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082A -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082A
KR20170028082A KR1020150124912A KR20150124912A KR20170028082A KR 20170028082 A KR20170028082 A KR 20170028082A KR 1020150124912 A KR1020150124912 A KR 1020150124912A KR 20150124912 A KR20150124912 A KR 20150124912A KR 20170028082 A KR20170028082 A KR 2017002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type semiconductor
layer
electrode
tren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8082A/ko
Priority to CN201610727568.2A priority patent/CN106505132A/zh
Priority to US15/257,340 priority patent/US20170069794A1/en
Publication of KR2017002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atings, e.g. passivation layer or anti-reflective coating
    • H01L33/46Reflective coating, e.g. dielectric Bragg 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66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 H01L33/007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light reflecting structure, e.g. semiconductor Bragg 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stress relaxation structure, e.g. buffer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 or current-block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01L33/38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the electrode extending partially in or entirely through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40Materials therefor
    • H01L33/42Transpar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3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die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을 가지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이르도록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트렌치를 갖는 반도체 적층체와, 상기 복수의 트렌치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전극지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영역과 상기 트렌치의 내부 측벽에 배치된 절연층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극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발광소자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기하여 특장 파장대역의 광을 생성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이러한 반도체 발광소자는 필라멘트에 기초한 광원에 비해 긴 수명, 낮은 전원, 우수한 초기 구동 특성 등의 여러 장점을 갖기 때문에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청색 계열의 단파장 영역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3족 질화물 반도체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반도체 발광소자의 발광 효율 및 광출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극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당 기술 분야에서는, 발광 효율을 저하를 방지하고 광출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전극 구조를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을 가지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이르도록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트렌치를 갖는 반도체 적층체와, 상기 복수의 트렌치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전극지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영역과 상기 트렌치의 내부 측벽에 배치된 절연층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극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된 전류 분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지는 상기 전류 분산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전류 분산층은 상기 제1 전극지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전류 분산층은 투명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분산층은 ITO(Indium Tin Oxide), ZITO(Zinc-doped Indium Tin Oxide), ZIO(Zinc Indium Oxide), GIO(Gallium Indium Oxide), ZTO(Zinc Tin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AZO(Aluminium-doped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In4Sn3O12 및 Zn(1-x)MgxO(Zinc Magnesium Oxide, 0≤x≤1)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전극지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절연층 영역은 무지향성 반사기(omni-directional reflector, ODR)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분산 브래그 반사성(distributed Bragg reflective, DBR) 다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복수의 트렌치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트렌치의 간격과 상이할 수 있다. ,
일 예에서, 상기 복수의 트렌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콘택 면적은 다른 트렌치의 콘택 면적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1 전극 패드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위치한 상기 절연층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 패드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복수의 트렌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전극 패드로부터 멀수록 큰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트렌치 내에서의 상기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콘택 면적은 상기 트렌치가 상기 제1 전극 패드로부터 멀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복수의 트렌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전극 패드로부터 멀수록 작은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트렌치 내에서의 상기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콘택 면적은 상기 트렌치가 상기 제1 전극 패드로부터 멀수록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을 가지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이르도록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트렌치와 적어도 하나의 제2 트렌치를 갖는 반도체 적층체와,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연결된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전극지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영역과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부 측벽과 상기 제2 트렌치의 내부 표면에 배치된 절연층와, 상기 제2 트렌치 내의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극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류 