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474A -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474A
KR20170023474A KR1020150118643A KR20150118643A KR20170023474A KR 20170023474 A KR20170023474 A KR 20170023474A KR 1020150118643 A KR1020150118643 A KR 1020150118643A KR 20150118643 A KR20150118643 A KR 20150118643A KR 20170023474 A KR20170023474 A KR 2017002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ase plate
hole
lens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721B1 (ko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주)모그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그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모그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5011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7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239
    • H04N13/0203
    • H04N5/2251
    • H04N5/2252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다차원 이미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촬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차원 이미지의 획득시 기준점의 변경이나 흔들림 없이 촬영함으로써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는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있어서, 카메라하우징에 렌즈부, 표시부 및 조작부가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모듈; 상기 렌즈부가 노출되는 렌즈홀, 상기 표시부가 노출되는 표시홀, 및 상기 조작부가 노출되는 조작홀이 관통된 복수의 설치면을 갖도록 다면체로 형성된 커버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의하면, 다면체로 형성된 카메라하우징에 다수의 카메라모듈이 장착되어 동시에 촬상할 수 있으므로 다차원 이미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고, 촬영시에 기준점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의하면, 요동방지부재에 의해 복수의 카메라모듈의 배면이 밀착, 지지되고 카메라모듈의 전면이 지주부재에 밀착, 지지되므로 카메라모듈의 요동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촬상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아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MULTI-DIMENSIONAL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다차원 이미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촬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차원 이미지의 획득시 기준점의 변경이나 흔들림 없이 촬영함으로써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상 현상을 통한 물체에의 시각적 접근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진과 같은 평면 이미지뿐만 아니라 눈앞에 실제 대상물이 있는 것과 동일한 입체감과 느낄 수 있고, 사용자가 대상물을 보는 방향이나 자세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3차원 이미지는 촬상 대상물을 여러 각도에서 수동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사진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촬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촬영 대상물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여러 각도에서 촬영할 경우 기준점이 일치하지 않아 오차나 오류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생성되는 3차원 이미지의 품질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0346호(등록일자:2012.04.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부가 구비된 듀얼 카메라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듀얼 카메라 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0)상에 하나의 홀더(30)가 안착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홀더(30)에는 복수의 렌즈 배럴(12,22)이 고정 설치되도록 복수의 고정부(11,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3D 촬영시 요구되는 카메라 광을 집광하기 위해서 2개의 렌즈부(10,20)는 인쇄회로기판(40) 상면부 중 선택된 일면 2곳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이미지 센서(15, 25)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듀얼 카메라 장치(100)는 하나의 홀더에 복수의 렌즈배럴이 설치되므로 틸팅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획득되는 영상품질이 비교적 우수하지만, 2개의 렌즈가 한 방향으로만 배치되어 획득되는 영상이 고품질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기위해서는 여전히 여러 각도에서 이미지를 촬영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시 기준점이 일치하지 않아 오차나 오류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생성되는 3차원 이미지의 품질이 낮은 한계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40346호 "듀얼 카메라 장치"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80701호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다차원 이미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촬상할 수 있도록 한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차원 이미지를 기준점의 변경이나 흔들림 없이 촬영함으로써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는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있어서, 카메라하우징에 렌즈부, 표시부 및 조작부가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모듈; 상기 렌즈부가 노출되는 렌즈홀, 상기 표시부가 노출되는 표시홀, 및 상기 조작부가 노출되는 조작홀이 관통된 복수의 설치면을 갖도록 다면체로 형성된 커버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조립체는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서리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부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대향 되는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안착부가 요입된 상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심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지지하여 요동을 차단하는 요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부재는 횡단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로, 세로 길이가 서로 다른 부등변 앵글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상지지부재는 상기 지주부재가 안착 되도록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의 부등변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지지조립체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및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홀, 상기 표시홀, 및 상기 조작홀이 관통된 복수의 커버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지지부재는 "ㄷ"자 형상 몸체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 중에서 어느 한쪽은 폭이 넓게 형성된 대폭부로, 다른 한쪽은 상기 대폭부에 비해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소폭부로 형성되고, "ㄷ"자 형상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부등변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대폭부의 개구 방향으로 단부에 소폭안착홈이, 상기 소폭부의 개구 방향으로 단부에 대폭안착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부재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조작홀과 연통되어 노출되도록 조작부노출홀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지주부재, 상기 상지지부재, 상기 요동방지부재,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이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는 상기 렌즈부의 촬상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방향조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의하면, 다면체로 형성된 카메라하우징에 다수의 카메라모듈이 장착되어 동시에 촬상할 수 있으므로 다차원 이미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고, 촬영시에 기준점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의하면, 요동방지부재에 의해 복수의 카메라모듈의 배면이 밀착, 지지되고 카메라모듈의 전면이 지주부재에 밀착, 지지되므로 카메라모듈의 요동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촬상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아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의하면, 베이스플레이트와 상지지부재에 형성된 부등변안착홈에 부등변 앵글 구조로 형성된 지주부재가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돌출 부위가 발생되지 않아서 외관 구조를 간결,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이미지 촬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의 커버하우징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형상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의 카메라모듈 및 지지조립체 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의 지지조립체 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5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의 커버하우징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형상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의 카메라모듈 및 지지조립체 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다차원 이미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촬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카메라모듈(1), 이 카메라모듈(1)을 지지하는 지지조립체(2), 및 지지조립체(1)의 외부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3)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모듈(1)은 카메라하우징(11)의 내부에 다양한 회로 및 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전원부(미도시) 등이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으로, 카메라하우징(1)의 외부에 렌즈부(12), LCD 또는 터치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된 표시부(13) 및 조작버튼으로 구성된 조작부(14)가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카메라모듈(1)은 전술한 디지털 카메라 외에도 외관 구조가 동일, 유사하다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구조의 카메라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의 지지조립체 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5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지지조립체(2)는 커버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메라모듈(1)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플레이트(21), 지주부재(22), 상지지부재(23), 및 요동방지부재(24)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1)는 하부에 배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판상몸체의 중앙에 요동방지부재(24)의 하단이 안착되는 요동방지부재안착홈(212)이 형성되어 있고, 사각 형상을 갖는 판상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후술되는 부등변 앵글 구조의 지주부재(22)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부등변안착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등변안착홈(213)은 "ㄱ"자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되 가로방향홈(213a)과 세로방향홈(213b)의 요입부 사이즈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각 카메라모듈(1)의 돌출부가 안착되도록 복수의 돌출부안착홈(214)이 요입되어 있다.
