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196A - 브랜드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허브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 모델 - Google Patents

브랜드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허브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 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196A
KR20170025196A KR1020150121243A KR20150121243A KR20170025196A KR 20170025196 A KR20170025196 A KR 20170025196A KR 1020150121243 A KR1020150121243 A KR 1020150121243A KR 20150121243 A KR20150121243 A KR 20150121243A KR 20170025196 A KR20170025196 A KR 2017002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commerce
code
integ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니스인사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니스인사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니스인사이트
Priority to KR102015012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196A/ko
Publication of KR2017002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코드 통합 방법, 상품코드 통합 허브 기반 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코드 통합의 방법은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의 상품 코드를 동일하게 서비스제공장치(1)를 이용하여 통합 관리하고 통합의 방법은 최초 코드 정보의 물리적 통합과 메타 정보 관리 연계를 활용하여 커머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상품코드 통합의 방법의 차별화 단계, 통합된 상품 정보 기반의 커머스 연계 단계, 상품 정보 통합 기반의 부가 서비스(주문, 결제, 배송, 분석 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랜드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허브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 모델 { Multi Brand Product Code Integr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for Omni Channel Commerce }
본 발명은 옴니채널(Omni Channel Commerce) 또는 O2O(Offline to Online, Offline to Online) 상거래 기술에 관한 것으로, 세부적으로 상품코드 통합 기반의 커머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커머스의 가장 큰 변화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합이다. 소비자들은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구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백화점, 할인점, 브랜드 등 판매자의 변화도 이에 대응하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연계를 위한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이 결과로 신규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가 온라인에서 구매하고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찾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또는 오프라인 상품 중에서 온라인화되어 있는 상품들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매장 상품을 온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를 부분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화 됨에 따라 상품 Life Cycle이 짧아지고, 새로운 상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으나, 기존의 방식의 상품컨텐츠 제작 및 온라인화를 위한 단계는 복잡하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한계성이 있어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 필요로 하고 있다.
즉, 오프라인의 상품과 온라인의 동일한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필요하다 또한, 소비자는 특정 브랜드에 한정된 상품구매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브랜드의 상품정보를 통합관리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소비자의 온라인 오프라인 융합 커머스와 다양한 판매자의 상품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는 사업모델)이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판매자(브랜드, 벤더, 제조사 등)별 상이한 상품 코드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허브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이다. 특히, 상품코드 통합을 위해 기존의 통합 방식은 기준이 되는 상품코드 체계를 정의하여 상이한 판매자(브랜드, 벤더, 제조사 등)의 상품코드를 매핑하는 방식으로 관리하였다. 대표적인 형태가 온라인 종합몰이다. 이에 따라, 판매자(브랜드, 벤더, 제조사 등)는 상품을 온라인을 통해 판매하고자 할 경우에는 판매채널에 맞춰 상품명, 코드 등을 변경하여 관리해야 하는 비효율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에서 사용하는 상품코드(또는 상품 식별 정보)를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함으로 상품이 판매되는 채널(온라인, 오프라인 등)에 관계 없이 동일한 상품코드(또는 상품 식별 정보)를 통해 커머스 할 수 있는 모델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의 상품코드(또는 상품 식별 정보)를 최초 상품 생산(또는 출고)시점에 부여한 정보의 변화 없이 유통이 가능하여 판매자의 활동의 비효율을 획기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상품의 판매채널(Sales Channel) 운영에 있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품코드 통합으로 주문관리, 재고관리, 가격관리 등 커머스 운영 전반의 개선이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소비자 구매패턴의 변화(옴니채널, O2O)에 선도적으로 대응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가 상품코드 생성과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별 상이한 상품코드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데이터 허브 연계 단계와, 상품코드 통합 허브 기반의 각종 커머스 운영 단계, 나아가 통합 코드관리 기반의 서비스 확장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가 상품코드 생성과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별 상이한 상품코드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데이터 허브 연계 단계에서 본 발명은 상품코드 매핑의 방식으로 통합하지 