분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류 분산층은 상기 절연층의 상면을 따라 상기 제2 트렌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전극지는 상기 제2 트렌치 내에 위치한 상기 전류 분산층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트렌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2 트렌치는 복수의 제2 트렌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지는 상기 복수의 제2 트렌치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2 전극 패드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로 연장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반도체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적층체에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을 이르는 복수의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각 트렌치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트렌치를 따라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복수의 트렌치에 따라 제1 전극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2 전극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1 전극(예, n측 전극)이 형성될 영역을 모두 에칭하지 않는 대신에, 복수의 트렌치를 형성함으로써 유효한 발광영역의 감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트렌치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전류가 집중되는 영역에서 추가적인 전류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1 전극의 아래에는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 전극을 구성하는 금속과 상기 절연층이 무지향성 반사성(ODR) 구조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광추출효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트렌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그 사이의 발광영역을 마이크로 크기로 제공함으로써 마이크로 LED의 효과로 광효율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X-X'를 따라 절개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Y-Y'를 따라 절개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I-I'를 따라 절개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X1-X1'를 따라 절개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9는 도7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X2-X2'를 따라 절개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0은 도7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Y-Y'를 따라 절개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채용한 패키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12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채용한 패키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채용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채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상면',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 실시예(one example)"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래 설명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각각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X-X' 및 Y-Y'를 따라 절개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2 및 도3과 함께,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0)는 기판(11)과 상기 기판(11) 상에 배치된 반도체 적층체(15)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적층체(15)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 활성층(1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 사이에 버퍼층(1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은 절연성, 도전성 또는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1)은 사파이어, SiC, Si, MgAl2O4, MgO, LiAlO2, LiGaO2, GaN일 수 있다. 상기 기판(11)의 상면에는 요철(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P)은 광추출효율을 개선하면서 성장되는 단결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P)은 본 실시예와 같이 반구형상의 돌기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형상의 비평탄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12)은 InxAlyGa1 -x- yN (0≤x≤1, 0≤y≤1)일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층(12)는 AlN, AlGaN, InGaN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복수의 층을 조합하거나, 조성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은 n형 AlxInyGa1 -x- yN (0≤x≤1, 0≤y≤1, 0≤x+y≤1)을 만족하는 질화물 반도체일 수 있으며, n형 불순물은 S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은 n형 GaN일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은 p형 AlxInyGa1 -x- yN을 만족하는 질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p형 불순물은 Mg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은 p형 AlGaN/GaN일 수 있다. 상기 활성층(15b)은 양자우물층과 양자장벽층이 서로 교대로 적층된 다중 양자우물(MQW)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질화물 반도체를 사용할 경우, 상기 활성층(15b)은 GaN/InGaN MQW 구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18,19)은 각각 제1 및 제2 전극 패드(18a,19a)와 그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지(18b,19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지(18b,19b)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18a,19a)는 하나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18a,19a)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적층체(15)는 복수의 트렌치(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트렌치(T)는 4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렌치(T)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과 상기 활성층(15b)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의 일부 영역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트렌치(T)는 상기 제1 전극지(18b)가 형성될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트렌치(T)는 제1 전극 패드(18a)로부터 상기 제1 전극지(18b)가 연장될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적층체(15)의 표면에 절연층(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14)은 상기 제1 전극지(18a)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 영역과 상기 트렌치(T)의 내부 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14)은 상기 트렌치(T)를 따라 배치되는 제1 전극지(18b)와 선택적인 접속을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14)은 상기 트렌치(T)의 바닥면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의 일부 영역(e)을 노출시키는 반면에, 상기 제1 