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099A -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099A
KR20140122099A KR20130038761A KR20130038761A KR20140122099A KR 20140122099 A KR20140122099 A KR 20140122099A KR 20130038761 A KR20130038761 A KR 20130038761A KR 20130038761 A KR20130038761 A KR 20130038761A KR 20140122099 A KR20140122099 A KR 20140122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extract
desirably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범
Original Assignee
권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범 filed Critical 권성범
Priority to KR2013003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099A/ko
Priority to PCT/KR2014/003119 priority patent/WO2014168433A2/ko
Publication of KR2014012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인체에 유익한 천연 미네랄이 고루 함유된 SiO2(이산화규소) 성분과, Al(알루미늄), fe(철), mg(마그네슘), p(인), K(칼륨), Ca(칼슘), Na(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8대 천연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된 블랙 펄과 블랙 머드가 혼합됨으로써 의약 외품, 화장품과 샴프 등의 제품에 섞어 사용할 때, 뛰어난 흡착력으로 피부 깊숙이 스며들어 모공 깊숙한 곳에 침적되어 있는 노폐물, 화장 잔여물과 죽은 세포, 과다한 피지 분비물, 여드름, 잡티 등을 제거하고, 또한 혈액순환을 자극하여 혈관세포에 산소를 제공함으로써 피부 재생을 촉진시키고, 콜라겐의 강화로 인한 강력한 모공수축 효과로 인해 가성주름을 제거하며, 피부 막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해주고, 피부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 상처 완화 및 각종 영양분을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보강작용을 통해 발모 및 흰 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개시한다.본 발명의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은, 정제수 73.5~76.5중량%, 바람직하게는 75.0중량%, 블랙 펄 16.5~23.5중량%, 바람직하게는 20.0중량%, 블랙머드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추출액 0.5~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발효액 0.5~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추출액 0.5~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promote hair growth and gray hair melanin pigment regeneration}
본 발명은 물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익한 [0001] 천연 미네랄이 고루 함유되어 피부미용의 기능과 피부질환 치료제로 쓰이는 블랙 펄을 주성분으로 하여 SiO2(이산화규소) 및 8대 천연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된 블랙 펄과 블랙 머드와, 함초 추출액과 포도 발효액과 치자 추출액을 혼합함으로써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재생촉진 효능을 높인 물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0002] 일반적으로 발모는,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과도한 스트레스, 남성호르몬 과다분비로 인한 DHT 생성, 화학샴푸나 오일샴푸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0003] 또한 오염된 환경과 식습관에 의해서도 발생 된다. 예를 들면, 과도한 나트륨의 섭취는 신장과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되어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겨 발모를 유발하고, 설탕 같은 단맛이 강한 음식은 피부를 느슨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두피가 약해지며 발모 가 일어나기 쉬우며, 매운 음식은 신진대사 장애가 가속화되어 두피가 노화되어 세포의 재생리듬이 저하되므로 발모를 유발하게 된다.
[0004] 따라서, 현재까지 개발된 발모 방지, 발모 촉진제로서 주로 두피에 도포하는 외용약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 남성 호르몬 분비 억제제 등의 내복용 약제가 판매되고 있으나, 종래에 알려진 발모 방지, 발모 촉진 제품들은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또는 부작용이 심하여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00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염색약, 샴프, 비누, BB크림 등의 제품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흡착력으로 피부 깊숙이 스며들어 모공 깊숙한 곳에 침적되어 있는 노폐물, 화장 잔여물과 죽은 세포, 과다한 피지 분비물, 여드름, 잡티 등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 조성물 을 제공하는데 있다.흰 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은 염색이나 코팅이 아닌 머리카락 자체의 멜라닌 색소를 정상화 하여 검정머리로 바뀌어 진다.
[0006] 또한 본 발명은 혈액순환을 자극하여 혈관세포에 산소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재생을 촉진시키고, 콜라겐의 강화로 인한 강력한 모공수축 효과로 인해 가성주름을 제거하며, 피부막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해주고, 피부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 상처 완화 및 각종 영양분을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보강작용을 통해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 조성물 을 제공하는데 있다.
