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294A - 파일 송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파일 송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294A
KR20170028294A KR1020167011349A KR20167011349A KR20170028294A KR 20170028294 A KR20170028294 A KR 20170028294A KR 1020167011349 A KR1020167011349 A KR 1020167011349A KR 20167011349 A KR20167011349 A KR 20167011349A KR 20170028294 A KR20170028294 A KR 2017002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file
device name
select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싱 리
유첸 완
쳉펭 오우양
잉 왕
차오퀸 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2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04W76/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파일 송신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며, 디바이스 간의 통신 분야에 속한다. 본 출원은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고,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며,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과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명칭이 같을 때, 단말을 정확히 선택할 수 없음으로 인한 파일 누설 문제를 해결한다. 이로써 복수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하는 경우 수신측 단말을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한편, 기타 단말로의 파일 송신을 방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Description

파일 송신 방법 및 장치{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본 출원은 출원번호 201510484988.8, 출원일 2015년8월7일인 중국특허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도입하여 참고로 한다.
본 출원은 설비 사이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저는 항상 단말 A로부터 다른 하나의 단말 B로 파일을 송신한다.
관련 기술에서는 단말 A가 현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여, 스캐닝한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스크린에 표시시킨다. 유저는 디바이스 명칭에 따라 단말 B를 선택하여, 단말 A로부터 단말 B로 파일을 송신한다.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일한 유저 ID로 로그인하였거나 또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모두 유저 ID 로 로그인하지 않았을 경우, 복수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은 같으므로 유저는 단말 B를 정확히 선택할수가 없다. 만약 유저의 선택이 틀렸다면 단말 A는 파일을 기타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해당 파일 내용을 기타 단말의 유저한테 누설하게 된다.
다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한 경우, 단말을 정확히 선택할 수 없음으로 하여 파일을 누설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파일 송신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그 기술적 수단은 아래와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파일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는 단계;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어 명령은 선정된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지시함 - ;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들 중에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갖춘 기타 단말이 있는지를 검측하는 단계; 및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갖춘 기타 단말이 있는 경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명령은,
진동 명령, 벨 울림 명령, 신호등 플래시 명령, 섬광등 플래시 명령 및 미리 설정된 표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는,
연결 가능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는 단계;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임 - ; 및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드래그 신호중 어느 하나인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은 파일 송신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모듈;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연결 모듈;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 - 상기 제어 명령은 선정된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함 - ;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및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송신 모듈은,
연결가능 상태인 단말들 중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갖춘 기타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서브 모듈; 및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갖춘 기타 단말이 있는 경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명령은,
진동 명령, 벨 울림 명령, 신호등 플래시 명령, 섬광등 플래시 명령 및 미리 설정된 표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모듈은,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서브 모듈,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서브 모듈 - 상기 제1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임 - ;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제1 연결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은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상기 제2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 이다.
본 출원의 제3 측면은 파일 송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고,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 상기 제어 명령은 선정된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함 - ,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수단은 아래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고,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며,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과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명칭이 같을 때, 단말을 정확히 선택할수 없음으로 인한 파일 누설 문제를 해결한다. 이로써 복수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한 경우 수신측 단말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한편, 기타 단말로의 파일 송신을 방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출원를 한정할 수 없다.
여기서 개시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세서에서 본 출원의 원리를 함께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b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방법의 서브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디바이스 명칭 표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제어 명령의 피드백 개략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그 예시는 도면에 나타냈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이 언급될 때,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출원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본 출원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본 출원 실시예의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TV,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 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모두 단말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 송신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에서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한다.
단계 (102)에서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한다.
단계 (103)에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되, 상기 제어 명령은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지시 하는 명령이다.
단계 (104)에서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 하도록 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105)에서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한다.
이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송신방법은,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함을 통해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되 해당 제어 명령은 단말이 미리 설정한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명칭이 같을 때, 단말을 정확히 선택할 수 없음으로 인한 파일 누설 문제를 해결한다. 이로써 복수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한 경우 수신측 단말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한편, 기타 단말로의 파일 송신을 방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도 2a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송신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서, 파일 송신이 필요할 때 유저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다.
유저가 파일을 송신할 필요가 있을때 송신측 단말의 신속 전송 기능을 시동한다.
여기서 송신측 단말이란 송신할 파일을 저장한 단말이고, 신속 전송 기능이란 단말에서의 파일 전송 프로그램이 제공한 기능이다.
유저가 신속 전송 기능을 시동하면 송신측 단말에서는 유저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다.
