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550A - 피부 마사지 오일 - Google Patents

피부 마사지 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550A
KR20170022550A KR1020150117679A KR20150117679A KR20170022550A KR 20170022550 A KR20170022550 A KR 20170022550A KR 1020150117679 A KR1020150117679 A KR 1020150117679A KR 20150117679 A KR20150117679 A KR 20150117679A KR 20170022550 A KR20170022550 A KR 20170022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kin
weight
massage
saf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수용
Original Assignee
심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수용 filed Critical 심수용
Priority to KR102015011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550A/ko
Publication of KR2017002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마사지 오일에 관한 것으로,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85 ~ 95 중량%, 홍화유(紅花油,safflower oil) 2 ~ 14 중량%, 백장유(白樟油, white camphor oil) 0.1 ~ 5.0 중량%, 박하유(薄荷油, peppermint oil) 0.1 ~ 1.0 중량% 및 농도 조절제 0.1 ~ 3.0 중량%를 혼합하고, 3 ~ 6 개월간 5 ~ 20℃에서 숙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호마유 및 홍화유 등의 다양한 피부 미백 및 세포 재생 기능을 가진 천연 오일을 혼합하여 마사지 오일을 구성하고, 이를 손이나 기구를 이용한 마사지 시 얼굴 등의 피부에 미리 도포하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동안의 마찰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미백 및 세포 재생 등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마사지 오일{FACE MASSAGE OIL}
본 발명은 피부 마사지 오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마유 및 홍화유 등의 다양한 피부 미백 및 세포 재생 기능을 가진 천연 오일을 혼합하여 마사지 오일을 구성하고, 이를 손이나 기구를 이용한 마사지 시 얼굴 등의 피부에 미리 도포하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동안의 마찰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미백 및 세포 재생 등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피부 마사지 오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표피층은 신체내부조직을 보호하고 수분의 증발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세균과 같은 유해한 물질의 피부침투를 막아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수용성 물질은 피부 속으로 잘 들어가지 못하게끔 되어 있다. 그래서, 그 아무리 유효한 성분이 배합된 화장품이나, 값비싼 화장품이라고 할지라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것이다.
안면 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도록 보호하여 젊고,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화장품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보호하고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바이오 물질 등이 첨가되어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하고, 또한 화장품의 영양이 진피층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여 피부보호의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종래에 화장품을 대체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마사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0723호(다단계 모드 기능을 갖는 피부미용기 ; 출원일 : 2004년06월29일)에는 이온마사기 기능, 리프팅 기능, 림프드레나쥐 기능 및 안티에이징 기능을 수행하는 피부미용기가 개시된다. 이는 얼굴 피부의 근육층에 저주파 또는 손에 의한 자극을 주어 근육상태를 개선하며, 혈액순환과 림프순환을 촉진시키며, 지방 및 노폐물의 분해를 향상시키며, 혈액의 충혈을 경감시키고 혈액의 알칼리화를 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피부에 자극을 가하는 마사지 기술에 의하면, 손이나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피부 예컨대, 안면을 상당히 오랫동안 비비거나 문질러 주는 행위를 계속하게 되므로, 손이나 마사지기에 의한 마찰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거나 원치 않는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특히 호마유 및 홍화유 등의 다양한 피부 미백 및 세포 재생 기능을 가진 천연 오일을 혼합하여 마사지 오일을 구성하고, 이를 손이나 기구를 이용한 마사지 시 얼굴 등의 피부에 미리 도포하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동안의 마찰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미백 및 세포 재생 등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피부 마사지 오일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피부 마사지 오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피부 마사지 오일은,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85 ~ 95 중량%, 홍화유(紅花油,safflower oil) 2 ~ 14 중량%, 백장유(白樟油, white camphor oil) 0.1 ~ 5.0 중량%, 박하유(薄荷油, peppermint oil) 0.1 ~ 1.0 중량% 및 농도 조절제 0.1 ~ 3.0 중량%를 혼합하고, 3 ~ 6 개월간 5 ~ 20℃에서 숙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도 조절제는 침향(沈香, Aquilaria) 가루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마유는, 검정참깨 생 것을 압출하여 추출한 유지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홍화유는, 잇꽃 종자에서 얻는 유지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백장유는,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또는 장뇌목(樟腦木, Camphor tree)의 둥치나 뿌리를 수증기로 증류시켜 얻는 유지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하유는, 박하(Mentha piperita)의 잎과 줄기를 건조하고 수증기로 증류시켜 얻은 유지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호마유 및 홍화유 등의 다양한 피부 미백 및 세포 재생 기능을 가진 천연 오일을 혼합하여 마사지 오일을 구성하고, 이를 손이나 기구를 이용한 마사지 시 얼굴 등의 피부에 미리 도포하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동안의 마찰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미백 및 세포 재생 등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마사지 오일을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마사지기(10)를 이용하거나 또는 손을 이용하여 얼굴과 같은 피부를 마사지할 때, 미리 피부에 도포하는 마사지 오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오일은 호마유 및 홍화유 등의 다양한 피부 미백 및 세포 재생 기능을 가진 천연 오일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것이다. 손이나 기구를 이용한 마사지 시 먼저 얼굴 등의 피부에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을 미리 도포하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동안의 마찰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미백 및 세포 재생 등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피부 마사지 오일은, 주재료로서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부재료로서 홍화유(紅花油,safflower oil), 소량의 유용 기능 첨가제로서 백장유(白樟油, white camphor oil) 및 박하유(薄荷油, peppermint oil)를 포함하고, 기타 침향(沈香, Aquilaria) 가루 및 물을 포함하는 농도 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은 이들 성분들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숙성시킨 것으로 사용한다.
