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599A - A microstrip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 - Google Patents

A microstrip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599A
KR20170028599A KR1020150125406A KR20150125406A KR20170028599A KR 20170028599 A KR20170028599 A KR 20170028599A KR 1020150125406 A KR1020150125406 A KR 1020150125406A KR 20150125406 A KR20150125406 A KR 20150125406A KR 20170028599 A KR20170028599 A KR 20170028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line
unit element
line portion
conduc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1548B1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548B1/en
Publication of KR2017002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32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G01S13/34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frequency-modulated waves while heterodyning the received signal, or a signal derived therefrom, with a locally-generated signal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trip antenna, of which dielectric including a ground plane and a microstrip line having 1/2 wavelength in waveguide of the microstrip antenn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zigzag form, and a radar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part constituting a body of the antenna; and a strip line part which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conductors which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Description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A microstrip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trip antenna and a radar signal transmitting /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trip antenna.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ar signal for a vehicle having a microstrip antenna.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Microstrip antenna)는 인쇄 기판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높이가 낮고 평면 상으로 되어 있어 견고하다. 그래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대량의 작은 안테나를 필요로 하는 배열 안테나 소자로서 많이 사용된다.Microstrip antennas are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because they are made of printed boards, and they are sturdy because they are low in height and flat. Therefore, microstrip antennas are widely used as array antenna elements requiring a large amount of small antennas.

"A 79GHz Differentially Fed Grid Array Antenna; Frei, M. / Bauer, F. / Menzel, W. / Stelzer, A. / Maurer, L.; in EUROPEAN MICROWAVE CONFERENCE; 1320 ~ 1323; 41st European microwave conference (EuMC 2011); Manchester, United Kingdom, 10 ~ 13 October 2011"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로 10개의 사각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루프 소자로 구성된 그리드 배열 안테나(Grid array antenna)를 제안하고 있다. 이 안테나는 동위상을 위해 중심 주파수 기준의 반파장(관내 파장) 길이를 갖는 라인으로 연결되며, 가운데 루프는 디퍼렌셜(Differential)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연결된다."A 79 GHz Differentially Fed Grid Array Antenna; Frei, M. / Bauer, F. / Menzel, W. / Stelzer, A. / Maurer, L .; EUROPEAN MICROWAVE CONFERENCE; 1320-1323; 41st European Microwave Conference Manchester, United Kingdom, 10 ~ 13 October 2011 "proposes a grid array antenna consisting of 10 rectangular microstrip line loop elements with a microstrip antenna. The antenna is connected to a line having a half wavelength (in-tube wavelength) based on the center frequency for the same phase, and the middle loop is connected to a differential microstrip line.

그런데 상기한 안테나는 그리드로 흐르는 전류 중 y축 방향은 서로 상쇄되고 그리드 배열 방향인 x축 방향으로 편파가 구성되기 때문에 배열과 직교하는 방향의 편파를 구성할 수 없다. 또한 배열 안테나의 중심에서 급전되는 형태이므로 안테나가 구성되는 단일 평면상 RF 칩을 장착하면 그리드 안테나간 배열시 RF 칩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y-axis directions of the currents flowing to the grid cancel each other and the polarizations are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the grid arrangement direction, the antennas can not constitute polarizations orthogonal to the arrangement. In addition, since the antenna is fed from the center of the array antenna, if a single plane RF chip including the antenna is installed, RF chip interference may occur when the antenna is arranged between the grid antenna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접지면을 포함하는 유전체와 1/2 관내 파장의 길이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strip line having a dielectric surface including a ground plane and a microstrip line having a length in a half pip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zig- And an antenna and a radar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테나의 바디를 구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열되며 상호 연결된 도체들을 포함하는 스트립 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comprising: a main body constituting a body of an antenna; And a strip lin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ncluding conductors arranged t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ncluding mutually connected conducto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립 선로부는, 미리 정해진 제1 각도를 형성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 소자; 및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 중 어느 하나의 도체에 연결되는 제3 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도체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위 소자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trip line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first unit element including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forming a predetermined first angle; And a third conductor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nd at least one second unit element forming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with the one of the conducto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도체 또는 상기 제2 도체는 상기 제3 도체와 폭이 다르다.Preferably, the first conductor or the second conductor is different in width from the third condu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립 선로부는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 중 다른 하나로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보다 폭이 넓다.Preferably, the strip line portion includes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and the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as any one of the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includes the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One of the unit elements is wider than the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립 선로부는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와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의 폭이 가장 넓고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의 폭이 가장 좁다.Preferably, the strip line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unit element between a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and a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The width of the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portion is the widest and the width of the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is the narrowest.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립 선로부는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와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 사이에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 중에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일수록 폭이 상대적으로 더 넓다.Preferably, the strip line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between a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and a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The width of the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체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상호 연결된다.Preferably, the conductors are interconnected in a zigzag fash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체들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상호 연결된다.Preferably, the conductors are interconnected in a zigzag fash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상기 도체들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편파를 갖는다.Preferably, the microstrip antenna has a polarization that is orthogonal to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ducto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도체는 급전(Power feed)에 연결되며,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타단에 위치하는 도체는 개방(Open)된다.Preferably, the conductor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is connected to a power feed, and the conductor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is open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접지(GND)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와 별개의 것으로 상기 본체부의 타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본체부에 일체화 형성된 접지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microstrip antenna has a ground (GND) function. The microstrip antenna further includes a grounding part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or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art, which is separate from the main body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차량에 장착되어 레이더 신호를 송수신할 때 이용된다.Preferably, the microstrip antenna is mounted on a vehicle and used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ar signal.