전극지(18a)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 영역과 상기 트렌치(T)의 내부 측벽을 절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지(18b)가 상기 복수의 트렌치(T)의 배열 방향에 따라 배치되더라도, 상기 제1 전극지(18b)는 상기 트렌치(T)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의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영역(C)을 가질 수 있지만, 상기 트렌치(T) 사이에 위치한 메사영역(예, 활성층(1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극지(18)가 형성될 영역을 모두 에칭하지 않고, 복수의 트렌치를 형성함으로써 제1 전극지(18)의 형성에 따른 유효한 발광영역의 감소를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소자의 발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트렌치(T) 사이의 간격, 즉 메사영역을 마이크로 사이즈로 적절히 조절하여 마이크로 LED 셀과 같이 구동하게 함으로써 마이크로 LED에 의한 효과(광효율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T) 내부 측벽 및 주위에 위치한 절연층(14) 영역과 그 절연층(14) 영역 상에 위치한 제2 전극지(17)는 저굴절률층과 반사메탈의 결합인 무지향성 반사기(omni-directional reflector, ODR, "R")로 제공될 수 있다. 반사 메탈만으로는 메탈 자체 특성의 소멸계수(extinction coefficient) 때문에 일정 한계 이상의 반사도(reflectivity)를 얻을 수 없다(예, 반사도 한계치, Ag:86%, Al:92%). 본 실시예에서 도입되는 무지향성 반사기(ODR)는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층과 반사성 메탈의 적층구조로 전체 지향각에 대해 고반사도를 가질 수 있으며 높은 광추출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지(18b) 또는 그 하부층으로 사용가능한 반사성 메탈로는 Ag, Al, Rh와 같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4)으로는 SiO2, Si3N4, HfO2, SiON, TiO2, Ta2O3, SnO2와 같은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14)의 굴절률 등에 따라 적절한 두께(t0)로 형성하여 원하는 ODR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 패드(18a)는 상기 제2 전극 패드(19a)와 함께,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패드(18a) 아래에는 절연층(14)이 제공되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과 절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극 패드(18a) 형성영역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을 노출하기 위한 에칭을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유효한 발광영역의 감소를 추가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전극 패드(19a)의 아래 영역에도 절연층(14)을 형성하여 전류차단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차단층은 제2 전극지(19b)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전류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의 메인 영역에는 전류 분산층(1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류 분산층(17)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과 오믹 접촉을 가지며, 제2 전극(19)을 통해 주입되는 전류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전류 분산층(17)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 상면의 실질적으로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 상에 절연층(14)이 배치되는 경우에, 그 절연층(14) 아래에 전류 분산층(17)이 위치하도록 절연층(14) 형성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류 분산층(17)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분산층(17)은 ITO, ZITO, ZIO, GIO, ZTO, FTO, AZO, GZO, In4Sn3O12 또는 Zn(1-x)MgxO(0≤x≤1)와 같은 광투과성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ITO와 같은 전류 분산층(17)을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 상에 배치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전류 분산층(17)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14)은 본 실시예와 같이, 소자(10)의 페시베이션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14)은 소자(10) 둘레의 아이솔레이션 영역을 포함하여, 전류 분산층(17)이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반도체 적층체(15)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4a 내지 도4d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공정의 단면도로서,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의 X-X'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에서 본 공정의 단면도이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 상에 버퍼층(12)을 형성하고, 상기 버퍼층(12) 상에 발광소자를 위한 반도체 적층체(1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적층체(15)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 활성층(1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을 포함하며, 앞서 설명된 질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상기 MOCVD, MBE, HVPE과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11) 상에 성장될 수 있다.
이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적층체(15)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의 일부 영역(e)이 노출되도록 트렌치(T)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공정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과 상기 활성층(15b)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에칭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트렌치(T) 형성과정에서 소자 단위로 구분하는 아이솔레이션(ISO) 에칭공정도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아이솔레이션 영역(ISO)과 트렌치(T)는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렌치(T)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의 영역은 제1 전극지(18b)와 접속될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T)가 형성된 반도체 적층체(15)에 절연층(1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 형성된 절연층(14)은 상기 트렌치(T)가 형성된 면의 전체 영역에 증착한 후에 선택적 제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층(14)은 트렌치(T)의 내부 측벽과, 트렌치(T) 주위와, 트렌치(T) 사이의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의 상면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4)은 상기 트렌치(T)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 영역이 노출되는 개구(e)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14)은 SiO2, Si3N4, HfO2, SiON, TiO2, Ta2O3 또는 SnO2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14)은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제1 전극(18)과 함께 ODR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14)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유전체막을 교대로 적층된 DBR 다층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연층(14)을 ODR 구조를 구성하거나 DBR 다층막 구조로 채용함으로써 광추출효율을 추가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도10 참조).
