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667A -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 운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 운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667A
KR20170025667A KR1020150122444A KR20150122444A KR20170025667A KR 20170025667 A KR20170025667 A KR 20170025667A KR 1020150122444 A KR1020150122444 A KR 1020150122444A KR 20150122444 A KR20150122444 A KR 20150122444A KR 20170025667 A KR20170025667 A KR 2017002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
tdd
communication system
ciot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407B1 (ko
Inventor
윤여훈
사공민
김태영
설지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2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407B1/ko
Priority to US15/253,850 priority patent/US10313995B2/en
Publication of KR2017002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2Synchronisation amo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nodes, e.g. time triggered protocol [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ode; Intranode synchronisation
    • H04J3/0694Synchronisation in a TDMA node, e.g. 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8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과 같은 4세대(4th-Generation: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제공될 5세대(5th-Generation: 5G) 또는 프리-5G(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RAT와 다른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 운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RADIO ACCESS TECHNOLOGY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IME DIVISION DUPLEXING SCHEME}
본 발명은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이하 "T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이하 "RAT"라 칭하기로 한다)을 운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세대(4th-generation: 4G, 이하 "4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세대(5th-generation: 5G, 이하 "5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 또는 프리-5G(pre-5G, 이하 "pre-5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롱 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ave, 이하 "mmWave"라 칭하기로 한다)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 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력 다중 출력(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이하 " massive MIMO"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전차원 다중 입력 다중 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이하 " FD-MIMO"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방식과, 아날로그 빔 포밍(analog beam-forming) 방식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방식 등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evice to device: D2D, 이하 "D2D"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이하 " AC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인 하이브리드 주파수 쉬프트 키잉(frequency shift keying: FSK, 이하 "FSK"라 칭하기로 한다) 및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이하 "QAM"이라 칭하기로 한다)(hybrid FSK and QAM: FQAM, 이하 " FQAM"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및 슬라이딩 윈도우 중첩 코딩(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SWSC, 이하 " SWS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진보된 억세스 기술인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 carrier: FBMC, 이하 "FBM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비직교 다중 억세스(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이하 " NOM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및 성긴 코드 다중 억세스(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이하 " SCM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등이 개발되고 있다.
사물 통신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 지능 통신을 지원하는 M2M 통신 개념에서 인터넷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개념으로 빠르게 진화되고 있다. 즉,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 지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M2M통신은 인터넷을 매개로 주위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면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이하 " IoT"라 칭하기로 한다)로 영역을 확장 중에 있다.
상기 IoT는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 제품, 이동 디바이스,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과 같은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기 IoT 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상기 사물들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정보 획득을 위해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특히, 최근 IoT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셀룰라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셀룰라 IoT(cellular IoT: CIoT, 이하 " CIoT"라 칭하기로 한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셀룰라 방식, 일 예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하, "LTE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운영하는 통신 사업자들은 CIoT를 상기 LTE통신 시스템의 보호 대역(guard band)에서 운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상기 CIoT가 셀룰라 방식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IoT(non-cellular IoT, 이하 "non-cellular IoT"라 칭하기로 한다)에 비해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운영 측면에서도 상기 CIoT가 non-cellular IoT에 비해 관리가 쉽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LTE 통신 시스템의 보호 대역에서 CIoT를 운영함에 있어 중요한 이슈(issue)들 중 하나는 상기 LTE 통신 시스템과 CIoT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간섭이다. 여기서, 상기 보호 대역은 상기 LTE통신 시스템이 인접 대역에 대한 방사량(out-of-band radiation, 이하 " out-of-band radiation"라 칭하기로 한다)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대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보호 대역을 사용하고자 하는 통신 시스템은 상기 LTE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동작해야만 하며, 또한 상기 LTE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하고 있는 out-of-band radiation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한편, 상기 LTE 통신 시스템의 듀플렉싱(duplexing) 동작 모드는 크게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이하 "FDD"라 칭하기로 한다) 동작 모드와 TDD 동작 모드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LTE 통신 시스템의 TDD 프레임(frame)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LTE 통신 시스템의 TDD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길이는 10[ms]이다. 상기 각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 프레임(subframe)들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들에는 보호 주기(guard period: GP, 이하 "GP"라고 칭하기로 한다)가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LTE 통신 시스템은 TDD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할 경우 7개의 TDD 구성들을 지원하며, 상기 7개의 TDD 구성들 각각에 상응하는 업링크(uplink: UL, 이하 "UL"이라 칭하기로 한다) 및 다운링크(downlink: DL, 이하 " DL"이라 칭하기로 하다) 구성(이하, "TDD UL-DL 구성"이라 칭하기로 한다)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TDD 구성들 각각에 상응하는 UL 및 DL 구성, 즉 TDD UL-DL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TDD UL-DL 구성들에 관련된 정보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기 전까지는 고정된 TDD UL-DL 이 사용된다. 