[0007]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은, 정제수 73.5~76.5중량%, 블랙 펄 16.5~23.5중량%, 블랙머드 1.0~3.0중량%, 추출액 0.5~1.5중량%, 발효액 0.5~1.5중량%, 추출액 0.5~1.5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0008] 또한, 상기 물질 조성물은, 정제수는 75.0중량%, 블랙 펄은 20.0중량%, 블랙머드는 2.0중량%, 추출액 1.0중량%, 발효액 1.0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천연 미네랄이 고루 [0009] 함유된 블랙 머드에 SiO2(이산화규소) 성분과, Alo2(알루미늄), feo2(철), mg(마그네슘), p(인), K(칼륨), Ca(칼슘), Na(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8대 천연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된 블랙 펄이 혼합됨으로써, SiO2(이산화규소) 성분의 원적외선 방사, 피부속 노폐물 및 피지 제거 효능과, Al(알루미늄) 성분의 신진대사 촉진 효능과, fe(철) 성분의 마음을 진정시키고 간기(肝氣)를 평온하게 하며 부스럼을 낫게 하고 해독(解毒)하는 효능과, Mg(마그네슘) 성분의 노폐물 배설촉진, 콜라겐 결합 효능과, p(인) DNA와 RNA의 성분이며 체액의 산성과 알카리성을 조절하며 지질과 당질의 대사를 돕고 각종 효소의 성분이 되며 뼈와 치아를 만들고 건강하게 유지하는 효능과, K(칼륨) 성분의 호르몬분비촉진 신경기능촉진 효능과, Ca(칼슘) 성분의 체내조직형성, 골격강화 효능과, Na(나트륨) 성분의 체액, 삼투압조절, 체내외 전해질 균형유지 효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발모 및 피부재생을 더욱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0010] 또한, 본 발명은 함초 추출액으로 함초에는 나트륨을 비롯한 각종 미네랄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이 중 나트륨은 함초 생초 100g당 1000 내지 100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이러한 함초 추출액은 미네랄을 보충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발손상방지, 두피자극방지, 신생모근세포 활성화 등의 발모 방지 기능을 보완할 수 있으며,
포도 발효액의 포도와 포도씨는 폴리페놀, 레스베라트롤, 리놀레산, 토코페롤, 카테킨류, 스테롤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중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재생을 도우며 피부 노화를 막는다. 또한, 기미와 주근깨 생성 방지, 미백효과가 탁월하고 피부 상처를 흉터없이 신속하게 없애준다. 또 테라핀 성분은 피부의 노폐물을 빨아드리고 수분은 그대로 남겨놓아 피부 재생과 주름 예방에 효과가 있다.
치자 추출액의 Chloride는 인체내 미네랄(알칼리와 산)의 균형을 잡아주고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성화 시키는 성질과, Magnesium은 세포신진대사를 촉진 시키며 효소를 활성화 하는 성질과, Sodium은 신체에 적당한 수분을 유지시키며 근육활동을 강화 시킴과 동시에 세포 내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성질과, Calcium은 세포막과 뼈를 강화시키며 심장근육과 신경에 관여하는 성질과, Potassium은 수분유지를 통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여 신진대사에 관계하며, 근육수축과 신경계통에 필수적인 성질과, Bromide은 각종 피부병에 치유 효과가 있고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성질로 알려져 있다.
[001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0012] 본 발명의 물질 조성물은,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에 천연머드인 블랙 펄과, 화산재인 블랙머드, 함초 추출액과 포도 발효액, 치자 추출물을 혼합하여 장시간 믹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0013] 상기 정제수는, 물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73.5~76.5중량%, 바람직하게는 75중량%가 혼합된다.
[0014] 상기 블랙 펄은, 물질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혼합되는 것으로, 물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6.5~23.5중량%, 바람직하게는 20.0중량%가 혼합된다.
