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280A -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280A
KR20170026280A KR1020160110046A KR20160110046A KR20170026280A KR 20170026280 A KR20170026280 A KR 20170026280A KR 1020160110046 A KR1020160110046 A KR 1020160110046A KR 20160110046 A KR20160110046 A KR 20160110046A KR 20170026280 A KR20170026280 A KR 20170026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n
connector
insertion hole
pin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679B1 (ko
Inventor
류정열
Original Assignee
신성금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금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금형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2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매트용 전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전기 매트용 전원 커넥터는 커넥터 소켓의 내부로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전선이 고정되는 납땜부와, 접속부 하측의 대향된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포함된 접속핀; 및 지지면 상측에 상향 돌출된 결합부의 상하를 관통하는 핀끼움공을 형성하되, 핀끼움공 내주면의 마주하는 양측에는 핀끼움공으로 끼워지는 접속핀의 돌기부가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지지면 하측에는 핀끼움공을 관통하는 접속핀의 납땜부 선단부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커넥터 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돌기부를 통해 커넥터몸체에 접속핀이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전원 커넥터의 사용과정에서 커넥터 소켓과 커넥터 몸체의 연결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과 신뢰도를 높이고,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Power connector for electric mat}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을 전기매트의 열선에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매트에 구비되는 전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매트는 열에 강한 천이나 가죽소재 내부에 열선과 함께 옥, 참숯, 황토 등을 깔아 저기매트의 표면을 따뜻한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매트이며, 열선의 사용 대신 내부에 온수를 순환시켜 전기매트의 표면을 따듯하게 해주는 온수매트나, 초음파로 마사지를 해주는 안마매트도 있다.
전기매트에는 온도조절기가 더 포함되어 매트 표면 전체는 물론 표면의 상하, 좌우 부위를 분리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기매트는 전기매트 본체의 내부에 내재된 열선과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가 전기매트 본체의 한쪽에 설치되고, 그러한 전원 커넥터는 전원 플러그와 전원조절장치가 구비된 커넥터 소켓과 서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의 전원이 전원 플러그와 전원조절장치와 커넥터 소켓과 전원 커넥터를 거쳐 열선을 가열시킴으로써, 전기매트가 발열된다.
한편, 전기매트 본체의 한쪽에 설치되는 전원 커넥터의 구성을 보면 다수의 접속핀과 그러한 접속핀이 고정되는 커넥터 몸체 및 커넥터 몸체에 결합되어 접속핀과 전선의 연결부위를 보호해주는 커버로 구성되며, 접속핀의 하단에는 열선과 연결된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납땜부가 형성되고, 접속핀의 상단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의 접속부로 이루어져 이러한 접속부가 커넥터 소켓으로 끼워지게 되면 외부전원이 열선에 전달되어 열선의 온도를 높여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 접속핀과 커넥터 몸체의 결합상태를 보면, 커넥터 몸체와 커넥터 소켓의 반복된 탈착 과정에서 접속핀이 커넥터 몸체내에서 유동되거나 쉽게 분리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외부전원이 전기매트의 열선에 정확히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서 전기매트의 성능과 신뢰성이 떨어지고, 소비자의 구매의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1989-0001969호(1989년04월10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 몸체에 접속핀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 커넥터와 커넥터 소켓의 반복적인 탈착과정에서 접속핀이 커넥터 몸체 내에서 유동 또는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전기매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커넥터 소켓의 내부로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전선이 고정되는 납땜부와, 접속부 하측의 대향된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포함된 접속핀; 및 지지면 상측에 상향 돌출된 결합부의 상하를 관통하는 핀끼움공을 형성하되, 핀끼움공 내주면의 마주하는 양측에는 핀끼움공으로 끼워지는 접속핀의 돌기부가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지지면 하측에는 핀끼움공을 관통하는 접속핀의 납땜부 선단부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커넥터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돌기부는 납땜부에서 접속부를 향하여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돌기부는 접속핀의 표면 일부를 따낸 후 외측으로 구부려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접속부의 하측 단부에는 표면 일부를 따낸 후 접속부의 내부를 향해 구부려 접속부의 내부 공간으로 납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커넥터 몸체의 지지면 하측 단부에는 지지면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전선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관통공을 형성하되, 전선관통공의 내주면 상측과 하측에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전선관통공의 상측 지지면상에는 전선의 폭과 상응하도록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결합부와 걸림턱 사이의 지지면상에는 핀끼움공을 관통하는 접속핀이 안착 수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커넥터 