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569A -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 Google Patents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569A
KR20170020569A KR1020150113667A KR20150113667A KR20170020569A KR 20170020569 A KR20170020569 A KR 20170020569A KR 1020150113667 A KR1020150113667 A KR 1020150113667A KR 20150113667 A KR20150113667 A KR 20150113667A KR 20170020569 A KR20170020569 A KR 20170020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ltrasound
medium
discharge port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101B1 (ko
Inventor
이충휘
임원빈
노연선
안지영
김소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1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21Neural system treatment
    • A61N2007/0026Stimulation of nerve tissue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의 내측에 구비된 매개물질 수납부에 초음파 치료 시에 피부 등에 수시로 발라야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들어 있으며, 초음파 프로브의 피부 접촉면의 일측에 토출공이 구비되어, 초음파 프로브의 몸체를 누름에 의해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초음파 치료 시에 프로브와 초음파 매개물질을, 한손으로 도구를 바꿈없이 사용할 수 있어, 치료효과 및 안정성을 높인,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는, 외측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며,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저면 중앙부에 매개물질수납부 통공을 구비한,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 상부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며, 내측 저면 중앙부에 있는 토출구 연결관의 통공은, 매개물질수납부 통공의 밑에 위치되는,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 초음파 진동자부를 구비하며, 토출구 연결관과 연결된 매개물질 토출구를 저면 일측에 구비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A ultrasound probe embedded ultrasound transmission medium}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의 내측에 구비된 매개물질 수납부에 초음파 치료 시에 피부 등에 수시로 발라야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들어 있으며, 초음파 프로브의 피부 접촉면의 일측에 토출공이 구비되어, 초음파 프로브의 몸체를 누름에 의해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초음파 치료 시에 프로브와 초음파 매개물질을, 한손으로 도구를 바꿈없이 사용할 수 있어, 치료효과 및 안정성을 높인,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ultrasound)는 물리치료실에서 자주 사용하는 물리치료 기구 중 하나이기도 하지만, 그 이외에도, 피부과, 내과, 산부인과 등에서도 아주 널리 사용된다.
특히, 물리치료 중 초음파 치료요법은 근육통, 삔허리, 냉증, 근육의 손상 등 통증에 치료에 이용된다. 이 초음파 치료는 큰 감각 신경섬유를 자극하여 작은 감각신경 섬유로 전달되는 통증이 더 이상 감지될 수 없도록 하는 원리이다. 이 경우, 초음파는 심부의 흉터조직들을 없애고 새로운 결합조직의 세포들을 자극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포는 균형있게 생성되고, 탄력이 생겨, 새로운 조직을 한층 더 유연성 있게 해준다. 또한 초음파는 화학적으로 혈관 세포막의 투과성을 변화시킨다. 투과성이 증가됨으로써 흡수와 배설이 촉진되고, 세포의 노폐물은 사라지며, 세포의 영양소는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초음파는 음파(sound wave)의 일종으로, 종파(longitudinal wave)의 형태를 갖고 있고, 에너지의 이동을 위해 매개물질(medium)을 사용해야 한다. 음파는 진동 매개물(vibrating medium)을 통해서 압축(compression)과 팽창(rarefaction)의 특성을 나타낸다. 전자장파 형태는 공간 같은 진공 상태에서도 전달이 가능하지만, 음파는 전달을 위한 매개물질이 필요하다. 초음파의 경우 초음파 헤드와 접촉 피부면 사이에 공기가 있으면 감쇄(attenuation)가 발생하여 음파가 인체 내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공기와 피부 경계면에서는 초음파가 거의 대부분 피부 경계면에서 반사(reflection)가 일어나게 되어 에너지 전달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반드시 초음파 프로브(헤드)와 신체 접촉 면 사이에 젤과 같은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ultrasound transmission medium)이 필요하다.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로 초음파 전용 젤, 미네랄 오일, 초음파 전용 로션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매개물질은 초음파 전용 젤이다.