단계 (202)에서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한다.
송신측 단말은 유저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 후, 송신측 단말은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스캐닝한다.
송신측 단말은 블루투스, Wi-FiWireless-Fidelity)및 랜(LAN) 중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스캐닝한다.
송신측 단말이 블루투스 방식으로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스캐닝하는 예를 들면, 송신측 단말이 단말을 스캐닝하는 과정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이 블루투스를 통하여 송신측 단말에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송신한다, 해당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트 신호에는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명칭이 포함되어 있고, 송신측 단말은 현 환경에서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확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수량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단계 (203)에서,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한다.
본 단계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3a)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한다.
단말 각각은 대응되는 하나의 디바이스 명칭이 있다. 상기 디바이스 명칭은 유저 ID 명칭 일 수 있으며, 단말 자체에 대응되는 명칭일 수도 있다. 유저 ID로 로그인하지 않았을 때 복수의 단말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현 환경에서 3개의 동일한 브랜드 핸드폰이 나타났다. A브랜드로 예를 들면, 이 3개의 핸드폰이 모두 유저 ID로 로그인하지 않았을 때 송신측 단말이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2개 스캐닝 해낼 수 있으며, 이 2개 단말이 대응하는 디바이스 명칭은 모두 <A 브랜드 핸드폰> 이다. 송신측 단말은 스캐닝을 통하여 수신한 다른 단말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명칭을 스캔 페이지에 표시시킨다. 도 3을 참고 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310)은 송신측 단말이고, 단말(320)과 단말 (330)은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이며, 이 두 단말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명칭은 모두 <A 브랜드 핸드폰> 이다. 단말(320)과 단말(330)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명칭은 동시에 단말(310)의 스캔 페이지에 표시된다.
단계 (203b)에서,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가 있다.
송신측 단말은 단말(310) 스캔 페이지에 표시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유저의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203c)에서,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한다.
유저는 단말(310)의 스캔 페이지에 표시된 디바이스 명칭에서 하나의 디바이스 명칭을 선정하며, 송신측 단말은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되는 단말에 제1 선택 신호를 실행한다. 다시 말하면, 송신측 단말은 유저에 의해 트리거된 제1 선택 신호를 통하여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한다.
선택적으로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Wi-Fi, 및 랜(LAN)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4)에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제어 명령은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송신측 단말은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어 명령은,
진동 명령, 벨 울림 명령, 신호등 플래시 명령, 섬광등 플래시 명령, 및 미리 설정된 내용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송신측 단말이 제어 명령을 송신한 후 유저는 선정된 단말에서 제어 명령이 나타낸 미리 설정된 피드백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선정된 단말에서 제어 명령이 나타낸 미리 설정된 피드백이 있으면 유저는 선정된 단말을 수신측 단말로 확정한다.
여기서 수신측 단말은 송신측 단말이 송신하려는 파일을 송신하려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단말 A가 단말 A의 송신하려는 파일을 단말 B에 송신하려고 할 때, 단말 A를 송신측 단말이라 하고, 단말 B를 수신측 단말이라 한다.
선정된 단말에서 제어 명령이 나타낸 미리 설정된 피드백이 없으면, 유저는 선정된 단말이 수신측 단말이 아님을 확정하고, 유저는 계속 하여 다른 하나의 단말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명칭을 선택하며, 송신측 단말은 유저가 선택한 다른 하나의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유저가 선정된 단말에서 제어 명령이 나타낸 미리 설정된 피드백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동작은 파일 송신 대상 단말을 찾아낼 때까지 반복하며, 도 4를 참고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310)은 송신측 단말이고, 단말(320)과 단말 (330)은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이며, 단말(310)은 수신측 단말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330)에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선정된 단말(330)이 아무런 피드백도 하지 않으며, 유저는 선정된 단말(330)이 수신측 단말이 아니라는 것을 확정한다, 유저는 계속하여 단말(320)을 선택한다. 단말(310)은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320)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되, 진동으로 예를 들면, 선정된 단말(320)은 제어 명령에 따라 진동의 미리 설정한 피드백을 하며, 유저는 단말(320)로부터의 피드백을 기초로 선정된 단말(320)을 수신측 단말로 확정한다.
단계 (205)에서,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래그 신호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저는 수신측 단말을 확정한 후,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트리거하여 송신측 단말에 송신하며, 송신측 단말은 상기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2 선택 신호는 선정된 단말에 파일 송신을 지시하는 송신 신호이다.
