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471A -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471A
KR20170021471A KR1020150115856A KR20150115856A KR20170021471A KR 20170021471 A KR20170021471 A KR 20170021471A KR 1020150115856 A KR1020150115856 A KR 1020150115856A KR 20150115856 A KR20150115856 A KR 20150115856A KR 20170021471 A KR20170021471 A KR 2017002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bicycle
sensor unit
unit
mess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이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석 filed Critical 이정석
Priority to KR102015011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471A/ko
Publication of KR2017002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1/00Measuring average value of 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도로를 주행하는 자전거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 도로변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거리에서 접근하는 자전거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부; 상기 속도센서부와 연접 또는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속도표시부; 상기 속도표시부와 연접 또는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출력부; 및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와 기설정된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메시지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for bicycle road}
본 발명은 자전거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도로를 주행하는 자전거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레저활동은 사회생활로부터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충전이나 자기만족 등을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즉, 직장 업무를 벗어나 개인이 자유롭게 자신이 재미와 흥미를 느끼는 일에 몰입할 수 있는 활동으로, 정신적이고 육체적인 균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활동이다.
최근 산업사회가 발전하면서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고 근로시간이 축소되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레저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대표적인 레저활동으로 자전거, 등산, 보드, 낚시 등이 있다.
특히, 자전거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레저활동으로 이를 즐기는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장비를 이용해 전문적인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자전거는 밟는 힘을 페달, 크랭크기구, 체인을 거쳐 뒷바퀴에 전달하는 구동원리가 기본적인 자전거의 형태이다. 주행속도와 상태에 다라 변속비를 변경하여 보다 효율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자전거가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원리에 따른 자전거는 산소 소비량과 칼로리 소비량이 많아 심폐기능이 향상되고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어 스트레스 해소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건강과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는 사회적 추세에 따라 자전거 전용 도로가 곳곳에 구축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자전거 도로에는 별도의 신호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자전거와 자전거 또는 자전거와 보행자 사이의 접촉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전거에는 번호판이 부착되어 있지 않아 카메라 단속이 불가능하고, 대부분의 자전거 운전자들이 자전거 도로마다 정해진 규정속도를 모르고 주행함은 물론 자신의 주행속도를 인지하지 못해 과속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KR 10-1313022 B1 KR 10-1179994 B1 KR 10-1047471 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도로마다 정해져 있는 규정속도를 자전거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의 주행속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속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전거 도로변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거리에서 접근하는 자전거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부; 상기 속도센서부와 연접 또는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속도표시부; 상기 속도표시부와 연접 또는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출력부; 및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와 기설정된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메시지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출력부는 자전거 도로변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자전거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자전거가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에 각각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시간에 맞추어 각각의 메시지출력부에 제어신호를 개별 전송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안내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가 상기 제한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가 각기 다른 형태의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각각의 메시지출력부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시지출력부는, 스피커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메시지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안내메시지를 통해 자전거 도로마다 정해져 있는 제한속도의 위반 여부를 자전거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속도표시부를 통해 자전거 주행속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의력을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를 통해 안내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함은 물론 제한속도 초과시 각기 다른 안내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주의를 요하는 지점에서 과속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부(20)와, 측정된 자전거 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속도표시부(40)와, 측정된 속도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출력부(60)와, 측정된 속도에 따라 메시지출력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먼저, 속도센서부(20)는 자전거 도로변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거리에서 접근하는 자전거의 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속도센서부(20)는 일반적으로 루프 검지선 방식과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식이 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식의 속도센서부(20)가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속도표시부(40)는 상기 속도센서부(20)와 연접 또는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속도센서부(20)에서 측정된 속도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속도표시부(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속도는 측정된 수치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가변되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녹색, 제한속도를 초과한 경우 적색으로 표시되어 자전거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줄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녹색 또는 적색으로 표시되는 속도를 일정 구간별로 명도와 채도 등을 조절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주행속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속도표시부(40)에는 속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구 또는 이미지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정 홍보나 기업 광고 또는 재난 알림 등의 문구나 이미지가 부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부가적으로 표시되는 문구나 이미지는 상기 속도표시부(40)와는 별도로 분리된 모니터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시지출력부(60)는 상기 속도표시부(40)와 연접 또는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속도센서부(20)에서 측정된 속도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출력한다. 즉, 자전거 주행속도가 자전거 도로의 제한속도를 초과하면 안내메시지 중 경고 또는 주의를 요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한 메시지출력부(6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속도센서부(20)에서 측정된 속도와 기설정된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메시지출력부(60)에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안내메시지가 메시지출력부(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출력부(6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도로변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속도센서부(20)에서 측정된 자전거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자전거가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60)에 각각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시간에 맞추어 각각의 메시지출력부(60)에 제어신호를 개별 전송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60)에서 출력되는 안내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전거 운전자에게 반복적으로 주의력을 환기시켜 주의를 요하는 지점에서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속도센서부(20)에서 측정된 속도가 상기 제한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60)가 각기 다른 형태의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각각의 메시지출력부(60)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출력부(60)를 통해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안내메시지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안내메시지의 시선을 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험 구간에서 주행 중 주의를 요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안내메시지의 내용이나 출력 형태가 점차 자극적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과속을 하는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시지출력부(60)는 스피커장치(62) 또는 디스플레이장치(64)로 이루어져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장치(62) 및 디스플레이장치(64)가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전거 운전자에게 청각과 시각으로 동시에 안내메시지를 제공하므로 주변 환경에 관계없이 운전자에게 안내메시지가 잘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변 소음이 커질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64)를 통해 안내메시지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시야가 확보가 어려운 날씨일 경우에는 스피커장치(62)를 통해 안내메시지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속도센서부(20)에서 측정된 속도가 상기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안내메시지가 과속 경고가 아닌 시정 홍보나 기업 광고 또는 재난 알림 등의 내용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메시지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안내메시지를 통해 자전거 도로마다 정해져 있는 제한속도의 위반 여부를 자전거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속도표시부를 통해 자전거 주행속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의력을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를 통해 안내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함은 물론 제한속도 초과시 각기 다른 안내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주의를 요하는 지점에서 과속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속도센서부
40: 속도표시부
60: 메시지출력부
62: 스피커장치
64: 디스플레이장치
80: 제어부

