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744A -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744A
KR20170023744A KR1020167004003A KR20167004003A KR20170023744A KR 20170023744 A KR20170023744 A KR 20170023744A KR 1020167004003 A KR1020167004003 A KR 1020167004003A KR 20167004003 A KR20167004003 A KR 20167004003A KR 20170023744 A KR20170023744 A KR 20170023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user
account identifi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이 시앙리
주앙 퀴안
바오크 첸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2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features or functions of an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열기 전에,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의 제시에 의해, 직관적으로 각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 로그인어카운트 및 로그인 ID를 구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한 관리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INTERACTION}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원 번호가 CN201510447116.4이며 출원일이 2015년 7월 27일자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스마트 폰의 보급 및 모바일·인터넷(Mobile Internet)의 발전에 수반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도 점점 많아져 가고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는 것을 통해, 작업하거나 오락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다른 어카운트를 사용하여 다른 ID로 로그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양태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한 것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1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1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2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2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상기 프로필 화상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해당 프로필 화상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프로필 화상을 위해 선택한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흔히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포함한다.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기능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은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포함한다.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대응관계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획득한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 이하일 경우, 해당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클 경우, 해당 프로필 화상을 소정의 사이즈의 프로필 화상으로 처리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 상태에 있다고 모니터링 하였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상기 프로필 화상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양태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과,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한 것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을 경우,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 제1 모니터링 서브 모듈과,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1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라고 판단하는 제1 판단 서브 모듈과,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1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모듈은,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 제2 모니터링 서브 모듈과,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2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서브 모듈과,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2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하는 제2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 모듈은,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제1 출력 서브 모듈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상기 프로필 화상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제1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을 포함한다.
상기 획득 모듈은,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제2 출력 서브 모듈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해당 프로필 화상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프로필 화상을 위해 선택한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제2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흔히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출력 서브 모듈 및 상기 제 2 출력 서브 모듈은,
사용자에게 기능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제1 출력 유닛과,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제2 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은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획득하는 제3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대응관계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는 검색 서브 모듈과,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표시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 모듈은,
획득한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 이하일 경우, 상기 표시 모듈에 의해 해당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제3 판단 서브 모듈과,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클 경우, 해당 프로필 화상을 소정의 사이즈의 프로필 화상으로 처리하고, 상기 표시 모듈에 의해 소정의 사이즈로 처리된 해당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 상태에 있다고 모니터링 하였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상기 프로필 화상을 삭제하는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한 것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제공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정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graphic display)하기 위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열기 전에,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의 제시에 의해, 직관적으로 각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 로그인어카운트 및 로그인 ID를 구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한 관리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및 해석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표시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의 해석에 사용된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Application Icon)에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Graphical Account Logo)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에 적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예시를 도면에 표시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모든 실행 형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그들은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어떤 방향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일례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인 "일종" "상기" 및 "해당"은 아래위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라는 용어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와 관련되어 열거된 항목들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 1, 2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서술하고 있지만 이러한 정보가 전술한 용어에 제한된다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다만 이러한 용어들은 동일한 부류의 정보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정황하에서 제 1 정보는 제 2 정보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정보는 제 1 정보로 명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언어 환경에 따라 사용되는 "만약"이라는 단어는 "......때" 또는 "......