유저가 선정된 단말을 수신측 단말로 확정한 후, 송신측 단말에 파일 송신 신호를 트리거하며, 송신측 단말은 상기 파일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206)에서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한다.
송신측 단말은 수신한 파일 송신 신호에 따라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파일 송신방법은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고,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며,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과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가 명칭이 같을 때, 단말을 정확히 선택할 수 없음으로 인한 파일 누설 문제를 해결한다. 이로써 복수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한 경우 수신측 단말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한편, 기타 단말로의 파일 송신을 방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브랜드의 단말 A, B, C에서 단말 B와 단말 C가 <A 브랜드 핸드폰> 이라는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갖고 있을 때, 단말 B와 단말 C가 모두 연결 가능 상태이고, 제1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이며, 제2 선택 신호는 더블 클릭 신호이고,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 지시에 대한 피드백은 진동이라고 가설한다. 이때, 파일 송신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유저는 먼저 단말 A의 신속 전송 기능을 시동하여 파일 전송하는데 사용한다. 단말 A는 유저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다.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 후 단말 A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스캐닝하되, 단말 A의 스캔 페이지에 2개의 <A 브랜드 핸드폰> 이라는 디바이스 명칭이 표시된다.
유저는 임의로 <A 브랜드 핸드폰> 디바이스 명칭을 하나 선정하고, 선정한 디바이스 명칭에 싱글 클릭하여, 단말 A를 유저가 선정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한다. 단말 A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유저가 선정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단말 A가 제어 명령을 송신 후, 유저가 대응되는 단말에서 진동 피드백을 발견하지 못했을 때 유저는 계속하여 다른 하나의 <A 브랜드 핸드폰> 디바이스 명칭을 선택하여 상기 단계를 반복한다. 단말 A에서 제어 명령을 송신 후, 유저가 단말 B에서 진동 피드백 발견하면 유저는 단말 B를 수신측 단말로 확정한다.
유저가 단말 B를 수신측 단말로 확정한 후, 유저는 선정한 디바이스 명칭에 더블 클릭하여 단말 B에 파일을 송신한다.
도 5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파일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파일 송신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에서, 파일 송신이 필요할 때 유저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다.
유저가 파일을 송신하려고 할 때 송신측 단말의 신속 전송 기능을 시동한다.
여기서 송신측 단말이란 송신할 파일을 저장한 단말이고, 신속 전송 기능이란 단말에서의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이 제공한 기능이다.
유저가 신속 전송 기능을 시동하면 송신측 단말에서는 유저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다.
단계 (502)에서,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한다.
송신측 단말은 유저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 후,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스캐닝한다.
여기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은 신속 전송 기능을 시동할수 있는 단말을 가리킨다. 송신측 단말은 블루투스, Wi-Fi 및 랜 중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스캐닝한다.
송신측 단말이 블루투스 방식으로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스캐닝하는 예를 들면, 송신측 단말이 수신측 단말을 스캐닝하는 과정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이 블루투스를 통하여 송신측 단말에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트 신호에는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명칭이 포함되고, 송신측 단말은 현 환경에서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확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수량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단계 (503)에서,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한다.
본 단계는 단계 (203)과 동일하고 도 2a의 실시예를 참고로 한다.
단계 (504)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들 속에서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진 기타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송신측 단말은 스캔 페이지에서 표시하는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진 기타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다시 말하면 송신측 단말이 표시된 디바이스 명칭을 통하여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의 단말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단계 (505)에서,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갖춘 기타 단말이 있으면,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제어 명령은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다.
선택적으로 제어 명령은,
진동 명령, 벨 울림 명령, 신호등 플래시 명령, 섬광등 플래시 명령, 및 미리 설정된 표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송신측 단말이 제어 명령을 송신한 후 유저는 선정된 단말에서 제어 명령이 나타낸 미리 설정된 피드백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이 나타낸 미리 설정된 피드백이 나타나면 유저는 선정된 단말을 수신측 단말로 확정한다.
선정된 단말에서 제어 명령이 지시한 미리 설정된 피드백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유저는 선정된 단말이 수신측 단말이 아님을 확정하고, 유저는 계속하여 다른 하나의 단말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명칭을 선택하며, 송신측 단말은 유저가 선택한 다른 하나의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유저가 선정한 단말에 제어 명령이 지시한 미리 설정된 피드백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돌아간다. 이와 같은 동작을 파일 송신 대상 단말을 찾아낼 때 까지 반복한다.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진 기타 단말이 없으면, 유저는 대응되는 디바이스 명칭에 따라 직접 수신측 단말을 확정할 수 있다.
