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341A - 음료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341A
KR20170020341A KR1020167034424A KR20167034424A KR20170020341A KR 20170020341 A KR20170020341 A KR 20170020341A KR 1020167034424 A KR1020167034424 A KR 1020167034424A KR 20167034424 A KR20167034424 A KR 20167034424A KR 20170020341 A KR20170020341 A KR 2017002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quality
quality improvement
flow r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465B1 (ko
Inventor
히로미 이와사키
타츠히로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비쿠토리 쟈팡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쿠토리 쟈팡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비쿠토리 쟈팡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의 음료수 공급장치는 원수 공급부와, 이 원수 공급부의 하류에 형성하고,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를 수납한 수질 개선부와, 상기 수질 개선부의 하류에 형성한 수질개선 후의 물을 저류하는 청정수 저류부와, 상기 수질 개선부의 원수 도입부의 만수 위치를 결정하는 만수 위치 결정부와, 청정수 저류부에 저류된 물을 음료수로서 배출하는 급수부를 가지고, 상기 수질 개선부의 상부, 및 청정수 저류부의 상부를, 대기에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수 공급장치{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국제출원은 2014년 06월 23일에 일본국특허청에 출원된 일본국특허출원 제2014-127992호에 의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일본국특허출원 제2014-127992호의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음료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체식의 급수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수질 개선해서 음료수로서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공급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기 본체의 내부 상측 부분에 냉수 탱크를 배치하고, 이 냉수 탱크의 내부를 분리부재에 의해 저수부와 냉수부로 구분하고, 이 분리 부재의 하면에 예를 들면 활성탄을 부직포로 감싸서 수납한 카트리지를 설치하고, 이 카트리지에 의해 수도물을 여과해서 음료수로서 공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상류로부터의 수압에 의해, 물을 강제적으로 통과시키는(수질 개선재 속을 통과시킨다) 방식이기 때문에, 충분한 수질개선 시간이 수득되지 않은 채, 물이 수질 개선재 중을 통과하거나, 극단적일 경우에는 수질 개선재 중에 특정한 수로가 생기게 되고, 그 수로만을 물이 통과해서 수질개선 효과가 극단적으로 떨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H05-149663호 WO2007/094364
상기 종래의 음료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질 개선재에 의해 양호하게 수질의 개선을 꾀하기 위해서, 원수가 수질 개선재에 접하는 시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었다.
그래서, 충분한 수질개선을 꾀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1국면의 음료수 공급장치에서는, 원수 공급부와, 이 원수 공급부의 하류에 설치되고,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를 수납한 수질 개선부와, 상기 수질 개선부의 하류에 설치되고, 수질개선 후의 물을 저류하는 청정수 저류부와, 상기 수질 개선부의 원수 도입부에 있어서의 만수 위치를 결정하는 만수 위치 결정부와, 상기 청정수 저류부에 저류된 물을 음료수로서 배출하는 급수부를 가지고, 상기 수질 개선부의 상부, 및 상기 청정수 저류부의 상부를 대기에 연통시키도록 했다.
이 때문에,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의 상부에 걸리는 압력은, 대기압과 만수 위치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만수 위치에 따른 소정의 수압만이 된다. 또, 상기 만수 위치를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의 상단 가까이에 설정하면,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의 상부에 걸리는 압력은 거의 대기압만으로 결정되는 압력이 된다.
또, 상기 수질 개선부의 하류측에 있는 상기 청정수 저류부도 대기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급수부를 개방했을 때에 상기 수질 개선부의 출구측의 압력이 급격하게 부압이 되는 경우도 없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의 상부에 큰 압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어지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의 하부가 큰 압력으로 흡인되는 것도 없어진다. 따라서 수질 개선재 중의 물은 그 자중에 의한 유하 속도로 유하하고, 그 유하 속도 이상의 속도로 유하되지 않는다.