호마유는 검정참깨 생 것을 압출하여 추출한 유지 성분이다. 호마유의 효능은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기력을 이롭게 하고 피부를 말게 하며, 골수와 뇌수를 채워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호마유는 힘줄(혈관)과 뼈를 단단하게 하고 오장을 건강하게 하며, 상처와 부스럼이 잘 낫게 하고, 머리털을 나게 할 뿐만 아니라 윤택하게 하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호마유는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의 85 ~ 95 중량%를 차지한다. 호마유는 저렴하고 구하기 쉬우며 다양한 유용 기능을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의 주재료로서 이용한다. 호마유가 85 중량% 미만 포함되면 피부 마사지 오일의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으며, 호마유가 95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유용 기능의 오일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원하는 피부 미백 및 세포 재생 효과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홍화유는 잇꽃 종자에서 얻는 유지 성분이다. 홍화유는 항산화 비타민을 함유하고, 심장병을 예방하며, 피부미용에 좋고, 항암 기능, 면역 기능 개선, 및 혈행 개선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홍화유는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의 2 ~ 14 중량%를 차지한다. 홍화유는 시중에서 제품으로서 구하기 쉬우며 다양한 유용 기능과 피부 미용 효과를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의 부재료로서 이용한다. 홍화유가 2 중량% 미만 포함되면 홍화유의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기 어렵고, 홍화유가 14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유용 기능의 오일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원하는 피부 미백 및 세포 재생 효과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백장유는,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또는 장뇌목(樟腦木, Camphor tree)의 둥치나 뿌리를 수증기로 증류시켜 얻는 유지 성분이다. 백장유는 두통을 없애주고 피부 노폐물을 분리시키며 독소를 제거하고 열을 내리며 각종 부스럼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백장유는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 중 0.1 ~ 5.0 중량%를 차지한다. 백장유는 피부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의 다양한 피부 미용 및 미백 효과를 위한 첨가제로서, 소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장유가 0.1 중량% 미만 포함되면 백장유의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기 어렵고, 백장유가 5.0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유용 기능의 오일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원하는 피부 미백 및 세포 재생 효과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박하유는, 박하(Mentha piperita)의 잎과 줄기를 건조하고 수증기로 증류시켜 얻은 유지 성분이다. 박하유는 모세혈관과 땀구멍을 확장시켜 유용 성분이 피부 안쪽으로 침투 흡수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타박상, 어깨 결림, 류머티스 등에 사용하여 진통과 소염 작용을 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박하유는 아로마테라피 분야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오일이며,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닦아내는 피부 미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박하유는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 중 0.1 ~ 1.0 중량%을 차지한다. 백장유는 피부를 닦아내는 미백 기능 등 다양한 피부 미용 및 미백 효과를 위한 첨가제로서, 소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하유가 0.1 중량% 미만 포함되면 박하유의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기 어렵고, 박하유가 1.0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유용 기능의 오일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원하는 피부 미백 및 세포 재생 효과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농도 조절제는 피부 마사지 오일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첨가제이다. 농도 조절제는 농도를 진하게 하는 성분 재료로서 침향 가루를 사용할 수 있고, 농도를 묽게 하기 위한 성분 재료로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침향 가루는 세포를 확장시켜 노폐물 배출을 유도하는 효능을 가진다. 또한 스트레스를 이완시켜주고 세포를 데워주며 기혈 순환을 촉진시키며, 나쁜 기운을 없애고 마비증상을 풀어준다. 침향은 다양한 피부 질환에도 작용하여 개선시키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고가이다.
이러한 농도 조절제는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 중 0.1 ~ 3.0 중량%를 혼합한다. 예컨대 침향 가루를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 중 0.1 ~ 0.5 중량%를 혼합하고, 나머지 잔량을 물로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사지 오일의 제조 과정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마유 90 중량%, 홍화유 8 중량%, 백장유 0.5 중량% 및 박하유 0.2 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침향 가루 0.5 중량% 및 물 0.8 중량%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3 ~ 6개월간 숙성시킨다. 숙성 과정에서, 침향 가루 및 물은 오일 내에 완전히 용해되어 섞이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저온인 5 ~ 10℃에서 숙성하는 경우 5 ~ 6개월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대적으로 고온인 12 ~ 20℃에서 숙성하는 경우 3 ~ 4개월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성과정을 거치면,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은 약간 노란색을 띄는 액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피부에 얇게 도포한 후, 손이나 마사지기(10, 도 1 참조)를 이용하여 문지르거나 비비면서 마사지를 한다. 마사지 후에는 도포된 마사지 오일을 닦아낼 필요가 없고 그대로 피부에 스며들도록 놔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 오일은 마사지를 쉽게 수행하도록 하는 오일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의 혈행을 개선하고, 세포를 재생시키며, 노폐물을 배출하도록 하고, 피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 피부 질환을 낫게 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피부 마사지기

