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711A -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펜스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펜스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711A
KR20170021711A KR1020150162288A KR20150162288A KR20170021711A KR 20170021711 A KR20170021711 A KR 20170021711A KR 1020150162288 A KR1020150162288 A KR 1020150162288A KR 20150162288 A KR20150162288 A KR 20150162288A KR 20170021711 A KR20170021711 A KR 20170021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wire rope
hole
bolt
hyster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혜경
Original Assignee
권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혜경 filed Critical 권혜경
Publication of KR2017002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2Pedestrian barriers; Barriers for channelling or controlling crow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H17/14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 펜스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장에 설치되는 H-빔 지주, 특히 경사진 공사장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공사장에 설치되는 H-빔에 설치되는 이지아이 펜스를 이용한 가설 펜스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H-빔 지주;
상기 H-빔 지주들의 플렌지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로프형 가로 부재;
상기 와이어로프에 고정되는 다수의 가설 펜스 부재; 및
상기 가설 펜스 부재를 상기 로프형 가로부재에 결합시키는 다수의 펜스 결합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펜스 및 그 설치 방법{TEMPORARY FENCE HAVING FLEXIBLE TRANSVERSE MEMBERS AND METHODS FOR SETTING THEREOF}
본 발명은 가설 펜스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장에 설치되는 H-빔 지주, 특히 경사진 공사장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공사장에 설치되는 H-빔에 설치되는 이지아이 펜스를 이용한 가설 펜스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지아이 펜스는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사현장, 신축건물 공사현장 또는 도로공사와 같은 다양한 공사 현장에서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일반적인 설치 방식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지면에 일렬로 고정되는 주주파이프(2)를 구비하고, 주주파이프(2)와 직각으로 고정되는 횡대파이프(3)를 구비하고, 횡대파이프(3)에 후크볼트(10)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EGI패널(5) (Electrolytic Galvanized Iron)을 구비하고, 주주파이프(2)들의 후방에서 EGI패널(5)을 지탱하는 보조지주(4)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은 경사지에 가로 부재가 설치될 경우, EGI 펜스에 일정한 높이에 후크 삽입용 천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진 가로부재에 EGI 펜스가 경사지게 설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 평평한 곳에 설치된 수직 EGI펜스와 경사진 곳에 설치된 경사진 EGI펜스가 서로 삐뚤어지게 설치되어, 출입 가능한 틈이 생기게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GI펜스를 겹쳐서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4 내지 도 6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 출원 10-2014-0038390 호에서 H-빔 수직 지주에 와이어로프를 가로부재로 사용한 지지 구조와 높이 조절용 펜스 클립을 이용해서 가설펜스를 수직하게 설치하는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여기서, 와이어로프들은 H-빔들의 중심부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서 H-빔을 통과하여 양말단의 H-빔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 방식은 수직 지주를 지탱하기 위한 보조 지주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설치 단면이 좁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수많은 짧은 강관비계(표준 길이 6m)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대신 하나의 긴 와이어로프를 이용해서 공사장의 일측에서 타측 끝까지 한 줄로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설치에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공된 H-빔과 이를 관통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와이어로프가 양 말단의 H-빔에 고정되기 때문에, 가설 방음 펜스에 가해지는 풍압과 와이어로프가 처지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해진 인장력이 양말단의 H-빔에 집중되어 지면에 박아놓은 양말단의 H-빔이 기울어지면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길게 연장된 와이어로프가 중간에서 끊어질 경우, 가설 펜스 전체가 파손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뿐 아니라, 공사중에는 필요 시 일부 가설 방음 펜스을 철거하고 임시로 차량이나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와이어로프가 H-빔 전체에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 부분 해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의 설치를 위해서는, 와이어로프를 일 말단의 H-빔에 고정시키고, 다수의 H-빔을 관통시킨 후, 잡아당겨 팽팽하게 한 다음 타말단의 H-빔에 고정하게 되는데, H-빔과 H-빔 사이에서 와이어 로프들의 처짐 현상으로 인해 와이어 로프와 천공구 사이에 마찰력이 커져서 잡아 당겨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H-빔을 통과할 때마다 팽팽하게 잡아당겨 고정시킨 다음, 다시 다음 H-빔을 