할때" 또는 "결정에 호응하여"라 이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다른(different) 어카운트를 사용하여 다른 ID로 로그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라이버시성이 높은 소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WeChat)에서 사용자는 실제적인 ID를 사용하여, 실제적인 사진 및 성명으로 로그인하지만, 프라이버시성이 낮은 소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momo)에서, 사용자는 완전히 다른 ID로 로그인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어플리케이션에는 사용자를 도와 각 어플리케이션의 어카운트 ID를 구분하도록 제시하는 메커니즘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사용할 때, 어플리케이션에 진입한 후,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할 때 사용한 로그인어카운트 및 프로필(profile) 등 어카운트 정보를 검색하고 나서야 비로소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 ID를 확인할 수 있어 효율이 아주 낮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제공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정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graphic display)하기 위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열기 전에,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의 제시에 의해, 직관적으로 각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 로그인어카운트 및 로그인 ID를 구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한 관리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되며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 10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한다.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102에 있어서,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PAD 단말기 또는 PC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스마트 폰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장착 된 APP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장착된 소셜 어플리케이션 APP, 예를 들면 WeChat, momo등일 수도 있다.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경우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표기하는 그래픽 식별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그래픽 식별자는 사용자가 사용한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일 수 있다.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제공된 사용자용 설정화면(Set interface)에 대해 설정하는 것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설정화면은 단말기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된 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소정의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의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한 소정의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제의 적용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터치 이벤트는 길게 누르기(long press)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소정의 터치 이벤트는 길게 누르기 이벤트이고,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사용자가 사용한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물론, 해당 소정의 터치 이벤트는 기타 종류의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기타 종류의 사용자의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할 수 있는 식별자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적용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려고 할 때, 상기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소정의 터치 이벤트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한다. 이 경우, 해당 설정화면은 기능 선택 화면 및 화상 선택 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시에, 단말기는 백그라운드(Back stage)에서 리얼타임(real time)으로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고,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르기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르기 이벤트이다라고 판단하였을 경우, 단말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우선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해당 기능 선택 화면은 사용자에게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제공하는 기능 선택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기능 선택 화면에서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을 부팅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단말기 운영 체제에 있어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하여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할 경우, 일반적으로 특정된 조작을 트리거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시스템의 데스크탑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할 때,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데스크탑이 편집 모드에 진입되도록 트리거한다. 편집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시스템의 데스크탑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이동이나 삭제 등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해당 기능 선택 화면은 "데스크탑의 편집 모드에 진입"하는 옵션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옵션을 포함한 선택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기능 선택 화면에서 "데스크탑의 편집 모드에 진입"하는 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시스템이 데스크탑의 편집 모드에 진입되도록 트리거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해당 기능 선택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현재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을 부팅한다.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에서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이 부팅되면,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된다.
여기서, 해당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해당 복수개 프로필 화상은 단말기가 시스템의 백그라운드에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를 표기하는 프로필 화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적용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일괄적으로 설정하려고 할 때, 상기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는 단말기의 시스템 식별자에 대한 소정의 터치 이벤트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기의 시스템 식별자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하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해당 설정화면은 기능 선택 화면,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 및 화상 선택 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시에, 단말기는 백그라운드에서 리얼타임으로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고,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르기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르기 이벤트이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단말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우선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기능 선택 화면은 사용자에게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제공하는 기능 선택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기능 선택 화면에서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을 부팅한다.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에서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이 부팅되면,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화면를 출력하도록 트리거된다.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은 단말기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선택 화면일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려고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려고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경우,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복수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선택한 해당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일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 확인버튼을 하나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려고 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해당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선택 완료를 의미한다. 이때,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한다.