초음파 전용 젤의 성분 중 대부분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피부에 젤을 바른 후, 치료를 시작하여 시간이 경과되면, 증발되거나 치료 부위 밖으로 조금씩 젤이 밀려나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용기에 들어 있는 초음파 전용 젤을 초음파 프로브(헤드)나 치료부위에 수시로 짜서 발라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다. 수시로 젤을 바르지 않게 되면 초음파 프로브의 피부 접촉면이 뜨거워져서 환자의 피부에 화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초음파 프로브내의 진동자로 사용되는 수정(crystal)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판되는 초음파 전용 젤은 주로 250ml 용기에 담겨져 있는데, 치료사는 환자의 치료부위 접촉면에 젤이 부족할 때마다 이 용기를 매번 흔들어서 짜내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초음파 프로브와 초음파 전용 매개물체가 일체화된 초음파 프로브가 요망된다.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8864호의 초음파 프로브의 케이스형 젤 패드가 있다. 이 발명의 케이스형 젤 패드는 초음파 프로브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케이스 형태이다.
그러나, 여러 환자들이 사용 시에, 각 환자에 따라 일회용으로 하기에는 고가이고, 무엇보다도 초음파 전용 젤을, 일단이 개방된 케이스 형태로 경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화제에 따라서 그 초음파 전달 성질이 초음파 전용 젤 자체를 사용할 때와는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의 내측에 매개물질 수납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물질 수납부에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들어 있으며, 초음파 프로브의 피부 접촉면의 일측에 토출공이 구비되어, 초음파 프로브의 몸체를 누름에 의해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진,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초음파 프로브의 내측에 구비된 매개물질 수납부에 초음파 치료 시에 피부 등에 수시로 발라야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들어 있으며, 초음파 프로브의 피부 접촉면의 일측에 토출공이 구비되어, 초음파 프로브의 몸체를 누름에 의해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초음파 치료 시에 프로브와 초음파 매개물질을, 한손으로 도구를 바꿈없이 사용할 수 있어, 치료효과 및 안정성을 높인,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초음파 프로브의 내측에 구비된 매개물질 수납부에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내장하여, 초음파 프로브의 피부접촉면과 환자 치료 부위 사이에 매개물질인 젤이 부족 시, 수시로 보충해 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에서, 매개물질 수납부의 상부에 있는 커버부를 열어, 매개물질 수납부로 초음파 매개물질을 보충가능하며, 상기 매개물질 수납부가 진동자의 위에 위치되어, 진동자의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는,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는, 초음파 프로브의 몸체를 감싸는 외측 하우징; 외측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며,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수납하는 매개물질 수납부를 형성하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 외측 하우징의 밑에 위치되며, 초음파 진동자부를 구비하며, 저면 일측에 매개물질 토출구를 구비한, 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며, 중앙부는 토출구 연결관을 구비한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는, 외측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며,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저면 중앙부에 매개물질수납부 통공을 구비한,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 상부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며, 내측 저면 중앙부에 있는 토출구 연결관의 통공은, 매개물질수납부 통공의 밑에 위치되는,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 초음파 진동자부를 구비하며, 토출구 연결관과 연결된 매개물질 토출구를 저면 일측에 구비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는 고정부 기둥을 통해 헤드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는 외측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 하우징의 상단을 덮는 외측 뚜껑과 매개물질수납부 하우징의 상단을 덮는 수납부 뚜껑을 구비한다.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은 초음파 전용 젤, 미네랄 오일, 초음파 전용 로션 중 어느 하나이며, 초음파 진동자부는 초음파 트랜스듀서이다.
외측 하우징과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중간부분 일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편을 구비하며, 외측 하우징의 경도(hardness)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경도보다 더 크다.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은, 중앙부에 토출구 연결관의 통공을 구비하는 판인, 고정부 지지판; 고정부 지지판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벽체로, 내측의 벽에 턱과 홈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 벽체; 고정부 지지판(132)의 밑에 장착되며, 내측에 토출구 연결관이 구비되는, 고정부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외측 하부에 위치된 턱과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하우징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 결합부가 결합된다.
고정부 결합부와 수납부하우징 결합부에서 턱의 폭길이는 홈의 폭길이보다 작다.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하면과 헤드부의 내측 저면의 사이의 틈인 완충 구간을 구비한다.
토출구 연결관은 단차를 구비하여,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에 따르면, 초음파 프로브의 내측에 구비된 매개물질 수납부에 초음파 치료 시에 피부 등에 수시로 발라야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들어 있으며, 초음파 프로브의 피부 접촉면의 일측에 토출공이 구비되어, 초음파 프로브의 몸체를 누름에 의해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져, 초음파 치료 시에 프로브와 초음파 매개물질을, 한손으로 도구를 바꿈없이 사용할 수 있어, 치료효과 및 안정성을 높인다.
