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128A -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128A
KR20170021128A KR1020150115552A KR20150115552A KR20170021128A KR 20170021128 A KR20170021128 A KR 20170021128A KR 1020150115552 A KR1020150115552 A KR 1020150115552A KR 20150115552 A KR20150115552 A KR 20150115552A KR 20170021128 A KR20170021128 A KR 20170021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cap
front surfa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11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128A/ko
Publication of KR2017002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전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측면을 포함하는 도어 플레이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가 구비되는 도어 캡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캡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플레이트 재질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도어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지는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Door for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oo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전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측면을 포함하는 도어 플레이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가 구비되는 도어 캡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캡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저장용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또한 냉장고는 가구처럼 인테리어기능도 한다.
냉장고의 도어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과, 도어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패널과, 전면패널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및 이를 고정하는 새시를 구비한다.
냉장고의 도어는 다수의 조립 공정을 거치게 된다.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에 유리 재질의 각 패널을 부착하고, 이후 단열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포재를 사용하고, 이후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식부재를 결합한다.
그러나,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에 메탈 소재의 패널을 설치할 경우 프레임에 패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27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의 플레이트 재질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도어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지는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는,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전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측면을 포함하는 도어 플레이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가 구비되는 도어 캡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캡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캡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결속하는 결속부가 도어의 후방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도어 캡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 중 하나에 형성되는 결속돌출부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출부가 삽입되는 결속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캡은 상기 판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전면과,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측면은 상기 전면 및 상기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전면과 상기 측면은 상기 판부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판부의 외측단과 상기 전면과 상기 측면의 외측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결속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출부에는 걸림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속홈은 상기 도어 캡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 캡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결속홈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가 구비되는 도어 캡과,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전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측면을 포함하는 도어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 캡을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끼워서 설치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전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측면을 포함하는 도어 플레이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가 구비되는 도어 캡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캡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플레이트 재질을 다양하게 하여 캡형식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도어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진다.
상기 도어 캡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결속하는 결속부가 도어의 후방 양측에 배치되어, 결속된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이 더욱 미려해진다. 또한, 상기 도어 캡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조립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도어 캡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 중 하나에 형성되는 결속돌출부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출부가 삽입되는 결속홈을 포함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결속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캡은 상기 판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전면과,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측면은 상기 전면 및 상기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전면과 상기 측면은 상기 판부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판부의 외측단과 상기 전면과 상기 측면의 외측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도어 캡을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끼워넣을 때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결속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출부에는 걸림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속홈은 상기 도어 캡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 캡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결속홈 내부에 배치되어, 결속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도어 캡과 도어 플레이트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도어 캡과 도어 플레이트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상부에 배치되는 도어 캡 생략된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의 도어 부분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 도어는, 플레이트 전면(210)과 상기 플레이트 전면(2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측면(220)을 포함하는 도어 플레이트(200)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110)가 구비되는 도어 캡(10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캡(100)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캡(100)은 도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즉, 도어 캡(100)은 도어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캡(100)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110)와, 상기 판부(110)의 둘레를 둘러싸는 전면(120)과, 측면(130)과, 후면(140)을 포함한다. 즉, 도어 캡(100)은 캡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판부(110)가 도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한다.
하부에 배치되는 도어 캡(100)의 판부(110)에는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손잡이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 홈 등은 도어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판부(110)에는 도어의 힌지가 끼워지는 힌지끼움홈이 형성된다.
전면(120)과, 측면(130)은 판부(110)의 외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전면(120)과, 측면(130)은 판부(110)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조립시 도어 플레이트(200)의 상단 또는 하단이 판부(110)의 외측단과 전면(120)과, 측면(130)의 외측 사이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고, 조립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다.
후면(140)은 상부가 하부보다 전방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면(140)에는 도어의 후방에 배치되는 패널(미도시)의 상부 및 하부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어 플레이트(200)는 도어 캡(100)의 전면(120) 및 측면(130)을 둘러싸는 플레이트 전면(210)과 플레이트 측면(220)을 포함한다.
도어 플레이트(200)는 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플레이트 전면(210)과 플레이트 측면(220)은 도어의 전면과 측면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도어의 측면이 전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의 심미성이 더욱 향상된다.
플레이트 전면(210)은 평평하거나 굴곡지게 구비된다.
도어의 후방 양측에는 도어 캡(100)과 도어 플레이트(200)를 결속하는 결속부가 배치되어, 도어 캡(100)과 도어 플레이트(200)의 조립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플레이트 측면(220)의 후단에는 플레이트 후면(240)이 일체로 형성된다.