통과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와이어로프를 관통시키기 위해 H-빔을 천공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였으며, 천공된 H-빔은 다른 분야에서 재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까지 대두되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본 과제는 수직하는 강관 비계로 이루어진 가설 펜스 지지부 대신에 H-수직 부재에 유연성 가로부재, 바람직하게는 와이어로프가 고정된 지지부를 가지는 가설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경사 영역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가설 펜스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유연한 가로부재를 사용하는 새로운 이지아이 펜스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H-빔과 유연한 가로부재를 사용하는 새로운 이지아이 펜스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이지아이 펜스에 유연한 가로부재를 결착할 수 있는 새로운 결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경사면에서 유연성 가로부재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경사면에 수직하게 이지아이펜스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와이어로프와 같은 유연성 가로부재를 사용함에 있어서, 와이어로프에 가해지는 힘이 양말단의 H-빔에 집중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설치된 와이어로프가 끊어질 경우, 전체 가설 펜스이 붕괴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와이어로프와 같은 유연성 가로 부재를 사용함에 있어서, H-빔을 관통하면서 H-빔과 와이어로프의 마찰로 인해 당겨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H-빔 지주;
상기 H-빔 지주들의 플렌지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로프형 가로 부재;
상기 와이어로프에 고정되는 다수의 가설 펜스 부재; 및
상기 가설 펜스 부재를 상기 로프형 가로부재에 결합시키는 다수의 결합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H-빔의 플렌지에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여 줌으로써, 단락 사고 발생시 전체 방음벽이 붕괴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사고 범위를 지주와 지주 사이로 한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로프가 H-빔의 표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와이어로프를 H-빔에 관통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프형 가로부재는 가설 펜스부재와 H-빔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설치 후 풍압에 의해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프형 가로부재를 H-빔 플렌지에 판재로 밀착시키는 밀착판을 가지는 고정 부재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밀착판의 두께는 10 mm 이하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을 가지는 고정부재는 와이어로프를 H-빔의 플렌지에 밀착시키는 전면의 밀착판과, 와이어로프 관통구와 상기 와이어로프 관통구에서 상단 또는 하단으로 연장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측면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관통구가 형성된 배면부로 이루어져 H-빔의 플렌지에 끼워지는 ㄷ자형 몸체부와, 상기 배면부의 볼트 관통구에 삽입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조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밀착판을 가지는 고정부재를 이용해서 ㄷ자형 몸체부가 H-빔의 플렌지의 양쪽에 끼워지고, 와이어로프가 관통구에 끼워져 H-빔 플렌지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임볼트의 회전에 의해서, 전면의 밀착판이 와이어로프를 압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을 가지는 고정부재는 와이어로프를 H-빔의 플렌지에 밀착시키는 플렌지의 길이에 상응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편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여기서 상기 결합편에는 각각 와이어로프 관통구와 일측에서 관통구에 이르는 절개부를 가지며;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을 H-빔을 둘러서 연결하여 조여주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 고정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의 말단에는 볼트 관통용 천공구가 형성된 돌출편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임부는 상기 결합편의 양단에 볼트결합된는 조임볼트와 H-빔을 두르는 "ㄷ"자형 몸체부를 가지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착 부재는 플렌지를 관통하여 플렌지 배면에서 너트로 조여지는 하나 이상의 U자형 볼트, 바람직하게는 2개의 U자형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플렌지에는 장공, 일예로 직사가형 형태의 구멍이 형성되어 U자형 볼트의 내측면이 와이어로프를 충분히 압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펜스 부재는 직사각형의 본체를 이루며, 소정 높이에 결합용 천공구가 형성된 가설용 펜스, 일 예로 EGI 펜스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EGI 펜스 부재를 상부에 동일한 높이로 천공된 2~3개의 상부 천공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동일한 높이로 천공된 2~3개의 하부 천공구가 상부 천공구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EGI 펜스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설 펜스 부재는 펜스 부재에 형성된 천공구를 관통하는 관통 볼트와 관통 볼트의 결합 위치가 조절되는 장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는 높이 가변형 펜스 결합 부재를 이용해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펜스 결합 부재는 일단에 상향 돌출편을 가지는 직사각형 하부 몸체와, 상향 돌출편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부 관통홀과, 그리고 상기 하부 관통홀과 타단 사이의 상기 몸체에 길게 형성된 장공을 가지는 하부 결합편; 타단에 하향 돌출편을 가지는 직사각형 상부 몸체와, 