive, it is difficult to use it, and usually 350 DEG C to 780 DEG C reduction.

석재에 열을 가했을 때 화강석의 종류에 따라 650도 내지 780도까지 물성의 변화가 없고, 800도가 되면 화강석 성분 중 철분 성분이 녹기 시작하고, 1,000도 내지 1,100도 정도가 되면 자화되어서 벽돌처럼 변하였다.When heat was applied to the stone, there was no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from 650 ° C to 780 ° C depending on the type of granite. When 800 ° C, the iron component started to melt and when the temperature was between 1,000 and 1,100 ° C, it became magnetized and changed into a brick .

상기와 같이, 7단계의 공정에 의하여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이 제조되었고, 이의 판넬은 그 표면이 화강석이 아닌 대리석으로 변화하였으며, 화강석 석재판넬의 가치가 대리석의 석재판넬로 여겨져 건축물 내외장 및 어떠한 조건의 환경에도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ceramic glaze panel was produced by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on a granite by a 7-step process. The surface of the ceramic glaze panel was changed to marble instead of granite and the value of granite stone panel was changed to marble It is considered to be the stone panel of the building.

다음은 시공이 간편하고, 접합이 용이한 석재가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a stone processing method that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easy to join.

하기와 같은 단일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화강석 석재복합패널에 상기와 같은 화강석을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을 제조하는 방법을 적용시켰을 경우에는 그 수요는 상당할 것이고, 경제적 효과는 물론 건축물이 표출하는 예술적 가치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In the case of apply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glaze color pattern panel using granite as described above to a granite stone composite panel to which a single resin sheet panel as described below is bonded, the demand will be considerable, Artistic value will be beyond imagination.

이하, 단일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화강석 석재복합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a granite-stone composite panel to which a single resin sheet panel is bonded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에 컷팅부를 형성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끼리 컷팅부를 형성하여 모서리 결합한 사시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away portion of a ston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n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rner cut-away por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100)은, 각각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 우레탄 발포 난연시트, 실리콘 발포 난연시트, PE 발포 난연시트, PVC 발포 난연시트가 10㎜ 정도 두께의 석재판(110)에 접착제층(130)으로 접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4, the stone composite panel 100 to which the resin shee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hered is composed of an epoxy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urethan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silicon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P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nd the sheet is bonded to the stone plate (110)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mm with the adhesive layer (130).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100)은 건축물의 내외장용 장식패널과 같은 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The stone composite panel 100 having the resin sheet panel bonded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decorativ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use of a building.

상기와 같은 종류의 수지시트패널은 연질의 소재이기 때문에 컷팅 칼로 작업장에서 잘라 내어질 정도라서, 현장에서 직접 결합되는 부분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Since the resin sheet panel of the above kind is a soft material, it can be cut at a work place with a cutting knif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portion directly bonded at the site.

따라서, 석재와 석재가 만나는 부분에는 컷팅 칼을 이용하여 뒷면 소재시트를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Therefore, the rear material sheet can be cut using a cutting knife at the portion where the stone and the stone meet.

이러한 소재로는 우레탄 및 실리콘(합성고무) 난연소재가 현실적으로 가격 대비 시공에 제일 적합한 것이다.As such materials, urethane and silicone (synthetic rubber) flame retardant materials are the most suitable for cost-effective construction.

상기 발포 난연소재가 10㎜ 미만일 경우에는 너무 얇아 벽면에 접착하거나 석재판의 두께로 8㎜~50㎜인 경우를 지탱하기 어렵고, 작업시에 칼로 자연스럽게 재단할 수 있는 두께가 11㎜ 이상일 경우에는 수월하게 잘라지지 않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When the foamed flame-retardant material is less than 10 mm, it is too thin to adhere to the wall surface or to support the case of 8 mm to 50 mm in thickness of the gypsum board. When the thickness of the cut- This is becaus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cut off.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100)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석재판(110)의 두께와 비례하여 석재복합패널(100)의 경량화 및 경제성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연구된 두께인 것이다.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 composit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terms of weight saving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composite composite panel 100 in pro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pane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100)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석재판(110)의 두께와 비례하여 석재복합패널(100)의 경량화 및 경제성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연구된 두께인 것이다.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 composite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terms of weight saving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composite composite panel 100 in pro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panel.