셀에 접속된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MS, 이하 "MS"라 칭하기로 한다)들의 개수가 비교적 많고, 송/수신되는 트래픽의 양의 변화가 비교적 작은 매크로 셀(macro cell)은 상기와 같은 고정된 TDD UL-DL 구성을 기반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송/수신되는 트래픽의 양의 변화가 비교적 큰 셀들의 경우, 고정된 TDD UL-DL 구성을 기반으로 동작할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TDD UL-DL 구성을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송/수신되는 트래픽의 양의 변화가 비교적 큰 셀들은 주기적으로 TDD UL-DL 구성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TDD UL-DL 구성에 관련된 정보를 MS들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IoT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TDD 방식을 지원하는 LTE 통신 시스템(이하, 설명의 편의상 "LTE TDD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과 공존하는 CIoT에 대해서도 듀플렉싱 동작 모드를 고려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RAT들을 운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다양한 RAT들을 운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들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RAT와 다른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RAT와 다른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상기 예측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방법은;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제2 RAT와 다른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방법은;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제2 RAT와 다른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BS의 예측된,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제1 RAT와 다른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예측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1 RAT와 다른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상기 예측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장치는;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제2 RAT와 다른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장치는;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제2 RAT와 다른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BS의 예측된,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개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개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와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내용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RAT들을 운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다양한 RAT들을 운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들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LTE 통신 시스템의 TDD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에 발생되는 간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CIoT TDD의 DL/UL 운영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CIoT TDD의 DL/UL 운영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TDD 구성 번호에 따른 에너지 변화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CIoT BS가 LTE DL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수신 신호 레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CIoT BS가 LTE UL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수신 신호 레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마진 업데이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에서 LTE BS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oT TDD에서 CIoT BS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oT TDD에서 CIoT UE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현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정용 기기(smart home appliance)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마트 가정용 기기는 텔레비젼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이하 ‘DVD’라 칭하기로 한다) 플레이어와, 오디오와, 냉장고와, 에어 컨디셔너와, 진공 청소기와, 오븐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과, 워셔와, 드라이어와, 공기 청정기와, 셋-탑 박스(set-top box)와, TV 박스 (일 예로,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혹은 Google TVTM)와, 게임 콘솔(gaming console)과, 전자 사전과, 캠코더와, 전자 사진 프레임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의료 기기(일 예로,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이하 ‘MRA’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자기 공명 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이하 “MRI”라 칭하기로 한다)과,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이하 ‘CT’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촬상 디바이스, 혹은 초음파 디바이스)와,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와, 전세계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와, 사고 기록 장치(event data recorder: EDR, 이하 ‘ED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비행 기록 장치(flight data recorder: FDR, 이하 ‘FE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automotive infotainment device)와, 항해 전자 디바이스(일 예로, 항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자이로스코프(gyroscope), 혹은 나침반)와, 항공 전자 디바이스와, 보안 디바이스와, 산업용 혹은 소비자용 로봇(robot)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가구와, 빌딩/구조의 일부와, 전자 보드와, 전자 서명 수신 디바이스와, 프로젝터와, 다양한 측정 디바이스들(일 예로, 물과, 전기와, 가스 혹은 전자기 파 측정 디바이스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신호 송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 이하 "UE"라 칭하기로 하다) 혹은 기지국(base station: BS, 이하 "BS"라 칭하기로 한다)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신호 수신 장치는 UE 혹은 BS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이하 "T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이하 "RAT"라 칭하기로 한다)들을 운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다양한 RAT들을 운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들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 및 방법은 롱 텀 에볼루션 (LTE: Long-Term Evolution,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롱 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 (LTE-A: Long-Term Evolution-Advanced, 이하 ‘LTE-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인가-보조 억세스(Licensed-Assisted Access: LAA, 이하 " LAA"라 칭하기로 한다)-LTE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하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이하 ‘HSD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상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이하 ‘HSU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2(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 3GPP2, 이하 ‘3GPP2’라 칭하기로 한다)의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이하 ‘HRPD’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이하 ‘IEEE’라 칭하기로 한다) 802.16m 통신 시스템과,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Evolved Packet System, 이하 'EPS'라 칭하기로 한다)과,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Mobile IP, 이하 ‘Mobile IP ‘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에 적용 가능하다.