하향 돌출편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부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로프를 압착하는 압착홀이 형성되도록 하부 결합편에 대향하여 겹쳐지는 상부 결합편; 상기 상부 관통홀과 하부 관통홀을 결합하여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로프 고정 볼트부; 및 상기 하부 결합편의 장공과 펜스 관통홀 사이에 결합하여 펜스를 고정하는 펜스 고정볼트부로 이루어진 펜스 결합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로프 고정 볼트부는 상부 결합편의 상부 관통홀과 하부 결합편의 하부 관통홀을 통과하는 로프 고정 볼트와 하부 관통홀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펜스 고정 볼트부는 펜스와 하부 결합편의 장공을 관통하는 펜스 고정 볼트와 펜스 고정볼트를 펜스에 고정하는 제1 펜스 고정너트와 펜스 고정볼트를 하부 결합편에 고정하는 제2 펜스 고정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펜스 결합 부재는 굽힘부와 대향하는 두 말굽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말굽편에서 입구부터 내측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고, 펜스에 밀착되지 않는 말굽편에는 장공과 굽힘부 사이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두 말굽편 사이로 로프형 가로부재가 관통하는 말굽형 몸체부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고 말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프 수용체를 가지며, 대향하는 말굽편의 내면에 와이어로프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와이어로프 고정 볼트와; 상기 장공과 펜스 관통홀 사이에 결합하여 펜스을 고정하는 펜스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펜스 결합부재는 지면의 경사도가 클 경우에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의 설치 방법이 다수의 H-빔 지주들을 소정간격으로 이격하여 수직하게 세우는 단계; 다수의 H-빔의 플렌지에 로프형 가로부재들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다수의 펜스 부재를 상기 H-빔과 로프형 가로부재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설 펜스는 결합 위치가 변하는 가변형 고정부재를 이용해서 경사지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신축적인 재질의 가로부재(일 예로 와이어 로프)를 사용할 경우, 설치부지의 조건이 직선, 곡선, 평지, 경사, 꺾임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더라도,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가설 펜스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적 강도에 문제가 없으면서 가격이 저렴하고, 운반/취급이 용이하고, 설치/해체가 빠르고, 기능적인 부분이 우수하여 재료비, 운반비, 시공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는 배면 지지대가 없어 설치 면적이 적고, 무거운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대신 무제한으로 연장되는 2~3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가설 펜스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는 로프형 가로부재가 각 지주들에 고정되어 가로부재의 절단되더라도 전체 가설 펜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들이 H-빔의 플렌지의 외면에 밀착 고정됨으로서, 풍압이나 가압력에 견딜 수 있는 내력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로프형 가로부재를 H-빔을 관통하여 고정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 예를 들어, 다수의 지주를 관통한 로프를 잡아당겨 인장을 부여하려고 할 경우, 지주와 지주간 와이어의 처짐 현상 발생으로 와이어와 천공구 간에 엇각이 형성되고, 이로 인한 와이어와 천공구가 마찰로 인해 와이어를 잡아당겨 인장을 부여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의 건축공사용 안전펜스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후크 볼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건축공사용 안전펜스를 경사로 설치할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은 종래 발명에 따른 천공된 H-빔 상단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은 종래 발명에 따라 와이어로프가 H-빔의 천공구를 통과하는 가설펜스의 상단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의 설치를 위해 H-빔들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의 설치를 위해 수직으로 세워진 H-빔에 와이어로프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라 설치된 가설 펜스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에 의해서 와이어로프가 H-빔의 플렌지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에 의해서 와이어로프가 H-빔의 플렌지에 결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부재의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 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 결합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 결합 부재로 펜스 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가 수평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펜스가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은 말단 H-빔에 와이어로프가 결합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U자형 볼트에 의해서 와이어로프가 H빔의 플렌지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U자형 볼트에 의해서 와이어로프가 H빔의 플렌지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및 측면확대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태, 특징 및 이점은 대표적인 실시예의 하기 설명을 포함하고, 그 설명은 수반하는 도면들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 펜스를 설치하기 위해서, 먼저 양측 말단의 H-빔(150) 사이에 다수의 H-빔(100)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하게 고정된다.