양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후면(240)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 플레이트(200)는 상하부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속부는 도어 캡(100)과 도어 플레이트(200) 중 하나에 형성되는 결속돌출부(230)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결속돌출부(230)가 삽입되는 결속홈(141)을 포함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결속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결속돌출부(230)는 도어 플레이트(200)의 플레이트 후면(24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결속돌출부(230)는 플레이트 측면(22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다.
결속돌출부(230)는 도어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에 형성된다.
결속돌출부(230)는 플레이트 후면(240)에 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패널의 측부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결속돌출부(23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단차부(231)와 단차부(231)의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턱(232)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231)는 결속홈(141)에 배치되고, 단차부(231)와 플레이트 후면(240) 사이의 단차진 부분은 이하 서술되는 인출홈(142)을 통해 인출된다.
도어 캡(100)의 후면(140)의 양측에는 결속홈(141)이 형성된다. 결속홈(141)은 후면(140)이 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결속홈(141)은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즉, 결속홈(141)은 도어 캡(100)이 도어 플레이트(200)에 끼워지는 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결속홈(141)은 후방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결속홈(141)은 후면(140)의 양끝단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결속홈(141)에는 인출홈(142)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인출홈(142)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또는 하부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도어 캡(100)에는 걸림턱(232)이 걸리는 걸림돌기(143)가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143)는 결속홈(141) 내부에 배치된다.
걸림돌기(143)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며, 결속홈(141)을 형성하는 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걸림턱(232)은 걸림돌기(143)와 결속홈(141)을 형성하는 벽 사이에 배치된다. 걸림턱(232)은 걸림돌기(143) 및 결속홈(141)을 형성하는 벽에 걸려서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걸림돌기(143)는 결속홈(141)의 후방을 막는 벽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4룸 스탠드형 냉장고의 모든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4룸 스탠드형 냉장고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1도어와, 상기 제1도어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도어와, 상기 제3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제1,2,3,4도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플레이트 상하부에 도어 캡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디자인의 일관성을 줄 수 있다.
즉, 상기 제1,2,3,4도어는 상부 도어 캡(100b, 100b', 100b'', 100b''')과, 하부 도어 캡(100a, 100a', 100a'', 100a''')과, 도어 플레이트(200, 200', 200'', 200''')를 포함한다.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는 힌지를 통해 냉장고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3도어와 상기 제4도어는 냉장고의 본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3도어와 상기 제4도어는 서랍식 저장실의 도어이다.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상부 도어 캡(100b, 100b')은 힌지끼움홈 주위(측면 일부 및 후면 일부)가 다른 부분보다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끼움홈 주위의 판부의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도어 플레이트(200, 200')는 플레이트 측면 후방 및 플레이트 후면의 상부가 아래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상부 도어 캡(100b, 100b')은 힌지끼움홈 주위에 근접한 전면과 측면의 연결모서리의 상하길이가 다른 부분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전면과 측면의 연결모서리의 하단이 힌지끼움홈 주위의 단차진 부분의 측면의 하단과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힌지끼움홈 주위의 강도가 더욱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의 도어 플레이트(200)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설치구멍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어 플레이트(200)의 플레이트 전면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설치구멍을 둘러싸는 둘레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둘레부로 인해 도어 플레이트(200)가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부에 일체로 체결편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에는 체결후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설치구멍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설치구멍의 상부 및 중간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체결편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도어 플레이트(20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의 상부 도어 캡(100b'', 100b''')은 전방 및 후방의 높이가 중간 부분보다 더 낮도록 판부가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부 도어 캡(100b'', 100b''')의 판부의 전방에는 손잡이 홈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 홈은 전방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손잡이 홈에 손을 더욱 용이하게 삽입하여 서랍형 저장실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판부의 굴곡진 형상에 대응되도록 도어 플레이트(200'', 200''')의 측면 상부도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의 상부의 중간 부분이 위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서랍형 저장실에 접근하거나 멀어질 때 모서리 부분에 걸리거나 찍혀서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3도어 및 상기 제4도어의 하부 도어 캡(100a'', 100a''')은 보강리브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는 하부 도어 캡(100a'', 100a''')의 전면과, 측면과, 후면과, 판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부 도어 캡(100a'', 100a''')을 얇게 형성하더라도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110)가 구비되는 도어 캡(100)과, 플레이트 전면(210)과 상기 플레이트 전면(2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측면(220)을 포함하는 도어 플레이트(20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 캡(100)을 상기 도어 플레이트(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끼워서 설치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 캡(100) 및 도어 플레이트(200)의 상세한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도어 플레이트(200)의 상부 및 하부에 도어 캡(100)을 배치시킨다. 이어서 도어 캡(100)의 전면(120), 측면(130), 후면(140)의 양측이 도어 플레이트(200)의 플레이트 전면(210), 플레이트 측면(220), 플레이트 후면(24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도어 플레이트(200)에 도어 캡(100)을 끼워넣어서 조립한다. 따라서, 조립 후 도어 캡(100)의 전면(120), 측면(130), 후면(140)의 양측은 플레이트 전면(210), 플레이트 측면(220), 플레이트 후면(240)과 겹치게 된다.