또, 물이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 중에 의도하지 않는 특정한 수로를 만들어버리어 물이 그 통로만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서 수질개선 효과가 극단적으로 떨어져 버린다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 중의 물의 자중에 의한 유하 속도에 의해, 충분한 수질 개선시간이 수득되는 것 같은 수질 개선부가 수득되고, 항상 충분하게 수질 개선된 음료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청정수 저류부 내의 수위가 상승하고, 상기 수질 개선부의 하단을 넘으면 상기 수질 개선부의 출구측에는, 대기압에 부가해서 상기 하단을 넘은 수위의 수두차분의 압력이 걸리지만, 출구측의 압력증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에 있어서의 유량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뿐, 유량을 증가시키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 중에 있어서 물이 자중에 의한 자연스럽게 흐르는 경우와 비교해서 수질개선 효과가 올라가는 경우는 있어도 내려가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의 1국면에서는, 상기 수질 개선부에 있어서, 복수의 수질 개선재(적어도 2종류의 수질 개선재)를 상하로 배치하고, 상부의 수질 개선재에 의한 수질개선에 적절한 유량을, 하부에 배치한 수질 개선재에 있어서의 유통 저항을 사용해서 제어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흡착ㆍ분출ㆍ항균계 수질 개선재로서는 물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해서, 분말상, 과립상, 펠릿상으로 한 수질 개선재가 알려져 있다. 그 수질 개선재의 표면에 물이 소정의 시간접촉하는 것에 의해, 수질개선의 효과가 발휘된다. 이 경우, 수질 개선재의 단위량당의 유량에 따라서 수질개선의 효과가 변동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질 개선재의 단위량당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소망하는 레벨의 수질개선 효과가 수득될 수 있다.
한편, 여과계의 여과재는 시트상ㆍ고형상으로 일체적인 구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고, 면적과 두께 중, 예를 들면 한쪽의 치수를 일정하게 해서 다른 쪽의 치수를 바꾸는 것에 의해서, 유통 저항을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전자(흡착ㆍ분출ㆍ항균계 수질 개선재)에 대해서는, 그 수질 개선재의 전체량에 의거해서 소망하는 유량을 결정하고, 후자(여과계의 여과재)에 대해서는 면적과 두께의 어느 하나를 바꾸어서 소망하는 유량이 수득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질 개선부의 설계가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1국면에서는, 상기 수질 개선부의 저부에 유량 억제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에 의한 수질개선에 적절한 유량을 이 유량 억제부재를 사용해서 형성 또는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만으로는 유량이 너무 많아서 충분한 수질개선의 효과가 수득되지 않을 경우라도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의 저부에 상기 유량 억제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충분한 수질개선 효과가 수득되게 된다.
본 발명의 1국면에서는, 상기 수질 개선부가 상기 청정수 저류부에 침지될 수도 있고, 청정수 저류부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계절에 의한 기온의 변화, 또는 음료수 공급장치가 설치된 실내의 상황 변화 등에 의해 실온이 상승했다고 하여도, 상기 수질 개선부가 냉각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수질 개선부 속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도 일정 이하의 온도에 유지되어,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 등에 세균 등이 증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국면의 음료수 공급장치에 의하면, 물이 일정한 유량으로 수질 개선재를 통과하므로, 적절한 수질개선을 안정적으로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음료수 공급장치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음료수 공급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음료수 공급장치의 일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보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급액 캡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밀봉 밸브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실시하는 여러 설계적 개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에 있어서, 음료수 공급장치는 플로어(F)에 설치되고 있다. 음료수 공급장치의 하우징(201)은 전방으로 약간 만곡 팽출하는 세로로 긴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하우징(201)의 전면(도 1에서의 좌측의 면)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의 중간 위치가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211)에는 급수부로서 온수용 및 냉수용의 공지의 급수 콕(175, 170)이 설치되고 있다.