다음,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H-빔(100)들에 고정 부재(500)를 이용해서 소정 높이로 와이어로프(200)들이 다단으로 고정한다. 가설 펜스 부재가 지지되지 않는 H-빔(100)의 배면에는 가설 펜스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강관 파이프(160)를 사용할 수 있다. 가설 펜스가 시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말단 H-빔(150)에는, 와이어 로프(200)를 결속한 아이너트(211)에 롱볼트(212)의 한쪽 끝을 체결한 후, 롱보트(212)를 말단 H-빔(150)에 설치된 고정부재(500)의 와이어 관통구를 통해 통과시키고, 통과된 롱볼트(212)의 한쪽 끝에 와셔와 너트를 체결하여 너트의 회전으로 와이어 로프(200)을 인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 펜스 부재(300)들이 펜스 고정부재(400)을 통해서 와이어로프(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와이어로프(200)를 H-빔(100)의 플렌지(110)에 고정하는 와이어로프 고정부재(5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를 H-빔의 플렌지에 밀착시키는 전면 밀착판(510)과, 와이어로프 관통구(521)와 상기 와이어로프 관통구에서 상단 또는 하단으로 연장되는 절개부(522)가 형성된 측면부(520)와, 나사산(531)이 형성된 볼트 관통구(532)가 형성된 배면부(530)로 이루어져 H-빔의 플렌지에 끼워지는 ㄷ자형 몸체부(501)와, 상기 배면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조임볼트(502)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와이어로프 고정부재(500)가 H-빔(100)의 플렌지(110)의 양측에 서로 마주 보며 끼워지며, 플렌지 왼쪽에 끼워지는 와이어로프 고정부재(500)는 절개부(522)가 위쪽으로 위치하고, 플렌지 오른쪽에 끼워지는 와이어로프 고정부재(500)는 절개부(522)가 아래쪽으로 위치한다. 와이어로프(200)는 절개부(522)를 통해서 와이어로프 관통구(521)에 끼워지므로, 와이어로프(200)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끼울 수 있다.
와이어로프(200)가 와이어로프 고정부재(5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임 볼트(502)를 회전시켜 볼트 관통구(532)를 통해서 전진시키면 전면 밀착판(510)이 와이어로프(200)을 H-빔의 플렌지에 강하게 밀착하면서 고정시킨다.
와이어로프(200)가 와이어로프 고정부재(500)를 통해서 H-빔의 플렌지(110)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면, 펜스 결합 부재(400)를 이용해서 가설 펜스 부재(300)를 고정할 수 있다.
