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644A -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644A
KR20170022644A KR1020150117908A KR20150117908A KR20170022644A KR 20170022644 A KR20170022644 A KR 20170022644A KR 1020150117908 A KR1020150117908 A KR 1020150117908A KR 20150117908 A KR20150117908 A KR 20150117908A KR 20170022644 A KR20170022644 A KR 20170022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pport
chain
rollers
mu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문 정
Original Assignee
종 문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문 정 filed Critical 종 문 정
Priority to KR1020150117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644A/ko
Publication of KR2017002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는 홍합의 길다란 수염과 짧은 털이 함께 제거되고, 홍합의 수염/털 제거와 동시적으로 규격보다 작은 홍합은 선별되어 별도로 수집되며, 이를 위한 장치 구성이 단순화되고 안정되어 장치 제작비용의 절감과 운용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는 몸체프레임(10)과;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하는 길이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롤러(20a)(20b)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로 이루어진 롤러 유닛(30)이 서로 설정간격(d)만큼 이격 배치되어 롤러 유닛(30) 사이에 선별 공간(50)이 형성되는 롤러 집합체(40)와; 롤러 집합체(40)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60) 및; 액추에이터(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복수의 롤러 유닛(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 사이에 털이 끼이면서 털이 제거되도록 하고, 롤러 유닛(30) 사이 선별 공간(5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설정간격(d)보다 작은 설정크기 이하의 홍합이 아래로 빠지면서 선별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Machine for removing hair of a mussel and sorting a mussel by size}
본 발명은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홍합의 길다란 수염과 짧은 털이 함께 제거될 수 있고, 홍합의 수염/털 제거와 동시적으로 규격보다 작은 홍합은 선별되어 별도로 수집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장치 구성이 단순화되고 안정되어 장치 제작비용의 절감과 운용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는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홍합은 패류 중의 하나로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국내는 물론 유럽 등 전세계에서 해외에서도 홍합을 이용한 많은 요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홍합의 효능은 노화예방과 빈혈 방지, 골다공증 예방, 간기능 활성화, 생리활성 작용, 체내 나트륨 배설 등의 주목할 만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 생산량이 많아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일반 가정이나 식당에서 홍합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홍합에 붙어 있는 털(또는 수염)과, 껍질에 붙어 있는 따개비와 같은 패각류, 양식줄, 갯지렁이와 같은 다른 생물 들을 제거하는 작업을 해야하는데, 이 작업은 홍합을 각각 손질해야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면서 가끔씩 나오는 양식줄의 제거과정에서 발생하는 갯지렁이 등은 상당히 꺼림직한 작업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털이 제거되고 말끔하게 세척된 홍합의 가격이 그렇지 않은 홍합에 비해 비싸더라도, 전자를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털과 그 밖의 생물과 털을 제거하는 작업은 주로 인력으로 하고 있으며, 이 방법은 단순한 기술에 해당하기는 하나,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
보통 성인 1인 하루 생산량(털제거 및 세척)이 약 150kg정도여서 늘어나는 공급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작업을 빨리 하다 보면 공정 중에 10 ~ 30%의 홍합이 껍질이 깨진 상태로 배출되기도 한다.