상기 석재판(110)은 화강석과 같이 건축물의 내, 외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석재(101)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고 바람직하지만, 상기와 같은 석재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색상, 규격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됨은 물론, 본 발명에 따라 8㎜~50㎜ 두께까지 얇게 가공할 수 있으면서 석재 고유의 질감을 가지고 있어 인테리어 자재로 이용될 수 있는 석재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The stone plate 110 is generally and preferably used as a granite stone which is widely used as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such as a granite. However, the stone plat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tones but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lor, The stone can be processed to a thickness of 8 mm to 50 m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one can be used as an interior material because it has a unique texture of the stone.

상기 접착제층(130)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1형접착제, 2형접착제 및 수성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게 된다.The adhesive used for the adhesive layer 130 may be any one of a 1-type adhesive, a 2-type adhesive, and an aqueous adhesive.

도 7, 8,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을 설정된 무늬로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한 상태의 실물사진1, 2, 3이고, 도 7은 대리석 위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선별된 무늬를 넣어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한 실물 사진이며, 도 8의 경우에도 대리석에 무늬를 창출한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 상태를 좌우측으로 구분하여 나타내었고, 도 9는 대리석에 무늬를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한 상태의 실물사진이며, 도 10은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한 상태의 실물사진4이다.FIGS. 7, 8 and 9 are actual photographs 1, 2 and 3 in which mar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inted in a set pattern with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FIG. 7 is a cross- 8 is a real photograph printed with a ceramic print printing machine and a 3D printing machine in which a pattern is added. In the case of FIG. 8, the printing state i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by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10 is a real photograph 4 printed on a granite with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도 7 내지 9에서 대리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인쇄된 화강석을 보면, 표면 색상이 원하는 대리석의 무늬를 선택하면 대리석과 같은 질감을 표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그림을 그려 석재에 프린팅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석재의 무늬를 도출할 수 있다.In FIGS. 7 to 9, granite printed on a marble by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can be seen to have a marble-like texture when a desired marble pattern is selected. So that a variety of stone patterns can be derived.

다음은 상기 화강석의 뒷면에 부착된 우레탄 수지(또는 에폭시 수지)에 체결수단을 설치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즉, 석재복합패널에 체결볼트로 건물에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fastening means on the urethane resin (or epoxy resin)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granite is described. That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with a bolt on a stone composite panel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에 체결볼트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복합패널에 체결볼트가 결합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n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astening bolts are combined,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fastening bolts joined to a ston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수단(300)은 천연석재판넬(110)에 접착된 에폭시 수지시트패널(120)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에폭시 수지시트패널(120)에 "T"자형 결합공(121)을 형성하여 체결볼트(150)의 끼움판(152)을 여기에 끼우고 난 다음, 기역자앵글(140)의 개방형결합공(141)으로 볼트부(151)에 끼운 후, 상기 체결볼트(150)의 상부로 와셔부(153)가 형성된 체결너트(154)를 끼워 조이게 되면, 상기 에폭시 수지시트패널(120)에 체결수단(300)이 고정되며, 기역자앵글의 측부에 형성된 둥근결합공(142)으로 벽면의 다른 결합요소와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11 and 12, the fastening means 300 is fastened to the epoxy resin sheet panel 120 adhered to the natural stone panel 110, so that the epoxy resin sheet panel 120 is provided with a "T" The fitting plate 152 of the fastening bolt 150 is inserted into the hole 121 and then inserted into the bolt portion 151 with the open fitting hole 141 of the operator angle 140, The fastening means 300 is fixed to the epoxy resin sheet panel 120 when the fastening nut 154 having the washer 153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lt 150. The fastening means 300 is fastened to the epoxy resin sheet panel 120, And is fastened to the other coupling element on the wall surface by the hole 142 to be fixed.