[0015] 블랙 펄은, 청정해저천연머드가 99% 이상 함유된 천연미네랄팩으로서 태고의 화산재가 바닷속에서 수많은 영양분과 결합하고, 수천만년간 숙성되어 우리 몸에 필수적인 미네랄, 미타민, 희토류, 소금기 등이 다량함유되어 피부미용과 피부트러블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0016] 블랙 펄의 주요성분과 성분별 기능은 하기 표 1과 표 2와 같다.
[0017]
성 분 별 흑해 머드 아나파
Na 1.99
구용성 Mg 2.05
수용성 Mg 2.61
Al 13.8
Si 56.6
K 2.22
Ca 2.12
Fe 6.35
Ti 0.63
P 2.61
성 분 인체에 미치는 영향
유황 옴, 습진, 피부병 치료, 항 풍습작용에 의한 외부 치료
철강석, 은 신경 계통 안정, 심장을 편안히 함
인, 탄산아연, 칼슘 등 어지러움, 두통, 귀울림, 귀머거리치료, 해독작용, 살충작용, 생기회복
나트륨, 칼륨, 알루미나, 규소 등 피부 삼투압 조절, 수분균형유지, 피부피지노폐물제거, 혈액순환 원활
산소, 게르마늄 늘어진 피부 수축, 피부호흡 도움
[0018] 이어서, 블랙머드는, 물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2.0중량%가 혼합된다.
[0019] 블랙머드는, 화산폭발로 인한 화산재와 용암 등이 오랜 세월 바다 속에 퇴적되어 있다가 지각변동에 의해 육지로 융기하여 생성된 광물로서, 고농축 천연미네랄 함유 광물로 화장 및 미용재로 사용된다.
[0020] 상기의 주요성분에서와 같이 블랙머드에는 SiO2(이산화규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0021] 있다. 따라서 블랙 펄의 주요성분 중, 부족한 SiO2(이산화규소)의 성분을 더욱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써 SiO2(이산화규소)에 의한 효능, 즉 높은 팽윤비에 의한 피부탄력 증가, 보습강화, 양이온 교환방식으로 영양공급, 탁월한 친수성, 모공축소, 여드름 진정 등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0021] 이어서, 상기 함초 추출물은, 물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5~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가 혼합된다.
[0022] 함초 추출액으로 함초에는 나트륨을 비롯한 각종 미네랄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이 중 나트륨은 함초 생초 100g당 1000 내지 100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이러한 함초 추출액은 미네랄을 보충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발손상방지, 두피자극방지, 신생모근세포 활성화 등의 발모 방지 기능을 보완할 수 있으며,
[0023] 이어서, 상기 포도 발효액은, 물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5~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가 혼합된다.
[0024] 포도 발효액의 포도와 포도씨는 폴리페놀, 레스베라트롤, 리놀레산, 토코페롤, 카테킨류, 스테롤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중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재생을 도우며 피부 노화를 막는다. 또한, 기미와 주근깨 생성 방지, 미백효과가 탁월하고 피부 상처를 흉터없이 신속하게 없애준다. 또 테라핀 성분은 피부의 노폐물을 빨아드리고 수분은 그대로 남겨놓아 피부 재생과 주름 예방에 효과가 있다.
[0025] 이어서, 상기 치자 추출물은, 물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5~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가 혼합된다.
[0026] 치자 추출물은, 치자 추출액의 Chloride는 인체내 미네랄(알칼리와 산)의 균형을 잡아주고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성화 시키는 성질과, Magnesium은 세포신진대사를 촉진 시키며 효소를 활성화 하는 성질과, Sodium은 신체에 적당한 수분을 유지시키며 근육활동을 강화 시킴과 동시에 세포 내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성질과, Calcium은 세포막과 뼈를 강화시키며 심장근육과 신경에 관여하는 성질과, Potassium은 수분유지를 통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여 신진대사에 관계하며, 근육수축과 신경계통에 필수적인 성질과, Bromide은 각종 피부병에 치유 효과가 있고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성질로 알려져 있다.