여기서, 해당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를 표기하는 프로필 화상을 각각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 한다. 예를 들면, 실현시,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외에,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빈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의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프로필 화상을 선택할 때,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직접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빈 영역에 드래그(drag)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 형태에서 나타난 화상 선택 화면에는 확인버튼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단일 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를 표기하는 프로필 화상을 선택한 후, 해당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 완료를 의미한다. 단말기 운영 체제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가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해당 프로필 화상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로컬에 저장하여, 시스템 검색(System query)에 이용한다.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 완료 후, 시스템의 데스크탑 (Launcher)이 부팅될 때마다,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를 읽어낼 수 있으며, 상기 대응관계를 검색해여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고, 검색한 해당 프로필 화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로컬에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어카운트 변경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 사용자가 기타 로그인어카운트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로그인 하였을 경우,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실행과정에 따라, 다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하는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나타난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행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이나 사용자가 이미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외에, 어플리케이션이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여, 단말기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한 후, 해당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일괄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단말기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한 후, 해당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사용자가 이미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사용자가 흔히 사용하는 모든 로그인어카운트를 포함하므로, 해당 화상 선택 화면은 더이상 단순한 화상 선택장치가 아니다. 사용자는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의 프로필 화상을 선택할 수 있는 외에, 해당 프로필 화상에 대해 대응하는 어카운트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완료 후, 시스템 검색을 위해, 단말기는 로컬에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필 화상과 사용자가 해당 프로필 화상을 위해 지정한 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선택 화면은 2개 흔히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 A, B 및 2개 프로필 화상 즉 프로필 1, 프로필 2를 포함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프로필 1을 해당 로그인어카운트 A를 표기하는 사용자 프로필로서, 프로필 2를 해당 로그인어카운트 B를 표기하는 사용자 프로필로서 선택할 수 있다. 선택 완료된 후, 제1 선택 화면에는 로그인어카운트 A와 프로필 1, 및 로그인어카운트 B와 프로필 2와의 대응관계가 확립되고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어카운트 변경이 발생되었을 경우, 즉, 사용자가 흔히 사용하는 기타 로그인어카운트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로그인 하였을 경우, 이미 화상 선택 화면에서 흔히 사용하는 모든 로그인어카운트 각각을 위해 프로필 화상을 선택하고, 단말기는 로컬에 그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어카운트 변경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현재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새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백그라운드에서 직접 저장된 대응관계를 검색하여, 새로 로그인한 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할 때, 해당 프로필 화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의 표시위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실행할 경우, 해당 프로필 화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의 표시위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좌상 코너일 수 있다. 사용자가 화상 선택 화면의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좌상 코너에 즉시 소정의 사이즈(예를 들면 40 화소) 및 소정의 형태(예를 들면 원형)의 부동층(floating layer)을 작성하고, 사용자가 이미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정한 프로필 화상을 작성된 해당 부동층에 표시한다. 물론, 단말기는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기 전에, 획득한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해당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 이하일 경우, 단말기는 직접 해당 프로필 화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해당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클 경우, 단말기는 해당 프로필 화상을 소정의 사이즈의 프로필 화상으로 처리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현재의 어카운트로부터 로그아웃 하여,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백그라운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 상태에 있다고 모니터링 하였을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프로필 화상을 삭제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현재의 어카운트로부터 로그아웃 한 후, 기타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로 새로 로그인할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을 새로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가 이미 화상 선택 화면을 통해 흔히 사용하는 모든 어카운트 각각을 위해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설정하고,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와 설정된 프로필 화상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백그라운드에서 직접 해당 대응관계를 검색하고, 현재의 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표시된 사용자 프로필에 대해 업데이트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에 기재된 사용자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길게 누르기 조작 또는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한 길게 누르기 조작에 의해, 단말기가 상기 설정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하는 것 외에, 실행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단말기의 운영 체제에 의해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일 경우,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우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로그인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로그인 상태에 있을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 데이터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사용자 프로필을 읽어내고, 읽어낸 사용자 프로필을 자동적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제공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정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graphic display)하기 위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열기 전에,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의 제시에 의해, 직관적으로 각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 로그인어카운트 및 로그인 ID를 구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한 관리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되며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202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을 포함한다. 혹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흔히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포함한다.
단계 203에 있어서,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이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을 포함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상기 프로필 화상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한다.
단계 204에 있어서,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이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흔히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포함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해당 프로필 화상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프로필 화상을 위해 선택한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한다.
단계 205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획득한다.
단계 206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한다.