몸체에 접속핀을 설치함에 있어서, 접속핀의 양측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전원 커넥터의 결합부에는 양측에 가이드홈이 구비된 핀끼움공이 형성됨에 따라 접속핀이 핀끼움공에 끼워지게 되면 접속핀의 돌기부가 핀끼움공의 가이드홈을 따라 결합부를 관통하게 되면서 결합부에 고정되는 돌기부를 통해 접속핀이 핀끼움공으로부터 다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매트의 사용과정에서 전원 커넥터의 연결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성능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커넥터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커넥터의 접속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커넥터의 접속핀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커넥터의 접속핀과 커넥터 몸체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커넥터의 접속핀과 커넥터 몸체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의 전원 커넥터의 접속핀과 커넥터 몸체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커넥터의 접속핀과 커넥터 몸체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의 중요한 구성요소를 예시된 도 1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 커넥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 플러그 및 전원조절장치와 연결된 커넥터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접속핀(100), 그리고 전기매트(도면중 미도시)에 내재된 열선(도면중 미도시)의 전선(도면중 미도시)과 전술한 접속핀(1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공간을 제공하는 커넥터 몸체(200) 및 접속핀(100)과 커넥터 몸체(200)를 상하에서 보호해주는 커버(300a)(300b)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인 접속핀(100)과 커넥터 몸체(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속핀(100)은,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의 도체이며, 상측은 전술한 커넥터 소켓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커넥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접속부(110)가 형성되고, 하측은 전기매트의 열선과 연결되는 전선과 납땜 고정될 수 있도록 납땜부(120)로 구성된다.
접속핀(100)은 평평한 얇은 판재를 원형으로 밴딩하여 접속부(110)가 속이 빈 봉 형상이 되도록 하고, 납땜부(120)는 상부가 개방된 호형이 되도록 하며, 접속부(110)의 상측 단부는 다수로 절개 후 오므려 구형상으로 제작된다.
접속핀(100)은 후술되는 커넥터 몸체(200)에 결합되며, 커넥터 몸체(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과 이탈의 방지 및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110) 하측의 대향된 양측에 돌기부(130)가 각각 형성된다.
즉, 접속부(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부(130)는 납땜부(120)에서 접속부(110)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점차 벌어지는 삼각의 형태가 되며, 이러한 돌기부(130)는 접속부(110)의 표면에 일체형 또는 부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늘 또는 레칫(ratchet)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기부(13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도 2 와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110) 하측의 대향된 양쪽 표면을 각각 "ㄷ" 형상으로 절개하고,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절개된 부위를 바깥쪽으로 구부려 돌기부(130)를 형성한 것이며, 이러한 돌기부(130)는 납땜부(120)에서 접속부(110)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돌기부(130)를 후술되는 커넥터 몸체(200)의 결합부(220)에 형성된 핀끼움공(230)으로 끼우면 돌기부(130)가 핀끼움공(230)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돌기부(130)의 벌어진 부위가 접속부(110)의 외경과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핀끼움공(230)의 내주면으로부터 외력을 받게 되고, 접속핀(100)의 재질에 따른 자체 탄성력으로 인하여 돌기부(130)의 벌어진 부위가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핀끼움공(230)을 통과하게 되고, 이후 핀끼움공(230)을 관통하게 되는 돌기부(130)의 오므라들었던 부위가 외력의 제거에 의해 다시 펴지게 되면서 다시 벌어진 돌기부(130)로 인하여 핀끼움공(230)을 관통한 접속핀(100)이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핀(100)에는 접속부(110)의 하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부 일부분이 개방된 호형의 납땜부(12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납땜부(120)에는 전기매트에 내재된 열선의 전선이 피복이 벗겨진 상태에서 올려진 후 소정량이 납이 채워지게 되면서 접속핀(100)과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납땜부(120)에 전선이 올려지고 납이 채워지는 과정에서 납의 일부가 접속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납의 과다한 소비는 물론 돌기부(130)를 통해 접속핀(100)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어 합선 등의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110)의 하측 단부 저면을 전술한 돌기부와 같이 "ㄷ" 형태로 절개한 다음 절개되지 않은 부위를 중심으로 절개된 부위를 수직으로 구부려 차단부(140)를 형성함에 따라 이러한 차단부(140)가 접속부(110)의 내부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납땜부(120)에 채워지는 납이 접속부(110)의 내부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차단부(140)는 접속부(110)의 일부를 절개 후 구부려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접속부(110)를 절개하는 형태가 아닌 별도의 제작된 후 접속부(110)의 하측 단부와 납땜부(12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납이 접속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커넥터 몸체(200)는,
지지면(210)상에 전술한 접속핀(100)이 고정되며, 그러한 접속핀(100)과 열선의 전선을 서로 연결시켜 외부 전원이 열선에 안정적으로 인가되도록 해준다.