먼저, TDD 방식을 사용하는 LTE 통신 시스템(이하, 설명의 편의상 "LTE TDD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과 공존하는 CIoT의 듀플렉싱 동작 모드에 대해서 고려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CIoT의 듀플렉싱 동작 모드가 상기 LTE TDD 통신 시스템의 듀플렉싱 동작 모드와 같이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이하 "FDD"라 칭하기로 한다) 동작 모드와 TDD 동작 모드인 경우를 고려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FDD 방식을 사용하는 CIoT를 "CIoT FDD"라 칭하기로 하며, TDD 방식을 사용하는 CIoT를 "CIoT TDD"라 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 LTE 기지국(base station: BS, 이하 "BS"라 칭하기로 한다)에서 CIoT BS로의 간섭 신호가 비교적 크며, 따라서 상기 CIoT FDD를 운영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상기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서로 UL및 DL에 대해서 동기를 일치시킬 경우 상기 CIoT TDD를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상기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서로 UL및 DL에 대해서 동기를 일치시키지 않을 경우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와 마찬가지로 LTE BS에서 CIoT BS로의 간섭 신호가 비교적 크게 되며, 따라서 상기 CIoT TDD를 운영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도 3에서는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에 발생되는 간섭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에 발생되는 간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하고, LTE BS(411)는 LTE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 이하 "UE"라 칭하기로 한다)(413)으로 일 예로 43dBm의 송신 파워를 적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있고, CIoT UE(417)가 CIoT BS(315)로 일 예로 14 dBm의 송신 파워를 적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LTE BS(411)에서 송신하는 신호가 상기 CIoT BS(415)에 대해 간섭 신호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FDD가 공존할 경우 상기 LTE BS(411)에서 CIoT BS(415)로의 간섭 신호가 비교적 크게 되며, 따라서 상기 CIoT FDD를 운영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LTE 통신 시스템에서 CIoT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상기 LTE 통신 시스템과 CIoT간의 UL/DL 동기를 획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LTE TDD 통신 시스템에서 CIoT TDD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상기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동기를 획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은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있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LTE BS(511)는 CIoT BS(513)로 TDD 구성(configuration) 정보 및 타이밍(timing)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517단계). 여기서, 상기 TDD 구성 정보는 TDD UL-DL 번호가 될 수 있으며, 상기 TDD 구성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TDD 구성 정보 및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상기 LTE BS(511)로부터 상기 TDD 구성 정보 및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CIoT BS(513)는 CIoT UE(515)로 상기 TDD 구성 정보와, 타이밍 정보 및 초기 마진(initial margin) 정보와, TDD 구성 정보 업데이트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519단계). 상기 초기 마진 정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TDD 구성 정보는 상기 LTE TDD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이하 "SIB"라 칭하기로 한다)을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따라서 CIoT BS(513)는 상기 TDD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LTE 송/수신기를 포함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한편, CIoT DL 신호는 LTE DL 신호와 동기를 맞춰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CIoT UL 신호는 오픈-루프(open-loop)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이하 "TA"라 칭하기로 한다)를 획득할 것이므로, LTE UL 신호와 정확하게 동기를 맞춰 송신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CIoT UL 신호는 심볼 길이 역시 LTE UL 신호의 심볼 길이와 다르기 때문에 상기 LTE UL 신호와 정확하게 동기를 맞춰 송신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IoT UL 신호와 LTE UL 신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CIoT UL 신호에는 타이밍 마진(timing margin)이 적용된다. 상기 CIoT UE(515)는 LTE UL 신호에 대한 정확한 타이밍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상기 CIoT UL 신호의 마지막 부분에만 타이밍 마진을 적용시키면 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타이밍 마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타이밍 마진의 초기값이 초기 마진이며, 상기 타이밍 마진은 업데이트(update)될 수 있다. 상기 초기 마진은 미리 정의되어 있는 값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CIoT TDD가 운영하는 셀의 셀 반경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CIoT TDD가 운영 가능한 최대 셀 반경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혹은 빛의 속도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IoT BS(513)로부터 상기 TDD 구성 정보와, 타이밍 정보 및 초기 마진 정보와, TDD 구성 정보 업데이트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CIoT UE(515)는 송신할 UL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한 TDD 구성 정보와, 타이밍 정보 및 초기 마진 정보와, TDD 구성 정보 업데이트 주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IoT BS(513)로 상기 UL 데이터를 송신한다(521단계).
또한, 상기 CIoT BS(513)는 필요에 따라 타이밍 마진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상기 업데이트된 타이밍 마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CIoT UE(515)로 송신한다(523단계).