[0027] 이러한 물질 조성물은, 인체에 유익한 천연 미네랄이 SiO2(이산화규소) 성분과, Alo2(알루미늄), feo2(철), mg(마그네슘), p(인), K(칼륨), Ca(칼슘), Na(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8대 천연 미네랄 성분이 고루 함유된 블랙 펄에 블랙머드가 혼합됨으로써, SiO2(이산화규소) 성분의 원적외선 방사, 피부속 노폐물 및 피지 제거 효능과, Al(알루미늄) 성분의 신진대사 촉진 효능과, fe(철) 성분의 마음을 진정시키고 간기(肝氣)를 평온하게 하며 부스럼을 낫게 하고 해독(解毒)하는 효능과, Mg(마그네슘) 성분의 노폐물 배설촉진, 콜라겐 결합 효능과, p(인) DNA와 RNA의 성분이며 체액의 산성과 알카리성을 조절하며 지질과 당질의 대사를 돕고 각종 효소의 성분이 되며 뼈와 치아를 만들고 건강하게 유지하는 효능과, K(칼륨) 성분의 호르몬분비촉진 신경기능촉진 효능과, Ca(칼슘) 성분의 체내조직형성, 골격강화 효능과, Na(나트륨) 성분의 체액, 삼투압조절, 체내외 전해질 균형유지 효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발모 및 피부재생을 더욱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0028] 또한, 함초 추출액으로 함초에는 나트륨을 비롯한 각종 미네랄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이 중 나트륨은 함초 생초 100g당 1000 내지 100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이러한 함초 추출액은 미네랄을 보충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발손상방지, 두피자극방지, 신생모근세포 활성화 등의 발모 방지 기능을 보완할 수 있으며,
포도 발효액의 포도와 포도씨는 폴리페놀, 레스베라트롤, 리놀레산, 토코페롤, 카테킨류, 스테롤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중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재생을 도우며 피부 노화를 막는다. 또한, 기미와 주근깨 생성 방지, 미백효과가 탁월하고 피부 상처를 흉터없이 신속하게 없애준다. 또 테라핀 성분은 피부의 노폐물을 빨아드리고 수분은 그대로 남겨놓아 피부 재생과 주름 예방에 효과가 있다.
치자 추출액의 Chloride는 인체내 미네랄(알칼리와 산)의 균형을 잡아주고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성화 시키는 성질과, Magnesium은 세포신진대사를 촉진 시키며 효소를 활성화 하는 성질과, Sodium은 신체에 적당한 수분을 유지시키며 근육활동을 강화 시킴과 동시에 세포 내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성질과, Calcium은 세포막과 뼈를 강화시키며 심장근육과 신경에 관여하는 성질과, Potassium은 수분유지를 통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여 신진대사에 관계하며, 근육수축과 신경계통에 필수적인 성질과, Bromide은 각종 피부병에 치유 효과가 있고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성질로 알려져 있다.
[0029] 이러한 본 발명의 물질 조성물을 실시예와 비교예로서 다양하게 제조하여 효능을 살펴보았다.
[0030] <실시예 1>
[0031]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73.5중량%, 블랙 펄 22.5중량%, 블랙머드 1.0중량%, 추출액 1.0중량%, 발효액 1.0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사용하였다.
[0032] <실시예 2>
[0033]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75중량%, 블랙 펄 20.0중량%, 블랙머드 2중량%,추출액 1.0중량%, 발효액 1.0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사용하였다.
[0034] <실시예 3>
[0035]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76.5중량%, 블랙 펄 16.5중량%, 블랙머드 3중량%, 추출액 1.5중량%, 발효액 1.5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사용하였다.
[0036] <비교예 1>
[0037]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74.0중량%, 블랙 펄 20.0중량%, 블랙머드 3.0중량%, 추출액 1.0중량%, 발효액 1.0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사용하였다.