급수 콕(175, 170)의 하방으로 위치하는 면으로, 오목부(211)의 하측 면이 음용 컵의 드립트레이(214)로 구성되어 있다. 급수 콕(175, 170)에는 만곡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레버체(215)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콕(175, 170)은 레버체(215)가 전방으로부터 눌러 조작됨으로써 개방되게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01)의 정상부는 평면시로 각형의 헤드커버(110)로 폐쇄되어 있다. 헤드커버(110)에는 가이드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커버(110)는 보틀 워터 등 액체용기(120)(이후 『보틀』이라 언급한다) (도 2 참조)의 천지를 거꾸로로 해서 뒤집은 상태에서 그 보틀(120)을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가이드부(111)는 주 방향의 1개소(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방 위치)가 하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118)의 저면에는 그 저면을 상하방향에 있어서 관통하는 대기 연통부(133)가 설치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120)의 내부에는 원수(121)가 보존되어 있다. 보틀(120)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급액 캡(122)에 의해서 내부와 외기가 차단되어 있다. 급액 캡(122)은 밀봉 밸브(123)를 갖는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120) 단독으로는 밀폐상태가 되도록, 밀봉 밸브(123)에는 탄성 부재(124)에 의한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틀(120)의 개구가 밀봉 밸브(123)에 의해 막혀 있다. 따라서 보틀(120) 전체로서 단독의 상태에서는 액체가 새는 쩍은 없다.
다음에, 도 2 및 도 3 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가이드부(111)는 절구형상으로부터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이행하는 것 같은 형상을 가지는 보틀 가이드(112)를 갖는다. 저부(113)에는 튜브상의 돌기(114)와 개구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11)는 보틀 가이드(112)에 있어서, 보틀(120)을 가이드하고, 이것에 의해 개구구멍(115)과 보틀(120)의 급액 캡(122)이 결합한다. 개구구멍(115)의 내측은 시스템의 내부에 대해서 개구하고 있는 개구부(116)로 형성되어 있다.
보틀(120)의 급액 캡(122)이 가이드부(111)에 있어서의 절구형상의 부분으로부터 스트레이트형상의 부분으로 이동하고, 보틀 가이드(112)의 저부(113)에 도달했을 때, 튜브상의 돌기(114)가 탄성부재(124)를 가압하고, 이때,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액 캡(122)에 붙어 있는 밀봉 밸브(123)가 열리고, 급액 캡(122)이 열린 상태가 된다. 열린 상태에 있어서는 튜브상의 돌기(114)에 있는 개구구멍(115)과 보틀(120) 사이에서 유로가 형성되고, 개구구멍(115)과 보틀(120) 사이에서 형성된 유로와, 보틀(120)에 의해, 원수 공급부의 일례가 구성된다.
수질개선 시스템에 대해서 초기 상태부터 설명한다. 개구부(116)로부터 유출한 피수질 개선수(121a)는 수질 개선부의 제 1 섹션인 도입부(131)에 도입되고, 도입부(131)의 저부에 설치된 메쉬(132)에 의해 제1회째의 수질개선을 받는다.
또, 피수질 개선수(121a)는 수질 개선부의 제2 섹션인 활성탄(137)으로 제2회째의 수질개선을 받는다. 활성탄(137)은 분말상, 과립상, 펠릿상, 및 고형상의 어느 쪽의 형태일 수 있다. 활성탄(137)은 교환하기 쉽도록, 도시하지 않은 투수성의 패키지로 덮이어, 튜브상의 활성탄 수용부(139)에 수납되어 있다. 활성탄 수용부(139)의 저면에는 제 1 섹션과 동일하게 메쉬(157)가 설치되어 있다.