한편, 상기 LTE BS(511)는 필요에 따라 TDD 구성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상기 업데이트된 TDD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CIoT BS(513)로 송신한다(525단계).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CIoT TDD의 DL/UL 운영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CIoT TDD의 DL/UL 운영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길이는 10[ms]이다. 상기 각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 프레임(subframe)들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들에는 보호 주기(guard period: GP, 이하 "GP"라고 칭하기로 한다)가 포함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LTE TDD 통신 시스템은 7개의 TDD 구성들을 지원하며, 상기 7개의 TDD 구성들 각각에 상응하는 UL 및 DL 구성, 즉 TDD UL-DL 구성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TDD 구성들 각각에 상응하는 UL 및 DL 구성, 즉 TDD UL-DL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TE BS는 CIoT BS로 TDD 구성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CIoT BS가 다시 CIoT UE로 상기 TDD 구성 정보를 제공하므로 상기 CIoT TDD는 LTE TDD 통신 시스템에 대한 DL/UL 동기를 획득할 수 있으며, 다만 CIoT UL 신호에 대해서만 CIoT UL 신호와 LTE UL 신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밍 마진을 적용한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CIoT TDD의 DL/UL 운영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은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없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CIoT BS(713)는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LTE BS(711)에서 송신하는 LTE 신호를 디코딩할 수 없으며, 따라서 LTE 신호 사운딩(sounding)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LTE BS(711)에서 사용하고 있는 TDD 구성 정보 및 타이밍 정보를 예측한다(717단계). 여기서, 상기 TDD 구성 정보는 TDD UL-DL 번호가 될 수 있으며, 상기 TDD 구성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LTE 사운딩 동작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LTE BS(711)에서 사용하고 있는 TDD 구성 정보 및 타이밍 정보를 예측한 CIoT BS(713)는 CIoT UE(715)로 상기 예측한 TDD 구성 정보와, 타이밍 정보 및 초기 마진 정보와, TDD 구성 정보 업데이트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719단계). 여기서, 상기 CIoT BS(713)는 LTE BS(711)로부터 TDD 구성 정보 및 타이밍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즉 상기 CIoT BS(713)는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지 않고, 따라서 LTE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LTE TDD 통신 시스템의 DL/UL에 대한 정확한 동기를 획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IoT BS(713)는 상기 CIoT BS(713)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와는 달리, CIoT UL 신호에 적용하는 타이밍 마진을 CIoT UL 신호의 마지막 부분에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 부분에도 적용해야 한다.
또한, 상기 초기 마진 정보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CIoT BS(713)는 LTE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LTE TDD 통신 시스템의 DL/UL에 대한 정확한 타이밍을 획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CIoT BS(713)는 CIoT UL 신호 뿐만 아니라 CIoT DL 신호에 대해서도 타이밍 마진을 적용해야 하며, 따라서 상기 초기 마진 정보는 초기 DL 마진 정보와 초기 UL 마진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 마진 정보는 다양한 파라미터들, 일 예로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시 사용된 윈도우(window)의 크기와, 슬라이딩 간격(sliding interval) 등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검출시 사용된 윈도우의 타입(type)과 타이밍 예측 정확도 및 타이밍 마진 간의 관계는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사용된 윈도우의 타입 타이밍 예측 정확도 타이밍 마진
A <0.1ms 0.1ms
B <0.2ms 0.2ms
C <0.3ms 0.3ms
D <0.4ms 0.4ms
E <0.5ms 0.5ms
... ...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 예측 정확도가 증가할 수록 타이밍 마진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CIoT BS(713)는 타이밍 정확도 및 UL TA 마진을 기반으로 UL 타이밍 마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CIoT BS(713)는 상기 타이밍 정확도를 기반으로 DL 타이밍 마진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IoT BS(713)로부터 상기 예측된 TDD 구성 정보와, 타이밍 정보 및 초기 마진 정보와, TDD 구성 정보 업데이트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CIoT UE(715)는 송신할 UL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예측된 TDD 구성 정보와, 타이밍 정보 및 초기 마진 정보와, TDD 구성 정보 업데이트 주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CIoT BS(713)로 상기 UL 데이터를 송신한다(721단계).
또한, 상기 CIoT BS(713)는 필요에 따라 타이밍 마진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상기 업데이트된 타이밍 마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CIoT UE(715)로 송신한다(723단계).