않고,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에서 사용하는 코드 그대로 데이터 통합 허브를 만들고,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 개별 코드의 속성(값 정의)는 통합코드 정보와 연계되는 메타정의 정보를 연계 운영함으로 커머스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코드 통합 허브 기반의 각종 커머스 운영의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융합 거래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오프라인의 상품과 온라인의 상품정보가 매칭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상품정보 통합 데이터 허브 기반으로 상품 정보, 재고정보, 주문정보, 배송정보, 온라인 구매 후 오프라인 상품 인도, 오프라인 상품 경험 후 모바일(온라인) 구매 등 다양한 커머스 활동에 적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가 이를 접수하여 상품 상세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송(공유) 하는 단계는 온라인 상거래를 위한 법규 등 준수와 소비자와 온라인 상거래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항 등을 포함하여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정보를 공유한다. 이 때 정보 공유 방법은 모바일 앱, 온라인 웹, 유무선 통신 등 다양한 전달 방법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주문/결제하는 단계는,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주문/결제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온라인 주문/결제의 방법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본 제안에서 포함된 커머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결제수단, 주문, 배송, 서비스의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코드관리 기반의 서비스 확장 단계는 최근 커머스에방법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상품코드 통합 관리 허브는 정보의 질적 품질을 향상할 뿐 아니라 다양한 분석정보 활용의 기반이 되는 기술이다. 한 개의 상품에 한 개의 상품코드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통합 관리 운영은 다양한 판매채널에서 운영되는 복잡한 거래 정보를 연계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의 행태 분석, 상품 다차원 분석 내지 고객과 상품 연계 분석,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거래 연계 분석 등 종합적 거래 분석이 가능하여, 데이터 정보 서비스로 확장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는 다양한 판매채널 운영에 따른 상품정보 운영 비용절감과 관리 효율성 혁신적인 제고가 가능하다.
오늘날 유통분야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판매채널 확장과 유통 변화의 주기가 점점더 짧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의 형태가 백화점, 할인점, 아울렛, 가두점 등 다양해지고 매장 운영형태에 있어서도, 직영점, 위탁점, 임대형, 수수료형 등 관리의 복잡도가 증가되었다. 온라인 판매채널에 있어서도, 종합몰, 오픈마켓, 소셜, 커머스 포탈, 폐쇄몰 등 그 형태 및 리테일러 신생과 소멸이 급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다양한 유통 채널에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가 상품을 공급하고 유통 및 배송, 판매 관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품코드 통합의 기술과 상품코드 통합 기반의 커머스 서비스는 운영 코스트의 절감과 판매 증진에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다. 판매 채널별 별도의 상품코드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 코드를 변형 없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어느 판매채널이나 상품코드 운영이 가능하여, 오늘날 유통의 혁명이라고 불리는 옴니채널(Omni Channel Commerce, O2O) 대응에 필수적 기술이자 솔루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프라인 상거래와 온라인 상거래 연계 커머스 모델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코드 통합 허비 기반의 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코드 통합 기반의 온·오프라인 융합 상거래 방법 및 부가 서비스 확장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의 상품정보 통합 허브 기반의 상거래 활동 및 부가서비스가 실현 과정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소비자, 판매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프라인 상거래와 온라인 상거래 연계 커머스 모델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비자(104)는 오프라인 매장 상품 상거래와 온라인 상품 상거래 활동을 교차하거나 동시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융합적 형태의 소비를 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104)는 오프라인 매장(100)에 방문하여 상품을 탐색한 후 온라인 커머스(102)의 방법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에서 탐색한 상품정보와 온라인 상품정보가 연계되어 소비자가 편리하게 커머스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품 판매는 판매채널 마다 상이한 상품 코드를 통해 식별관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104)가 1차적으로 오프라인 매장(100)에 방문하여 상품을 탐색한 후 2차적으로 오프라인 매장(100)의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오프라인 매장 상품의 코드정보가 온라인의 상품코드 정보가 일치하기 때문에 상품 탐색 및 상품의 일치여부 확인에 소요되는 고객의 시간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또는 오프라인 채널간(온라인 채널간) 상품 정보의 통합으로 커머스의 활성화 및 운영을 효율화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코드 통합 기반의 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칭함)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상품코드 통합 서비스 제공장치(이하 '서비스 제공장치'라 칭함)(1), 구매자 단말(2),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3), 판매자시스템(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장치(1)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3), 구매자단말(2), 판매자시스템(4)과 연계되거나, 온라인 커머스플랫폼(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3)은 상품코드 통합 커머스 서비스 운영자(20)가 관리하는 서버이다. 오프라인 판매시스템(30)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판매관리 하는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백화점 또는 브랜드 대리점(직영, 위탁, 프렌차이즈 등)의 판매자 시스템이다.
