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704A -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704A
KR20170025704A KR1020150122529A KR20150122529A KR20170025704A KR 20170025704 A KR20170025704 A KR 20170025704A KR 1020150122529 A KR1020150122529 A KR 1020150122529A KR 20150122529 A KR20150122529 A KR 20150122529A KR 20170025704 A KR20170025704 A KR 20170025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atus
user
chang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장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2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704A/ko
Publication of KR20170025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는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등록시키고,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CONTROL HOME DEVICE}
본 발명은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스마트 홈 가전 제품들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홈 가전 제품들은 미리 정해진 시간 및 미리 설정된 상황에 따라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댁내 상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여 댁내 상황을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IoT 기술은 여러가지 응용 기술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개념적으로는 ‘지능화된 사물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에 상호 소통하고 상황 인식 기반의 지식이 결합되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인프라’로 정의되고 있다.
즉, IoT 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 인터넷을 매개로 주위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서로 정보를 생성, 수집, 공유, 활용하는 초연결 사물 인터넷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트랜드는 공공, 산업, 개인 등 크게 세 부분에 적용되도록 연구되고 있다. 이때, 산업 분야 적용의 예로는 현재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가 각광받고 있으며, 개인 분야의 경우에는 스마트 홈 제어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홈 제어 기술을 위해서는 스마트 센서를 통한 환경 감시, 스마트 디바이스 제어 및 상황 인지를 위한 빅데이터 기술 등의 융합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현재 댁내 위험 상황 인지를 위한 연기 센서, 화재 센서 등의 환경 센서를 통한 위험 상황을 알리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에 기반한 댁내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스마트 센서를 통한 서비스 확장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댁내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댁내의 각 디바이스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 단말에 각각 설치해야만 댁내 디바이스 상황을 확인하거나 부분 제어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가정마다 동일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스마트 센서가 장착되어 있어도, 사용자의 특성 및 생활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야 하나, 현재 댁내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서비스는 획일적으로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80928 호(발명의 명칭: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는 댁내에 설치된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 등의 각종 기기를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인터넷과 연동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댁내의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들을 선택하여 원격 제어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시에 기능 업그레이드가 용이케 하고 댁 내의 기기에 범용으로 적용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댁내 기기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상황 정보에 따라 분류하고,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상황 정보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사용자 대응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는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등록시키고,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서버를 통한 댁내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등록받는 단계;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발생 가능한 상황을 미리 정의함으로써 초기 상황 인지를 위한 학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댁내 위치하는 디바이스의 위치 및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댁내의 상황을 예측하고, 사용자의 거주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마다 각각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위치 정보에 따라 상황 정보가 분류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상황 정보에 따라 디바이스가 분류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은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 및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a, 10b, 10c; 1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는 댁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a, 10b, 10c; 10)를 등록시키고, 등록된 디바이스를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는 각 디바이스(10a, 10b, 10c; 10)에 대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시나리오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a, 10b, 10c; 10)는 TV, 냉장고, 가스렌지 등과 같은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10a, 10b, 10c; 10)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에 의해 상황 정보에 따라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110)은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와 통신한다. 이때, 통신 모듈(110)은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디바이스(1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일 실행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를 등록시킨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디바이스(10)를 등록시킬 때, 계절, 시간에 따라 사용되는 디바이스(10)의 종류, 디바이스의 기능, 제품, 성능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의 특성 정보, 사용자별 디바이스(10)의 설치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등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가전, 의료, 전열 기구, 의자, 소파, 식탁 등에 부착되는 센서, 영상 정보 획득을 위한 센서, 전화벨, 도어벨, 알람 등을 체크하는 센서 등 기능, 제품, 성능 등으로 구분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댁내에서의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연령, 성별 등)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가중치를 적용하여 디바이스(10)를 등록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댁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10)가 등록되면, 프로세서(130)는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따라 등록된 디바이스(10)를 분류한다. 이때,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어 정의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의된 상황 정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위치 정보에 따라 상황 정보가 분류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황 정보는 위치 정보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황 정보는 사용자의 공간 활용에 따라 서로 다른 상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황 정보는 동일한 구조의 공간에서도 사용자에 따라 각각 다른 상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 정보는 사용자마다 각각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에 따른 제어시 상황 판단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 사용자마다 각각 상이하게 정의된 상황 정보의 예로는 ‘기상’, ‘취침’, ‘요리’, ‘TV 시청’, ‘외출/귀가’ 등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정보가 ‘침실’인 경우, 제 1 사용자의 상황 정보로는 ‘취침’, ‘휴식, ‘ 독서’ 등이 매칭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P10). 또 다른 예로 위치 정보가 ‘화장실’인 경우, 제 1 사용자의 상황 정보는 ‘세면’, ‘샤워’ 등이 매칭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P20).
이와 같이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를 토대로 댁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10)를 분류할 수 있는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상황 정보에 따라 디바이스(10)가 분류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서(130)는 미리 정의된 디바이스(10)의 상태 워크플로우, 디바이스(10)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공간 활용 정보, 사용자의 실제 동작에 따른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 정보, 시간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예상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가 ‘요리’이고 이에 매칭되는 위치 정보가 ‘부엌’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디바이스(10)로 ‘냉장고’, ‘전자레인지’, ‘가스렌지’ 등이 분류될 수 있다(P30). 또 다른 예로, 상황 정보가 ‘TV 시청’이고 이에 매칭되는 위치 정보가 ‘거실’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디바이스(10)로 ‘TV’, ‘소파’, ‘적외선 센서’ 등이 분류될 수 있다(P40).