[0038] <비교예 2>
[0039]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80.0중량%, 블랙 펄 17.0중량%, 블랙머드 1.5중량%, 추출액 0.5중량%, 발효액 0.5중량%, 추출액 0.5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사용하였다.
[0040] <실시예 4>
[0041]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73.5중량%, 블랙 펄 22.5중량%, 블랙머드 1.0중량%, 추출액 1.0중량%, 발효액 1.0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통상의 샴프액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샴프액과 물질 조성물의 혼합비는 10 : 1로 하였다.
[0042] <실시예 5>
[0043]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75중량%, 블랙 펄 20.0중량%, 블랙머드 2중량%,추출액 1.0중량%, 발효액 1.0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통상의 샴프액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샴프액과 물질 조성물의 혼합비는 10 : 1로 하였다.
[0044] <실시예 6>
[0045]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76.5중량%, 블랙 펄 16.5중량%, 블랙머드 3중량%, 추출액 1.5중량%, 발효액 1.5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통상의 샴프액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샴프액과 물질 조성물의 혼합비는 10 : 1로 하였다.
[0046] <비교예 3>
[0047]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74.0중량%, 블랙 펄 20.0중량%, 블랙머드 3.0중량%, 추출액 1.0중량%, 발효액 1.0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통상의 샴프액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샴프액과 물질 조성물의 혼합비는 10 : 1로 하였다.
[0048] <비교예 4>
[0049]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제한 정제수 80.0중량%, 블랙 펄 17.0중량%, 블랙머드 1.5중량%, 추출액 0.5중량%, 발효액 0.5중량%, 추출액 0.5중량%를 혼합하여 믹싱기로 24시간 믹싱하여 물질 조성물을 제조한 후, 통상의 샴프액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샴프액과 물질 조성물의 혼합비는 10 : 1로 하였다.
[0050]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염색약의 경우, 30일마다 1회 염색하여 1년 후의 결과를 살펴보았고, 샴프액의 경우, 매일 1회 머리를 감아 1년 후의 결과를 살펴보았으며, 하기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0051]
구분 발 모 두 피 재생 멜라닌 색소
실시 예 1 향상 향상 유지
실시 예 2 향상 향상 약간 감소
실시 예 3 미흡 미흡 유지
비교 예 1 향상 향상 매우 감소
비교 예 2 매우 미흡 매우 미흡 유지
[0052]
(샴프)
구분 발 모 두 피 재생 샴프 기능
실시 예 4 향상 향상 유지
실시 예 5 향상 향상 약간 감소
실시 예 6 미흡 미흡 유지
비교 예 3 향상 향상 매우 감소
비교 예 4 매우 미흡 매우 미흡 유지
[0053] 상기의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발모와 두피재생 촉진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정제수에 대한 물질의 혼합량이 최적의 조성비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의 경우는, 정제수에 대하여 물질의 비율이 약간 증가함으로써 발모와 두피재생 촉진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 기능은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3의 경우는, 정제수에 대하여 물질의 비율이 약간 감소함에 따라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 기능은 유지되었으나, 발모와 두피재생 촉진 효능이 약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0054] 반면에, 비교예 1의 경우와 같이, 정제수에 대하여 물질의 비율이 설정범위 이상 증가함에 따라, 발모와 두피 재생 촉진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 기능은 매우 감소하여 적용하기 곤란하였고, 비교예 2의 경우는, 정제수에 대하여 물질의 비율이 설정범위 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 기능은 유지되었으나, 발모와 두피재생 촉진 효능이 매우 미약하여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0055] 또한, 상기의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경우, 샴프액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발모와 두피 재생 촉진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정제수에 대한 물질의 혼합량이 최적의 조성비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 예 2의 경우는, 정제수에 대하여 물질의 비율이 약간 증가함으로써 발모와 두피재생 촉진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샴프액 본래의 기능은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3의 경우는, 정제수에 대하여 물질의 비율이 약간 감소함에 따라 샴프액 본래의 기능은 유지되었으나, 발모와 두피재생 촉진 효능이 약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0056] 반면에, 비교예 3의 경우와 같이, 정세수에 대하여 물질의 비율이 설정범위 이상 증가함에 따라, 발모와 두피 재생 촉진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샴프액 본래의 기능은 매우 감소하여 적용하기 곤란하였고, 비교예 2의 경우는, 정제수에 대하여 물질의 비율이 설정범위 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샴프액 본래의 기능은 유지되었으나, 발모와 두피재생 촉진 효능이 매우 미약하여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0057]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

  1. 정제수 73.5~76.5중량%, 블랙 펄 16.5~23.5중량%, 블랙머드 1.0~3.0중량%, 추출액 0.5~1.5중량%, 발효액 0.5~1.5중량%, 추출액 0.5~1.5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75.0중량%, 상기 블랙 펄은 20.0중량%, 상기 블랙머드는 2.0중량%, 상기 추출액 1.0중량%, 발효액 1.0중량%, 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재생촉진용 물질 조성물.