또한, 홍합은 생물이기 때문에 신선도가 맛을 좌우하게 되어 바다에서 채취하여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소비자에게 공급해야 하지만 홍합의 털을 제거한 제품의 경우 제거되지 않은 것과 비교하면 신선도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껍질이 깨진 홍합의 경우 공기 중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 더욱 빠르게 선도가 떨어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11483호 "홍합의 수염 제거 및 세척장치"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34591호 "홍합의 털 제거 장치"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27750호 "홍합의 족사제거 및 분리수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웃하는 롤러 간 밀착도를 증대시킴으로써 홍합의 길다란 수염과 짧은 털이 함께 제거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웃하는 한쌍의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유닛이 설정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롤러 유닛 사이에 선별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홍합의 수염/털 제거와 동시에 규격보다 작은 홍합이 선별되어 별도로 수집될 수 있고, 롤러 유닛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롤러 유닛을 이루는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 스프로킷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어 장치 구성이 단순화되면서 안정되어 장치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장치 운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유닛의 상측 롤러와 하측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이 롤러 유닛의 좌우 양측에 각각 2열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측 롤러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하측 롤러가 2열의 체인에 교번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롤러 유닛 간 이격거리가 체인 스프로킷 간 간섭없이 안정되고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몸체프레임(10)과;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하는 길이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롤러(20a)(20b)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로 이루어진 롤러 유닛(30)이 서로 설정간격(d)만큼 이격 배치되어 롤러 유닛(30) 사이에 선별 공간(50)이 형성되는 롤러 집합체(40)와; 롤러 집합체(40)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60) 및; 액추에이터(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복수의 롤러 유닛(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 사이에 털이 끼이면서 털이 제거되도록 하고, 롤러 유닛(30) 사이 선별 공간(5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설정간격(d)보다 작은 설정크기 이하의 홍합이 아래로 빠지면서 선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에서 몸체프레임(10)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 집합체(40)를 이루는 복수의 롤러(20a)(20b)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롤러 유닛(30)의 상측 롤러(20a)가 하측 롤러(20b)보다 설정길이(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1롤러지지대(11a)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 집합체(40)를 이루는 복수의 롤러(20a)(20b)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롤러 유닛(30)의 하측 롤러(20b)가 상측 롤러(20a)보다 설정길이(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2롤러지지대(11b)와;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 하부에 배치되어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12)를 포함하고, 액추에이터(60)는 구동모터(61)와; 제1롤러지지대(11a)에 배치된 복수의 상측 롤러(20a)와 구동모터(61)에 각각 연결되고,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상측 롤러(20a) 회전을 유도하는 제1체인(62)과; 제2롤러지지대(11b)에 배치된 복수의 하측 롤러(20b)와 구동모터(61)에 각각 연결되고,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하측 롤러(20b) 회전을 유도하는 제2체인(6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에서 각 롤러 유닛(30)의 상측 롤러(20a)는 제1롤러지지대(11a)를 관통하여 제1롤러지지대(11a) 외부에 배치되는 끝단부에 제1체인(62)과 연결되는 제1체인 스프로킷(23)이 형성되도록 하고, 각 롤러 유닛(30)의 하측 롤러(20b)는 제2롤러지지대(11b)를 관통하여 제2롤러지지대(11b) 외부에 배치되는 끝단부에 제2체인(63)과 연결되는 제2체인 스프로킷(24)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에서 액추에이터(60)를 이루는 제1체인(62)과 제2체인(63)은 각각 2열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의 제1체인 스프로킷(23)은 2열의 제1체인(62)에 교번되게 연결되는 한편,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하측 롤러(20b)의 제2체인 스프로킷(24)은 2열의 제2체인(63)에 교번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에서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지지대(112)로 이루어지되,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 사이에 복수의 롤러(20a)(20b) 끝단부가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에서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는,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롤러 유닛(30) 사이공간에 각각 끼움고정되는 간격유지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는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는,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사이 공간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전진이동하여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에 위치한 롤러(20a)(20b)를 가압하게 되는 이동블록(114)과;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지지베이스(12)에 고정되고, 볼트공(116)이 형성된 고정브래킷(115)과; 고정브래킷(115)의 볼트공(116)으로 삽입되어 이동블록(114)과 접촉하는 조절용 볼트(118)를 포함하여, 조절용 볼트(118)의 조임동작에 따라 이동블록(114)이 이동하면서 각각의 롤러 유닛(30)을 이루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의 밀착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에 의하면, 홍합의 길다란 수염과 짧은 털이 함께 제거되고, 홍합의 수염/털 제거와 동시적으로 규격보다 작은 홍합은 선별되어 별도로 수집되며, 이를 위한 장치 구성이 단순화되고 안정되어 장치 제작비용의 절감과 운용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를 이루는 롤러 집합체와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를 이루는 롤러 집합체가 몸체프레임에 고정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롤러지지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에서 롤러 유닛의 밀착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홍합 수염 제거장치, 홍합 털 제거장치, 체인 구동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10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몸체프레임(10), 롤러 집합체(40), 액추에이터(60),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몸체프레임(10)은 롤러 집합체(40)와 액추에이터(60)가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프레임(10)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제1롤러지지대(11a), 제2롤러지지대(11b), 지지베이스(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롤러지지대(11a)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 집합체(40)를 이루는 복수의 롤러(20a)(20b)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롤러 유닛(30)의 상측 롤러(20a)가 하측 롤러(20b)보다 설정길이(a 또는 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제2롤러지지대(11b)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 집합체(40)를 이루는 복수의 롤러(20a)(20b)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롤러 유닛(30)의 하측 롤러(20b)가 상측 롤러(20a)보다 설정길이(a 또는 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지지베이스(12)는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 하부에 배치되어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는 각각 도 4에서와 같이 하측 지지대(111), 상측 지지대(112), 간격유지구(113), 이동블록(114), 고정브래킷(115), 조절용 볼트(11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는 상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 사이에 복수의 롤러(20a)(20b) 끝단부가 끼워지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간격유지구(113)는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롤러 유닛(30) 사이공간에 각각 끼움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구(113)는 일측 롤러 유닛(30)의 상측 롤러(20a)의 끝단부를 이루는 지지단(22)과 타측 롤러 유닛(30)의 하측 롤러(20b)의 끝단부를 이루는 지지단(22) 사이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간격유지구(113)를 통해 롤러 유닛(30)가 서로 이격되는 설정간격(d)이 유지된다.