또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피부에 바른 후, 바로 초음파 치료가 가능하여, 치료효과를 높인다.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의 내측에 구비된 매개물질 수납부에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내장하여, 초음파 프로브의 피부접촉면과 환자 치료 부위 사이에 매개물질인 젤이 부족 시, 수시로 보충해 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에서, 매개물질 수납부의 상부에 있는 커버부를 열어, 매개물질 수납부로 초음파 매개물질을 보충가능하며, 상기 매개물질 수납부가 진동자의 위에 위치되어, 진동자의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는, 초음파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일측에 힌지를 가진 외측 뚜껑을 구비한 도 1의 초음파 프로브의 일예이다.
도 3은 힌지가 없는 외측 뚜껑을 구비한 도 1의 초음파 프로브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A-A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B-B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C-C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에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의 토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4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와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의 일예이다.
도 11은 도 4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의 다른 일예이다.
도 12는 도 2의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의 다른 일예로서, 초음파 프로브의 A-A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의 일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작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의 일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2는 일측에 힌지를 가진 외측 뚜껑을 구비한 도 1의 초음파 프로브의 일예이고, 도 3은 힌지가 없는 외측 뚜껑을 구비한 도 1의 초음파 프로브의 일예이다.
도 1의 (a)는 초음파 프로브의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초음파 프로브의 저면 사시도로, 외측 뚜껑(190), 외측 하우징(150), 헤드부(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측 하우징(150)은 초음파 프로브(10)의 몸체를 감싸는 수단으로, 외측 하우징(150)의 내측에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수납하는 매개물질 수납부(160)이 구비되며, 저면에는 헤드부(110)가 장착된다. 외측 하우징(150)의 상단은 외측 뚜껑(190)이 구비된다. 외측 뚜껑(190)을 닫기 전에, 매개물질 수납부(160)의 상단의 뚜껑인 수납부 뚜껑(195)를 닫는다. 외측 하우징(150)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전선(199)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197)이 내장되어 있다. 외측 하우징(150)은 상단면과, 하단면은 타원형을 이루되, 상단면의 타원형이 하단면의 타원형보다 면적이 더 적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은 초음파 전달을 위한 매개물질로, 초음파 전용 젤, 미네랄 오일, 초음파 전용 로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전용 젤이다.
헤드부(110)는 피부에 접촉하여 초음파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진동자부(120)를 포함하고, 일측에는 매개물질 토출구(117)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외측 하우징(150)의 외벽을 누름에 의해, 매개물질 수납부(160)에 수납되어 있던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매개물질 토출구(117)를 통해 토출된다.
진동자부(120)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신호선(197)를 통해 수신하여 초음파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초음파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 헤드부(110)의 외관은 타원형의 통 형태를 이룬다.
외측 뚜껑(190)은 초음파 프로브의 내측, 즉, 외측 하우징(150)의 내측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일측에 힌지를 구비한 것일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일반 뚜껑과 같이 힌지가 없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외측 뚜껑(190)을 생략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A-A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B-B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C-C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에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의 토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외측 하우징(150)의 안에,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이 구비되며,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에 의해 매개물질 수납부(160)가 형성된다.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의 저부에는 매개물질수납부 통공(164)가 구비된다.
외측 하우징(150)과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의 중간부분의 일부가 연결편(15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외측 하우징(150)과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은 전후좌우에 연결편을 구비하되, 경우에 따라서, 전후 연결편(155b)가 좌우 연결편(155a)보다 그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좌우 연결편(155a) 중 한 곳에 신호선(197)이 지나가기 위한 통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신호선(197)은 연결편과 연결편 사이의 공간(163)들에 위치될 수 있다.