이어, 본 공정 단면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 상면에 전류 분산층(1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류 분산층(17)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과 오믹 접촉을 가지며, 제2 전극을 통해 주입되는 전류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5c)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산화물은 원하는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얻기 위해서 증착 공정 후에 열처리 공정(예, 500℃ 이상)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를 따라 제1 전극(18)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 상기 제1 전극 패드(18a)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위치한 절연층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지(18b)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5a)의 노출 영역(e)에 접속되도록 상기 복수의 트렌치(T)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제1 전극지(18b)는 상기 절연층(14)에 의해 원하지 않는 영역과 절연될 수 있다. 본 단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도1 및 도3에 도시된 상기 제2 전극(19)도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전극(18,19)은 각각 Ag, Ni, Al, Rh, Pd, Ir, Ru, Mg, Zn, Pt, Au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로 채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제1 및 제2 전극(18,18)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전극형성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전극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전극 형성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18b,19b)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18a,19a)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전극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 패드(18a,19a)는 별도의 공정을 이용하여 Au, Sn 또는 Au/Sn과 같은 본딩 메탈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은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I-I'를 따라 절개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6과 함께,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30)는 기판(31)과 상기 기판(31) 상에 배치된 반도체 적층체(35)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적층체(35)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35a), 활성층(3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3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31)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35a) 사이에 버퍼층(32)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구성요소는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1 및 제2 전극(38,39)은, 제1 및 제2 전극 패드(38a,39b)와, 그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지(38a,3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39)은 상기 전류 분산층(37)을 통해서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류 분산층(37)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분산층(37)은 ITO, ZITO, ZIO, GIO, ZTO, FTO, AZO, GZO, In4Sn3O12 또는 Zn(1-x)MgxO(0≤x≤1)와 같은 광투과성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38)은 복수의 트렌치(T1-T4)에 의해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35a) 영역과 접속될 수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적층체(35)는 복수의 트렌치(T1-T4)의 배열을 포함한다. 상기 트렌치(T1-T4)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35c)과 상기 활성층(35b)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35a)의 일부 영역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트렌치(T1-T4)는 2개의 제1 전극지(38a)를 위한 2개의 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각의 트렌치(T1-T4)의 열은 제1 전극 패드(38a)로부터 상기 제1 전극지(38b)가 연장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34)은 상기 제1 전극지(38a)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35c) 영역과 상기 트렌치(T1-T4)의 내부 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34)은 상기 트렌치(T1-T4)의 바닥면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35a)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반면에, 상기 제1 전극지(38a)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35c) 영역과 상기 트렌치(T1-T4)의 내부 측벽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지(38b)는 상기 트렌치(T1-T4)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35a)의 노출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만, 상기 트렌치(T1-T4) 사이에 위치한 메사 영역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렌치(T1-T4)를 이용함으로써 제1 전극지(38)의 형성에 따른 유효한 발광영역의 감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트렌치(T1-T4) 내부 측벽 및 주위에 위치한 절연층(34) 영역과 그 절연층(34) 영역 상에 위치한 제2 전극지(37)는 ODR 구조로 제공되어 광추출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트렌치(T1-T4)의 배열과 콘택영역(C1-C4)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전류 집중(current crowding)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T1-T4)의 배열과 콘택영역(C1-C4)의 면적은, 제2 전극 패드(39a) 주위 영역에서 전류 집중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5를 참조하면, 4개의 트렌치(T1-T4)는 제1 전극 패드(38a)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간격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d1<d2<d3<d4). 이러한 배열은 제1 전극 패드(38a) 주위영역에서 전류 공급을 약화시키고 제2 전극 패드(39a) 주위영역에서 전류 공급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해서, 각 트렌치(T1-T4)의 콘택 영역이 제1 전극 패드(38a)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C1>C2>C3>C4). 상기 제1 전극지와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콘택영역 면적을 달리하기 위해서, 트렌치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택영역 면적을 크게 얻기 위해서(C1>C2>C3>C4) 트렌치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S1>S2>S3>S4).