Claims (6)

  1.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85 ~ 95 중량%, 홍화유(紅花油,safflower oil) 2 ~ 14 중량%, 백장유(白樟油, white camphor oil) 0.1 ~ 5.0 중량%, 박하유(薄荷油, peppermint oil) 0.1 ~ 1.0 중량% 및 농도 조절제 0.1 ~ 3.0 중량%를 혼합하고, 3 ~ 6 개월간 5 ~ 20℃에서 숙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마사지 오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조절제는 침향(沈香, Aquilaria) 가루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마사지 오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마유는, 검정참깨 생 것을 압출하여 추출한 유지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마사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화유는, 잇꽃 종자에서 얻는 유지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마사지 오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장유는,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또는 장뇌목(樟腦木, Camphor tree)의 둥치나 뿌리를 수증기로 증류시켜 얻는 유지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마사지 오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하유는, 박하(Mentha piperita)의 잎과 줄기를 건조하고 수증기로 증류시켜 얻은 유지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마사지 오일.
KR1020150117679A 2015-08-21 2015-08-21 피부 마사지 오일 KR20170022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79A KR20170022550A (ko) 2015-08-21 2015-08-21 피부 마사지 오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79A KR20170022550A (ko) 2015-08-21 2015-08-21 피부 마사지 오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50A true KR20170022550A (ko) 2017-03-02

Family

ID=5842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679A KR20170022550A (ko) 2015-08-21 2015-08-21 피부 마사지 오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651A (ko) 2019-03-05 2020-09-15 백정선 아주까리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용 혼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651A (ko) 2019-03-05 2020-09-15 백정선 아주까리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용 혼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299B1 (ko)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8295011A (zh) 一种黄姜控油防脱发育发头皮精华液及其制作方法
CN106389171A (zh) 一种纯植物的天然成分复合纯露系列爽肤水及制作方法
CN108653006A (zh) 一种植物保湿全效眼霜及其制备方法
KR20170027614A (ko)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9199932A (zh) 一种能减少脱发的复方精油
RU2602475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краб для тела
KR20170022550A (ko) 피부 마사지 오일
KR20140122099A (ko)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RU2314093C2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CN107441340B (zh) 一种消肿止痛止痒滋养皮肤的手足皴裂膏及其制备方法
KR10224414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근육의 피로 해소, 예방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6109269B (zh) 鹿油与鹿茸多肽配伍的美容护肤品、制备方法和应用
KR101397644B1 (ko)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JPS591406A (ja) 化粧水の製造方法
KR10261190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223621A (zh) 一种能减少脱发的复方精油
CN109512774A (zh) 能够淡化黑色素的滋阴外用妇科凝胶
DE102009049957A1 (de) Mittel zur Förderung des Haarwuchses
KR102369871B1 (ko) 이마 탈모에 적용되는 모발 굵기 및 탄력 개선 패치, 패치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3693B1 (ko) 피부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한 발바닥 피로완화와 각질 개선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RU2266733C1 (ru) Липосом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и ухода за жирным типом волос
RU2281752C2 (ru) Липосомальный концент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и ухода за сухим типом волос
JP2001220314A (ja) 酒粕と日本酒を主原料とする健康・美容剤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法により得た健康・美容剤
RU2602691C2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