신호선(197)은 진동자부(120)의 일측에 위치된 커넥터부(115)와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커넥터부(115)에는 진동자 구동회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연결편(155)을 일종의 받침대로 하고, 외측 하우징(150)은 지렛대 역할을 하여, 연결편(155)의 상측과 하측에서 교번하여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이에 따라 매개물질 수납부(160)에 들어 있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매개물질수납부 통공(164)을 통해 토출되어, 매개물질수납부 하우징(162)의 외측과 결합된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130)의 내측 바닥에 있는 관연결 통공(즉, 토출구 연결관의 통공)(144)으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결과적으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매개물질 토출구(117)를 통해 토출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헤드부(110)의 내측 중앙부와 연설된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130)는 내벽에 턱과 홈, 즉, 고정부 턱과 고정부 홈을 구비하며, 이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의 외벽 저부에 위치된 홈과 턱, 즉 수납부하우징 턱과 수납부하우징 홈과 결합하여,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을 헤드부(110)와 연결, 고정한다.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130)의 내측 바닥에는 관연결 통공(144)이 있으며, 관연결 통공(144)은 토출구 연결관(140)의 상부에 위치한다. 토출구 연결관(140)은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130)의 내측 바닥의 중앙부 부터 매개물질 토출구(117)까지 연결된 관으로, 도 4에서와 같이 헤드부(110) 내에 내장되어 있다.
도 8은 도 4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와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0은 도 4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의 일예이고, 도 11은 도 4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의 다른 일예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130)는 고정부 벽체(131), 고정부 지지판(132), 고정부 기둥(1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 벽체(131)는 고정부 지지판(132)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로, 내측벽에 턱과 홈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결합부(137)를 구비한다. 고정부 결합부(137)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의 외벽 저부에 위치된 턱과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하우징 결합부(167)가 결합된다. 고정부 벽체(131)는 도 10에서와 같이 원호형태의 벽체가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11에서와 같이 타원형태의 벽체일 수 있다.
고정부 지지판(132)은 중앙부에 매개물질수납부 통공(164)을 구비하는 판으로, 그 테두리에 고정부 벽체(131)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 기둥(159)은 내측에 토출구 연결관(140)을 포함하고 있으며, 헤드부(110)의 내측 저면(113)과 고정부 지지판(132)의 사이를 연결하는 기둥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고정부 결합부(137)와 수납부하우징 결합부(167)를 확대한 것이고, 도 9의 (b)는 고정부 결합부(137)와 수납부하우징 결합부(167)의 턱과 홈의 폭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의 (a)에서와 같이, 고정부 결합부(137)의 하나의 턱이 수납부하우징 결합부(167)의 하나의 홈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되, 고정부 결합부(137)와 수납부하우징 결합부(167)에서 턱의 폭길이(H)는 홈의 폭길이(L)보다 작다. 또한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의 하면과 헤드부(110)의 내측 저면(113)의 사이에는 작은 틈인 완충 구간(157)을 구비한다. 턱의 폭길이(H)는 홈의 폭길이(L)보다 작고, 완충 구간(157)을 구비함으로써,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이 힘이 가해져 늘어났을 경우, 그 늘어난 부분이 완충 구간(157)으로 내려가게 된다. 즉,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이 힘이 가해져 늘어났을 경우, 이것이 외측 하우징(150)을 늘어나게 하는 일이 없게 한다.
토출구 연결관(140)은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단차를 구비한다. 토출구 연결관(140)은 제1토출구 연결관(141), 제2토출구 연결관(143), 제3토출구 연결관(145), 제4토출구 연결관(147), 매개물질 토출구(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토출구 연결관(141), 제2토출구 연결관(143), 제3토출구 연결관(145)은 수직으로 설치된 연결관으로, 고정부 기둥(159)에 삽입되어 있다. 제4토출구 연결관(147) 및 매개물질 토출구(117)는 헤드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제4토출구 연결관(147)은 헤드부(110)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매개물질 토출구(117)는 제4토출구 연결관(147)과 연결된 수직관으로, 매개물질 토출구(117)는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통공을 가진다.
제1토출구 연결관(141)은 상부에 관연결 통공(144)이 구비되어, 매개물질수납부 통공(164)을 통해 들어온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처음 머무는 곳으로, 토출구 연결관(140) 내에서 지름이 가장 넓은 부분이다.
제1토출구 연결관(141)과 제2토출구 연결관(143)의 사이는 단차를 구비하며, 제2토출구 연결관(143)과 제3토출구 연결관(145)의 사이도 단차를 구비한다. 제2토출구 연결관(143)의 지름은 제1토출구 연결관(141)의 지름보다 작고, 제3토출구 연결관(145)의 지름보다 크다.