이동블록(114)은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사이 공간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롤러(20a)(20b)의 끝단부를 이루는 지지단(22)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이동블록(114)은 도 5에서와 같이 전진이동하여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에 위치한 롤러(20a)(20b)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블록(114)은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양단부에 위치한 롤러(20a)(20b)를 각각 가압하게 된다. 롤러 유닛(30)을 이루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는 외부로 노출되어 홍합이 통과하게 되는 메인단(21)을 통해 서로 접촉되고, 서로 이웃하는 롤러 유닛(30)은 간격유지구(113)를 통해 서로 연결되므로, 이동블록(114)은 전진이동하여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에 위치한 롤러(20a)(20b)를 가압하게 되면,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의 밀착도가 증대되게 된다.
고정브래킷(115)은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지지베이스(12)에 고정되는 것으로, 볼트공(1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트공(116)은 너트(11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조절용 볼트(118)는 고정브래킷(115)의 볼트공(116)으로 삽입되어 이동블록(114)과 접촉하는 것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조절용 볼트(118)의 조임동작에 따라 이동블록(114)이 이동하면서 각각의 롤러 유닛(30)을 이루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의 밀착도가 조절되게 된다.
롤러 집합체(40)는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하는 길이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롤러(20a)(20b)가 도 1에서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롤러(20a)(20b)는 홍합의 수염과 털이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널링면이 가공된 메인단(21)과, 메인단(21) 양단부에 연장형성된 지지단(2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롤러 집합체(40)는 복수의 롤러 유닛(30)이 서로 설정간격(d)만큼 이격 배치되어 롤러 유닛(30) 사이에 선별 공간(50)이 형성되도록 한다. 선별 공간(50)을 통해 규격보다 작은 설정크기 이하의 홍합이 아래로 빠지면서 선별되는데, 선별 공간(50)을 통해 아래로 빠지는 미규격 홍합을 수납하기 위한 미규격 홍합 수납함(80)이 도 1에서와 같이 롤러 집합체(40)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 유닛(3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로 이루어진다.
각 롤러 유닛(30)의 상측 롤러(20a)는 제1롤러지지대(11a)를 관통하여 제1롤러지지대(11a) 외부에 배치되는 끝단부에 제1체인(62)과 연결되는 제1체인 스프로킷(23)이 지지단(22)에 형성되도록 하고, 각 롤러 유닛(30)의 하측 롤러(20b)는 제2롤러지지대(11b)를 관통하여 제2롤러지지대(11b) 외부에 배치되는 끝단부에 제2체인(63)과 연결되는 제2체인 스프로킷(24)이 지지단(22)에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체인(62)과 제2체인(63)은 각각 2열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의 제1체인 스프로킷(23)은 2열의 제1체인(62)에 교번되게 연결되는 한편,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하측 롤러(20b)의 제2체인 스프로킷(24)은 2열의 제2체인(63)에 교번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의 끝단부를 이루는 지지단(22)의 길이가 변경되면서 제1롤러지지대(11a)에서는 하측 롤러(20b)보다 설정길이 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보다 설정길이 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상측 롤러(20a)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제2롤러지지대(11b)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하측 롤러(20b)의 끝단부를 이루는 지지단(22)의 길이가 변경되면서 t상측 롤러(20a)보다 설정길이 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하측 롤러(20b)와, 상측 롤러(20a)보다 설정길이 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하측 롤러(20b)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롤러 유닛(30) 간 이격거리가 제1체인 스프로킷(23)이나 제2체인 스프로킷(24) 간 간섭없이 안정되고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롤러 유닛(30) 간 이격거리가 조절될 경우, 조절된 이격거리에 맞추어진 길이를 갖는 간격유지구(113)가 교체 사용된다.