구매자의 단말기서비스(예를 들어 소비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 등)와 서비스 제공장치가 연계되며, 서비스 제공장치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판매자 시스템과 연계되어 서비스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매자와 소비자간 효율적인 상품정보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상품정보 통합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장치(1)는 구매자 단말(2)과 통신하여, 구매자 단말(2)로부터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소비자가 선택한 구매 의도 상품 정보는 상품코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여러 가지 속성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소비자는 상품코드 하나만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동일한 상품을 검색하고 상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상품 비교,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교환, 배송정보 확인 등 다양한 확장된 정보 조회 및 활용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장치(1)는 소비자의 관심 상품 등록, 주문 결제 등의 방법과 연계하여 다양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다. 상품코드 정보 기반의 상품 전시 관리 등 상품 판매 활동과도 연계가 가능하다.
구매자 단말(2)은 서비스 제공장치(1)와 통신한다. 구매자는 서비스 제공장치(1)로부터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앱(App)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2)에 설치된 앱을 실행하여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구매 의도 상품을 온라인커머스 서비스를 통해 구매를 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은 구매자가 오프라인 쇼핑몰을 돌아다니면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휴대용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장치(1)는 데이터베이스(10), 통신부(12) 및 프로세서(14)를 포함한다.
통신부(12)는 다른 주체와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다른 주체는 구매자 단말(2), 판매자시스템(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는 구매자 단말(2)을 통해 구매자로부터 오프라인 매장 상품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통신부(12)는 오프라인 판매자시스템(4)로부터 상품의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상품코드 생성단계에서부터 상품정보 허브로 통화 과정의 일련의 절차를 포함한다. 상품 정보를 통신부(12)를 통해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상품 정보를 관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는 구매자 단말(2)로부터 상품정보를 요청 또는 전달 받고, 판매와 연계하여 상거래가 가능하다. 상품정보에는 단순 상품식별 코드 뿐만 아니라, 상거래를 위한 필요정보와 연계되어 운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는 브랜드상품코드 연계 처리부(141), 상품코드통합관리처리부(142), 상품코드 기반 온오프라인 연계 처리부(143) 커머스 처리부(144)를 포함한다.
브랜드상품코드 연계처리부(141)는 브랜드에서 상품 생성 단계에 부여한 상품코드를 서비스제공장치(1)내 또는 연계되어 있는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한다. 그리고, 구매자단말(1)과 연계하여 상품 정보 제공 및 커머스를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상품코드통합관리처리부(142)는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에서 부여한 상품코드를 변경 없이 서비스제공장치(1)로 인터페이스 받는다. 이 때,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의 상품코드 체계(예를 들어, 연도, 시즌, 스타일, 일련번호 등)와 분류별 속성 정보(예를 들어, 시즌정보에 S/S, F/W 등), 품목정보, 품명, 칼라, 사이즈, 소재, 생산차수 등 상품관리를 위한 정보를 상품 통합 허브를 통해 관리한다.