이와 같이 분류된 상황 정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할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황 정보가 ‘요리’인 경우 요리 상황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변화’, ‘습도 변화’, ‘가스렌지 상태 변화’, ‘냉장고 도어 열림/닫힘 상태 변화’ 등의 상태 변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40)는 디바이스(10)의 사용 이력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 유무를 확인하고,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디바이스(10)로부터 발생되는 빈번한 발생 데이터 중 주기적 신호의 경우에는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디바이스(10)를 제어하고, 상태 변동이 없는 경우 수신한 신호를 필터링 처리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디바이스(10)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기적 신호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130)는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이 없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디바이스(1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필터링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을 확인하여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정보 내에 포함된 데이터 중 유효 데이터만을 필터링 처리하여 수신함에 따라, 필요없는 데이터로 인한 오버헤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디바이스(10)의 상태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동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의 상태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동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현재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디바이스(10) 상태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디바이스(10) 설정은 단순 입력에 의한 일회성 동작일 수 있는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단순 입력에 따라 설정된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에 따른 상황 정보가 불필요하게 갱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의 상태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디바이스(10) 설정 변경이 초기 미리 설정된 값을 변경하고자 하는 목적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바이스(10)의 상태가 기 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변동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따라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는 각 일상 상황에서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 여부를 확인하여 이상 상황 유무를 판단하여, 각 상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먼저,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로부터 신호를 수신 가능한 상태에서(S10),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를 등록받는다(S20).
다음으로,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따라 등록된 디바이스(10)를 분류하고(S30), 분류된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 유무를 확인한다(S40).
이에 따라,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디바이스(10)의 사용 이력 및 사용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S50),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따라 디바이스(10)를 제어한다(S60).
이때, 디바이스(10)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기적 신호인 경우에는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이 없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디바이스(1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필터링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을 확인하여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정보 내에 포함된 데이터 중 유효 데이터만을 필터링 처리하여 수신함에 따라, 필요없는 데이터로 인한 오버헤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디바이스(10) 상태가 변동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0). 이때, 디바이스(10)의 상태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동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디바이스(10)의 상태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0). 그리고 이와 같은 디바이스(10)의 상태 변동에 따른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S90).
한편, 디바이스(10)의 상태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경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바이스(10)의 상태가 기 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변동된 경우에는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S100).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 내지 S100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5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의 위치에 따라 발생 가능한 상황을 미리 정의함으로써 초기 상황 인지를 위한 학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댁내 위치하는 디바이스(10)의 위치 및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댁내의 상황을 예측하고, 사용자의 거주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10)마다 각각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사용하여 디바이스(10)를 제어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서버(100)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0a, 10b, 10c, 10: 디바이스
100: 디바이스 제어 서버
110: 통신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에 있어서,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등록시키고,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댁내에서의 상기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등록시키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 이력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기적 신호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없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필터링 처리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서버.
  5. 제 1 항에 이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동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동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변동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의된 디바이스의 상태 워크플로우,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의 공간 활용 정보, 상기 사용자의 실제 동작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예상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분류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서버.
  9. 디바이스 제어 서버를 통한 댁내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댁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등록받는 단계;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 이력 및 사용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주기적 신호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변동이 없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필터링 처리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변동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동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동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변동된 경우, 상기 저장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변동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인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50122529A 2015-08-31 2015-08-31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 KR20170025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29A KR20170025704A (ko) 2015-08-31 2015-08-31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29A KR20170025704A (ko) 2015-08-31 2015-08-31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04A true KR20170025704A (ko) 2017-03-08

Family

ID=5840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529A KR20170025704A (ko) 2015-08-31 2015-08-31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7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388A1 (ko) * 2017-04-27 2018-11-01 권오일 스마트 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59419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388A1 (ko) * 2017-04-27 2018-11-01 권오일 스마트 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59419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5716B2 (en) Discovery of connected devices to determine control capabilities and meta-information
US10601604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ub devices
US11546186B2 (en) Automatic device orchestration and configuration
US10855811B2 (en) Network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232743B1 (ko) 이종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적응적이고 확장가능한 범용 스키마
US10524197B2 (en) Network device source entity triggered device configuration setup
AU2016335997B2 (en) Cloud-synchronized architecture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KR102277752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1585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with an IoT device
US1008881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d controlling devices with sensor data and learning
US9299029B1 (en) Network device predictive modeling
US20150185713A1 (en) PREEMPTIVELY TRIGGERING A DEVICE AC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BASED ON A MOTION-BASED PREDICTION OF A USER INITIATING THE DEVICE ACTION
US20160073482A1 (en) Implementing a target lighting scene in a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a mobile light output device
US20150006296A1 (en) NOTIFICATION DISMISSAL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WO2015183865A1 (en) Virtual gateway
KR20170104953A (ko)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25704A (ko) 댁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버 및 방법
CN109039835B (zh) 智能家居场景配置方法、网关、系统及机器可读存储介质
US20190190740A1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cloud server based maintenance operation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10536291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hub device determined time slot wireless communications and related methods
US12010176B2 (en) Method for creating and executing action resour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655760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US20240264724A1 (en) Application extensibility for smart device control
US20230107818A1 (en) Home automation platform
KR20150120269A (ko)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 기반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