도 4 내지 도 6 을 예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200)는 상측 지지면상에 전술한 접속핀(100)이 끼워져 관통될 수 있도록 소정의 상하 폭을 가지는 결합부(220)가 돌출 형성되고, 하측 지지면(210)상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전선관통공(260)이 형성됨에 따라 전선은 전선관통공(260)을 통해 지지면(210)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관통된 후 전술한 결합부(220)에 관통 고정되어 있는 접속핀(100)의 납땜부(120)와 고정된다.
여기서, 결합부(220)에 형성되는 핀끼움공(230)은 결합부(220) 상하면을 관통하게 되며, 결합부(220)에 설치되는 다수의 접속핀(100) 수와 상응하여 서로 이격 형성되며, 이때 핀끼움공(230)의 내경은 접속핀(100)의 외경과 상응하게 구성된다.
결합부(220)에 형성되는 핀끼움공(230)은 도 1 및 도 4 에서와 같이 접속핀(100)의 형상과 상응하게 구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핀(100)의 대향된 양쪽에 돌기부(130)가 구성됨에 따라 핀끼움공(230)의 대향된 내주면 또한 그러한 돌기부(1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돌기부(130)와 상응하는 가이드홈(23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대향된 양쪽 가이드홈(231)간의 간격은 대향된 돌기부(130)의 최대 벌어진 부위간의 간격 보다는 작으면서 대향된 돌기부(130)의 벌어지지 않은 부위간의 간격보다는 커야 돌기부(130)가 재질에 따른 차체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었다가 펴지지면서 결합부(220)의 핀끼움공(230)을 관통한 돌기부(130)가 다시 핀끼움공(230)을 통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접속핀(100)이 결합부(220)의 핀끼움공(230)을 통해 끼워질 때 돌기부(130)가 핀끼움공(230)을 관통한 상태에서 접속핀(100)의 더 이상 끼워지게 되면 접속핀(100)이 불필요하게 상하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으므로 접속핀(100)의 돌기부(130)가 핀끼움공(230)을 관통한 직후에는 접속핀(100)의 더 이상의 끼워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결합부(220) 하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는 지지면(210)상에 결합부(220)와 평행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된 걸림턱(250)을 형성함에 따라, 접속핀(100)이 핀끼움공(230)에 끼워지게 되면서 접속핀(100)의 돌기부(130)가 핀끼움공(230)을 관통함과 동시에 접속핀(100)의 납땜부(120) 선단부가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250)에 걸리게 되어 핀끼움공(230)에 끼워진 접속핀(100)은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며, 역방향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130)로 인하여 제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결합부(220)와 걸림턱(250)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면(210)상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함몰된 호형의 안착홈(240)을 형성함으로써, 핀끼움공(230)에 끼워지는 접속핀(100)의 저면이 안착홈(240)에 끼워지는 상태가 되어 접속핀(100)의 불필요한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핀끼움공(230)을 관통하는 납땜부(12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면서 커넥터 몸체(200)에 대한 접속핀(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커넥터 몸체(200)의 지지면(210) 아래쪽 단부에는 열선과 연결된 전선이 지지면(210)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빠져나와 전술한 핀끼움공(230)에 끼워져 있는 접속핀(100)의 납땜부(120)와 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전선관통공(260)이 형성된다.