또한 본 발명은 레이더 신호를 생성하는 레이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레이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반사되어 돌아온 상기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안테나의 바디를 구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열되며 상호 연결된 도체들을 포함하는 스트립 선로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dar system including: a radar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adar signal; A main body that forms the body of the antenna and tha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arranged t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micro strip antenna including a strip line portion including conductors.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는 차량에 장착된다.Preferably, the radar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is mounted on a vehicl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성들을 통하여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첫째,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편파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First,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having polarizations orthogonal to the array direction can be constructed.

둘째, 배열 안테나의 일단에서 급전되고 타단이 개방되기 때문에 RF 칩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one end of the array antenna is fed and the other end is opened, interference of the RF chip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4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본 발명의 성능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도 5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본 발명의 성능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of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irst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ond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irst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imulation.
5 is a second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imul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평면 안테나의 하나로서, 크기, 무게, 가격, 성능, 설치의 용이성, 공기 저항 등을 고려해야 하는 고성능 항공기, 우주선, 위성, 미사일, 이동통신 분야 등에서 사용된다.Microstrip antennas are used in high-performance aircraft, spacecraft, satellite, missile, and mobile communication fields, which require consideration of size, weight, price, performance, ease of installation, and air resistance.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두께가 얇고, 평면과 비평면에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프린트 회로 기술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값이 싸며,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설계에 적합하다.Microstrip antennas are thin and easy to attach to planar and non-planar surfaces. In addition, microstrip antennas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printed circuit technology, which is cheap and suitable for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designs.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패치 모양과 모드를 선정함으로써 공진 주파수, 편파, 패턴과 임피던스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패치와 접지판 사이에 핀(Pin)이나 바랙터(Varator) 다이오드 등과 같은 능동 소자를 부하로 첨가함으로써 공진 주파수, 임피던스, 편파와 패턴 등을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다.The microstrip antenna can change resonance frequency, polarization, pattern and impedance by selecting patch shape and mode. In other words, the microstrip antenna can arbitrarily vary the resonance frequency, impedance, polarization, and pattern by adding an active element such as a pin or a varactor diode between the patch and the ground plate as a load.

본 발명에서는 RF 칩과 단일 평면상 직접화를 위하여 종단 급전이 가능하며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편파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에 대하여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having a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rthogonal to the array direction, which can be fed to the end for direct planarization with an RF chi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view of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본체부(110)와 스트립 선로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strip line portion 120.

스트립 선로부(120)는 본체부(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호 연결된 도체(121)들을 포함한다. 도체(121)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열된 채 스트립 선로부(120)를 구성한다.The strip line portion 1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includes conductors 121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ductors 121 constitute the strip line portion 120 so as t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도체(121)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체(121)들은 본체부(11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이와 같이 연결된 도체(121)들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편파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conductors 121 may be interconnected in a zigzag fashion. In particular, the conductors 12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zigzag fash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may have a polarized wave orthogonal to the array direction of the conductors 121 thus connecte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스트립 선로부(120)의 일단에 위치하는 도체(ex. 123)는 급전(Power feed)에 연결되며, 스트립 선로부(120)의 타단에 위치하는 도체(ex. 124)는 개방(Open)된다.A conductor 123 external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unit 120 is connected to a power feed and a conductor 124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trip line unit 120 is opened, do.