단계 207에 있어서,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PAD 단말기 또는 PC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스마트 폰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APP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장착된 소셜 어플리케이션 APP, 예를 들면 WeChat, momo등일 수도 있다.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경우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표기하는 그래픽 식별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그래픽 식별자는 사용자가 사용한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일 수 있다.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제공된 사용자용 설정화면(Set interface)에 대해 설정하는 것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설정화면은 단말기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된 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소정의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의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한 소정의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제의 적용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터치 이벤트는 길게 누르기(long press)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소정의 터치 이벤트는 길게 누르기 이벤트이고,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사용자가 사용한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물론, 해당 소정의 터치 이벤트는 기타 종류의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기타 종류의 사용자의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할 수 있는 식별자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적용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려고 할 때, 상기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소정의 터치 이벤트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한다. 이 경우, 해당 설정화면은 기능 선택 화면 및 화상 선택 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시에, 단말기는 백그라운드(Back stage)에서 리얼타임(real time)으로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고,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르기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르기 이벤트이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단말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우선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해당 기능 선택 화면은 사용자에게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제공하는 기능 선택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기능 선택 화면에서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을 부팅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단말기 운영 체제에 있어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하여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할 경우, 일반적으로 특정된 조작을 트리거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시스템의 데스크탑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할 때,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데스크탑이 편집 모드에 진입되도록 트리거한다. 편집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시스템의 데스크탑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이동이나 삭제 등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해당 기능 선택 화면은 "데스크탑의 편집 모드에 진입"하는 옵션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옵션을 포함한 선택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기능 선택 화면에서 "데스크탑의 편집 모드에 진입"하는 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시스템이 데스크탑의 편집 모드에 진입되도록 트리거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해당 기능 선택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현재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을 부팅한다.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에서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이 부팅되면,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된다.
여기서, 해당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해당 복수개 프로필 화상은 단말기가 시스템의 백그라운드에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를 표기하는 프로필 화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적용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일괄적으로 설정하려고 할 때, 상기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는 단말기의 시스템 식별자에 대한 소정의 터치 이벤트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기의 시스템 식별자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하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해당 설정화면은 기능 선택 화면,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 및 화상 선택 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시에, 단말기는 백그라운드에서 리얼타임으로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고,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르기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길게 누르기 이벤트이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단말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우선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기능 선택 화면은 사용자에게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제공하는 기능 선택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기능 선택 화면에서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을 부팅한다.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에서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기능이 부팅되면,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화면를 출력하도록 트리거된다.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은 단말기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선택 화면일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려고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려고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경우,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복수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선택한 해당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일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 확인버튼을 하나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려고 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해당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선택 완료를 의미한다. 이때,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한다.
