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269A -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 기반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 기반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269A
KR20150120269A KR1020140123462A KR20140123462A KR20150120269A KR 20150120269 A KR20150120269 A KR 20150120269A KR 1020140123462 A KR1020140123462 A KR 1020140123462A KR 20140123462 A KR20140123462 A KR 20140123462A KR 20150120269 A KR20150120269 A KR 20150120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terminal
home
appliance terminal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진
장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키비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키비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키비언
Publication of KR2015012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 기반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HOME SERVICE BASED ON COLLABORATIVE SERVICE BETWEEN HETEROGENEOUS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 기반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댁내의 가전 단말을 연결하고 가전 단말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가전 단말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댁내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주거하는 가정의 내부 및 외부를 포함한다. 현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전 단말 간의 통신을 통한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가전 단말은 내부에 다양한 세부 기능이 있지만, 하나의 단일 기기로 제품화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제품의 특징에 맞는 독립적인 기능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가전 단말은 각각의 세부 기능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위한 세부 기능을 가진 가전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원하는 목적을 위한 가전 단말을 추가로 구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가전 단말의 다양한 세부 기능에 기반한 이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새로운 홈 서비스 구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전 단말의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한 기존 발명은 다음과 같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9843호(발명의 명칭: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는 댁내 내의 가전 단말을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이동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79328호(발명의 명칭: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가전 단말 간을 통신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927호(발명의 명칭: "스마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는 가전 단말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력을 기초로 가전 단말의 동작 및 동작 시각을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하여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하고 제어하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을 제어한다.
또한,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 기반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관련 사업 전반에서 다양한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위한 세부 기능을 가진 가전 단말이 존재하지 않아도 가상화 가전 단말을 통해 추가 구입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 개의 가전 단말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 쉽고 편리하게 가전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에 기초한 댁내 온도 관리를 위한 가상화 가전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에 기초한 침입자 탐지를 위한 가상화 가전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에서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화 홈 서비스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200)에 따라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 포함된 유선 및 무선의 통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가전 단말(200)의 일 예에는 생활 가전 단말, 보안 가전 단말, 조명 가전 단말 및 영상 가전 단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활 가전 단말의 일 예에는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및 식기 건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보안 가전 단말의 일 예에는 댁내 설치된 보안 카메라 및 보안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조명 가전 단말의 일 예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기구 및 형광등 등 모든 종류의 조명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단말의 일 예에는 TV, Smart TV, 모니터, 프로젝터, 셋 톱 박스(set-top box), DVD 플레이어, 및 blue-ray 플레이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전 단말의 일 예로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및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등 일반적인 컴퓨터와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 최신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 포함된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기종 가전 단말(200)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가전 단말(200)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1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110)은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200) 간의 통신을 수행하게 한다. 이때, 통신 모듈(110)은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 포함된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가전 단말(200)의 프로파일 및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2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통신 모듈(110)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200)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프로세서(130)에서 생성된 가전 단말(200)의 프로파일은 가전 단말(200)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기능 정보 및 가전 단말(200)에 포함된 세부 기능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전 단말(200)의 식별 정보는 가전 단말(2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가전 단말(200)의 고유 ID, 이름, 제품명 및 제품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세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댁내에 존재하는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은 중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가전 단말(200)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한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200)의 프로파일에 포함된 가전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 세부 기능의 정보를 분류하여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세부 기능 그룹은 기능별, 위치별 및 특성별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어컨" 및 "제습기"는 동일한 제습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습" 세부 기능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거실에 있는 “에어컨" 및 "TV"는 동일한 거실에 위치하므로 "거실" 세부 기능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전 단말(200)의 프로파일 및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 미리 구현된 가전 단말(200) 및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세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세부 기능을 선택하여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한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이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생성하면 사용자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통신 모듈(110)을 통해 복수의 세부 기능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가전 단말(210) 및 제 2 가전 단말(22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전 단말(210) 및 제 2 가전 단말의 복수의 세부 기능 중 제 1 가전 단말(210)의 제 1 세부 기능(211) 및 제 2 가전 단말(220)의 제 1 세부 기능(221)은 동일한 세부 기능의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 1 가전 단말(210)의 제 1 세부 기능(211) 및 제 2 가전 단말(220)의 제 1 세부 기능(221)에 기반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생성하여, 제 1 가전 단말(210) 및 제 2 가전 단말(2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서의 가상화 가전 단말(300)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 기초한 댁내 온도 관리를 위한 가상화 가전 단말(300)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댁내의 온도를 통합 관리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300)이 필요한 경우, 냉방 가전 단말인 “에어컨”의 냉방 세부 기능 및 난방 가전 단말인 “온풍기”의 난방 세부 기능을 이용하여 온도 관리를 위한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온도 관리를 위한 가상화 가전 단말(300)은 “에어컨” 및 “온풍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 기초한 침입자 탐지를 위한 가상화 가전 단말(300)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침입자 탐지를 위한 가전 단말이 필요한 경우, 기 설치된 가전 단말(200)을 이용할 수 있다.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댁내에 기 설치된 카메라 및 근접센서, 모션 센서 등의 보안 가전 기기를 이용하여 침입자 탐지를 위한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침입자를 탐지하고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침입자 탐지를 위한 가상화 가전 단말에 포함된 보안 가전 기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위한 세부 기능을 가진 가전 단말(200)이 존재하지 않아도 추가 구입할 필요 없이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가전 단말(200)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 쉽고 편하게 가전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200)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S600), 생성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한다(S610).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전 단말(200)의 프로파일 및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생성하고(S630),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제어한다(S640).
이때, 가전 단말(200)의 일 예시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활 가전 단말, 보안 가전 단말, 조명 가전 단말 및 영상 가전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100)에 미리 구현된 가전 단말(200) 및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세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을 할 수 있다.
한편, 가전 단말(200)의 프로파일은 가전 단말(200)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기능 정보 및 가전 단말(200)에 포함된 세부 기능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전 단말(200)의 식별 정보는 가전 단말(20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가전 단말(200)의 고유 ID, 이름, 제품명 및 제품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세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댁내에 존재하는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은 중복될 수 있다.
생성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기 위하여(S610), 프로파일에 포함된 가전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 세부 기능의 정보에 기반하여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을 분류하여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은, 복수의 세부 기능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가전 단말(210)의 프로파일 및 제 2 가전 단말(220)의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600). 각각의 프로파일을 생성한 다음, 생성된 제 1 가전 단말(210)의 프로파일 및 제 2 가전 단말(220)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가전 단말(210) 및 제 2 가전 단말(220)의 복수의 세부 기능 중 제 1 가전 단말(210)의 제 1 세부 기능(211) 및 제 2 가전 단말(220)의 제 1 세부 기능(221)을 포함하는 세부 기능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S610).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세부 기능 그룹에 포함된 제 1 가전 단말(210)의 제 1 세부 기능(211) 및 제 2 가전 단말(220)의 제 1 세부 기능(2210)에 기반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생성할 수 있다(S630). 또한, 사용자는 생성된 가전 단말을 제어하여 제 1 가전 단말(210)의 제 1 세부 기능(211) 및 제 2 가전 단말(220)의 제 1 세부 기능(221) 제어할 수 있다(S640).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은 가전 단말(200)의 세부 기능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위한 세부 기능을 가진 가전 단말(200)이 존재하지 않아도 추가 구입할 필요 없이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은 복수 개의 가전 단말(200)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가상화 가전 단말(300)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 쉽고 편하게 가전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통신 모듈
200: 가전 단말 300: 가상화 가전 단말