펜스 결합 부재(40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절곡에 의해서 소정 높이로 상향 돌출편(452)이 형성되며, 펜스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긴 직사각형 형태의 하부 몸체(451)와 상향 돌출편(452)으로부터 와이어로프(200)가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부 관통홀(453)과 상기 하부 관통홀(453)과 타단 사이의 몸체에 길게 형성된 장공(454)을 가지는 하부 결합편(450);과 타단에 절곡으로 하향 돌출편(462)을 가지는 짧은 직사각형 몸체(461)와 하향 돌출편(462)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부 관통홀(463)을 가지며, 상기 상향 돌출편(452)와 하향 돌출편(462)들이 대향하도록 겹쳐지는 상부 결합편(460);과 상기 상부 관통홀(463)과 하부 관통홀(453)을 결합하여 와이어로프(200)를 고정하는 로프 고정 볼트부(470);와 상기 하부 결합편(450)의 장공과 펜스(200)의 관통홀(220) 사이에 결합하여 가설 펜스부재(300)를 고정하는 펜스 고정볼트(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펜스 고정 볼트부(480)는 펜스(300)와 하부 결합편(450)의 장공을 관통하는 펜스 고정 볼트(481)와 펜스 고정볼트(481)를 펜스의 반대편에서 고정하는 제1 펜스고정너트(482)와 펜스고정볼트를 하부 결합편(450)의 장공에 고정하는 제2 펜스 고정너트(483)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프 고정 볼트부(470)는 상부 결합편(460)의 상부 관통홀과 하부 결합편(450)의 하부 관통홀을 통과하는 로프 고정 볼트(471)와 하부 관통홀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산으로 인해 로프 고정시 하부에 너트를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되며, 로프 고정볼트(470)는 와이어로프의 압착 후 제1 펜스고정 너트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하부 결합편(450)이 가설 펜스 부재(300)와 평행하게 유지된다.
상향 돌출편(452)의 돌출 높이(452')와 하향 돌출편(462)의 돌출 높이(462')는 두 돌출편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200)의 직경보다 작아서, 로프 고정 볼트부(470)를 잠글 경우, 하부 결합편과 상부 결합편이 밀착되면서 와이어로프(200)를 강하게 조이게 된다.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 펜스부재(300)가 수평 지면에 설치될 경우, 펜스 결합부재(400)는 가설 펜스부재(300)의 양쪽 결합용 장공에서 동일한 방향을 고정된다. 가설 펜스부재(300)가 경사면에 설치될 경우, 펜스 결합부재(400)는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어, 경사면에서 펜스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에서는 가설 방음벽 시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말단 H-빔(150)에 와이어 로프(200)가 와이어 연결구(1100)를 이용해서 연결되는 다른 방식을 보여준다.
말단 H-빔(150)에는 와이어로프 대신 원형파이프(151)가 와이어로프 고정부재(500)에 의해서 말단 H-빔(150)의 플렌지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원형파이프(151)의 내부에 롱볼트(152)가 설치되어 양측으로 돌출된다. 롱볼트(152)의 일측에는 와이어 연결구(1100)가 결합되고, 와이어 연결구(1110)에 와이어로프(200)가 결합되며, 롱볼트(152)의 타측에는 너트(153)이 끼워져 너트의 회전에 의해서 롱볼트(152)가 움직이면서 와이어로프(200)에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와이어로프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구(1100)는 내부는 원형단면이며 외부는 육각단면을 가지는 양단 개방된 관형 몸체부를 가진다. 상부면에는 3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며, 볼트홀의 반대편에는 장공들이 각각 대향하여 형성된다. 와이어로프(200)는 3개의 볼트에 의해서 세 지점에서 장공으로 일부가 밀려 들어가게 되어, 관형 몸체부 내부에서 굴곡을 형성하면서 단단하게 고정된다.
도 18 및 도 19에서는 와이어로프(200)를 U볼트(610)을 이용해서 H-빔의 플렌지(110)에 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U볼트(610)의 안쪽으로 와이어로프(200)가 지나가는 상태에서 U볼트(610)를 플렌지(110)에 형성된 장공(타원형)에 삽입하고, U 볼트너트(611)을 조여주면, U볼트(610)가 와이어로프(200)를 플렌지(110)의 표면에 밀착하여 고정한다.