메쉬(132) 및 활성탄(137)에 의해 먼지 및 미생물이 흡착 포집되는 동시에, 탈취가 수행된다. 활성탄(137)의 포집 대상물은 차아염소산 칼슘, 트리할로메탄, 유기물, 악취물질, 및 염소계 유기물 등이다. 활성탄(137)으로서는 식물 유래의 천연섬유 또는 광물 유래의 합성 섬유, 혹은 천연섬유와 합성 섬유와의 혼합물을 탄화해서 바인더를 사용해서 조제한 섬유상 활성탄이 호적하다. 활성탄(137)에는 생물 미네랄을 첨가해도 좋다. 생물 미네랄은 인체의 체액에 매우 가까운 밸런스로 광물 성분(K, Ca, Na, Mg)을 가지는 등장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피수질 개선수(121a)는 수질 개선부의 제3 섹션인 중공사막(141)에 의해 제3회째의 수질개선을 받는다. 중공사막(141)은 중공사가 집적 및 고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중공사의 일단(중공사막(141)의 한쪽 단부)가 노출하고 있고, 중공사의 표면으로부터 흡수된 물 분자가 개방된 타단(중공사의 타단)로부터 방출되는 것에 의해, 0.3미크론 정도의 미세함으로의 필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공사막(141)을 튜브상의 가이드 케이스(142)에 세팅하고, 그 가이드 케이스(142)를 제2 섹션인 활성탄(137)의 하면측에 설치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케이스(142)는 활성탄 수용부(139)의 나사부(138)에 나사 결합 고정되어 있다.
부호 (144)로 나타내는 부분은 가이드 케이스(142) 내의 나사부이다. 제3 섹션인 중공사막(141)에서는 피수질 개선수(121a)는 중공사막(141)에 의해 규정되는 투과속도로 통과해서 하방으로 낙하하고, 중공사막(141)의 하단부(143)로부터 방출된다. 하단부(143)가 수질개선된 물이 자연낙하해서 방출되는 부분인 방출부(수질 개선부의 방출부)가 된다.
중공사막(141)로서는 포어 직경이 0.01∼0.09㎛으로 주벽부에 슬릿상의 초미세 구멍이 설치된 섬유의 집합체가 호적하다.
수질개선 시스템에 있어서는, 개구부(116)로부터 유출한 피수질 개선수(121a)가 수질 개선재로 필터링되는 것에 의해, 유통 저항이 발생한다. 메쉬(132), 활성탄(137) 및 중공사막(141)이 수질 개선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 때문에, 수질개선 시스템내에 있어서는 물이 체류하기 쉬운 경향에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116)로부터의 피수질 개선수(121a)의 유입양 >> 제3 섹션의 중공사막(141)을 투과하는 피수질 개선수(121a)의 량」과 같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수질개선 시스템 내의 수위는 서서히 상승하고, 피수질 개선수(121a)의 수위가 만수 위치(117)까지 상승하면, 개구부(116)로부터의 유출은 일단 억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질 개선부의 도입부(131)에 있어서의 수위가, 보틀 가이드(112) 내의 저부(113)보다 약간 상방의 만수 위치(117)까지 상승하면, 보틀(120) 내로부터의 물의 낙하는 자동정지한다. 만수 위치 결정부가 그 만수 위치(117)를 규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수 위치(117)는 저부(113)를 가지는 보틀 가이드(112)와, 수질 개선부가 결합부(136)에서 결합되었을 때의 도입부(131) 내의 저부(113)의 위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수질개선 후의 청정수(121b)는 청정수 저류부에 도입되어 저류된다. 청정수 저류부는 연통관(154) 및 연통 구멍(134)을 통해서 대기 개방되어 있다. 연통관(154)의 상부(상방측의 입구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청정수 저류부는 필터를 통해서 대기와 연통한다. 필터에 의해, 청정한 공기가 청정수 저류부와 연통할 수 있다. 또, 청정수 저류부는 1영역이 파티션 플레이트(151)로 상하로 양분된 챔버를 가지는 구성이 되어 있다. 상부의 챔버가 저류조(150), 하부의 챔버가 저류조 냉각실(155)이다.