Claims (5)

  1. 자전거 도로변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거리에서 접근하는 자전거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부;
    상기 속도센서부와 연접 또는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속도표시부;
    상기 속도표시부와 연접 또는 이격 설치되어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출력부; 및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와 기설정된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메시지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출력부는 자전거 도로변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자전거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자전거가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에 각각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시간에 맞추어 각각의 메시지출력부에 제어신호를 개별 전송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안내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속도가 상기 제한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출력부가 각기 다른 형태의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각각의 메시지출력부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출력부는,
    스피커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KR1020150115856A 2015-08-18 2015-08-18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KR20170021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56A KR20170021471A (ko) 2015-08-18 2015-08-18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56A KR20170021471A (ko) 2015-08-18 2015-08-18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471A true KR20170021471A (ko) 2017-02-28

Family

ID=5854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56A KR20170021471A (ko) 2015-08-18 2015-08-18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47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471B1 (ko) 2009-03-27 2011-07-07 (주) 이니투스 자전거 운행 관리시스템
KR101179994B1 (ko) 2011-01-06 2012-09-05 주식회사 맥스포 자전거 안전 시스템
KR101313022B1 (ko) 2012-01-27 2013-10-01 임종효 안전주행용 자전거 경고음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471B1 (ko) 2009-03-27 2011-07-07 (주) 이니투스 자전거 운행 관리시스템
KR101179994B1 (ko) 2011-01-06 2012-09-05 주식회사 맥스포 자전거 안전 시스템
KR101313022B1 (ko) 2012-01-27 2013-10-01 임종효 안전주행용 자전거 경고음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5950B2 (ja) 状況に基づいた指導メッセージを車両の運転者に与える方法
US20150367176A1 (en) Cyclist monitoring and recommender system
US20160144915A1 (en) Interactive cyclist monitoring and accident prevention system
Yousif et al. A review of behavioural issues contribution to motorcycle safety
Matviienko et al. Augmenting bicycles and helmets with multimodal warnings for children
AU2013256573C1 (en) Tactile based performance enhancement system
Robinson Bicycle helmet legislation: can we reach a consensus?
US1093733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N106184229B (zh) 车辆驾驶预警方法及其系统
JP2006244343A (ja) ドライバ活性化誘導装置及びドライバ活性化誘導方法
JP2014502938A (ja) 自動二輪車ドライバの姿勢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
JP2007304791A (ja) 速度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BRPI0500595A (pt) Técnica de alerta para saìda de pista
JP2004206207A (ja) 危険感受度推定装置、安全運転評価装置及び警報装置
JP5643142B2 (ja) 運転能力判定装置及び運転能力判定方法
KR20230002180A (ko) 운전자의 주의 환기 장치 및 그 방법
JP2021071328A (ja) 安全運転支援サーバ
FI20215174A1 (fi) Laite, menetelmä ja tietokoneohjelma ajoneuvon kuljettajan ajotavan määrittämiseksi
KR20170021471A (ko) 자전거 도로 안전관리시스템
KR100980489B1 (ko) 자동차 운행형태 및 속도에 대응하는 졸음운전 경고방법 및장치
US20220097603A1 (en) Driver assistance device, driver assistance method,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Zhao et al. Mathematical modeling of average driver speed control with the integration of queuing network-model human processor and rule-based decision field theory
JP2005006966A (ja) 支援装置
KR20170112076A (ko) 자전거 운행상태 표시장치
McWin Prince et al. AN IOT BASED SYSTEM FOR ACCIDENT DETECTION AND PREV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