한편, 상기 LTE BS(711)는 필요에 따라 TDD 구성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LTE BS(711)가 TDD 구성 정보를 업데이트한다고 할지라도 상기 업데이트된 TDD 구성 정보는 LTE TDD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SIB를 통해 송신되기 때문에 상기 CIoT BS(713)는 상기 업데이트된 TDD 구성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CIoT BS(713)는 LTE 신호 사운딩 동작을 통해 업데이트된 TDD 구성 정보를 예측한다(725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타이밍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CIoT TDD의 DL/UL 운영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CIoT TDD의 DL/UL 운영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각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다. 상기 각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 서브 프레임들에는 GP가 포함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LTE TDD 통신 시스템은 7개의 TDD 구성들을 지원하며, 상기 7개의 TDD 구성들 각각에 상응하는 UL 및 DL 구성, 즉 TDD UL-DL 구성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TDD 구성들 각각에 상응하는 UL 및 DL 구성, 즉 TDD UL-DL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IoT BS는 LTE 신호 사운딩 동작을 통해 LTE BS 에서 사용하고 있는 TDD 구성 정보를 예측하고, 상기 CIoT BS는 CIoT UE로 상기 예측한 TDD 구성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CIoT TDD는 LTE TDD 통신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DL/UL 동기를 획득할 수 없으므로, 상기 CIoT DL 신호와 LTE DL 신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CIoT DL 신호에 타이밍 마진을 적용하고, 상기 CIoT UL 신호와 LTE UL 신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CIoT UL 신호에 타이밍 마진을 적용한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CIoT TDD의 DL/UL 운영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TDD 구성 번호에 따른 에너지 변화량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TDD 구성 번호에 따른 에너지 변화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TDD 구성 번호에 따른 에너지 변화량은 윈도우 슬라이딩 간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9에는 TDD 구성 번호가 "0"일 경우의 에너지 변화량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슬라이딩 간격에 따라 타이밍 추정 정확도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윈도우 슬라이딩 간격이 좁을 수록 비교적 높은 정확도로 타이밍을 추정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A와 같은 형태로 윈도우 슬라이딩 간격을 운영할 경우에 비해 B와 같은 형태로 윈도우 슬라이딩 간격을 운영할 경우 더 높은 정확도로 타이밍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검출시 사용되는 윈도우의 특성에 따라 타이밍 추정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타이밍 추정 정확도가 달라짐에 따라 타이밍 마진 역시 달라질 수 있다. 도 9에서는 이런 윈도우 특성에 따른 타이밍 추정 정확도가 C와 같은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C는 슬라이딩 간격이 거의 0에 가까운, 정확한 에너지 변화량을 나타낸다.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TDD 구성 번호에 따른 에너지 변화량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CIoT BS가 LTE DL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CIoT BS가 LTE DL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수신 신호 레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LTE BS(1011)는 최대 송신 파워인 43dBm을 적용하여 LTE UE(1013)로 LTE DL 신호를 송신하고 있으며, CIoT BS(1015) 역시 상기 LTE BS(1011)로부터 LTE DL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도 10에서는 CIoT UE(1017)는 별도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IoT BS(1015)는 수신되는 LTE 신호의 에너지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LTE 신호가 LTE DL 신호인지 혹은 LTE UL 신호인지 검출할 수 있다. 즉, LTE DL 신호에 적용되는 송신 파워가 통상적으로 LTE UL 신호에 적용되는 송신 파워에 비해 훨씬 크기 때문에 상기 CIoT BS(1015)는 수신되는 LTE 신호의 에너지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LTE 신호가 LTE DL 신호인지 혹은 LTE UL 신호인지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CIoT BS(1015)는 LTE TDD 통신 시스템의 인밴드(inband) 영역에서 에너지를 검출하지 않고, GB 영역에서 에너지를 검출하는 것만으로도 수신되는 LTE 신호의 에너지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LTE 신호가 LTE DL 신호인지 혹은 LTE UL 신호인지 검출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CIoT BS가 LTE DL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CIoT BS가 LTE UL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CIoT BS가 LTE UL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수신 신호 레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LTE UE(1113)에서 송신된 LTE UL 신호는 LTE BS(1111)에서 -105dBm 내지 -43dBm의 수신 파워 범위 내에서 수신되며, CIoT BS(1015) 역시 상기 LTE UE(1113)에서 송신된 LTE UL 신호를 -105dBm 내지 -43dBm의 수신 파워 범위 내에서 수신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CIoT UE(1117)는 별도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IoT BS(1115)는 수신되는 LTE 신호의 에너지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LTE 신호가 LTE DL 신호인지 혹은 LTE UL 신호인지 검출할 수 있다. 즉, LTE DL 신호에 적용되는 송신 파워가 통상적으로 LTE UL 신호에 적용되는 송신 파워에 비해 훨씬 크기 때문에 상기 CIoT BS(1115)는 수신되는 LTE 신호의 에너지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LTE 신호가 LTE DL 신호인지 혹은 LTE UL 신호인지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CIoT BS(1115)는 LTE TDD 통신 시스템의 인밴드 영역에서 에너지를 검출하지 않고, GB 영역에서 에너지를 검출하는 것만으로도 수신되는 LTE 신호의 에너지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LTE 신호가 LTE DL 신호인지 혹은 LTE UL 신호인지 검출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CIoT BS가 LTE UL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의 특정 서브 프레임, 일 예로 서브 프레임 #5(여섯 번째 서브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심볼들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1) 상기 서브 프레임 #5 에는 총 14개의 LTE DL/UL 심볼들과 1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이하 "CP"라 칭하기로 한다) 심볼이 포함될 수 있다. 즉, LTE TDD 통신 시스템에서는 1개의 서브 프레임에는 총 15개의 심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5개의 심볼들의 길이는 1ms이다.