헤드커버(110)는 연통관(154)과 하우징(201)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는 연통 구멍(134)을 통해서, 하우징 밖의 대기와 연통하고 있다. 청정수 저류부의 저류조(150) 및 저류조 냉각실(155)은 단열 고정부재(130)로 덮이어 있다. 단열 고정부재(130)는 저류조(150) 및 저류조 냉각실(155)을 단열하는 동시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단열 고정부재(130)는 예를 들면 발포스티롤 등의 단열재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액면 위치(152)가 저류조 냉각실(155)의 저부 부근에 있다고 하고, 서서히 액면 위치(152)를 상승시켜 간다. 피수질 개선수(121a)가 제3 섹션으로서의 중공사막(141)으로부터 저류조(150) 내의 청정수(121b)로서 낙하하고 있는 상태를 패턴(1)(대기방출)로 정의하고, 대기압만이 작용하는 힘의 관계로 상태가 결정된다.
수질 개선부의 하단을 넘으면, 수질 개선부의 출구측에는 대기압에 부가해서, 넘은 수위의 수두차분의 압력이 걸리지만, 추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액면 위치(152)는 계속해서 상승하면서, 상부의 저류조(150)를 채우고 청정수(121b)가 만수 위치(117)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균형하고, 개구부(116)로부터의 청정수(121b)의 유출은 정지한다. 제3 섹션으로서의 중공사막(141)으로부터 저류조(150)의 청정수(121b) 중에 유입하고 있는 상태를 패턴(2)(수중방출)로 정의한다.
청정수 저류부의 하방으로는 추가로 온수조(160)가 설치되어 있다. 청정수(121b)를 도입하기 위한 청정수 도입구(156)가 파티션 플레이트(151) 근방에 설치되고, 저류조 냉각실(155)보다 위의 액체를 도입할 수 있도록, 공급관(153)이 설치되어 있다. 공급관(153)의 하단은 온수조(160)의 하부(161)에 근접하고 있다.
온수조(160)의 상부(162)에는 온수 배출용으로, 온수 공급관(163)(일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이 접속되고 있다. 온수 공급관(163)은 또, 온수 콕(175)에도 접속되어 있다. 도 3의 상태에서는, 온수 콕(175)이 닫혀 있어서, 공기로 채워져 있는 온수조(160)에는 청정수(121b)는 거의 유입될 수 없다.
온수 콕(175)을 열면, 저류조(150)의 청정수(121b)는 공급관(153)을 통해서 온수조(160)에 유입하고, 온수조(160)를 채운다. 저류조(150)의 만수 위치(117)에 있었던 액면 위치(152)는 청정수(121b)가 온수조(160)의 용적분 공급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대폭 저하된다. 이 때문에, 균형이 깨지고, 다시 개구부(116)로부터 청정수(121b)가 유출하고, 전술한 패턴(1), 패턴(2)을 따라서 액면 위치(152)가 만수 위치(117)에 되돌아갈 때까지 계속한다.
온수조(160)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열부 및 가열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고, 가열부 및 가열 제어부에 의해 온수조(160)의 청정수(121b)는 소망하는 온도로 유지된다.
한편, 저류조 냉각실(155)에 축적된 청정수(121b)는 본체 하방에 설치된 냉동기(167)에 의해 소망하는 온도 냉수가 된다. 냉동기(167)로부터 냉매 전달관이 연장되어 있고, 냉매 전달관은 저류조 냉각실(155)의 외주에 감겨서 냉각부(169)를 형성하고 있다. 냉각부(169)를 통해서 저류조 냉각실(155)에 축적된 청정수(121b)가 냉각된다. 냉동기(167)는 저류조 냉각실(155)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센서, 및 도시하지 않은 온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냉온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저류조 냉각실(155)의 저부와 냉수 콕(170)이 도시하지 않은 냉수 공급관에서 접속되어 있고, 소망하는 온도로 보존되고 있는 냉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냉수 콕(170)을 개방한다.