스트립 선로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 소자(12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위 소자(1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ip line section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unit element 122 and at least one second unit element 125. [

제1 단위 소자(122)는 미리 정해진 제1 각도를 형성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를 포함한다.The first unit element 122 includes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forming a predetermined first angle.

제2 단위 소자(125)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 중 어느 하나의 도체에 연결되는 제3 도체를 포함한다. 이때 제3 도체는 연결된 도체(즉, 제1 도체와 제2 도체 중 제3 도체와 연결된 어느 하나의 도체)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를 형성한다.The second unit element 125 includes a third conductor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Wherein the third conductor forms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with the connected conductor (i.e., the first conductor and one of the conductors connected to the third one of the second conductors).

제1 도체 또는 제2 도체는 제3 도체와 폭이 다르게 형성된다. 하나의 단위 소자(즉 제1 단위 소자(122))를 구성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를 비교하여 보면, 길이와 폭이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 서로 다른 단위 소자(즉 제1 단위 소자(122)와 제2 단위 소자(125))를 구성하는 제1 도체와 제3 도체를 비교하여 보면, 길이는 동일하나 폭은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도체와 제3 도체의 경우도 이와 같다. 즉 제2 도체와 제3 도체의 경우, 길이는 동일하나 폭은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ductor or the second conductor is formed to have a wid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ird conductor. When comparing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constituting one unit element (i.e., the first unit element 122), the length and the width are both the same.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first conductor and the third conductor constituting the different unit elements (i.e., the first unit element 122 and the second unit element 125), the lengths are the same but the widths are not the same do. The same is true for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third conductor. That is,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third conductor, the lengths are the same but the widths are not the same.

스트립 선로부(120)는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을 포함한다. 이때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 중 어느 하나로서 스트립 선로부(12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122)는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 중 다른 하나로서 스트립 선로부(120)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123 or 124)보다 폭이 넓다.The strip line portion 120 includes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In this case, the first unit device 12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unit 120 as one of the at least two first unit devices is connected to the strip line unit 120 as another one of the at least two first unit devices, The width of the first unit element 123 or 124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unit element 123 or 124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unit element 123 or 124.

스트립 선로부(120)에서 제1 단위 소자는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122), 스트립 선로부의 양단(123 or 124) 등에 위치한다. 스트립 선로부(12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122)는 스트립 선로부(120)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들(123, 124)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며, 스트립 선로부(120)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들(123, 124)은 폭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트립 선로부(120)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들(123, 124)이 폭이 동일하지 않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도 스트립 선로부(120)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들(123, 124)은 스트립 선로부(12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122)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In the strip line portion 120, the first unit element is located at the center 122 of the strip line portion, both ends (123 or 124) of the strip line portion, and the like. The first unit element 12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unit 120 is formed wider than the first unit elements 123 and 124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trip line unit 120, The first unit elements 123 and 124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unit element 12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unit elements 123 and 124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trip line unit 120 have the same width. In this case, however, the first unit devices 123 and 124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trip line unit 120 ar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first unit devices 122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unit 120 .

스트립 선로부(120)는 스트립 선로부(12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122)와 스트립 선로부(120)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123 or 12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rip line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unit element 12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unit 120 and at least one unit element 122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unit 120 Of the first unit element.

상기에서 스트립 선로부(12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122)를 제1A 단위 소자로 정의하고, 스트립 선로부(120)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123 or 124)를 제1B 단위 소자로 정의하며, 제1A 단위 소자와 제1B 단위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를 제1C 단위 소자로 정의하자.The first unit device 12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unit 120 is defined as a first A unit device and the first unit device 123 or 124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unit 120 A first unit element is defined as a first B unit element, and a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 unit element and the first B unit element is defined as a first C unit element.

제1C 단위 소자가 한개인 경우, 제1A 단위 소자의 폭이 가장 넓고, 제1B 단위 소자의 폭이 가장 좁다. 제1C 단위 소자는 중간 폭을 가진다. 즉 제1C 단위 소자는 제1A 단위 소자보다 폭이 좁고, 제1B 단위 소자보다 폭이 넓다.When the first C unit element is one, the width of the first A unit element is the widest, and the width of the first B unit element is the narrowest. The first C-unit element has a medium width. That is, the first C unit element is narrower in width than the first A unit element and wider than the first B unit element.