상품코드기반온오프라인연계처리부(143)는 상품 판매 채널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각 다양한 판매 방법에 관계 없이 통합 상품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상거래 가능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상품코드 통합 기반 온라인과 오프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말한다.
커머스처리부(144)는 상품코드 정보는 상품의 탐색, 주문, 결제, 배송, C/S, 분석 등 다양한 커머스 단계에 활용되며, 각 단계별 데이터 처리의 핵심이 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품코드 중심으로 상품의 식별, 상품과 소비자 연계, 매장 연동, 주문정보 관리, 배송정보 관리, 분석 등에 활용된다. 이를 위해 상품코드의 메타정보 관리가 연계되어 서비스 되는데, 본 개발 제안의 범위는 상품코드 정보 통합 방법, 메타정보 관리, 상품코드 통합 관리 기반의 커머스 서비스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코드 통합 허브 기반의 상거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판매자시스템(4)과 연계하여 브랜드 상품코드를 서비스제공장치(1)에 연계하고, 이 때 브랜드 코드 속성 및 메타 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한다. 브랜드별 상품 코드는 최초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가 부여한 상품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통합하는 방식이다(520).
이어서, 통합된 상품코드 기반의 커머스 활동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또는(510). 판매처, 판매 방법에 관계 없이 상품 데이터 허브 기반의 상품정보 통합 관리 상품 탐색, 주문, 결제, 배송 등 일련의 과정에서 혁신적인 커머스 기능을 제공한다(520)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 부여 상품코드 중심의 상거래 운영은 오프라인 상품을 쉽게 온라인에서 탐색/비교/주문/결제가 가능하며, 반면으로 온라인에서 탐색한 상품정보를 오프라인 매장 방문하여 쉽게 비교 검토 구매가 가능한 O2O 환경의 커머스를 제공한다.(530)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장치(1)는 다양한 온라인 커머스와 연계되거나 오프라인 매장 운영 환경과 연계되어 유연한 커머스 운영관리가 가능하다.(540)
통합 상품코드 서비스는 기본적 상거래 서비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 분석, 프로모션 정보 활용 등 다양한 부가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상품코드 통합 관리 기반의 온라인, 오프라인 확장된 구매 형태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프라인의 백화점과 같이 온라인의 여러 브랜드를 통합 커머스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즉, 소비자 입장에서는 브랜드별 상품 탐색하고 상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원스탑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점은 오프라인에서 브랜드 로드샵보다 백화점 판매 방식이 소비자 집객 효과, 소비 활동 활성화에 더 강점을 가지고 있는 점과 유사하다. 상품코드 통합 기반의 상거래 플랫폼은 상품 판매 확장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상품탐색 활동, 판매자의 고객 및 상품 분석 정보 활용에 부가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상품코드 통합 기반 상거래 서비스 제공장치
2: 구매자 단말(스마트폰 등)
3: 온라인커머스플랫폼
4: 판매자시스템
10: 데이터베이스
12: 통신부
14: 프로세서
141: 브랜드상품코드 연계 처리부
142: 상품코드통합관리 처리부
143: 상품코드 기반 온오프라인 연계 처리부
144: 커머스 처리부

Claims (7)

  1.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가 부여한 상품코드를 통합하는 단계;
    판매자(브랜드, 밴더, 제조사 등)별 생산/판매하는 상품에 따라 각기 다른 상품코드(자릿수, 속성 등)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개별 상품코드를 허브 기반으로 통합 관리 함으로써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계 다양한 커머스 활동 제공이 가능하고, 판매자 또는 소비자에게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상품의 식별을 위해 불필요하게 소요되었던 상품 탐색 비용, 재고정보, 분석 등의 커머스 활동에 활용되어 커머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통합 허브 기반 상거래 방법.
  2. 상기 상품 정보를 통합하는 방법으로 기준이 되는 상품 코드를 정의하여 이후 개별 브랜드 코드를 매핑하는 방식이 아닌, 브랜드 고유 상품코드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개별 코드의 메타 정의(속성 정의)를 통해 커머스에 활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상거래 방법.