상기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시트패널 구조에 의하면, 접착제가 아닌 체결볼트에 의하여 시공할 수 있는 수지시트패널을 발명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한 안정성과 시공성의 향상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epoxy resin sheet pane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venting a resin sheet panel that can be applied by a fastening bolt instead of an adhesive, stability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due to wind and the like.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00 : 석재복합패널 101 : 석재
110 : 석재판 110a : 컷팅부
120 : 수지시트패널 120a : 컷팅부
130 : 접착제층
100: Stone composite panel 101: Stone
110: stone plate 110a:
120: resin sheet panel 120a:
130: adhesive layer

Claims (4)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재현하고자 하는 천연 대리석의 표면을 촬영하는 제1단계;
마젠타(빨강), 시안(파랑), 옐로우(노랑), 검정(블랙)을 색분해하는 제2단계;
백색 불투명 유약으로 화강석 표면에 바탕을 잡고 건조하는 제3단계;
색분해된 필름에 의거하여 마젠타, 시안, 옐로우, 블랙의 4가지 색으로 발색되는 세라믹 유약을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로 각각 인쇄하고 투명유약을 도포하는 제4단계;
상온에서 170도 내지 780도까지 단계별로 서서히 화강석 온도를 예열하여 유기제를 탈포하는 제5단계;
소성로에서 170도 내지 780도의 온도로 5분 내지 30분간 세라믹 유약을 소성하는 제6단계;
170도 내지 780도의 화강석을 80도까지 서냉하는 제7단계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을 제조하는 방법.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glaze panel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comprising: a first step of photographing a surface of a natural marble to be reproduced;
A second step of coloring magenta (red), cyan (blue), yellow (yellow), and black (black);
A third step of drying and drying the granite surface with a white opaque glaze;
A fourth step of printing a ceramic glaze, which is developed in four colors of magenta, cyan, yellow and black, on the color-separated film by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respectively, and applying a transparent glaze;
A fifth step of slowly degasifying the granite temperature stepwise from 170 ° C to 780 ° C at room temperature to defoam the organic agent;
A sixth step of baking the ceramic glaze at a temperature of 170 ° C to 780 ° C for 5 minutes to 30 minutes in a baking furnace;
And a seventh step of gradually cooling the granite of 170 ° C. to 780 ° C. to 80 ° C.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glaze panel using the ceramic printing press and the 3D printing mach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5단계의 온도 대역은 170도 내지 650도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을 제조하는 방법.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glaze pan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ranges of the fourth and fifth steps are in the range of 170 to 650 degre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의하여 제조된 상기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에 접착제층으로 접착되는 각각 두께 10㎜의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 우레탄 발포 난연시트, 실리콘 발포 난연시트, PE 발포 난연시트, PVC 발포 난연시트의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The granite produced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applied to a ceramic printing press using a ceramic printing press and a 3D printing machine and an epoxy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urethan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 silicone foam Wherein the ceramic sheet is bonded to a shee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lame retardant sheet, a PE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and a PVC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에는 "T"자형 결합공(121)을 형성하여 체결볼트(150)의 끼움판(152)을 여기에 끼우고 난 다음, 기역자 앵글(140)의 개방형결합공(141)으로 볼트부(151)에 끼운 후, 상기 체결볼트(150)의 상부로 와셔부(153)가 형성된 체결너트(154)를 끼워 조이게 되면, 상기 에폭시 발포 난연시트에 체결수단(300)이 고정되며, 기역자 앵글의 측부에 형성된 둥근결합공(142)으로 벽면의 다른 결합요소와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poxy foamed flame retardant sheet has a "T" -shaped fitting hole (121) formed therein to fit the fitting plate (152) of the fastening bolt (150) When the bolts 151 are fitted into the bolts 151 with the bolts 151 and then the bolts 154 ar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bolts 150 with the washer 153, 300 are fixed and fastened to other engaging elements of the wall by means of a round engaging hole 142 formed on the side of the visiting angel, thereby fixing the ceramic granite using the ceramic printing press and the 3D printing machine.
KR1020150125762A 2015-09-04 2015-09-04 Method and product of the stone design KR102448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762A KR102448265B1 (en) 2015-09-04 2015-09-04 Method and product of the stone desig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762A KR102448265B1 (en) 2015-09-04 2015-09-04 Method and product of the stone desig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50A true KR20170028750A (en) 2017-03-14
KR102448265B1 KR102448265B1 (en) 2022-09-29