다음으로 제1C 단위 소자가 두개인 경우, 제1A 단위 소자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제1C 단위 소자를 제1Ca 단위 소자로 정의하고, 제1A 단위 소자에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는 제1C 단위 소자(즉 제1B 단위 소자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제1C 단위 소자)를 제1Cb 단위 소자로 정의하자. 이 경우 제1A 단위 소자, 제1Ca 단위 소자, 제1Cb 단위 소자 및 제1B 단위 소자의 폭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Next, when there are two first C-unit elements, a first C-unit element positioned relatively close to the first A-unit element is defined as a first C-1 unit element, and a first C-unit element (I.e., a first C unit element positioned relatively close to the first B unit element) is defined as a first Cb unit element. In this case, width comparison results of the first 1A unit element, the first Ca unit element, the first Cb unit element and the first B unit element are as follows.

제1A 단위 소자 > 제1Ca 단위 소자 > 제1Cb 단위 소자 > 제1B 단위 소자First 1A unit element> First Ca unit element> First Cb unit element> First B unit element

한편 제1C 단위 소자가 세개 이상인 경우, 제1A 단위 소자에 가까운 순서로 제1Ca 단위 소자, 제1Cb 단위 소자, …, 제1Cn 단위 소자로 정의하자. 이 경우 제1A 단위 소자, 제1Ca 단위 소자, 제1Cb 단위 소자, …, 제1Cn 단위 소자 및 제1B 단위 소자의 폭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three or more first C-unit elements, the first C-1 unit element, the first Cb-unit element, , It is defined as a first Cn unit element. In this case, the first 1A unit element, the first Ca unit element, the first Cb unit element, ... , The width comparison results of the first Cn unit element and the first B unit element are as follows.

제1A 단위 소자 > 제1Ca 단위 소자 > 제1Cb 단위 소자 > … > 제1Cn 단위 소자 > 제1B 단위 소자The first 1A unit element> The first Ca unit element> The first Cb unit element> > 1stCn unit element> 1stB unit element

이상과 같이 제1C 단위 소자가 두개 이상인 경우, 제1A 단위 소자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1C 단위 소자일수록 폭이 상대적으로 더 넓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C-unit elements is two or more, the first C-unit element located closer to the first A-unit element has a relatively wider width.

본체부(110)는 안테나(100)의 바디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유전체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constitutes the body of the antenna 100 and may be realized as a dielectric substrate.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접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portion (not shown).

접지부는 접지(GND)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지부는 본체부(110)와 별개의 것으로 본체부(110)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의 타면은 스트립 선로부(120)가 형성되는 본체부(110)의 일면과 다른 면을 의미한다. 또한 접지부는 본체부(110)에 내장되거나 본체부(110)의 일면에 접착 형성되는 등 본체부(110)에 일체화 형성될 수 있다.The grounding part functions as a ground (GND) function. The grounding portion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hich is separate from the main body 110. Here,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means a surface different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here the strip line portion 120 is formed. In addition, the grounding part may be integrated with the main body 110, such as being embedded in the main body 110 or being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이상 설명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차량에 장착되어 레이더 신호를 송수신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77GHz Long Range 전방 레이더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described above can be used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ar signal mounted on a vehicle. For example,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may be mounted on a 77 GHz Long Range forward radar system.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의 특징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ill be summarized as follows.

첫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접지면을 포함하는 유전체 기판(110)과 1/2 관내 파장의 길이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20)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in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a dielectric substrate 110 including a ground plane and a microstrip line 120 having a wavelength in a half pip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in a zigzag pattern .

둘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20)의 일 종단에는 급전이 위치하며, 대향되는 타 종단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econd, a power supply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microstrip line 120 constituting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and the opposite end is opened.

세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20)의 중앙은 종단 대비 두꺼운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의 상기한 특징은 부엽 레벨을 확보하는 데에 용이하다.Third, the center of the microstrip line 120 constituting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greater width than the longitudinal end.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of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is easy to secure the side lobe level.