액추에이터(60)는 롤러 집합체(4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60)는 도 2에서와 같이 구동모터(61), 제1체인(62) 및 제2체인(6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체인(62)은 제1롤러지지대(11a)에 배치된 복수의 상측 롤러(20a)와 구동모터(61)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상측 롤러(20a)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제2체인(63)은 제2롤러지지대(11b)에 배치된 복수의 하측 롤러(20b)와 구동모터(61)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하측 롤러(20b)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제1체인(62)과 제2체인(63)에 구동모터(61)를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연결용 기어나 연결용 체인 스프로킷과 연결용 체인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러(70)는 액추에이터(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100)는 복수의 롤러 유닛(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 사이에 홍합의 수염이나 털이 끼이면서 수염이나 털이 제거되도록 하고, 롤러 유닛(30) 사이 선별 공간(5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설정간격(d)보다 작은 설정크기 이하의 홍합이 아래로 빠지면서 선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10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 간 밀착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홍합의 길다란 수염과 짧은 털이 함께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100)는 복수의 롤러 유닛(30)이 설정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롤러 유닛 사이에 선별 공간(50)이 형성되므로, 홍합의 수염/털 제거와 동시에 규격보다 작은 홍합이 선별되어 별도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100)는 롤러 유닛(30)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롤러 유닛(30)을 이루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체인 스프로킷(23)과 제2체인 스프로킷(24)이 각각 일렬로 배치되므로, 장치 구성이 단순화되면서 안정되어 장치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장치 운용 안정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100)는 롤러 유닛(30)의 상측 롤러(20a)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체인(62)과, 하측 롤러(20b)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체인(63)이 롤러 유닛(30)의 좌우 양측에 각각 2열로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가 2열의 제1체인(62)에 교번되게 연결되는 한편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하측 롤러(20b)가 2열의 제2체인(63)에 교번되게 연결되므로, 롤러 유닛(30) 간 이격거리가 체인 스프로킷 간 간섭없이 안정되고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몸체프레임 11a : 제1롤러지지대
11b : 제2롤러지지대 111 : 하측 지지대
112 : 상측 지지대 113 : 간격유지구
114 : 이동블록 115 : 고정브래킷
116 : 볼트공 117 : 너트
118 : 조절용 볼트 12 : 지지베이스
20a : 상측 롤러 20b : 하측 롤러
21 : 메인단 22 : 지지단
23 : 제1체인 스프로킷 24 : 제2체인 스프로킷
30 : 롤러 유닛 40 : 롤러 집합체
50 : 선별 공간 60 : 액추에이터
61 : 구동모터 62 : 제1체인
63 : 제2체인 70 : 컨트롤러
80 : 미규격 홍합 수납함 100 :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Claims (7)

  1. 몸체프레임(10)과;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하는 길이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프레임(1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롤러(20a)(20b)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로 이루어진 롤러 유닛(30)이 서로 설정간격(d)만큼 이격 배치되어 롤러 유닛(30) 사이에 선별 공간(50)이 형성되는 롤러 집합체(40)와;
    롤러 집합체(40)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60) 및;
    액추에이터(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복수의 롤러 유닛(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 사이에 털이 끼이면서 털이 제거되도록 하고, 롤러 유닛(30) 사이 선별 공간(5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설정간격(d)보다 작은 설정크기 이하의 홍합이 아래로 빠지면서 선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프레임(10)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 집합체(40)를 이루는 복수의 롤러(20a)(20b)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롤러 유닛(30)의 상측 롤러(20a)가 하측 롤러(20b)보다 설정길이(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1롤러지지대(11a)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 집합체(40)를 이루는 복수의 롤러(20a)(20b)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롤러 유닛(30)의 하측 롤러(20b)가 상측 롤러(20a)보다 설정길이(a)만큼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2롤러지지대(11b)와;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 하부에 배치되어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12)를 포함하고,