본 실시예와 달리, 다른 영역에서 전류 집중 현상이 발생되는 전극의 배열일 경우에는, 다른 트렌치의 배열 및/또는 콘택 영역의 면적 조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에와 유사한 전극배열에서, 상기 제1 전극 패드(38a)의 주위에서 전류 집중이 발생되는 경우에, 4개의 트렌치(T1-T4)는 제1 전극 패드(38a)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은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거나 각 트렌치(T1-T4)의 콘택 영역이 제1 전극 패드(38a)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트렌치의 간격이나 콘택 영역의 면적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형태만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일부 트렌치의 간격이나 일부 콘택 영역의 면적만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트렌치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트렌치의 간격과 상이하게 설계하거나, 상기 복수의 트렌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콘택 면적은 다른 트렌치의 콘택 영역의 면적과 상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8 내지 도10은 각각 도7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X1-X1', X2-X2 및 Y-Y'를 따라 절개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50)는 기판(51)과 상기 기판(51) 상에 배치된 반도체 적층체(55)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적층체(55)는 도8에 도시된 와 같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55a), 활성층(55b)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5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51)과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55a) 사이에 버퍼층(52)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구성요소는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58,59)은 각각 제1 및 제2 전극 패드(58a,59a)와 그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 전극지(58b,59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전극지(58b,59b)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각 패드(58a,59a)에 하나씩 채용된 형태이며, 각각 대향하는 양 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적층체(55)는 상기 제1 전극지(58b)를 위한 복수의 제1 트렌치(Ta)와 상기 제2 전극지(59b)를 위한 복수의 제2 트렌치(T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트렌치(Ta,Tb)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55c)과 상기 활성층(55b)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55a)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58b,59b)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트렌치(Ta,Tb)는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동일한 공정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지(18b)는 제1 트렌치(Ta)의 배열 방향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54)은 상기 제1 전극지(58a)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55c) 영역과 상기 제1 트렌치(Ta)의 내부 측벽에 제공되고, 상기 트렌치(T)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e)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극지(58a)는 상기 제1 트렌치(Ta)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55a)의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영역(C)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전극지(58a)는 상기 제1 트렌치(Ta) 사이에 위치한 메사 영역의 표면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58)이 형성될 영역을 모두 에칭하지 않는 대신에, 복수의 트렌치(Ta)를 형성함으로써 유효한 발광영역의 감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트렌치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전류가 집중되는 영역에서 추가적인 전류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도5 참조). 또한, 상기 제1 전극(58)의 아래에는 절연층(54)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 전극(58)을 구성하는 금속과 상기 절연층(54)이 무지향성 반사성(ODR) 구조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광추출효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또는 병행하여, 상기 절연층(54)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유전체막을 교대로 적층된 DBR 다층막일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54)을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1 절연막(54a)과 제2 절연막(54b)이 교대로 적층된 반사구조일 수 있다.
또한, 트렌치(T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그 사이의 발광영역을 마이크로 크기로 제공함으로써 마이크로 LED의 효과로 광효율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지(59b)는 상기 제2 트렌치(Tb)와 상기 제2 트렌치(Tb) 사이의 제2 도전형 반도체층(55c) 상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지(59b)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트렌치(Tb)의 내부 표면에는 절연층(54)이 연장되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55c)과 상기 활성층(55b)는 물론 제1 도전형 반도체층(55a)도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지(59b)가 복수의 제2 트렌치(Tb) 내부 표면에 따라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55a) 및 상기 활성층(55b)과의 원하지 않는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류 분산층(57)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55c)의 상면뿐만 아니라, 제2 트렌치(Tb) 내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지(59b)는 상기 제2 트렌치(Tb) 내에서도 전류 분산층(57)과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전극지(59b)를 상기 복수의 제2 트렌치(Tb)를 따라 배치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상기 제2 트렌치(Tb)의 깊이만큼 상기 제2 전극지(59b)를 낮은 레벨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광추출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는 광원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응용제품에 채용될 수 있다.