또한, 조립시 도어 플레이트(200)의 양측에 배치되는 결속돌출부(230)는 도어 캡(100)의 결속홈(14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걸림턱(232)은 걸림돌기(143)와 결속홈(141)을 형성하는 벽 사이에 배치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플레이트(200)와 도어 캡(100)은 결속되어 조립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어서, 도어 플레이트(200) 및 도어 캡(100)의 후방에 패널을 조립한다.
상기 조립단계 이후에, 도어 플레이트(200) 및 도어 캡(100) 및 상기 패널로 둘러싸이는 공간(10)에 발포액을 채워서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발포단계를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어 캡 110 : 판부
120 : 전면, 굴곡부 130 : 측면
140 : 후면 141 : 결속홈
200 : 도어 플레이트 210 : 플레이트 전면
220 : 플레이트 측면 230 : 결속돌출부
240 : 플레이트 후면

Claims (7)

  1.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전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측면을 포함하는 도어 플레이트;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가 구비되는 도어 캡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캡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캡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결속하는 결속부가 도어의 후방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도어 캡과 상기 도어 플레이트 중 하나에 형성되는 결속돌출부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출부가 삽입되는 결속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캡은 상기 판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전면과,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측면은 상기 전면 및 상기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전면과 상기 측면은 상기 판부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판부의 외측단과 상기 전면과 상기 측면의 외측 사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출부에는 걸림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속홈은 상기 도어 캡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 캡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결속홈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7.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부가 구비되는 도어 캡과, 플레이트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 전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측면을 포함하는 도어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도어 캡을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끼워서 설치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
KR1020150115552A 2015-08-17 2015-08-17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 KR20170021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552A KR20170021128A (ko) 2015-08-17 2015-08-17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552A KR20170021128A (ko) 2015-08-17 2015-08-17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128A true KR20170021128A (ko) 2017-02-27

Family

ID=5831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552A KR20170021128A (ko) 2015-08-17 2015-08-17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1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0217A1 (en) 2018-12-13 2020-06-18 Arcelik Anonim Sirketi Method of assembly and fortification of a cooling appliance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786A (ko) 2009-10-20 201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786A (ko) 2009-10-20 201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0217A1 (en) 2018-12-13 2020-06-18 Arcelik Anonim Sirketi Method of assembly and fortification of a cooling appliance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6470B2 (en) Molded plastic dishwasher door assembly
EP3027984B1 (en)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CN102235784A (zh) 冰箱及其门把手和门
US20180283768A1 (en) Door comprising a door frame and a recessed handle element, and a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comprising such a door
KR101727375B1 (ko) 플라스틱 구조물이 제공된 옷장을 구성하는 모듈식 장치
US20200323342A1 (en) Trim assembly for an appliance shelf
KR102285845B1 (ko) 냉장고
US20060273699A1 (en) Door for a refrigeration device
KR20150095407A (ko) 냉장고 도어 패널 조립구조 및 냉장고 도어 패널 조립방법
KR100678674B1 (ko) 냉장고용 도어의 프론트패널 장착구조
KR20170021128A (ko)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 제조방법
US20060152120A1 (en) Refrigerator handle mounting arrangement having pin and cavity interlock
CN206861958U (zh) 一种门体及具有该门体的冰箱
KR102428162B1 (ko) 냉장고 도어
WO2021023077A1 (zh) 冰箱的门体及其装配方法
KR20150088053A (ko) 실내 연출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되는 조립식 수납가구
JP6599611B2 (ja) 組立式収納家具
KR100441018B1 (ko) 김치냉장고
KR200254215Y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KR101124410B1 (ko) 프런트 케이스의 체결구조
CN106403470B (zh) 具有门的冰箱
JP3138940U (ja) メタルキャビネット
KR100781602B1 (ko) 냉장고의 장식패널 지지구조
KR102670443B1 (ko) 캐비넷 장치
KR101339670B1 (ko) 결합구를 이용한 평판형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