여기서, 해당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를 표기하는 프로필 화상을 각각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 한다. 예를 들면, 실현시,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외에,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빈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의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프로필 화상을 선택할 때,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직접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빈 영역에 드래그(drag)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 형태에서 나타난 화상 선택 화면에는 확인버튼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단일 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를 표기하는 프로필 화상을 선택한 후, 해당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 완료를 의미한다. 단말기 운영 체제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가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해당 프로필 화상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로컬에 저장하여, 시스템 검색(System query)에 이용한다.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 완료 후, 시스템의 데스크탑 (Launcher)이 부팅될 때마다,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를 읽어낼 수 있으며, 상기 대응관계를 검색하여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고, 검색한 해당 프로필 화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로컬에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어카운트 변경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 사용자가 기타 로그인어카운트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로그인 하였을 경우,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실행과정에 따라, 다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하는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나타난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행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이나 사용자가 이미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외에, 어플리케이션이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여, 단말기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한 후, 해당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일괄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단말기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한 후, 해당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사용자가 이미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사용자가 흔히 사용하는 모든 로그인어카운트를 포함하므로, 해당 화상 선택 화면은 더 이상 단순한 화상 선택장치가 아니다. 사용자는 해당 화상 선택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의 프로필 화상을 선택할 수 있는 외에, 해당 프로필 화상에 대해 대응하는 어카운트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완료 후, 시스템 검색을 위해, 단말기는 로컬에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필 화상과 사용자가 해당 프로필 화상을 위해 지정한 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선택 화면은 2개 흔히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 A, B 및 2개 프로필 화상 즉 프로필 1, 프로필 2를 포함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프로필 1을 해당 로그인어카운트 A를 표기하는 사용자 프로필로서, 프로필 2를 해당 로그인어카운트 B를 표기하는 사용자 프로필로서 선택할 수 있다. 선택 완료된 후, 제1 선택 화면에는 로그인어카운트 A와 프로필 1, 및 로그인어카운트 B와 프로필 2와의 대응관계가 확립되고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어카운트 변경이 발생되었을 경우, 즉, 사용자가 흔히 사용하는 기타 로그인어카운트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로그인하였을 경우, 이미 화상 선택 화면에서 흔히 사용하는 모든 로그인어카운트 각각을 위해 프로필 화상을 선택하고, 단말기는 로컬에 그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어카운트 변경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현재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새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백그라운드에서 직접 저장된 대응관계를 검색하여, 새로 로그인한 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할 때, 해당 프로필 화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의 표시위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행할 경우, 해당 프로필 화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의 표시위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좌상 코너일 수 있다. 사용자가 화상 선택 화면의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좌상 코너에 즉시 소정의 사이즈(예를 들면 40 화소) 및 소정의 형태(예를 들면 원형)의 부동층(floating layer)을 작성하고, 사용자가 이미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정한 프로필 화상을 작성된 해당 부동층에 표시한다. 물론, 단말기는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기 전에, 획득한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해당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 이하일 경우, 단말기는 직접 해당 프로필 화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해당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클 경우, 단말기는 해당 프로필 화상을 소정의 사이즈의 프로필 화상으로 처리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현재의 어카운트로부터 로그아웃 하여,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백그라운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 상태에 있다고 모니터링 하였을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프로필 화상을 삭제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현재의 어카운트로부터 로그아웃 한 후, 기타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로 새로 로그인할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길게 누르기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을 새로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가 이미 화상 선택 화면을 통해 흔히 사용하는 모든 어카운트 각각을 위해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설정하고, 흔히 사용하는 어카운트와 설정된 프로필 화상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백그라운드에서 직접 해당 대응관계를 검색하고, 현재의 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표시된 사용자 프로필에 대해 업데이트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에 기재된 사용자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길게 누르기 조작 또는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한 길게 누르기 조작에 의해, 단말기가 상기 설정화면을 출력하도록 트리거하는 것 외에, 실행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단말기의 운영 체제에 의해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일 경우,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우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로그인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로그인 상태에 있을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 데이터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현재의 사용자 프로필을 읽어내고, 읽어낸 사용자 프로필을 자동적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제공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정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graphic display)하기 위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열기 전에,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의 제시에 의해, 직관적으로 각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 로그인어카운트 및 로그인 ID를 구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한 관리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장치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400)는 획득 모듈 (401) 및 표시 모듈 (402)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획득 모듈 (401)은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표시 모듈 (402)은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제공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정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graphic display)하기 위한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열기 전에,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의 제시에 의해, 직관적으로 각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 로그인어카운트 및 로그인 ID를 구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어카운트에 대한 