지주부재(22)는 베이스플레이트(21)의 모서리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횡단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로, 세로 폭이 서로 다른 부등변 앵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부재(22)는 카메라모듈(1)의 조작부(14)가 조작홀(312)과 연통되어 노출되도록 조작부노출홈(221)이 요입,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주부재(22) 중에서 후술되는 상지지부재(23)의 대폭부(232)와 안착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지주부재는 카메라하우징(11)이 올려지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안착턱(224)이 형성되어 있다.
상지지부재(23)는 베이스플레이트(21)와 대향되는 상부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판상몸체의 중앙에 일측으로 개구된 카메라안착부(231)가 요입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지지부재(23)는 "ㄷ"자 형상 몸체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 중에서 어느 한쪽은 폭이 넓게 형성된 대폭부(232)로, 다른 한쪽은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소폭부(233)로 형성되어 있고, "ㄷ"자 형상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지주부재(22)가 안착 되도록 부등변안착홈(2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폭부(232)의 개구 방향으로 단부에 폭이 작은 소폭안착홈(235)이, 마주보는 소폭부(233)의 개구 방향 단부에 대폭부에 비해 폭이 큰 대폭안착홈(23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등변안착홈(234)은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21)에 형성된 부등변안착홈(213)과 대칭구조를 갖도록 "ㄱ"자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되 가로방향홈(234a)과 세로방향홈(234b)의 요입부 사이즈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요동방지부재(24)는 베이스플레이트(21)의 중심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카메라모듈(1)의 배면을 지지함으로써 요동을 차단하는 부재로서, 전후 및 좌우 부분에 각각 카메라모듈(1)의 배면 부분이 안착 되도록 직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방지부재(24)의 높이는 상부에 배치되는 카메라모듈(1)의 배면이 안착된 상태에서 카메라하우징(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부연 설명하면, 요동방지부재(24)는 상지지부재(23)에 밀착되지 않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1)의 두께 정도만큼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하우징(3)은 지지조립체(2)를 둘러싸는 커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각 카메라모듈(1)의 렌즈부(12)가 노출되는 렌즈홀(311), 표시부(13)가 노출되는 표시홀(312), 및 조작부(14)가 노출되는 조작홀(313)이 관통된 복수의 설치면을 갖도록 다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하우징(3)은 지지조립체(2)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및 상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커버플레이트(31)로 형성되고, 각 커버플레이트(31)에는 렌즈홀(311), 표시홀(312), 및 조작홀(31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21), 지주부재(22), 상지지부재(23), 요동방지부재(24), 및 커버플레이트(31)는 서로 간에 조립을 위해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공에는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는 회전동작을 통해 렌즈부(12)의 촬상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21)에 결합되는 방향조정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방향조정부재(미도시)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이 안착판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바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의 요동방지부재안착홈(212)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요동방지부재(24)를 직립되게 결합하고,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면에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4개의 카메라모듈(1)를 올려놓고, 베이스플레이트(21)의 각 모서리에 지주부재(22)를 직립되게 설치한다.