Family

ID=5846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762A KR102448265B1 (en) 2015-09-04 2015-09-04 Method and product of the stone desig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2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072B1 (en) * 2023-05-04 2023-10-19 조성진 Method of creating patterns by forming structures on the surface of marbl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586B1 (en) * 1999-06-10 2001-09-24 주덕중 Production Method of Glass Panel of Miscellaneous Patterns
KR100306580B1 (en) 1998-09-24 2001-11-30 구자홍 The path memory device of the Viterbi decoder
KR100330914B1 (en) * 1999-10-13 2002-04-03 박예순 Printing ink for forming pattern on a surface of stone, a method of forming pattern on a surface of stone, and a stone manufactured therefrom
KR200412104Y1 (en) * 2006-01-12 2006-03-22 김재춘 The panel for resistance to flame in building
KR100900643B1 (en) 2008-03-28 2009-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 natural rock composite panel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KR101244095B1 (en) 2010-03-16 2013-03-18 (주)엘지하우시스 Honeycomb panel with profile structure and stone complex panel having the honeycomb pan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580B1 (en) 1998-09-24 2001-11-30 구자홍 The path memory device of the Viterbi decoder
KR100306586B1 (en) * 1999-06-10 2001-09-24 주덕중 Production Method of Glass Panel of Miscellaneous Patterns
KR100330914B1 (en) * 1999-10-13 2002-04-03 박예순 Printing ink for forming pattern on a surface of stone, a method of forming pattern on a surface of stone, and a stone manufactured therefrom
KR200412104Y1 (en) * 2006-01-12 2006-03-22 김재춘 The panel for resistance to flame in building
KR100900643B1 (en) 2008-03-28 2009-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 natural rock composite panel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KR101244095B1 (en) 2010-03-16 2013-03-18 (주)엘지하우시스 Honeycomb panel with profile structure and stone complex panel having the honeycomb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072B1 (en) * 2023-05-04 2023-10-19 조성진 Method of creating patterns by forming structures on the surface of mar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265B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516B1 (en) Imcombustible artificial marble and a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20180032764A (en) Sound insulation and non-slip flooring materia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WO2017190449A1 (en) Quickly installable building surface decorative material
JP2009090527A (en) Heat insulation laminated body
KR20170028750A (en) Method and product of the stone design
KR20160135917A (en) Method and product of the stone design
US20100323169A1 (en) Custom mosaic floor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30129562A (en) Panels and manufacturing mehtods thereof
KR200402140Y1 (en) A image-tile for wall painting
KR200485012Y1 (en) A picture tile of solid wall painting
JP3131453U (en) Glass building material with pattern
GB2271529A (en) Colour printed glass slabs for walls and floors
CN110512812B (en) Flexible stone-like paster for architectural deco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RU2365513C2 (en) Decoration method of product and picturesque element
KR20020086966A (en) A flexible panel for deco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a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258670A (en) Decorative material for armor
KR100999394B1 (en) Curing method and products of file using three dimensional effect by coating
KR101925987B1 (en) A production method of wall painting tile
KR2004001172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ained glass plate
CN109626837A (e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arble glass
KR200204063Y1 (en)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panel for building
CN207739417U (en) A kind of color concrete thermal insulation board and decorative exterior wall
KR200236836Y1 (en) Glass panel for interior construction material
KR102086294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crete product and a cocrete product manufactured by it
KR19990015262U (en) Flooring using Elv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