단계 (506)에서,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래그 신호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저는 수신측 단말을 확정한 후,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트리거하여 송신측 단말에 송신하며, 송신측 단말은 상기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2 선택 신호는 선정된 단말에 파일 송신을 지시하는 송신 신호이다.
유저가 선정된 단말이 수신측 단말임을 확정한 후, 유저는 송신측 단말로 파일 송신 신호를 트리거하고, 송신측 단말은 해당 파일 송신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507)에서,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한다.
송신측 단말은 수신한 파일 송신 신호에 따라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파일 송신방법은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고,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며,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과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지고 있는 기타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통하여 파일을 송신해야 할 단말을 확정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명칭이 같을 때, 단말을 정확히 선택할 수 없음으로 인한 파일 누설 문제를 해결한다. 이로써 복수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한 경우 수신측 단말을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한편, 기타 단말로의 파일 송신을 방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단말 A, B, C, D 등 4개의 단말이 있고, 단말 B와 단말 C가 <A 브랜드 핸드폰> 이라는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지고, 단말 D의 디바이스 명칭은 <Lin의 핸드폰> 일때, 단말 B, 단말 C, 및 단말 D는 모두 연결 가능 상태이고, 제1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이며, 제2 선택 신호는 더블 클릭 신호이고,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 지시에 대한 피드백은 진동 방식이며 단말 A는 송신측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단말 B가 수신측 단말일때, 파일 송신 방법은 도 2a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단말 D가 수신측 단말 일 때, 파일 송신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유저는 먼저 단말 A의 신속 전송 기능을 시동하여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한다. 단말 A는 유저의 오퍼레이션에 따라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다. 송신할 파일을 선정한 후 단말 A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을 스캐닝하되, 단말 A의 스캔 페이지에 <A 브랜드 핸드폰>, <Lin의 핸드폰> 이라는 디바이스 명칭이 표시된다.
단말 D의 디바이스 명칭이 단말 B, C와 다르므로 유저는 직접<Lin의 핸드폰> 이라는 디바이스 명칭을 선택한다.유저는 디바이스 명칭을 선정하고, 선정한 디바이스 명칭에 싱글 클릭 하여, 단말 A와 유저가 선정한 단말 D의 통신 연결을 확립한다. 통신 연결을 확립후 유저는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더블 클릭하여 단말 D에 파일을 송신한다.
이하는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로서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에서 개시하지 않은 세부 내용은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 송신 장치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모듈(610);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연결 모듈(620);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어 명령은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인 제1 송신 모듈(630);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640); 및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6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파일 송신장치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고,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되 해당 제어 명령은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명칭이 같을 때, 단말을 정확히 선택할 수 없음으로 인한 파일 누설 문제를 해결한다. 이로써 복수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하는 경우 수신측 단말을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한편, 기타 단말로의 파일 송신을 방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파일 송신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 송신 장치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모듈 (610);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연결 모듈(620)을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 연결 모듈(620)은,
연결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서브 모듈(621);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해당 제1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레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인 제1 수신 서브 모듈(622);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제1 연결 모듈(623); 및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되, 상기 제어 명령은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인 제1 송신 모듈(63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명령은 진동 명령, 벨 울림 명령, 신호등 플래시 명령, 섬광등 플래시 명령 및 미리 설정된 표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수신 모듈(640)은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640)은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레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제2 송신 모듈(650)은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파일 송신 장치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고,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며,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과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구축하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명칭이 같을 때, 단말을 정확히 선택할 수 없음으로 인한 파일 누설 문제를 해결한다. 이로써 복수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한 경우 수신측 단말을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한편, 기타 단말로의 파일 송신을 방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 송신 장치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모듈 (810);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연결 모듈(8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모듈(820)은,
연결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서브 모듈(821);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해당 제1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레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인 제1 수신 서브 모듈(822);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제1 연결 서브 모듈(823);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되, 상기 제어 명령은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인 제1 송신 모듈(830)을 포함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명령은 진동 명령, 벨 울림 명령, 신호등 플래시 명령, 섬광등 플래시 명령 및 미리 설정된 표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송신 모듈(830)은: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에서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지는 기타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서브 모듈(831); 및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지는 기타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통신 연결을 통하여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서브 모듈(832)을 포함 한다.