(2) 상기 서브 프레임 #5에는 총 12개의 CIoT DL 심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CIoT TDD에서는 1개의 서브 프레임에는 총 12개의 심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2개의 심볼들의 길이는 1ms이다.
(3) 상기 서브 프레임 #5에는 총 3개의 CIoT UL 심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CIoT TDD에서는 1개의 서브 프레임에는 총 3개의 심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개의 심볼들의 길이는 0.8ms이다.
한편,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 즉,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를 가질 경우, 초기 마진을 계산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초기 마진을 계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정의하기로 한다.
(1) 셀 반경: R[km]
(2)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maximum RTD (round trip delay)): 2R/c, 여기서 c는 300km/ms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3) 타이밍 추정 에러: Δt
상기 타이밍 추정 에러 Δt는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있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할 경우 및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없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각각에 대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있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할 경우, 상기 타이밍 추정 에러 Δt는 0이 될 수 있다 (Δt = 0). 또한, 상기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없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타이밍 추정 에러 Δt는 0보다 클 수 있다 (Δt > 0).
(4) CIoT의 UL 심볼 길이: LUL[ms]
(5) 연속적인 LTE UL 서브프레임 길이: NUL[ms]
따라서, 상기 초기 마진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Minit는 상기 초기 마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연속적인 LTE UL 서브프레임 길이, 즉 NUL[ms] 동안 포함될 수 있는 CIoT 심볼들의 개수 Nsym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는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있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즉, Δt = 0이고, TDD 구성 번호 1이 사용될 경우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임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먼저, R은 10km이고,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 LUL[ms]은 0.2667ms ( = 266.67μs)이고, NUL[ms]은 2ms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와 같은 가정하에서, 초기 마진, 즉 타이밍 마진에 대한 초기값은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4
또한, Nsym은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5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는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있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즉, Δt = 0이고, TDD 구성 번호 1이 사용될 경우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임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먼저, R은 30km이고,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은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고, LUL[ms]은 0.2667ms ( = 266.67μs)이고, NUL[ms]은 2ms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수학식 6>
Figure pat00006
상기와 같은 가정하에서, 초기 마진, 즉 타이밍 마진에 대한 초기값은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pat00007
또한, Nsym은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pat00008
도 1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는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없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지 않고, 즉, Δt > 0이고, TDD 구성 번호 1이 사용될 경우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임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먼저, R은 10km이고, 최대 라운드 트립 지연은 하기 수학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LUL[ms]은 0.2667ms ( = 266.67μs)이고, NUL[ms]은 2ms이고, 타이밍 추정 에러 Δt = 0.1ms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수학식 9>
Figure pat00009
상기와 같은 가정하에서, 초기 마진, 즉 타이밍 마진에 대한 초기값은 하기 수학식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마진은 DL 초기 마진과 UL 초기 마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UL 초기 마진은 제1 UL 초기 마진과 제2 UL 초기 마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UL 초기 마진은 CIoT UL 구간의 시작 부분에 적용되는 UL 초기 마진을 나타내며, 상기 제2 UL 초기 마진은 상기 CIoT UL 구간의 마지막 부분에 적용되는 UL 초기 마진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1 UL 초기 마진은 일 예로 Δt 로 결정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수학식 10>
Figure pat00010
상기 수학식 10에서, 초기 마진 Minit은 0.4ms이다. 따라서, 도 15에서, 특히 UL 시작 부분에 적용되는 마진이 0.1ms이고, UL 마지막 부분에 적용되는 마진이 0.3ms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Nsym은 하기 수학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pat00011
도 1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LTE TDD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하에서의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마진 업데이트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마진 업데이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마진 업데이트 과정은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TE DL/UL 심볼과, CIoT DL 심볼 및 CIoT UL 심볼 관계는 LTE BS와 CIoT BS가 협력할 수 없거나, 혹은 CIoT BS가 LTE 송/수신기를 포함하지 않고, 즉, Δt > 0이고, TDD 구성 번호 1이 사용될 경우의 마진 업데이트 과정임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먼저, CIoT BS는 상기 CIoT BS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CIoT UE들, 일 예로, UE#1과, UE#2와, UE#3 및 UE#4로부터 수신되는 CIoT UL 신호들을 기반으로 타이밍 마진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된 타이밍 마진은 하기 수학식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2>
Figure pat00012