관리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면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 (400)는 판단 모듈 (403)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판단 모듈 (403)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을 경우, 상기 획득 모듈 (401)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면 5에 나타난 실시예 기초하여, 상기 판단 모듈 (403)은 제1 모니터링 서브 모듈 (403 A), 제1 판단 서브 모듈 (403 B) 및 제1 결정 서브 모듈 (403 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모니터링 서브 모듈 (403 A)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판단 서브 모듈 (403 B)은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1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상기 제 1소정의 이벤트는 길게 누르기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정 서브 모듈 (403 C)은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1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도 6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기재된 제1 모니터링 서브 모듈 (403 A), 제1 판단 서브 모듈 (403 B) 및 제1 결정 서브 모듈 (403 C)의 구조는 상기 도 4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면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 모듈 (403)은 제2 모니터링 서브 모듈 (403 D), 제2 판단 서브 모듈 (403 E) 및 제2 결정 서브 모듈 (403 F)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2 모니터링 서브 모듈 (403 D)은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판단 서브 모듈 (403 E)은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2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상기 제 2소정의 이벤트는 길게 누르기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정 서브 모듈 (403 F)은 모니터링 한 터치 이벤트가 제 2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7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기재된 제2 모니터링 서브 모듈 (403 D), 제2 판단 서브 모듈 (403 E) 및 제2 결정 서브 모듈 (403 F)의 구조는 상기 도4또는 도6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면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 모듈 (401)은 제1 출력 서브 모듈 (401 A) 및 제1 획득 서브 모듈 (401 B)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출력 서브 모듈 (401 A)은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획득 서브 모듈 (401 B)은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상기 프로필 화상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 8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기재된 제1 출력 서브 모듈 (401 A) 및 제1 획득 서브 모듈 (401 B)의 구조는 상기 도면 4, 6-7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면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 모듈 (401)은 제2 출력 서브 모듈 (401 C) 및 제2 획득 서브 모듈 (401 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2 출력 서브 모듈 (401 C)은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흔히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획득 서브 모듈 (401 D)은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상기 프로필 화상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프로필 화상을 위해 선택한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 9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기재된 제2 출력 서브 모듈 (401 C) 및 제2 획득 서브 모듈 (401 D)의 구조는 상기 도 4, 6-8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8또는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출력 서브 모듈 (401 A) 및 제2 출력 서브 모듈 (401 C)은 제1 출력 유닛 (401 AC1) 및 제2 출력 유닛 (401 AC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출력 유닛 (401 AC1)은 사용자에게 기능 선택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은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 유닛 (401 AC2)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도 10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기재된 제1 출력 유닛 (401 AC1) 및 제2 출력 유닛 (401 AC2)의 구조는 상기 도5-9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면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모듈 (402)은 제3 획득 서브 모듈 (402 A), 검색 서브 모듈 (402 B) 및 표시 서브 모듈 (402 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3 획득 서브 모듈 (402 A)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검색 서브 모듈 (402 B)은 상기 대응관계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시 서브 모듈 (402 C)은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 11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기재된 제3 획득 서브 모듈 (402 A), 검색 서브 모듈 (402 B) 및 표시 서브 모듈 (402 C)의 구조는 상기 도 5-10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8및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 모듈 (401)은 제3 판단 서브 모듈 (401 E) 및 처리 서브 모듈 (401 F)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3 판단 서브 모듈 (401 E)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즉, 획득한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 이하일 경우, 상기 표시 모듈 (402)에 의해 해당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상기 처리 서브 모듈 (401 F)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클 경우, 해당 프로필 화상을 소정의 사이즈의 프로필 화상으로 처리하고, 상기 표시 모듈 (402)에 의해 소정의 사이즈로 처리된 해당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도 12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기재된 제3 판단 서브 모듈 (401 E) 및 처리 서브 모듈 (401 F)의 구조는 상기 도4-7 또는 도 10-11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면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 (400)는 삭제 모듈 (404)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삭제 모듈 (404)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 상태에 있다고 모니터링 하였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상기 프로필 화상을 삭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 13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기재된 삭제 모듈 (404)의 구조는 상기 도 4, 또는 도 6 -12에 나타난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의 각 유닛의 기능 및 작용의 실현과정의 세부사항은, 상술한 방법의 대응하는 단계의 실현과정을 참조하면 된다.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장치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기 때문에, 관련하는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일부분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여기서 분리부품으로서 설명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닛으로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즉, 한곳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의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분 또는 전부 모듈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기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이를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다.
상응적으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한다.
상응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은 조작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에 이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1400)이다. 예를 들면, 장치 (14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컨트롤러, 플랫 장치, 의료장치, 피트니스 장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수 있다.