또한,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84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840)은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레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8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파일 송신 방법은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고,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며,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과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지는 기타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통하여 파일을 송신해야 할 단말을 확정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 명칭이 같을 때, 단말을 정확히 선택할 수 없음으로 인한 파일 누설 문제를 해결한다. 이로써 복수의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이 동일한 경우 수신측 단말을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한편, 기타 단말로의 파일 송신을 방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관련하여, 각 모듈의 오퍼레이션 수행의 구체적인 방식은 관련된 방법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파일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900)는 이동전화, 컴퓨터, 디지털브로드캐스트단말기, 메시지송수신장치, 게임컨트롤러, 패널장치, 의료장치, 헬스장치, 개인용 정보단말기(PDA) 등일 수 있다.
도 9을 참고하면, 장치(9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902), 메모리(904), 전원 어셈블리(9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908), 오디오 어셈블리(9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912), 센서 어셈블리(914) 및 통신 어셈블리(916) 중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어셈블리(902)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오퍼레이션 및 기록 오퍼레이션과 관련되는 장치(900)의 전체 오퍼레이션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90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18)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어셈블리(902)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여 프로세싱 어셈블리(902)와 다른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어셈블리(9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어셈블리(908)와 프로세싱 어셈블리(902) 사이의 인터랙티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9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900)에서의 오퍼레이션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들 데이터의 예시로는, 장치(900)에서 오퍼레이션되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에 이용되는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9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램(SRAM), 이이프롬(EEPROM), 이프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디스크 또는 C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906)는 장치(9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906)는 전원관리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전원, 및 장치(900)의 전력 생성, 관리 및 할당과 관련된 그 밖의 다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908)는, 장치(900)와 유저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 및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유저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908)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900)가 오퍼레이션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렌즈시스템이거나 또는 초점거리와 광학적 초점 변경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9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9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며, 장치(900)가 오퍼레이션 모드,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인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나아가 메모리(9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916)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9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9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9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패드, 클릭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들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시작버튼 및 잠금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914)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장치(900)에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914)는 장치(900)의 열기/닫기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 포지셔닝 예를 들어 어셈블리가 장치(900)의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임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914)는 또한 장치(900) 또는 장치(900)의 하나의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유저와 장치(900)의 접촉 여부, 장치(9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9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센서 어셈블리(914)는,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경우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접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914)는 또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화상센서와 같이 화상 형성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914)는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어셈블리(916)는 장치(900)와 다른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마련된다. 장치(900)는 통신표준 기반의 무선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916)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의해 외부 브로드캐스트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9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무선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전파식별(RFID) 기술, 국제적외선데이터통신협회 (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다른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900)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D), 프로그래머블논리소자(PLD), 필드프로그래머블게이트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모드 전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명령을 포함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Non tempora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9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은 장치(900)의 프로세서(918)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모드 전환 방법을 완성한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ROM, 램(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해당 분야의 기술자는 명세서 및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고려한 후 본 출원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취지는 본 출원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출원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고 본 출원에 공개되지 않은 해당 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볼 뿐이며, 본 출원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1)

  1.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는 단계;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선정된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지시함 - ;
    상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송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에서, 상기 선정된 단말과 같은 디바이스 명칭을 가지는 기타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지는 기타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송신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진동 명령, 벨 울림 명령, 신호등 플래시 명령, 섬광등 플래시 명령 및 미리 설정된 내용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 송신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임 - ; 및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되는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송신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인, 파일 송신 방법.
  6.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모듈;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연결 모듈;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 -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선정된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함 - ;
    상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및
    상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파일 송신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상기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에서 상기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지는 기타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서브 모듈; 및
    상기 선정된 단말과 동일한 디바이스 명칭을 가지는 기타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파일 송신 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진동 명령, 벨 울림 명령, 신호등 플래시 명령, 섬광등 플래시 명령 및 미리 설정된 내용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 송신 장치.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연결 가능 상태인 단말의 디바이스 명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서브 모듈;
    상기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1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서브 모듈 - 상기 제1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레그 신호 중 어느 하나임 - ; 및
    선정된 디바이스 명칭에 대응하는 단말과 상기 통신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제1 연결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파일 송신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디바이스 명칭에 대한 제2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선택 신호는 싱글 클릭 신호, 더블 클릭 신호, 롱 프레스 신호, 및 드레그 신호 중 어느 하나인, 파일 송신 장치.
  11.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 환경에서 연결 가능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캐닝하고,
    선정된 단말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선정된 단말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선정된 단말이 미리 설정된 피드백을 하도록 지시함 - ,
    상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선정된 단말에 파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파일 송신 장치.