네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20)의 지그재그한 전류 흐름이 서로 상쇄 및 보강 간섭을 통하여 배열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편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지그재그 배열로 인한 전류의 상쇄 및 보강 간섭을 통해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편파 성분을 갖는 배열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ourth, the zigzag current flows of the microstrip line 120 constituting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are characterized by having polarizations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arranged through canceling and constructive interference. That is,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is an array antenna having polarization components orthogonal to the array direction through canceling of current due to zigzag arrangement and constructive interferen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2 is a first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ond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Fig. 2 and Fig.

도 2에서 좌측도는 안테나 구조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210은 한 관내 파장(1 관내 파장)을 가지는 제1 단위 소자를 의미하며, 도면부호 220은 반 관내 파장(1/2 관내 파장)을 가지는 제2 단위 소자를 의미한다.The left side view in Fig. 2 shows the antenna structure concept.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 first unit element having an in-tube wavelength (in-tube wavelength), and reference numeral 220 denotes a second unit element having a in-tube wavelength (in-tube wavelength).

각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은 1/2 관내 파장을 가지며, 실제 방사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들에 의해 꺾이는 부분에서 발생한다. 이때 각 꺾이는 부분의 전류는 배열되는 방향의 벡터 성분이 상쇄 간섭되어 실제 방사되는 편파는 배열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성분만을 갖게 된다. 도 2의 가운데도와 우측도가 이를 설명하는 것인데, 가운데도에서 도면부호 230은 방사(Radiation) 목적의 전류들을 의미하고, 도면부호 240은 전송(Transmit) 목적의 전류를 의미한다. 도 2의 우측도에서 도면부호 250은 벡터(Vector) 합에 의한 방사 전자계(Radiation field)를 의미한다.Each microstrip line has a half-wave tube wavelength, and the actual radiation is generated at the bent portion by the microstrip lines. At this time, the current components of the bent portions are canceled by the vector componen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arranged, so that the actually radiated polarized waves have only a component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arranged. 2, the middle diagram and the right diagram illustrate this. In the middle, reference numeral 230 denotes currents intended for radiation, and reference numeral 240 denotes a current for a transmission purpose. In the right side of FIG. 2, reference numeral 250 denotes a radiation field by a vector sum.

한편 도 3은 도 2의 HFSS(High Frequency Structural Simulator) 결과로서 시뮬레이션된 E-필드 벡터(Electric Field Vector)를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FIG. 3 shows an E-field vector simulated as a HFSS (High Frequency Structural Simulator) result of FIG.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부엽 레벨 확보를 위하여 종단부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에 대비하여 중심부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너비가 상대적으로 두껍다. 이것은 종단부보다 중심부에서 방사가 크게 일어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방사시 이론적 값인 약 -13.3dB의 부엽 레벨보다 작은 부엽 레벨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width of the microstrip line at the center portion is relatively thick in comparison with the microstrip line at the terminating end in order to secure the level of the side lobes. This allows the radiation to occur more at the center than at the en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secure a sub-lobe level smaller than the sub-lobe level of about -13.3 dB which is the theoretical value in the case of uniform radiation.

도 4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본 발명의 성능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본 발명의 성능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4 is a first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imulation. And FIG. 5 is a second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imulation.

도 4는 E-필드 분포도를 나타낸다. 도 4에서 (a)는 전계 세기별 색상값을 나타내는 것이고, (b)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4 shows an E-field distribution diagram. In FIG. 4, (a) shows the hue value for each field strength, and (b) shows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의 실시상의 예를 EM 시뮬레이션 툴(HFSS)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0)의 단면의 소정의 간격 떨어진 면의 E-field의 분포는 동작 원리의 예상 결과와 유사하게 안테나의 중심부는 큰 전계 세기를 갖고, 종단은 상대적으로 약한 전계 세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ample of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using the EM simulation tool (HFSS), as shown in FIG. 4 (b), the cross- It can be see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E-field is similar to the expected result of the operating principle, that the center part of the antenna has a large electric field intensity and the end part has a relatively weak electric field intensity.

도 5는 방위각 및 고각 방향의 정규화된 방사 패턴(Normalized Radiation Pattern)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도면부호 310 ~ 360의 각 곡선 정보(Curve info)는 다음과 같다.5 is a graph showing a normalized radiation pattern in azimuth and elevation directions. In FIG. 5, the curve information (Curve info)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310 to 360 is as follows.