Claims (8)

  1.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상기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상기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을 제어하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은 상기 가전 단말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기능 정보 및 상기 가전 단말에 포함된 세부 기능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가전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세부 기능의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복수의 세부 기능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가전 단말 및 제 2 가전 단말과 각각 통신하고,
    상기 제 1 가전 단말 및 상기 제 2 가전 단말의 복수의 세부 기능 중 상기 제 1 가전 단말의 제 1 세부 기능 및 상기 제 2 가전 단말의 제 1 세부 기능은 동일한 세부 기능의 그룹에 포함되되,
    상기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가전 단말의 제 1 세부 기능 및 상기 제 2 가전 단말의 제 1 세부 기능에 기반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가전 단말 및 상기 제 2 가전 단말을 제어하는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5.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에 기반한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상기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은 상기 가전 단말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기능 정보 및 상기 가전 단말에 포함된 세부 기능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파일에 포함된 상기 가전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세부 기능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을 분류하여 상기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는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세부 기능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제 2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 단말의 세부 기능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 1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 및 제 2 가전 단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가전 단말 및 상기 제 2 가전 단말의 복수의 세부 기능 중 상기 제 1 가전 단말의 제 1 세부 기능 및 상기 제 2 가전 단말의 제 1 세부 기능을 포함하는 세부 기능 그룹을 생성하며,
    상기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세부 기능 그룹에 포함된 상기 제 1 가전 단말의 제 1 세부 기능 및 상기 제 2 가전 단말의 제 1 세부 기능에 기반하는 가상화 가전 단말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화 가전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가전 단말 및 상기 제 2 가전 단말을 제어하는 것인 가상화 홈 서비스 방법.
KR1020140123462A 2014-04-17 2014-09-17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 기반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02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77 2014-04-17
KR20140045877 2014-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69A true KR20150120269A (ko) 2015-10-27

Family

ID=5442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462A KR20150120269A (ko) 2014-04-17 2014-09-17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 기반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02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614B1 (ko) * 2020-01-31 2021-06-07 주식회사 에스비시스템즈 디지털 트윈 기반의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614B1 (ko) * 2020-01-31 2021-06-07 주식회사 에스비시스템즈 디지털 트윈 기반의 전자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0120B (zh) 建立物聯網(iot)器件之群組及致能iot器件之群組中的通信
US116147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spaces
JP6655635B2 (ja) アドレス指定可能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ha)デバイスのユーザ選択可能リストに基づく所望シーン実現を含むha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JP6650475B2 (ja) デバイス署名ペアリングを含む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KR102390049B1 (ko) 네트워크 장치와 원격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을 조율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구
US201602772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home system
US9989942B2 (en) Preemptively triggering a device ac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based on a motion-based prediction of a user initiating the device action
CN105723684B (zh) 根据用户活动和/或邻近度检测来路由iot通知的方法、装置和介质
KR102232743B1 (ko) 이종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적응적이고 확장가능한 범용 스키마
EP3092750B1 (en) System, device,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environments using network devices and remote sensory information
JP6487072B2 (ja) 異常動作するアドレス指定可能デバイスとの通信を終了させるセキュリティコントローラを含む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US20160073482A1 (en) Implementing a target lighting scene in a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a mobile light output device
CN105359092B (zh) 人类可读信息到编程接口的语义映射
US11483173B2 (en) Smart adaptation of the functionalities of a remote control in a local area network
KR20150120269A (ko) 이기종 가전 단말 간의 협업 기반 가상화 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2187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ource addresses
US105880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arget device of host and cl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