KR1020167011349A 2015-08-07 2015-12-29 파일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28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84988.8A CN105119984B (zh) 2015-08-07 2015-08-07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CN201510484988.8 2015-08-07
PCT/CN2015/099599 WO2017024739A1 (zh) 2015-08-07 2015-12-29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294A true KR20170028294A (ko) 2017-03-13

Family

ID=5466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349A KR20170028294A (ko) 2015-08-07 2015-12-29 파일 송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41377A1 (ko)
EP (1) EP3128722A1 (ko)
JP (1) JP2017533479A (ko)
KR (1) KR20170028294A (ko)
CN (1) CN105119984B (ko)
MX (1) MX2016007022A (ko)
RU (1) RU2641245C2 (ko)
WO (1) WO2017024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9984B (zh) * 2015-08-07 2019-03-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CN109600549A (zh) * 2018-12-14 2019-04-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拍照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11509738B2 (en) * 2019-07-18 2022-11-22 Dell Products L.P. System for migration of data from legacy computer system using wireless peer-to-peer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790A (ja) * 2000-09-08 2002-03-22 Canon Inc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媒体
RU2325042C1 (ru) * 2006-08-08 2008-05-20 Сергей Сергеевич Акинфиев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на большие расстояния информации на мобильные телефоны и стационарные электр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с функцией bluetooth
EP1936929A1 (en) * 2006-12-21 2008-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ptic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KR101427268B1 (ko) * 2007-12-21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화 연결 방법
KR20110020694A (ko) * 2009-08-24 201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CN101835279A (zh) * 2009-12-29 2010-09-15 闻泰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连接蓝牙设备的简化方法
JP2011186725A (ja) * 2010-03-08 2011-09-22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ードライバー、印刷制御装置、プリンター検索プログラム
CN101945499A (zh) * 2010-09-06 2011-01-12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文件传输的方法、终端及系统
JP2012244489A (ja) * 2011-05-20 2012-12-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707880B (zh) * 2012-04-24 2015-01-07 华为终端有限公司 文件传输的方法及终端
KR102088382B1 (ko) * 2012-09-07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2899628A4 (en) * 2012-09-24 2016-06-08 Yulong Comp Telecomm Scient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NTERFACE CONTENTS AND DEVICE THEREFOR
EP2787790B1 (en) * 2012-11-16 2017-07-26 Huawei Device Co., Ltd. Method, mobile terminal and system for establishing bluetooth connection
CN102984393B (zh) * 2012-12-12 2015-06-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之间传输文件的方法及移动终端
KR20140124304A (ko) * 2013-04-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5885714B2 (ja) * 2013-08-28 2016-03-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出力指示プログラム
CN103997669A (zh) * 2014-04-28 2014-08-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5119984B (zh) * 2015-08-07 2019-03-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19984B (zh) 2019-03-08
CN105119984A (zh) 2015-12-02
JP2017533479A (ja) 2017-11-09
EP3128722A1 (en) 2017-02-08
WO2017024739A1 (zh) 2017-02-16
RU2016119949A (ru) 2017-12-07
MX2016007022A (es) 2017-06-29
US20170041377A1 (en) 2017-02-09
RU2641245C2 (ru)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943B1 (ko) 제어를 받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776623B1 (ko) 클라우드 카드 송신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56692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WO2016192323A1 (zh) 视频通信方法及装置
JP6122558B2 (ja) 通信方法、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5094732A (zh) 屏幕显示方法及装置
CN107071862B (zh) 账号绑定方法及装置和智能设备
CN105120505A (zh) 智能设备接入路由器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05392169A (zh) 文件传输方法、装置和系统
WO2018000710A1 (zh) WiFi信号图标的展示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7466457B (zh) 降低用户设备温度的方法、装置、基站和用户设备
KR101688176B1 (ko) 호출 전환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70028294A (ko) 파일 송신 방법 및 장치
WO2020223931A1 (zh) 小区切换方法及装置、切换配置方法及装置和用户设备
CN111010721A (zh) 无线配网方法、无线配网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16622B1 (ko) 메시지 송신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876451A1 (en)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CN105516972A (zh) 网络连接方法及装置
CN105376318A (zh) 文件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1297626B2 (en)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09618564B (zh) 传输方向的指示方法及装置
CN107567028B (zh) 连网控制方法及装置
WO2019056385A1 (zh) 随机接入方法及装置、用户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01363A (zh) 一种协助智能设备自动接入无线网络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748384B1 (ko) 스마트 기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