매개물질수납부 통공(164)의 지름은 제1토출구 연결관(141)의 지름보다 작고, 제2토출구 연결관(143)의 지름보다는 클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의해 매개물질수납부 통공(164)을 통해 너무 많은 양의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제1토출구 연결관(141)으로 토출되어, 매개물질수납부 통공(164)의 위로 넘치는 일이 없게 하며, 또한 너무 적은 양의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토출되어, 매개물질 토출구(117)에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거의 토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막는다.
경우에 따라서 매개물질수납부 통공(164)의 지름은 제1토출구 연결관(141)의 지름 및 제2토출구 연결관(143)의 지름보다 작고 제3토출구 연결관(145)의 지름보다는 클 수 있다.
도 12는 도 2의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의 다른 일예로서, 초음파 프로브의 A-A의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의 일예이다.
도 12에서, 매개물질수납부 하우징(162)의 저부는 단차를 형성하여, 매개물질수납부 통공(164)이 더 밑으로 내려오게 하는 매개물질수납부 통공입구(166)를 구비한다. 매개물질수납부 통공입구(166) 일부는 관연결 통공(144)을 통해 제1토출구 연결관(141)에 삽입된다. 이렇게 함으로 인해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이 완충 구간(157)으로 넘치는 일이 없다.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130)는 고정부 벽체(131), 고정부 지지판(132), 고정부 기둥(159), 타원형 지지판(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타원형 지지판(135)의 중앙에는 고정부 기둥(159)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신호선 통공(158)이 구비되며, 신호선 통공(158)에는 신호선이 삽입된다.
고정부 기둥(159)에는 제1토출구 연결관(141)과 제2토출구 연결관(143)이 삽입되어 있다. 제2토출구 연결관(143)과 연결튜브(146)의 일단이 연결되며, 연결튜브(146)의 다른 일단은 매개물질 토출구(117)까지 연결된다.
외측 하우징(150)은 턱과 같이 돌출된 외측하우징 걸이부(159)를 적어도 좌우 양측에 구비하며, 헤드부(110)의 상단 내측에는 걸이부(159)에 걸리기 위한 턱형태의 헤드부 걸이부(119)를 구비하여, 외측하우징 걸이부(159)와 헤드부 걸이부(119)가 결합하여 외측 하우징(150)과 헤드부(110)를 고정, 장착한다. 이것 이외에는 도 4의 초음파 프로브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작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의 일예로, 도 15의 (a)는 초음파 프로브의 외측 하우징(150)을 나타내며, 도 15의 (b)는 초음파 프로브의 헤드부를 나타내며, 도 15의 (c)는 초음파 프로브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5의 (c)에서와 같이,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매개물질 수납부(160)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측 하우징(150)의 경도(hardness)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162)의 경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초음파 프로브 110: 헤드부
113: 헤드부의 내측 저면 115: 커넥터부
117: 매개물질 토출구 130: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
131: 고정부 벽체 132: 고정부 지지판
137: 고정부 결합부 141: 제1토출구 연결관
143: 제2토출구 연결관 145: 제3토출구 연결관
147: 제4토출구 연결관 150: 외측 하우징
155: 연결편 159: 고정부 기둥
160: 매개물질 수납부 162: 수납부 하우징
163: 연결편과 연결편 사이의 공간 164: 매개물질수납부 통공
190: 외측 뚜껑 195: 수납부 뚜껑
197: 신호선

Claims (15)

  1. 초음파 프로브의 몸체를 감싸는 외측 하우징;
    외측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며,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수납하는 매개물질 수납부를 형성하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
    외측 하우징의 밑에 위치되며, 초음파 진동자부를 구비하며, 저면 일측에 매개물질 토출구를 구비한, 헤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2. 외측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며,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저면 중앙부에 매개물질수납부 통공을 구비한,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
    상부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며, 내측 저면 중앙부에 있는 토출구 연결관의 통공은, 매개물질수납부 통공의 밑에 위치되는,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
    초음파 진동자부를 구비하며, 토출구 연결관과 연결된 매개물질 토출구를 저면 일측에 구비하는, 헤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며, 중앙부는 토출구 연결관을 구비한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는 고정부 기둥을 통해 헤드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5.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개물질수납부 고정부는 외측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6.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하우징의 상단을 덮는 외측 뚜껑과 매개물질수납부 하우징의 상단을 덮는 수납부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7.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은 초음파 전용 젤, 미네랄 오일, 초음파 전용 로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8.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음파 진동자부는 초음파 트랜스듀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9.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하우징과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중간부분 일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10. 제9항에 있어서,
    외측 하우징의 경도(hardness)는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경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11.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은,
    중앙부에 토출구 연결관의 통공을 구비하는 판인, 고정부 지지판;