도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4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401), 메모리(1402), 전원 어셈블리(1403),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4), 오디오 어셈블리(1405),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406), 센서 어셈블리(1407) 및 통신 어셈블리(1408)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401)는 통상적으로 장치(14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통화,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401)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4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1401)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1401)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1401)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4)와 프로세스 어셈블리(1401)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1402)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되어 장치(14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14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인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402)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력 어셈블리(1403)는 장치(14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어셈블리(1403)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14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4)는 상기 장치(14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4)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4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405)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405)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장치(14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더 나아가 메모리(1402)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1408)를 통하여 송신될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1405)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1406)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401)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클릭 휠,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407)는 장치(14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1407)는 장치(1400)의 온/오프 상태,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와 같은 장치(1400)의 어셈블리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1407)는 장치(1400) 혹은 장치(14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장치(1400) 사이의 접촉여부, 장치(14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장치(14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407)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이도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407)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407)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408)는 장치(14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14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1408)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408)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근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블루투스(BT)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14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1402)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1400)의 프로세서(14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록매체 중의 인스트럭션은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이동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참조하고 또한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행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며, 본 명세서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와 취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되고 도면에 나타낸 구체적인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21)

  1.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제 1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제 1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제 2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제 2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상기 프로필 화상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해당 프로필 화상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프로필 화상을 위해 선택한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흔히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기능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은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대응관계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획득한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 이하일 경우, 해당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클 경우, 해당 프로필 화상을 소정의 사이즈의 프로필 화상으로 처리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 상태에 있다고 모니터링 하였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상기 프로필 화상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11.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과,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가 모니터링 되었을 경우,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는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 제1 모니터링 서브 모듈과,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제 1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서브 모듈과,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제 1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시스템의 데스크탑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 제2 모니터링 서브 모듈과,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제 2소정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서브 모듈과,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제 2 소정의 이벤트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였다고 결정하는 제2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제1 출력 서브 모듈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상기 프로필 화상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제1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사용자에게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제2 출력 서브 모듈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선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로서 획득하고, 로컬에 해당 프로필 화상과 사용자가 상기 화상 선택 화면에서 해당 프로필 화상을 위해 선택한 로그인어카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제2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은 복수개 소정의 프로필 화상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흔히 사용하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서브 모듈 및 상기 제 2 출력 서브 모듈은,
    사용자에게 기능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제1 출력 유닛과,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제2 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 선택 화면은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 설정옵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를 획득하는 제3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대응관계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에 대응하는 프로필 화상을 획득하는 검색 서브 모듈과,
    획득한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표시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획득한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 이하일 경우, 상기 표시 모듈에 의해 해당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제3 판단 서브 모듈과,
    상기 프로필 화상의 사이즈가 소정의 사이즈보다 클 경우, 해당 프로필 화상을 소정의 사이즈의 프로필 화상으로 처리하고, 상기 표시 모듈에 의해 소정의 사이즈로 처리된 해당 프로필 화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아웃 상태에 있다고 모니터링 하였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 상기 프로필 화상을 삭제하는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21.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래픽 어카운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어카운트 정보를 그래픽 표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장치.