도11은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10)를 채용한 패키지(4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400)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10), 실장 기판(410) 및 봉지체(4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0)는 실장 기판(410)에 실장되어 와이어(W)를 통하여 실장 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장 기판(610)은 기판 본체(411), 상부 전극(413) 및 하부 전극(414)과 상부 전극(413)과 하부 전극(414)을 연결하는 관통 전극(41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장 기판(410)은 PCB, MCPCB, MPCB, FPCB 등의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실장 기판(410)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봉지체(408)는 상면이 볼록한 돔 형상의 렌즈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구조를 도입하여 방출되는 광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12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10)를 채용한 패키지(5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500)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10), 패키지 본체(502) 및 한 쌍의 리드 프레임(503)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0)는 리드 프레임(503)에 실장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0)의 각 전극 패드는 플립칩 본딩 방식으로 리드 프레임(5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0)는 리드 프레임(503) 아닌 다른 영역, 예를 들어, 패키지 본체(502)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패키지 본체(502)는 빛의 반사효율이 향상되도록 컵형상의 홈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홈부에는 반도체 발광소자(10)를 봉지하도록 투광성 물질로 이루어진 봉지체(50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지체(408,508)에는 필요에 따라 형광체 및/또는 양자점와 같은 파장변환 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파장 변환 물질로는 형광체 및/또는 양자점과 같은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형광체로는 다음과 같은 조성식 및 컬러(color)를 가질 수 있다.
산화물계: 황색 및 녹색 Y3Al5O12:Ce, Tb3Al5O12:Ce, Lu3Al5O12:Ce
실리케이트계: 황색 및 녹색 (Ba,Sr)2SiO4:Eu, 황색 및 등색 (Ba,Sr)3SiO5:Ce
질화물계: 녹색 β-SiAlON:Eu, 황색 La3Si6N11:Ce, 등색 α-SiAlON:Eu, 적색 CaAlSiN3:Eu, Sr2Si5N8:Eu, SrSiAl4N7:Eu, SrLiAl3N4:Eu, Ln4 -x(EuzM1 -z)xSi12- yAlyO3 +x+ yN18 -x-y (0.5≤x≤3, 0<z<0.3, 0<y≤4) - 식 (1)
단, 식 (1) 중, Ln은 IIIa 족 원소 및 희토류 원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의 원소이고, M은 Ca, Ba, Sr 및 Mg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의 원소일 수 있다.
불화물(fluoride)계: KSF계 적색 K2SiF6:Mn4 +, K2TiF6:Mn4 +, NaYF4:Mn4 +, NaGdF4:Mn4 +
또한, 파장 변환 물질로서, 형광체를 대체하거나 형광체와 혼합하여 양자점(quantum dot, QD)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컬러를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형광체 대체 물질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적색 또는 녹색 형광체로 사용될 수 있다. 양자점을 이용하는 경우, 협반치폭(예, 약 35 nm)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파장 변환 물질은 봉지재에 함유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필름 형상으로 미리 제조되어 반도체 발광소자 또는 도광판과 같은 광학 구조의 표면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파장 변환 물질은 균일한 두께의 구조로 원하는 영역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이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조명장치와 같은 다양한 광원 장치에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0)은 도광판(1203)과, 상기 도광판(1201) 측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1201)이 탑재된 회로 기판(1202)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 도광판(1203)의 하면에는 반사층(120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01)은 도광판(1203)의 측면으로 광을 방사하고, 광은 도광판(1203)의 내부로 입사되어 도광판(1203) 상부로 방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이라고도 한다. 상기 광원(1201)은 파장변환물질과 함께, 상술된 반도체 발광소자 또는 이를 구비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1201)은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400, 500)일 수 있다.