이때, 전선관통공(260)이 지지면(210)에 수직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경우, 전선관통공(260)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관통되는 전선은 전선관통공(260) 내주면의 각진 부분에 접면됨에 따라 전선관통공(260)의 각진 내주면에 의해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접선이 급격하게 꺽여 단락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도 7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선관통공(260)의 대향된 상측과 하측에 전선과의 접촉면적이 커질수 있도록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경사부(261)를 각각 형성함에 따라 전선관통공(260)을 관통한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급격하게 꺽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선관통공(260)을 관통한 전선이 접속핀(100)의 납땜부(120)와 납땜된 상태에서 전선의 반복된 움직임에 따라 납땜부(120)와 전선의 납땜부위가 손상되면서 납땜부(120)로부터 전선이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 에서와 같이 지지면(210)상에서 전선관통공(260)의 장축방향 중심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전선관통공(260)의 상측에 한 쌍의 이격된 가이드돌기(270)를 돌출 형성하되, 그 이격되는 정도는 전선의 외경과 상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선관통공(260)을 관통한 전선이 가이드돌기(27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접속핀(100)의 납땜부(120)에 납땜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가이드돌기(270)에 의해 전선의 움직임이 제한되면서 전선과 납땜부(120)의 납땜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접속핀(100)과 커넥터 몸체(200)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접속핀(100)이 커넥터 몸체(200)로부터 유동 및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접속핀(100)과 전선의 단락 등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전기매트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여 소비자에 대한 구매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를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접속핀 110 : 접속부
120 : 납땜부 130 : 돌기부
140 : 차단부 200 : 커넥터 몸체
210 : 지지면 220 : 결합부
230 : 핀끼움공 231 : 가이드홈
240 : 안착홈 250 : 걸림턱
260 : 전선관통공 261 : 경사부
270 : 가이드돌기 300a,300b : 커버

Claims (7)

  1. 전원 플러그 및 전원조절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 소켓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소켓의 내부로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전선이 고정되는 납땜부와, 상기 접속부 하측의 대향된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포함된 접속핀; 및
    지지면 상측에 상향 돌출된 결합부의 상하를 관통하는 핀끼움공을 형성하되, 상기 핀끼움공 내주면의 마주하는 양측에는 상기 핀끼움공으로 끼워지는 상기 접속핀의 돌기부가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 하측에는 상기 핀끼움공을 관통하는 상기 접속핀의 납땜부 하측 단부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커넥터 몸체;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납땜부에서 상기 접속부를 향하여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접속핀의 표면 일부를 따낸 후 외측으로 구부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하측 단부에는 표면 일부를 따낸 후 상기 접속부의 내부를 향해 구부려 상기 접속부의 내부 공간으로 납땜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차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의 지지면 하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면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기 전선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관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전선관통공의 내주면 상측과 하측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매트용 전원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통공의 상측 지지면상에는 상기 전선의 폭과 상응하도록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매트용 전원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의 상기 지지면 상측에는 상기 핀끼움공을 관통하는 상기 접속핀이 안착 수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매트용 전원 커넥터.
KR1020160110046A 2015-08-28 2016-08-29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 KR101814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1388 2015-08-28
KR1020150121388 2015-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280A true KR20170026280A (ko) 2017-03-08
KR101814679B1 KR101814679B1 (ko) 2018-01-03

Family

ID=5840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046A KR101814679B1 (ko) 2015-08-28 2016-08-29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512U (ko) * 2020-05-07 2021-11-17 임관덕 발열 매트용 전원 터미널
KR20230115505A (ko) * 2022-01-27 2023-08-03 윤명희 전열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969A (ko) 1987-07-28 1989-04-07 다움, 포우퀘트 황화합물, 이들의 제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969A (ko) 1987-07-28 1989-04-07 다움, 포우퀘트 황화합물, 이들의 제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512U (ko) * 2020-05-07 2021-11-17 임관덕 발열 매트용 전원 터미널
KR20230115505A (ko) * 2022-01-27 2023-08-03 윤명희 전열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679B1 (ko)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10515T3 (es) Controlador de parrilla eléctrica extraíble con montaje
KR101814679B1 (ko) 전기매트용 전원 커넥터
JP2012528675A5 (ko)
JP2012528676A5 (ko)
TWI548168B (zh) 電源延長線及其電源插頭與插座
US7074046B2 (en) Detachable power supply apparatus
US1954252A (en) Plug
KR101087591B1 (ko) 개선된 구조의 플러그 조립체
US10993511B1 (en) Therapeutic bracelet
CN204145769U (zh) 一种ptc电加热装置支架
CN205646237U (zh) 插头插片及插头
CN207640276U (zh) 一种使用安全的烹饪器具
CN112401681B (zh) 空气炸锅
CN107394504A (zh) 一种插座
CN207412050U (zh) 烹饪器具
CN204927573U (zh) 线路板直插结构和食物料理机
CN204618545U (zh) 一种电热护颈
CN211380760U (zh) 电器
CN217524724U (zh) 一种多功能烹饪机构
CN212062300U (zh) 用于一体式小家电的温控器
CN202695835U (zh) 防水电连接器和食物加工机
KR200413346Y1 (ko) 개인 온열 찜질기
KR20180132484A (ko) 뿌리볼륨용 헤어 롤
US7021949B1 (en) Electrical plug and grip combination
KR200437084Y1 (ko) 플러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