냉수 콕(170)을 열면, 만수 위치(117)와 냉수 콕(170)의 위치(높이) 사이에 있어서의 수두차에 의해, 저류조 냉각실(155)의 저부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냉수 배출관을 통해서, 냉각된 청정수(121b)가 냉수 콕(170)로부터 공급된다.
한편, 온수의 배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온수 공급관(163)(일부 도시 생략)이 온수조(160)로부터 온수 콕(175)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온수 콕(175)을 열면, 만수 위치(117)와 온수 콕(175)의 위치(구체적으로는, 높이로, 냉수 콕과 동일한 높이) 사이의 수두차에 의해, 온수가 된 청정수(121b)가 온수 콕(175)로부터 공급된다.
이때, 공급된 온수와 동량의 청정수(121b)가 저류조(150)로부터 공급관(153)을 통해서 온수조(160)에 보충된다. 또, 온수조(160)에 있어서, 공급관(153)을 저부에 배치하고, 온수 공급관(163)을 상부에 배치한 이유는 상온의 청정수(121b)를 도입하기 위해서, 열대류를 고려하면 보충수는 하부, 배출은 상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수질 개선부의 원수 도입부에 형성하는 만수 위치 결정부는 광학식, 플로트식 등의 수위 센서를 사용해서 수질 개선재 상부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수 공급부의 유로에 전자 밸브를 설치해서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소정의 만수 위치에서 전자 밸브를 닫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원수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탱크로서, 원수의 사용량에 따라서 수축하는 연질 탱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탱크로서, 상부에 원수 공급부가 있고, 상부가 대기 개방된 용기형의 탱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수질 개선부의 원수 도입부에 설치하는 만수 위치 결정부로서는 광학식, 플로트식 등의 수위 센서를 사용해서 수질 개선재 상부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원수 공급부의 유로에 전자 밸브를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실시가 용이하게 된다.
110: 헤드커버
117: 만수 위치
120: 보틀
121: 원수
137: 활성탄
139: 활성탄 수용부
141: 중공사막
142: 가이드 케이스
150: 저류조
151: 파티션 플레이트
160: 온수조
167: 냉동기
169: 냉각부
170: 냉수 콕
175: 온수 콕
214: 드립트레이

Claims (4)

  1. 음료수 공급장치로써,
    원수 공급부와,
    상기 원수 공급부의 하류에 설치되고,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를 수납한 수질 개선부와,
    상기 수질 개선부의 하류에 설치되고, 수질개선 후의 물을 저류하는 청정수 저류부와,
    상기 수질 개선부의 원수 도입부에 있어서의 만수 위치를 결정하는 만수 위치 결정부와,
    상기 청정수 저류부에 저류된 물을 음료수로서 배출하는 급수부를 가지고,
    상기 수질 개선부의 상부, 및 상기 청정수 저류부의 상부를, 대기에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는 복수의 수질 개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질 개선부에는 상기 복수의 수질 개선재가 상하로 배치되고, 상부의 수질 개선재에 있어서의 유량이, 그 수질 개선재에 의한 수질개선을 위해서 적절한 양으로 여겨지는 유량으로 하부에 배치한 수질 개선재의 유통 저항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개선부의 저부에 배치된 유량 억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에 있어서의 유량이, 그 적어도 1개의 수질 개선재에 의한 수질개선에 적절한 양으로 여겨지는 유량으로 상기 유량 억제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개선부가 상기 청정수 저류부에 침지되어 있는 동시에, 해당 청정수 저류부를 냉각하는 냉각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공급장치.