도1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500)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파장변환부(1550), 파장변환부(1550)의 하부에 배열된 광원모듈(1510) 및 광원모듈(1510)을 수용하는 바텀케이스(15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1510)은 인쇄회로기판(1501) 및 인쇄회로기판(1501) 상면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15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1505)은 상술된 반도체 발광소자 또는 이를 구비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은 파장변환물질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파장변환부(1550)는 상기 광원(1505)의 파장에 따라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파장변환부(1550)는 별도의 필름으로 제조되어 적용될 수 있으나, 별도의 광확산판과 같은 다른 광학 요소(optical element)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파장변환부(1550)가 상기 광원(1505)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그 광원(1505)으로부터 방출되는 열로 인한 파장변환부(1550)의 신뢰성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백라이트 유닛(2200), 광학시트(2300) 및 액정 패널과 같은 화상 표시 패널(2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200)은 바텀 케이스(2210), 반사판(2220), 도광판(2240) 및 도광판(224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제공되는 광원모듈(223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모듈(2230)은 인쇄회로기판(2001) 및 광원(20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원(2005)은 상술된 반도체 발광소자 또는 이를 구비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광원(2005)은 광방출면에 인접한 측면으로 실장된 사이드 뷰타입 발광장치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2200)은 도 13 및 도 14의 백라이트 유닛(1200, 1500) 중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광학시트(2300)는 도광판(2240)과 화상 표시 패널(24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또는 보호시트와 같은 여러 종류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표시 패널(2400)은 광학시트(2300)를 출사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표시 패널(2400)은 어레이 기판(2420), 액정층(2430) 및 컬러 필터 기판(244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기판(242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 전극들, 상기 화소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 기판(2440)은 투명기판, 컬러 필터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는 백라이트 유닛(2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백색광 중 특정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2430)은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재배열되어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광투과율이 조절된 광은 컬러 필터 기판(2440)의 상기 컬러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표시 패널(2400)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구동회로 유닛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를 채용한 LED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6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4300)는 소켓(4210), 전원부(4220), 방열부(4230), 광원모듈(4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광원모듈(4240)은 발광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부(4220)는 발광소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4210)은 기존의 조명 장치와 대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 장치(4200)에 공급되는 전력은 소켓(4210)을 통해서 인가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4220)는 제1 전원부(4221) 및 제2 전원부(4222)로 분리되어 조립될 수 있다. 방열부(4230)는 내부 방열부(4231) 및 외부 방열부(4232)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 방열부(4231)는 광원모듈(4240) 및/또는 전원부(422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을 통해 외부 방열부(4232)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광원모듈(4240)은 전원부(42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광학부(4250)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모듈(4240)은 광원(4241), 회로기판(4242) 및 컨트롤러(4243)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4243)는 광원(4241)의 구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술된 반도체 발광소자 또는 이를 구비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일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4240)의 상부에 반사판(4310)이 포함되어 있으며, 반사판(4310)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측면 및 후방으로 고르게 퍼지게 하여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반사판(4310)의 상부에는 통신 모듈(432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4320)을 통하여 홈-네트워크(home-network)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4320)은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또는 라이파이(LiFi)를 이용한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또는 무선 컨트롤러를 통하여 조명 장치의 온(on)/오프(off), 밝기 조절 등과 같은 가정 내외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정 내외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의 가시광 파장을 이용한 라이파이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TV, 냉장고, 에어컨, 도어락, 자동차 등 가정 내외에 있는 전자 제품 및 자동차 시스템의 컨트롤을 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4310)과 통신 모듈(4320)은 커버부(43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30, 50: 반도체 발광소자
14, 34, 54: 절연층
15, 35, 55: 반도체 적층체
15a, 35a, 55a: 제1 도전형 반도체층
15b, 35b, 55b: 활성층
15c, 35c, 55c: 제2 도전형 반도체층
15a, 35a, 55a: 제1 도전형 반도체층
18a, 38a, 58a: 제1 전극 패드
18b, 38b, 58b: 제1 전극지
19a, 39a, 59a: 제2 전극 패드
19b, 39b, 59b: 제2 전극지
T: 트렌치

Claims (20)

  1.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을 가지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이르도록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트렌치를 갖는 반도체 적층체;
    상기 복수의 트렌치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전극지;
    상기 제1 전극지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영역과 상기 트렌치의 내부 측벽에 배치된 절연층;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극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된 전류 분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지는 상기 전류 분산층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분산층은 상기 제1 전극지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분산층은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전극지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절연층 영역은 무지향성 반사기(omni-directional reflector, ODR)를 구성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분산 브래그 반사성(distributed Bragg reflective, DBR) 다층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트렌치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트렌치의 간격과 상이한 반도체 발광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트렌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기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콘택 면적은 다른 트렌치의 콘택 면적과 상이한 반도체 발광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패드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위치한 상기 절연층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 패드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트렌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전극 패드로부터 멀수록 큰 간격으로 배열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내에서의 상기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콘택 면적은 상기 트렌치가 상기 제1 전극 패드로부터 멀수록 작아지는 반도체 발광소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트렌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전극 패드로부터 멀수록 작은 간격으로 배열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내에서의 상기 제1 전극지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콘택 면적은 상기 트렌치가 상기 제1 전극 패드로부터 멀수록 커지는 반도체 발광소자.