    액추에이터(60)는 구동모터(61)와; 제1롤러지지대(11a)에 배치된 복수의 상측 롤러(20a)와 구동모터(61)에 각각 연결되고,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상측 롤러(20a) 회전을 유도하는 제1체인(62)과; 제2롤러지지대(11b)에 배치된 복수의 하측 롤러(20b)와 구동모터(61)에 각각 연결되고, 구동모터(61)의 모터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하측 롤러(20b) 회전을 유도하는 제2체인(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롤러 유닛(30)의 상측 롤러(20a)는 제1롤러지지대(11a)를 관통하여 제1롤러지지대(11a) 외부에 배치되는 끝단부에 제1체인(62)과 연결되는 제1체인 스프로킷(23)이 형성되도록 하고, 각 롤러 유닛(30)의 하측 롤러(20b)는 제2롤러지지대(11b)를 관통하여 제2롤러지지대(11b) 외부에 배치되는 끝단부에 제2체인(63)과 연결되는 제2체인 스프로킷(2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60)를 이루는 제1체인(62)과 제2체인(63)은 각각 2열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측 롤러(20a)의 제1체인 스프로킷(23)은 2열의 제1체인(62)에 교번되게 연결되는 한편,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하측 롤러(20b)의 제2체인 스프로킷(24)은 2열의 제2체인(63)에 교번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지지대(112)로 이루어지되,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 사이에 복수의 롤러(20a)(20b) 끝단부가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는,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롤러 유닛(30) 사이공간에 각각 끼움고정되는 간격유지구(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제1롤러지지대(11a)와 제2롤러지지대(11b)는,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사이 공간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전진이동하여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에 위치한 롤러(20a)(20b)를 가압하게 되는 이동블록(114)과;
    하측 지지대(111)와 상측 지지대(112)의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지지베이스(12)에 고정되고, 볼트공(116)이 형성된 고정브래킷(115)과;
    고정브래킷(115)의 볼트공(116)으로 삽입되어 이동블록(114)과 접촉하는 조절용 볼트(118)를 포함하여,
    조절용 볼트(118)의 조임동작에 따라 이동블록(114)이 이동하면서 각각의 롤러 유닛(30)을 이루는 상측 롤러(20a)와 하측 롤러(20b)의 밀착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KR1020150117908A 2015-08-21 2015-08-21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KR20170022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08A KR20170022644A (ko) 2015-08-21 2015-08-21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08A KR20170022644A (ko) 2015-08-21 2015-08-21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44A true KR20170022644A (ko) 2017-03-02

Family

ID=5842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908A KR20170022644A (ko) 2015-08-21 2015-08-21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64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83B1 (ko) 2010-06-14 2012-12-12 신옥이 홍합의 수염 제거 및 세척장치
KR101434591B1 (ko) 2012-11-20 2014-08-26 박성원 홍합의 털 제거 장치
KR101527750B1 (ko) 2014-12-08 2015-06-11 경해식품미더덕영어조합법인 홍합의 족사제거 및 분리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83B1 (ko) 2010-06-14 2012-12-12 신옥이 홍합의 수염 제거 및 세척장치
KR101434591B1 (ko) 2012-11-20 2014-08-26 박성원 홍합의 털 제거 장치
KR101527750B1 (ko) 2014-12-08 2015-06-11 경해식품미더덕영어조합법인 홍합의 족사제거 및 분리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17527A (zh) 一种香菇菌盖自动切片机及其使用方法
US4997017A (en) Thicknessing machine
KR101235162B1 (ko) 생선 비늘 제거장치
KR101135470B1 (ko) 양파처리장치
KR100947413B1 (ko)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방법 및 콩나물의 양단부 제거 장치
US4420118A (en) Cauliflower size cutter
KR20180057058A (ko) 과실채소류 선별장치
CN104522861A (zh) 辣椒掰把机
KR20170022644A (ko) 홍합 선별 겸용 털 제거장치
EP0021286B1 (en) Apparatus for finishing slide fastener stringers
US2577086A (en) Onion halving device
CN109516097B (zh) 一种鬃刷生产用鬃毛分选装置
CN107627355B (zh) 食品切割、拉花、穿串一体机
KR100650038B1 (ko) 옥수수 표엽 제거방법 및 장치
CN112873357A (zh) 一种食品加工用豆腐切块装置
CN203136927U (zh) 一种动物肠自动清理剖切机
US4248903A (en) Method for obtaining folded stuffing pieces of pimento
US2795812A (en) Fish scaling machine
US2162079A (en) Molding machine
CN216031084U (zh) 一种西洋参切片机
KR20090015669A (ko) 마늘대 절단장치
US1532490A (en) Rod-grinding machine
EP4353090A1 (en) Automatic machine for dry processing garlic sheaves
CN109676717B (zh) 一种竹签加工装置及加工方法
CA2600813C (en) Rotary cutter-auger uncapper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