KR20130038761A 2013-04-09 2013-04-09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KR20140122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761A KR20140122099A (ko) 2013-04-09 2013-04-09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PCT/KR2014/003119 WO2014168433A2 (ko) 2013-04-09 2014-04-10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761A KR20140122099A (ko) 2013-04-09 2013-04-09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47363A Division KR20150043268A (ko) 2015-04-03 2015-04-03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99A true KR20140122099A (ko) 2014-10-17

Family

ID=5169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761A KR20140122099A (ko) 2013-04-09 2013-04-09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22099A (ko)
WO (1) WO201416843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080A (ko) * 2018-08-16 2020-02-26 윤지영 미네랄 효모 소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8371A (zh) * 2020-04-03 2020-07-10 广州骐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蚕丝蛋白的防脱固发生发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957609A (zh) * 2021-02-04 2021-06-15 义乌柒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头皮毛囊激活的再生处理系统
CN112645733B (zh) * 2021-02-06 2022-08-02 景德镇陶瓷大学 一种含釉的具有梯度孔结构的闭孔泡沫陶瓷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163A (ko) * 2008-03-17 2009-09-22 장경선 블랙 머드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KR101138411B1 (ko) * 2009-01-29 2012-04-26 김경자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KR101190333B1 (ko) * 2010-05-27 2012-10-11 김승원 발모 및 피부재생 촉진용 광물질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080A (ko) * 2018-08-16 2020-02-26 윤지영 미네랄 효모 소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복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8433A3 (ko) 2014-12-11
WO2014168433A2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101460969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CN108553389A (zh) 一种植物保湿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CN108653006A (zh) 一种植物保湿全效眼霜及其制备方法
KR20140122099A (ko)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KR101190333B1 (ko) 발모 및 피부재생 촉진용 광물질 조성물
KR101711134B1 (ko) 발모촉진제 제조방법
KR20070023315A (ko)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333918A (zh) 凹凸棒晒后修护面霜
KR102047949B1 (ko) 초정 광천수와 비타민나무 열매오일 혼합물을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CN107441340B (zh) 一种消肿止痛止痒滋养皮肤的手足皴裂膏及其制备方法
KR101438392B1 (ko) 발모촉진/탈모방지용 샴프 제조방법
KR101969983B1 (ko) 토판염을 함유한 탈모개선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48028A1 (ko) 박대 껍질 성분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9646359B (zh) 一种具有清洁净化和美容养颜功效的玫瑰木耳泥膜膏及其制备方法
RU2191000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маска
KR20020090177A (ko)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 성분이 함유된 저염도 기능성소금의 제조방법
RU263925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маски
KR20200107495A (ko) 김치 발효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030070686A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예방용 외용제의 제조 방법
KR102374056B1 (ko) 건강 개선을 위한 천연성의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기능성 샴푸제 및 화장제
CN107929221A (zh) 含有木瓜干细胞提取物的美白抗过敏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261190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524298A (zh) 减肥祛斑保健按摩霜
KR20070019504A (ko) 유황 비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