  15.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을 가지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이르도록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트렌치와 적어도 하나의 제2 트렌치를 갖는 반도체 적층체;
    상기 복수의 제1 트렌치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에 연결된 제1 전극지;
    상기 제1 전극지가 위치하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영역과 상기 제1 트렌치의 내부 측벽과 상기 제2 트렌치의 내부 표면에 배치된 절연층; 및
    상기 제2 트렌치 내의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극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류 분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류 분산층은 상기 절연층의 상면을 따라 상기 제2 트렌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전극지는 상기 제2 트렌치 내에 위치한 상기 전류 분산층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렌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를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렌치는 복수의 제2 트렌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지는 상기 복수의 제2 트렌치를 따라 배치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2 전극 패드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로 연장된 부분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
  20.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반도체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적층체에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을 이르는 복수의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각 트렌치 내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트렌치를 따라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복수의 트렌치에 따라 제1 전극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2 전극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20150124912A 2015-09-03 2015-09-03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KR20170028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912A KR20170028082A (ko) 2015-09-03 2015-09-03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CN201610727568.2A CN106505132A (zh) 2015-09-03 2016-08-25 半导体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US15/257,340 US20170069794A1 (en) 2015-09-03 2016-09-06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912A KR20170028082A (ko) 2015-09-03 2015-09-03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082A true KR20170028082A (ko) 2017-03-13

Family

ID=5818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912A KR20170028082A (ko) 2015-09-03 2015-09-03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69794A1 (ko)
KR (1) KR20170028082A (ko)
CN (1) CN1065051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096A (ko) * 2017-12-08 2019-06-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패키지
KR101997104B1 (ko) * 2018-02-21 2019-07-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어레이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251106A1 (ko) * 2019-06-13 202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미터 단위 크기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2587A1 (de) 2016-07-08 2018-01-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trahlungsemittierender Halbleiterchip
DE102017117164A1 (de) * 2017-07-28 2019-01-3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chip, Hochvolthalbleiterchip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Halbleiterchips
CN110875346A (zh) * 2018-09-04 2020-03-10 启端光电股份有限公司 顶部与底部发光型微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形成方法
KR102577238B1 (ko) * 2018-09-21 202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TWI786276B (zh) * 2019-03-08 2022-12-1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之製造方法
KR20220043742A (ko) * 2020-09-29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led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CN113707779A (zh) * 2021-08-30 2021-11-26 安徽三安光电有限公司 发光二极管及发光装置
KR20230061031A (ko) * 2021-10-28 202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339B1 (ko) * 2008-06-19 2015-01-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096A (ko) * 2017-12-08 2019-06-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패키지
KR101997104B1 (ko) * 2018-02-21 2019-07-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어레이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251106A1 (ko) * 2019-06-13 202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미터 단위 크기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69794A1 (en) 2017-03-09
CN106505132A (zh)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8082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US10217914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9705041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10566502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11817537B2 (en) Interconnects for light emitting diode chips
US9548426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20170031289A (ko) 반도체 발광 소자
US20170040515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55214B1 (ko) 발광 소자
US9748453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convex portion made with different materials
US20160099387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50120551A (ko) 발광장치,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9964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KR20130011767A (ko) 반도체 발광소자
KR20170129555A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조명 모듈
KR20160039754A (ko)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US10644205B2 (en) Light-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292071A1 (en) Phosphor composition, light emitting element package comprising same, and lighting system
KR20140131695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4251A (ko) 발광 소자
KR20130066172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40067243A (ko) 발광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