  3. 상품정보 통합 허브 기반의 커머스로 서비스 확장 단계;
    상품정보를 통합관리 함으로써, 판매 채널에 관계 없이 동일 상품코드 운영으로 다양한 판매 채널 운영이 가능하고, 상품 주문 집계, 판매 분석, 배송 관리 등 다양한 업무에서 상품정보 관리 표준적 대안을 제시한다.;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통합 기반의 상거래와 부가적 서비스 확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코드 통합 허브 기반의 상거래 방법.
  4. 상품코드 통합 허브 기반의 배송 정보관리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상거래 방법.
  5. 상품코드 통합 기반의 상거래에서 플랫폼 이용자 간, 수익 중 적어도 일부를 거래 수수료로 부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코드 통합 허브 기반 상거래 방법.
  6.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전자 상거래 형태로 판매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 매장 상품들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가 구매자 단말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 상품들 중에서 상품을 주문하면 선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소비자가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관심 상품을 구매하면 구매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을 오프라인 판매자에 배분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상거래 서비스 제공장치.
  7. 온라인에서 검색 또는 인지한 상품 정보를 활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코드 통합 허브 기반의 상거래 서비스 제공장치.
KR1020150121243A 2015-08-27 2015-08-27 브랜드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허브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 모델 KR20170025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43A KR20170025196A (ko) 2015-08-27 2015-08-27 브랜드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허브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 모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43A KR20170025196A (ko) 2015-08-27 2015-08-27 브랜드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허브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 모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96A true KR20170025196A (ko) 2017-03-08

Family

ID=5840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243A KR20170025196A (ko) 2015-08-27 2015-08-27 브랜드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허브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 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1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82B1 (ko) * 2017-11-30 2018-06-29 박해선 온/오프라인 결합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결제 방법
WO2019107689A1 (ko) * 2017-11-30 2019-06-06 주식회사 리얼트루 온/오프라인 결합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결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82B1 (ko) * 2017-11-30 2018-06-29 박해선 온/오프라인 결합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결제 방법
WO2019107689A1 (ko) * 2017-11-30 2019-06-06 주식회사 리얼트루 온/오프라인 결합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결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73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commerce
JP2015519620A5 (ko)
KR20150017781A (ko) 상품 고유코드를 이용한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8662A (ko) 온·오프라인 통합 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07726A (ko) 상품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40008200A (ko) 오프라인 거래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3620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실시간 매출정보트래킹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8600323B (zh) 一种多中心数据共享系统及其使用方法
KR20150021313A (ko) 코드 인식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09039A (ko) 도소매처 간의 자동주문 및 재고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방법
KR20190016406A (ko) 소비자 구매 경험 기반의 개별화 커머스 서비스 모델
TWI569219B (zh) 商品行銷方法及用於商品行銷方法的伺服端
KR101659891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차량용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5895A (ko) 빅 데이터 분석 기반의 상품 판매 허브 시스템
KR20170025196A (ko) 브랜드 상품코드 통합 방법 및 허브 기반의 커머스 플랫폼 모델
JP2014010535A (ja) 商品販売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70024245A (ko) 상품 이미지 등 상품 식별을 위한 최소 정보를 활용하여 상품 주문/결제 커머스 모델
KR20180110894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o4o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6873A (ko) 텍스 리펀드 몰 운영 방법 및 도구
CN112581113A (zh) 购物结算方法、相关设备和系统
KR20170029845A (ko) 온라인 상거래에 대한 오프라인 인센티브 부여(또는 매출 귀속) 커머스 모델
KR20170031476A (ko) 소비자 구매 의사 정보 주도형 원투원 마케팅 커머스 플랫폼 모델
KR101478033B1 (ko) 휴대폰의 판매시스템
KR20190016404A (ko) 동일군 소비자 대상 o2o 브랜드 융합 마케팅 및 커머스 서비스
KR20160000092A (ko) 병행수입상품 쇼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