이후, 지주부재(22)의 상부에 상지지부재(23)를 삽입하고 지주부재(22)에 전후 및 좌우 커버플레이트(31)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한 다음, 요동방지부재(24)의 상면에 상부 카메라모듈(1)을 설치한 다음 상지지부재(23)의 카메라안착부(231)에 상부 카메라모듈(1)을 삽입하고 상부 커버플레이트(31)를 결합하게 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전체적인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는 5개의 카메라모듈이 동시에 작동되어 5개의 영상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으므로 다차원을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촬영시에 기준점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는 요동방지부재(24)에 의해 각 카메라하우징(11)의 배면이 밀착, 지지되고 각 카메라하우징(11)의 전면이 지주부재(2)에 밀착, 지지되므로 촬상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아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21)와 상지지부재(23)에 부등변안착홈(213,234)이 요입되고, 지주부재(22)가 부등변 앵글로 형성되어 지주부재(22)가 부등변안착홈(213,234)에 끼워지듯이 내측으로 이동, 조립되므로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돌출 부위가 발생되지 않아서 구조를 간결, 단순화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카메라모듈 11:카메라하우징
12:렌즈부 13:표시부
14:조작부 2:지지조립체
21:베이스플레이트 22:지주부재
23:상지지부재 24:요동방지부재
3:커버하우징 31:커버플레이트
311:렌즈홀 312:표시홀
313:조작홀

Claims (5)

  1.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에 있어서,
    카메라하우징에 렌즈부, 표시부 및 조작부가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모듈;
    상기 렌즈부가 노출되는 렌즈홀, 상기 표시부가 노출되는 표시홀, 및 상기 조작부가 노출되는 조작홀이 관통된 복수의 설치면을 갖도록 다면체로 형성된 커버하우징; 및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조립체는,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서리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부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대향 되는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안착부가 요입된 상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심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지지하여 요동을 차단하는 요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는 횡단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로, 세로 길이가 서로 다른 부등변 앵글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상지지부재는 상기 지주부재가 안착 되도록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의 부등변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지지조립체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및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홀, 상기 표시홀, 및 상기 조작홀이 관통된 복수의 커버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지부재는 "ㄷ"자 형상 몸체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 중에서 어느 한쪽은 폭이 넓게 형성된 대폭부로, 다른 한쪽은 상기 대폭부에 비해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소폭부로 형성되고, "ㄷ"자 형상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부등변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대폭부의 개구 방향으로 단부에 소폭안착홈이, 상기 소폭부의 개구 방향으로 단부에 대폭안착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부재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조작홀과 연통되어 노출되도록 조작부노출홀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지주부재, 상기 상지지부재, 상기 요동방지부재,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이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촬상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방향조정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KR1020150118643A 2015-08-24 2015-08-24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KR101715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43A KR101715721B1 (ko) 2015-08-24 2015-08-24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43A KR101715721B1 (ko) 2015-08-24 2015-08-24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474A true KR20170023474A (ko) 2017-03-06
KR101715721B1 KR101715721B1 (ko) 2017-03-14

Family

ID=5839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643A KR101715721B1 (ko) 2015-08-24 2015-08-24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3142A (zh) * 2017-04-14 2017-07-28 深圳市派虎科技有限公司 摄像支架装置及全景摄像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437A (ko) * 2002-01-28 2003-08-02 주식회사 영국전자 파노라마 촬영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9567A (ko) * 2005-02-05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조립구조
KR100780701B1 (ko) 2006-03-28 2007-11-30 (주)오픈브이알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KR20110107192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 구현 카메라 모듈과,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KR101140346B1 (ko) 2010-08-31 2012-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437A (ko) * 2002-01-28 2003-08-02 주식회사 영국전자 파노라마 촬영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9567A (ko) * 2005-02-05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조립구조
KR100780701B1 (ko) 2006-03-28 2007-11-30 (주)오픈브이알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KR20110107192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 구현 카메라 모듈과,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KR101140346B1 (ko) 2010-08-31 2012-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3142A (zh) * 2017-04-14 2017-07-28 深圳市派虎科技有限公司 摄像支架装置及全景摄像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721B1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0952B2 (en) Imaging module with two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WO2014069251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60070088A1 (en) Imaging apparatus having bending optical element
US20160306168A1 (en) Camera device methods, apparatus and components
JP2008129439A5 (ko)
US9952496B2 (en) Panoramic photography head and photography system using the same
JP2008051957A (ja) 撮像光学系の光軸調整方法、及びレンズ装置
JP2019530898A (ja) カメラおよび撮影アセンブリ
US9560249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bending optical element
KR101715721B1 (ko) 다차원 이미지 촬상장치
JP2007011145A (ja) ステレオ撮影用カメラ保持装置
KR101297836B1 (ko)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CN110858869B (zh) 相机模组及具有该相机模组的电子装置
JP2007052060A (ja) 立体カメラ用レンズシステム及び立体カメラ
KR100944214B1 (ko) 도브테일 방식을 이용한 파노라마 촬영 장치
JP4910038B2 (ja) 工業用小型電子撮像カメラ
CN206460513U (zh) 双摄像标定板
JP2002148708A (ja) 三次元台座付き接写フレーム
KR20180002607U (ko)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JP2006251228A (ja) 複眼撮影装置
KR101713471B1 (ko) 이미지 캡처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리셉터클
KR20130047894A (ko) 감시카메라모듈 고정브라켓
JP2009303104A (ja) 表示ユニットの可動組付構造、及び電子機器
JP2016134812A (ja) 撮像装置
JP5784922B2 (ja) 撮像装置取付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