310 : Freq = 76.5GHz, Phi = 0 deg310: Freq = 76.5 GHz, Phi = 0 deg

320 : Freq = 76GHz, Phi = 90 deg320: Freq = 76 GHz, Phi = 90 deg

330 : Freq = 76GHz, Phi = 0 deg330: Freq = 76 GHz, Phi = 0 deg

340 : Freq = 77GHz, Phi = 90 deg340: Freq = 77 GHz, Phi = 90 deg

350 : Freq = 77GHz, Phi = 0 deg350: Freq = 77 GHz, Phi = 0 deg

360 : Freq = 76.5GHz, Phi = 90 deg360: Freq = 76.5 GHz, Phi = 90 deg

도 5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20)이 배열된 방향의 면을 포함하는 고각의 부엽 레벨은 약 -19dB로 균일한 분포 대비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high-level side lobe level including the plan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icrostrip lines 120 are arranged is about -19 dB, which is smaller than the uniform distribution.

이상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지그재그 배열을 통해 전류의 벡터 성분중 일부의 상쇄 및 보강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배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편파를 단순하게 구현 가능한 구조이다. 이하 상기한 일실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1 to 5,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structure in which a polariza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rray direction can be simply implemented using a cancellation phenomenon and a cancellation of a part of vector components of a current through a zigzag arrangement. Hereinaft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summarized as follows.

첫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편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종래 기술의 갖는 편파와 직교한 성분이다. 이것은 안테나의 실시상의 예에서 적용된 레이더의 편파를 이용한 다기능 구현시 효과적인 성능을 제공한다(성능 향상).First,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has a polarized wave orthogonal to the array direction. This is a component orthogonal to the polarization of the prior art. This provides effective performance in multifunctional implementations using radar polarization applied in the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antenna (performance enhancement).

둘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종단 급전 구조로서 안테나의 종단에 RF 칩을 직접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전체 기판상 PCB 공정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공정 단순화).Second,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is a terminal feed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RF chip to the end of the antenna. It can also be realized through PCB process on dielectric substrate (process simplification).

세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RF 칩과 종단에 직접 연결될 경우 별도의 RF 구성을 위한 기판이나 연결부가 필요 없이 단순 SMT 공정을 통해 직접화가 가능하여 부품 개수 감소의 효과가 있다.Third, when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F chip,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vert the RF signal through a simple SMT process without requiring a substrate or a connection part for a separate RF configuration,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네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의 실시상의 응용시 RF와 직접화를 통한 부품수 감소로 경량화가 가능하다.Fourth, in the application of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rough RF and direct application.

다섯째, 공정의 단순화, 부품수 감소, 경량화 모두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의 원가 절감 요소로써 효과적이다.Fifth, simplification of the process,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and weight reduction are effective as cost reduction factors of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는 레이더 신호 생성부 및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A radar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ar signal generating unit and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Such a radar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can be mounted on a vehicle.

레이더 신호 생성부는 레이더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RF 모듈과 동일한 개념이다.The radar signal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radar signal, and is the same concept as the RF module.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는 레이더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레이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반사되어 돌아온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배열 안테나(100)의 특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전술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생략한다.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outputs the radar signal generated by the radar signal generation unit to the outside, and receives the reflected and radar signal.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eatures of the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below.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one operation.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etc.,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cording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and the like can be included.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Furthermor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안테나의 바디를 구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열되며 상호 연결된 도체들을 포함하는 스트립 선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A main body constituting a body of the antenna; And
A strip lin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ncluding conductors arranged t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microstrip antenna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는,
미리 정해진 제1 각도를 형성하는 제1 도체와 제2 도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 소자; 및
상기 제1 도체와 상기 제2 도체 중 어느 하나의 도체에 연결되는 제3 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도체와 미리 정해진 제2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위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ip line portion
At least one first unit element including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forming a predetermined first angle; And
And a third conductor connected to one of the conductors of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nd at least one second unit element forming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with the one of the conductors,
And a plurality of microstrip antenna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 또는 상기 제2 도체는 상기 제3 도체와 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ductor or the second conductor has a wid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ird conduc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는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 중 다른 하나로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보다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rip line portion includes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Wherein the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as any one of the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comprises a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as another one of the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And the width of the microstrip antenna is larger than that of the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는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와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위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의 폭이 가장 넓고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의 폭이 가장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rip line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unit element between a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and a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Wherein the width of the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is the widest and the width of the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is the narrowes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는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와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 사이에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1 단위 소자들 중에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1 단위 소자일수록 폭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rip line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between a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and a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Wherein a first unit element positioned closer to a first unit eleme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rip line portion among the at least two first unit elements has a relatively wider wid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ors are interconnected in a zigzag fash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들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duct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zigzag fash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상기 도체들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편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icrostrip antenna has a polarized wave orthogonal to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duct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도체는 급전(Power feed)에 연결되며, 상기 스트립 선로부의 타단에 위치하는 도체는 개방(Ope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ductor located at one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is connected to a power feed and a conductor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trip line portion is opened.
레이더 신호를 생성하는 레이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레이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반사되어 돌아온 상기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안테나의 바디를 구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열되며 상호 연결된 도체들을 포함하는 스트립 선로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A radar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adar signal; And
A main body that forms a body of the antenna and tha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at is arranged so as to fac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microstrip antenna including a strip line portion
And a radar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er.
KR1020150125406A 2015-09-04 2015-09-04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 KR102391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406A KR102391548B1 (en) 2015-09-04 2015-09-04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406A KR102391548B1 (en) 2015-09-04 2015-09-04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99A true KR20170028599A (en) 2017-03-14
KR102391548B1 KR102391548B1 (en) 2022-04-28