    고정부 지지판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벽체로, 내측의 벽에 턱과 홈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 벽체;
    고정부 지지판(132)의 밑에 장착되며, 내측에 토출구 연결관이 구비되는, 고정부 기둥;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12. 제11항에 있어서,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외측 하부에 위치된 턱과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하우징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13. 제12항에 있어서,
    고정부 결합부와 수납부하우징 결합부에서 턱의 폭길이는 홈의 폭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14. 제13항에 있어서,
    매개물질 수납부 하우징의 하면과 헤드부의 내측 저면의 사이의 틈인 완충 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15. 제11항에 있어서,
    토출구 연결관은 단차를 구비하여,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KR1020150113667A 2015-08-12 2015-08-12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KR10171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667A KR101715101B1 (ko) 2015-08-12 2015-08-12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667A KR101715101B1 (ko) 2015-08-12 2015-08-12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569A true KR20170020569A (ko) 2017-02-23
KR101715101B1 KR101715101B1 (ko) 2017-03-13

Family

ID=5831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667A KR101715101B1 (ko) 2015-08-12 2015-08-12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07A (ko) * 2019-09-17 2021-03-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검사장치의 프로브에 장착되는 프로브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초음파 검사장치
US20220288425A1 (en) * 2021-03-15 2022-09-15 Guided Therapy Systems, Llc Method for mid-intensity, non-ablative acoustic treatment of injured tiss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774A (ko) * 2006-12-22 2008-06-26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 진단장치의 탐촉부 겔 공급장치
KR101031502B1 (ko) * 2008-12-01 2011-06-14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겔 공급 유닛과 이를 구비한 초음파겔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774A (ko) * 2006-12-22 2008-06-26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 진단장치의 탐촉부 겔 공급장치
KR101031502B1 (ko) * 2008-12-01 2011-06-14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겔 공급 유닛과 이를 구비한 초음파겔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07A (ko) * 2019-09-17 2021-03-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검사장치의 프로브에 장착되는 프로브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초음파 검사장치
US20220288425A1 (en) * 2021-03-15 2022-09-15 Guided Therapy Systems, Llc Method for mid-intensity, non-ablative acoustic treatment of injured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101B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591B2 (en) External ultrasound lipoplasty
KR101884584B1 (ko) 커버, 치료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US7955281B2 (en) External ultrasound lipoplasty
AU768759B2 (en) Method and kit for cavitation-induced tissue healing with low intensity ultrasound
WO2011022411A3 (en) Disposable acoustic coupling medium container
US20110066083A1 (en) Ultras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besity or fat-deposits or for delivering cosmetic or other bodily therapy
US20090099485A1 (en) Ultrasound standing wave method and apparatus for tissue treatment
RU2011143808A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или медицинских целях
KR101571527B1 (ko) 도전성 매체를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 초음파 장치
KR101715101B1 (ko) 초음파 전달 매개물질 내장형 초음파 프로브
JP5063333B2 (ja) 美容マッサージ機器
KR20170005190A (ko) 초음파 치료 헤드 및 초음파 치료 장치
JPH11192231A (ja) 女性胸部の超音波治療装置
JP2007521908A (ja) 生体における塞栓音波制御
US20090171251A1 (en) Ultrasound treatment of adipose tissue with vacuum feature
US20070123780A1 (en) Low-frequency focus ultrasound-generating device for tumor treatment using ultrasound irradiation microbubble agent
US20090171248A1 (en) Ultrasound treatment of adipose tissue with fluid injection
CN206424094U (zh) 一种便于操作的b超探头
CN101267772A (zh) 体内栓子的声学控制
TW201420213A (zh) 震波產生裝置
KR20190123190A (ko) 초음파, 저주파 및 온열 치료 기능이 결합된 일체형 패드를 가지는 휴대가 용이한 하지근력 강화 및 관절염 통증치료기
US20090171249A1 (en) Ultrasound treatment of adipose tissue with vacuum feature
KR200474912Y1 (ko) 관절용 초음파 치료기
US20090171250A1 (en) Ultrasound treatment of adipose tissue with fluid injection
CN202554761U (zh) 一种声波治疗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