상기 수학식 12에서, δi는 UE#i에서 송신된 UL 신호, 즉 상기 UE#i에서 송신된 CIoT UL 신호의 도착 시간을 나타내며, 상기 δi는 결국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지연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12에서 α는 추가 마진을 나타내며, 상기 추가 마진 α를 비교적 크게 설정할 경우, 즉 타이밍 마진을 비교적 크게 감소시킬 경우 다음 심볼에서 CIoT UL 신호가 CIoT DL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마진 α는 상기 CIoT UL 신호와 CIoT DL 신호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추가 마진 α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가 공존할 경우의 마진 업데이트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에서 LTE BS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길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에서 LTE BS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LTE BS(1700)는 송신기(1711)와, 제어기(1713)와, 수신기(1715)와, 저장 유닛(1717)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713)는 상기 LTE BS(1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 특히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 특히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711)는 상기 제어기(17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CIoT BS 및 LTE UE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71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715)는 상기 제어기(17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7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717)은 상기 제어기(17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LTE BS(1700)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 특히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717)은 상기 수신기(171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17에는 상기 LTE BS(1700)가 상기 송신기(1711)와, 제어기(1713)와, 수신기(1715)와, 저장 유닛(17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LTE BS(1700)는 상기 송신기(1711)와, 제어기(1713)와, 수신기(1715)와, 저장 유닛(171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LTE BS(1700)는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통신 시스템에서 LTE BS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oT TDD에서 CIoT BS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oT TDD에서 CIoT BS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CIoT BS(1800)는 송신기(1811)와, 제어기(1813)와, 수신기(1815)와, 저장 유닛(1817)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813)는 상기 CIoT BS(1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 특히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 특히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811)는 상기 제어기(18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LTE BS 및 CIoT UE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81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815)는 상기 제어기(18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8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817)은 상기 제어기(18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CIoT BS(1800)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 특히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817)은 상기 수신기(181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18에는 상기 CIoT BS(1800)가 상기 송신기(1811)와, 제어기(1813)와, 수신기(1815)와, 저장 유닛(18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CIoT BS(1800)는 상기 송신기(1811)와, 제어기(1813)와, 수신기(1815)와, 저장 유닛(181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CIoT BS(1800)는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oT TDD에서 CIoT BS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oT TDD에서 CIoT UE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oT TDD에서 CIoT UE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CIoT UE(1900)는 송신기(1911)와, 제어기(1913)와, 수신기(1915)와, 저장 유닛(1917)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913)는 상기 CIoT UE(1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 특히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 특히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911)는 상기 제어기(19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CIoT BS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91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915)는 상기 제어기(19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9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917)은 상기 제어기(19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CIoT UE(1900)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고려하여 RAT를 운영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 특히 LTE TDD 통신 시스템과 CIoT TDD간의 UL/DL 타이밍을 제어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917)은 상기 수신기(191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19에는 상기 CIoT UE(1900)가 상기 송신기(1911)와, 제어기(1913)와, 수신기(1915)와, 저장 유닛(19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CIoT UE(1900)는 상기 송신기(1911)와, 제어기(1913)와, 수신기(1915)와, 저장 유닛(191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CIoT UE(1900)는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와,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RAT와 다른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UE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마진 정보를 상기 UE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S로부터 업데이트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5.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RAT와 다른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상기 예측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UE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마진 정보를 상기 UE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S가 업데이트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예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9.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제2 RAT와 다른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S로부터 상기 제1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S로부터 업데이트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12.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제2 RAT와 다른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BS의 예측된,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S로부터 상기 제1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S로부터 업데이트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방법.