KR1020167004003A 2015-07-27 2015-12-18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70023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47116.4 2015-07-27
CN201510447116.4A CN105117209B (zh) 2015-07-27 2015-07-27 应用交互方法和装置
PCT/CN2015/097795 WO2017016147A1 (zh) 2015-07-27 2015-12-18 应用交互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744A true KR20170023744A (ko) 2017-03-06

Family

ID=5466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003A KR20170023744A (ko) 2015-07-27 2015-12-18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31540A1 (ko)
EP (1) EP3125093A1 (ko)
JP (1) JP6262920B2 (ko)
KR (1) KR20170023744A (ko)
CN (1) CN105117209B (ko)
MX (1) MX2016004714A (ko)
RU (1) RU2643461C2 (ko)
WO (1) WO2017016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7209B (zh) * 2015-07-27 2019-0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交互方法和装置
JP6092446B1 (ja) * 2015-10-23 2017-03-0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部分駆動型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05760045A (zh) * 2016-01-29 2016-07-1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的登录方法、应用程序的登录装置和终端
CN105824498A (zh) * 2016-01-29 2016-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邮件应用程序的开启方法和移动终端
US20180096130A1 (en) * 2016-09-30 2018-04-05 Salesforce.Com, Inc. Associating multiple e-learning development environments with a single user
US9917962B1 (en) * 2016-10-20 2018-03-13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function peripheral with avatar based login
CN108460259B (zh) * 2016-12-13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7562327B (zh) * 2017-10-27 2020-12-0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邮箱账号的管理方法和装置、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CN109408187B (zh) * 2018-10-31 2022-12-30 武汉大数据产业发展有限公司 头像设置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1654729B (zh) * 2020-05-27 2021-11-2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账号登录状态的更新方法及显示设备
CN111818263B (zh) * 2020-07-09 2022-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参数的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3641282A (zh) * 2021-06-17 2021-11-12 深圳市爱都科技有限公司 一种账户的设备关联方法、装置和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1282B2 (en) * 2003-06-13 2006-05-23 Microsoft Corporation Multi-layer graphical user interface
GB0808023D0 (en) * 2008-05-02 2008-06-11 British Telecomm Graphical data processing
US20100146452A1 (en) * 2008-12-04 2010-06-10 Nicholas Rose Graphical user interface unit for provisioning and editing of business information in an application supporting an interaction center
US9325823B2 (en) * 2008-12-19 2016-04-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Visual address book and dialer
US20100223569A1 (en) * 2009-02-27 2010-09-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418079B2 (en) * 2009-09-01 2013-04-09 James J. Nicholas, III System and method for cursor-based application management
US20110296043A1 (en) * 2010-06-01 2011-12-01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Shared Sessions in a Shared Resource Computing Environment
JP5342531B2 (ja) * 2010-09-30 2013-11-13 ヤフ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共有フォルダアイコン表示方法、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8522358B2 (en) * 2010-12-28 2013-08-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Universal identity service avatar ecosystem
US20120313962A1 (en) * 2011-06-07 2012-12-13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JP5852392B2 (ja) * 2011-09-30 2016-02-03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136273A (zh) * 2011-12-02 2013-06-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网页上显示用户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873413B1 (ko) * 2012-02-17 201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RU2486585C1 (ru) * 2012-05-16 2013-06-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Яндекс"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бора и управления профилями интернет-пользователей
JP5916590B2 (ja) * 2012-12-06 2016-05-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操作装置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
JP6109562B2 (ja) * 2012-12-27 2017-04-0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画面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面制御方法
GB2511526A (en) * 2013-03-06 2014-09-10 Ibm Interactor for a graphical object
CN104468103A (zh) * 2013-09-13 2015-03-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和服务器
CN104238875B (zh) * 2014-08-15 2018-07-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程序角标添加方法及装置
KR20170006579A (ko) * 2015-07-08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아이콘 변경 방법
CN105117209B (zh) * 2015-07-27 2019-0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交互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12906A (ru) 2017-10-06
CN105117209A (zh) 2015-12-02
MX2016004714A (es) 2017-05-19
RU2643461C2 (ru) 2018-02-01
EP3125093A1 (en) 2017-02-01
JP2017532693A (ja) 2017-11-02
US20170031540A1 (en) 2017-02-02
JP6262920B2 (ja) 2018-01-17
CN105117209B (zh) 2019-02-12
WO2017016147A1 (zh)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3744A (ko)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9124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leting smart scene
US1024216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US966777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nding virtual information card
US9800666B2 (en) Method and client terminal for remote assistance
KR101695075B1 (ko) 지능형 원격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160352661A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796400B1 (ko) 정보 수집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170034325A1 (en) Image-base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317939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automatic parallel login and logout in several applications
EP3012725B1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descriptive icon information
KR20170012179A (ko) 텍스트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1478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EP3015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device connection
EP31312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image and terminal
US201700194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control program
US202203914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sharing
EP3104282A1 (en) Search method and search apparatus
EP3128722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9740524B2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chain
EP3182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monitoring
US20160127196A1 (en) Device connection prom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