100 : H-빔
200 : 와이어로프
300 : 가설 펜스 부재
400 : 펜스 결합 부재
500 : 와이어로프 고정 부재

Claims (9)

  1.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H-빔 지주;
    상기 H-빔 지주들의 플렌지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로프형 가로 부재;
    상기 와이어로프에 고정되는 다수의 가설 펜스 부재; 및
    상기 가설 펜스 부재를 상기 로프형 가로부재에 결합시키는 다수의 펜스 결합 부재들로 이루어진 가설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형 가로부재는 U볼트형 고정부재로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펜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 볼트형 고정부재는 H빔 지주의 플렌지에 형성된 두 개의 장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펜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펜스 부재는 경사진 지면에서 H-빔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결합 부재는 펜스부재에 형성된 천공구를 관통하는 관통 볼트와 관통볼트가 결합하는 위치가 조절되는 장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및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는 가변형 펜스 결합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펜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결합 부재는
    일단에 상향 돌출편을 가지는 직사각형 하부 몸체와, 상향 돌출편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부 관통홀과, 그리고 상기 하부 관통홀과 타단 사이의 상기 몸체에 길게 형성된 장공을 가지는 하부 결합편;
    타단에 하향 돌출편을 가지는 직사각형 상부 몸체와, 하향 돌출편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부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로프를 압착하는 압착홀이 형성되도록 하부 결합편에 대향하여 겹쳐지는 상부 결합편;
    상기 상부 관통홀과 하부 관통홀을 결합하여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로프 고정 볼트부; 및
    상기 하부 결합편의 장공과 펜스 관통홀 사이에 결합하여 펜스를 고정하는 펜스 고정볼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펜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결합부재는 경사진 지면에서 펜스을 수직하게 설치하도록 하나의 펜스에서 두 개의 펜스 결합부재가 상향 및 하향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펜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빔들은 배면 플렌지에 추가적으로 강관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펜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빔들은 양 말단에서 롱볼트가 말단 H-빔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롱볼트에 와이어로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펜스.
KR1020150162288A 2015-08-18 2015-11-19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펜스 및 그 설치 방법 KR20170021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46 2015-08-18
KR20150116246 2015-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711A true KR20170021711A (ko) 2017-02-28

Family

ID=5854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288A KR20170021711A (ko) 2015-08-18 2015-11-19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펜스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7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7505A (zh) * 2018-04-26 2018-09-18 东阳市善水环境工程有限公司 智能园区的安全护栏
CN112664053A (zh) * 2021-01-13 2021-04-16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工程施工场地用警示栏
CN113958192A (zh) * 2021-10-30 2022-01-21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围挡的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7505A (zh) * 2018-04-26 2018-09-18 东阳市善水环境工程有限公司 智能园区的安全护栏
CN112664053A (zh) * 2021-01-13 2021-04-16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工程施工场地用警示栏
CN113958192A (zh) * 2021-10-30 2022-01-21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围挡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2344A1 (en) Horizontal cable rail barrier
JP5539495B2 (ja) 固定システム
US7748681B2 (en) Support post assembly with hinge plate and mounting bracket assembly
US20090321701A1 (en) Fence System
KR20170021711A (ko)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펜스 및 그 설치 방법
KR101170956B1 (ko) 강봉과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인상하는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KR101926160B1 (ko) 흙막이 가시설용 띠장 설치공법 및 띠장
CA3118529A1 (en) Fencing bracket
US6527256B2 (en) Fence corner and stretch post assembly
KR20140094178A (ko)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KR102019396B1 (ko) 낙석방지책 구조물
KR20100128220A (ko) 조립식 휀스
KR20170021710A (ko)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방음벽 및 그 설치 방법
KR101508751B1 (ko)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KR101390990B1 (ko) 강선사용 프리텐션 허리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벽체 보강방법
CN217500694U (zh) 新型拉索玻璃幕墙系统
KR101604190B1 (ko)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판넬 및 그 시공 방법
US20080163466A1 (en) Cable restraint clip
JP3866256B2 (ja) 既存住宅の補強構造・工法とこれに用いるコーナー金物
KR101646866B1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11524270U (zh) 一种墙壁拉线装置
KR20170000728U (ko) 와이어로프의 h-빔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고정 구조
US7162843B2 (en) Bolts with connected anchor
EP0503952A1 (en) A fence assembly and panel
KR200381050Y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우프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