  15.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제1 RAT와 다른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UE에게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업데이트된 마진 정보를 상기 UE에게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BS로부터 업데이트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19.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예측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1 RAT와 다른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상기 예측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UE에게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마진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업데이트된 마진 정보를 상기 UE에게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BS가 업데이트한, 상기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예측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23.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제2 RAT와 다른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BS의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BS로부터 상기 제1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BS로부터 업데이트된 마진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26.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운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2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상기 제2 RAT와 다른 제1 RAT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BS의 예측된,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1 RAT와 제2 RAT간의 DL 및 UL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한 마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BS로부터 상기 제1 BS의 DL 및 UL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BS로부터 업데이트된 마진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RAT를 운영하는 장치.
KR1020150122444A 2015-08-31 2015-08-31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2419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444A KR102419407B1 (ko) 2015-08-31 2015-08-31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 운영 장치 및 방법
US15/253,850 US10313995B2 (en) 2015-08-31 2016-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radio access technology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ime division duplexing sc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444A KR102419407B1 (ko) 2015-08-31 2015-08-31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 운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667A true KR20170025667A (ko) 2017-03-08
KR102419407B1 KR102419407B1 (ko) 2022-07-11

Family

ID=5809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444A KR102419407B1 (ko) 2015-08-31 2015-08-31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 운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13995B2 (ko)
KR (1) KR102419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80A1 (ko) * 2020-08-05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장치의 송수신 타이밍 설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5332B2 (en) 2016-09-06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existence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or services on a same carrier
KR20180049750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1133784B (zh) * 2017-09-28 2024-04-30 索尼公司 基站和用户设备
WO2020041439A1 (en) * 2018-08-21 2020-02-27 Intel Corporation Transmission bandwidth indication for wideband transmission in new radio (nr) systems operating on unlicensed spectr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580A2 (ko) * 2013-01-10 2014-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형 셀 향상 방법
US20140301251A1 (en) * 2013-04-05 2014-10-0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suppression in td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15016625A1 (ko) * 2013-08-02 2015-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 링크 스케줄링 방법 및 상향링크 전송 방법
KR20150050308A (ko) * 2013-10-31 2015-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dd 시스템에서 gp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5718A1 (en) 2007-02-28 2008-09-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location of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in tdd in orthogonal domain.
US8064546B2 (en) * 2007-06-14 2011-11-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ndom access preamble detection for long term evolution wireless networks
EP2560446A1 (en) * 2011-08-18 2013-02-20 MStar Semiconductor, Inc Reducing interference in wireless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by monitoring and limiting timing advance
WO2013048567A1 (en) * 2011-09-30 2013-04-04 Intel Corporation Methods to transport internet traffic over multiple wireless networks simultaneously
US9668272B2 (en) * 2012-11-02 2017-05-30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WO2014110782A1 (en) * 2013-01-18 2014-07-24 Broadcom Corporation Cell clustering based configuration of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US10750464B2 (en) * 2015-06-11 2020-08-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ime division duplex for cellular internet-of-thing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580A2 (ko) * 2013-01-10 2014-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형 셀 향상 방법
US20140301251A1 (en) * 2013-04-05 2014-10-0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suppression in td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15016625A1 (ko) * 2013-08-02 2015-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 링크 스케줄링 방법 및 상향링크 전송 방법
KR20150050308A (ko) * 2013-10-31 2015-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dd 시스템에서 gp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80A1 (ko) * 2020-08-05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장치의 송수신 타이밍 설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64658A1 (en) 2017-03-02
US10313995B2 (en) 2019-06-04
KR102419407B1 (ko)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695B2 (ja) アップリンク電力制御のためのビームインジケーション
EP30074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iring pro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77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iming advance
JP7071586B2 (ja) 反復のためのシグナリング
KR102419407B1 (ko)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기술 운영 장치 및 방법
US99552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d-hoc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1567102B (zh) 无线通信系统中控制上行链路传输功率的方法和装置
KR20170044994A (ko) 밀리미터파 통신 시스템에서 빔 포밍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119719A (ko)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탐색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13196678A (zh) 隐式探测参考信号非周期性触发偏移
US201503271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d2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KR20200143722A (ko) 페이징 상황 시작 결정 기법
WO2021034638A1 (en) Reference signals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US20220086884A1 (e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with reversed scheduling
US100569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5512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 장치 및 방법
KR1025208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 장치 및 방법
US20210297973A1 (en) Over the air synchronization of network nodes
CN115918223A (zh) 配置下行链路控制信息以调度多个分量载波
WO2021148987A1 (en) Low pim coax to pcb interface
CN114070507A (zh) 确定目标时域位置的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180062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facilitating transmission of access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