KR1020167034424A 2014-06-23 2015-06-22 음료수 공급장치 KR101938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7992A JP6336339B2 (ja) 2014-06-23 2014-06-23 飲料水供給装置
JPJP-P-2014-127992 2014-06-23
PCT/JP2015/067909 WO2015199036A1 (ja) 2014-06-23 2015-06-22 飲料水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341A true KR20170020341A (ko) 2017-02-22
KR101938465B1 KR101938465B1 (ko) 2019-01-14

Family

ID=5493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424A KR101938465B1 (ko) 2014-06-23 2015-06-22 음료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36339B2 (ko)
KR (1) KR101938465B1 (ko)
CN (1) CN106660775B (ko)
TW (1) TWI616627B (ko)
WO (1) WO2015199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0731B2 (ja) * 2014-07-02 2018-11-28 ビクトリージャパン株式会社 飲料水供給装置
JP6280007B2 (ja) * 2014-09-10 2018-02-14 ビクトリージャパン株式会社 飲料水供給装置
JP6470982B2 (ja) * 2015-01-26 2019-02-13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9147562A (ja) * 2016-07-06 2019-09-05 株式会社 美研 浄水ボトル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663A (ja) 1991-11-27 1993-06-15 Toshiba Corp 冷水機
WO2007094364A1 (ja) 2006-02-14 2007-08-23 Mrc Home Products Co., Ltd. 飲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98127C (en) * 1993-06-10 1997-03-18 Brian Feeney Air inlet valve for water cooler
TW579907U (en) * 2003-06-26 2004-03-11 Guei-Tang Jang Filtering device for drinking fountain
JP2007136304A (ja) * 2005-11-16 2007-06-07 Fnet Planning:Kk 浄水フィルタ、浄水カートリッジ、ウォーターサーバータンク及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システム
US8727183B2 (en) * 2009-01-20 2014-05-20 Filterezi Pty Ltd Water dispenser with flow-interruptible dispensing arrangement
CN106882758B (zh) * 2010-02-24 2020-04-07 目的株式会社 饮用水供应装置
JP3174445U (ja) * 2012-01-06 2012-03-22 芙蓉商事株式会社 ウオーターサーバー
JP5473087B2 (ja) * 2012-01-20 2014-04-16 株式会社フジヤマ 飲料水用サーバー
JP6430731B2 (ja) * 2014-07-02 2018-11-28 ビクトリージャパン株式会社 飲料水供給装置
JP2016033020A (ja) * 2014-07-31 2016-03-10 ビクトリージャパン株式会社 飲料水供給装置
JP6280007B2 (ja) * 2014-09-10 2018-02-14 ビクトリージャパン株式会社 飲料水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663A (ja) 1991-11-27 1993-06-15 Toshiba Corp 冷水機
WO2007094364A1 (ja) 2006-02-14 2007-08-23 Mrc Home Products Co., Ltd. 飲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465B1 (ko) 2019-01-14
JP6336339B2 (ja) 2018-06-06
TW201604505A (zh) 2016-02-01
JP2016008051A (ja) 2016-01-18
CN106660775A (zh) 2017-05-10
WO2015199036A1 (ja) 2015-12-30
TWI616627B (zh) 2018-03-01
CN106660775B (zh)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465B1 (ko) 음료수 공급장치
JP4705860B2 (ja) 飲水器
EP2969969B1 (en) Device for water filtration
US10994233B2 (en) Water filter cartridge with air conduction
US10940411B2 (en) Water filter cartridge with air conduction
JP2016033020A (ja) 飲料水供給装置
KR101271976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JP2016033020A5 (ko)
US20220081338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eliminating filter air locks
JP5072193B2 (ja) 自重濾過装置を備えた飲水器
KR20170054328A (ko) 음료수 공급장치
KR20140033470A (ko) 삼투 여과 시스템
JP6430731B2 (ja) 飲料水供給装置
JP5841703B2 (ja) 飲料水サーバー
JP2016013857A5 (ko)
WO2011093197A1 (ja) 浄水器
US20230295008A1 (en) Filter assemblies and methods of filtering with the same
KR20160082743A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JP2015213551A (ja) ポット及び電気ポ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