Family

ID=5846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406A KR102391548B1 (en) 2015-09-04 2015-09-04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54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23A (en) * 1994-07-08 1996-01-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Series standing wave feeder microstrip antenna
JPH10242746A (en) * 1997-02-28 1998-09-11 Kansai Denshi Kogyo Shinko Center Microstrip line antenna
JP2001203521A (en) * 1999-12-22 2001-07-27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Flat microstrip patch antenna
KR20110093988A (en) * 2008-09-11 2011-08-19 위스트론 네웹 코포레이션 Elongated twin feed line rfid antenna with distributed radiation perturbations
KR20110094831A (en) * 2010-02-18 2011-08-24 구자회 An antenna for adjusting beam patter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23A (en) * 1994-07-08 1996-01-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Series standing wave feeder microstrip antenna
JPH10242746A (en) * 1997-02-28 1998-09-11 Kansai Denshi Kogyo Shinko Center Microstrip line antenna
JP2001203521A (en) * 1999-12-22 2001-07-27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Flat microstrip patch antenna
KR20110093988A (en) * 2008-09-11 2011-08-19 위스트론 네웹 코포레이션 Elongated twin feed line rfid antenna with distributed radiation perturbations
KR20110094831A (en) * 2010-02-18 2011-08-24 구자회 An antenna for adjusting beam patte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548B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3877B2 (en) Beam-steered wide bandwidth electromagnetic band gap antenna
US11688941B2 (en) Antenna device for beam steering and focusing
KR20090003706A (en) Miniatur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Vitaz et al. Tracking of metallic objects using a retro-reflective array at 26 GHz
JP6195080B2 (en) Antenna device
CN108232439B (en) Linear array antenna and planar array antenna of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slot feed
JP5712639B2 (en) Dipole antenna and array antenna
US8773318B2 (en) System of multi-beam antennas
Rongas et al. An integrated shark-fin reconfigurable antenna for V2X communications
JP6202281B2 (en) Antenna device
CN113659325B (en) Integrated substrate gap waveguide array antenna
Khabba et al. UWB dual-port self-decoupled o-shaped monopole MIMO antenna with small-size easily extendable design and high diversity performance for millimeter-wave 5G applications
Amjadi et al. Ultra-wideband, compact, and high-gain two-port antenna system for full-duplex applications
Joseph et al. Series-fed millimeter-wave antenna array based on microstrip line structure
KR102415784B1 (en) A microstrip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
Shukla et al. Single feed stacked circularly polarized patch antenna for dual band NavIC receiver of launch vehicles
Foudazi et al. Mutual coupling in aperture-coupled patch antennas fed by orthogonal SIW line
KR102391548B1 (en) A microstrip line array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
Ingale et al. Study of Different Types of Microwave Antenna and Its Applications
KR20130022177A (en) Slot antenna and bistatic radar using the same
Ssorin et al. Compact MIMO microstrip antennas for USB dongle operating in 2.5–2.7 GHz frequency band
CN110391504A (en) A kind of micro-strip array antenna
Esquius-Morote et al. Low-profile SIW horn antenna array with interconnection to MMICs
Wang et al. Recent development of substrate edge antennas and arrays for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CN218005246U (en) Antenna, radar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