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163A -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163A
KR20170020163A KR1020150115020A KR20150115020A KR20170020163A KR 20170020163 A KR20170020163 A KR 20170020163A KR 1020150115020 A KR1020150115020 A KR 1020150115020A KR 20150115020 A KR20150115020 A KR 20150115020A KR 20170020163 A KR20170020163 A KR 2017002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battery pack
charging
auxiliary battery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오스
Priority to KR102015011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0163A/en
Publication of KR2017002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1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51
    • B60L11/1861
    • B60L11/1864
    • B60L11/1868
    • B60L223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capable of storing, in a case where an auxiliary battery can be easily stored and installed, the auxiliary battery to supply a power source for driving an engine so as to move to the nearest charging station when the power source for driving an electric vehicle runs out, and capable of monitoring so that a substantial mileage of the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can stably increase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manag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while continuously monitor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scription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에서 주행을 위한 전원이 떨어졌을 경우 가까운 충전소까지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엔진 구동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를 보관 및 장착이 용이한 케이스에 수납하여 제공함과 아울러, 보조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관리할 수 있게 하여, 비상시 전기자동차 등의 실질적인 주행거리를 안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capable of storing and storing an auxiliary battery capable of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engine, The charging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managed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nitoring can be performed so as to stably increase the actual traveling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in an emergency.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최근 유럽이나 미국 등 자동차 시장 선진국을 중심으로 각 국가 정부가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그린카(Green car) 시장의 성장 전망성 또한 매우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In recent year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market, which are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s of various countries, are growing, centering o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the U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growth trend of the green car market will be greatly expanded .

현재 전기자동차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풀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일렉트릭 비클의 네 가지 유형을 모두 합쳐 세계 자동차 판매량의 약 2.2% 수준에 불과하지만, 2020년경에는 약 26.2% 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시장의 성장에 대한 전망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Currently, electric vehicles are only 2.2% of the global automobile sales volume, including mild hybrid, full hybrid, plug-in hybrid and electric bicycle. However, by 2020,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26.2% Is very positive.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보다 전지연료를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지만, 아직까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충전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충전 후 주행 가능한 거리도 짧다는 문제점 등 실제 차량을 운행할 경우 접하게 될 여러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Although such an electric vehicle has many advantages in that it uses battery fuel rather than a fossil fuel-based automobi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charging stations is insufficient compared with a vehicle using fossil fuel and the distance that can be traveled after charging is short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encountered when operating a real vehicle.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경우 스펙 상에 1회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최대 주행거리를 명시하고 있지만, 충전된 전력을 차량의 운행에 사용함과 더불어 내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를 구동하는데 사용하고, 공조기나 기타 차량 내 다수의 전기장치 등을 구동하는 데에도 사용하게 되므로, 실질적인 주행거리는 스펙 상에 명시된 최대 주행거리에 못 미치게 됨이 일반적이다.In the case of an electric car currently being released, the specification specifies the maximum travelable distance by one charge. However, the charged electric power is used for driving the vehicle, and is used for driving a navigation or a black box. It is generally used for driving a large number of electric devices and the like, so that the actual running distance is less than the maximum running distanc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이와 같이 최대 주행거리의 산출이 부정확하게 됨에 따라, 주행 중 배터리 소진시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에서 차량이 멈추거나, 장시간 갓길 정차 상태로 후속조치를 기다려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 경우 운전자의 불편뿐만 아니라, 대형사고로 이어질 위험성도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로정체나 지체 구간이 많은 국내 교통사정을 고려할 때,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잔여 전력이 부족할 경우 충전소까지 원활히 이동하기 어렵게 되는바 전기자동차의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이처럼 배터리 방전에 따른 비상상황 발생시에 운전자가 손쉽게 취할 수 있는 조치가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As the calculation of the maximum mileage becomes inaccurate in this way, there has been inconvenience that the vehicle is stopped on a highway or a public road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during traveling, or the driver must wait for a follow-up action with the vehicle stopped for a long time. In this ca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leading to a major accident is greatly increased.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traffic situation in the country where there is a lot of traffic congestion or delay, when the residual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s insufficient, it is difficult to smoothly move to the charging station. In order to use the electric vehicle steadily, Should be taken as a matter of necessity.

그에 따라,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06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량에 구비된 멀티미디어장치, 공조장치 및 각종 램프류 등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배터리를 차량에 구비하고, 이러한 보조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한 ‘전기차량의 보조배터리 관리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73060, a vehicle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 multimedia device, an air conditioner, various kinds of lamps, and the like provided in an electric vehicle, A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has been proposed, which can manage charge status.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전기차량에 구비되어 있던 보조배터리는 차량의 운행을 위한 목적보다는, 주행을 위한 전원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량에 구비된 다른 장비들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운행시 지속적으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그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도록 이루어졌는바, 주행이 어려울 정도의 비상시에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uxiliary battery included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required to supply power for driving other equipments provided in the vehicle in a stable manner so as to prevent loss of power for running, In this case, since the vehicle is continuously charged and discharged repeatedl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harged electric power is use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vehicle as a means for enabling the vehicle to travel when it is difficult to driv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060호Korean Patent No. 10-127306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641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64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4255호Korean Patent No. 10-1114255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서 주행을 위한 전원이 떨어졌을 경우 가까운 충전소까지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엔진 구동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를 보관 및 장착이 용이한 케이스에 수납하여 제공함과 아울러, 보조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관리할 수 있게 하여, 비상시 전기자동차 등의 주행거리를 안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battery capable of supplying power for driving an engine to be able to move to a charging station close to a power source for running in an electric vehi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continuously monitoring and managing a state of charg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traveling distance of an electric vehicle can be stably increased in an emergenc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은,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monitoring to solve the above-

전기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충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셀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데이터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통신부가 구비된 보조배터리 팩; 상기 보조배터리 팩에서 전송되는 충전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해당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송되는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출시키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battery cell in which a power source for driving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a control communication unit for generating charging data indicating a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cell by sens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cel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harging data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condary battery pack; A monitoring server for receiving charg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ary battery pack, monitoring a state of charge of each secondary battery pack, and transmitting charging data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 to a user registered in advance; And a smart terminal for receiving charge data of an auxiliary battery pack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and displaying the received charge data through display means.

이때, 상기 보조배터리 팩은,At this time, in the auxiliary battery pack,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에 충전되는 있는 전원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데이터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통신부; 상기 배터리셀과 제어통신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보조배터리 팩의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전기자동차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에 결합되는 외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battery cell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 control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charge state of a power source charged in the battery cell to generate charge data and transmitting the charge data to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case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cell and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can be housed and forming an outer housing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And an external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coupled to the vehicl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또한, 상기 배터리셀은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제1배터리셀(A)과 제2배터리셀(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통신부는 상기 제1배터리셀(A)과 제2배터리셀(B) 중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며 먼저 방전 중인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 전압이 일정전압보다 낮아질 경우, 차량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을 다른 배터리셀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cell may include a first battery cell A and a second battery cell B housed in a single case, and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battery cell A and a second battery cell B, When the voltage of any one of the cells B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while the battery B is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cell B,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attery cell that supplies power to the vehicle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another battery cell.

또한, 상기 제어통신부에서 생성되는 충전데이터는,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셀 중 어느 배터리셀 인지를 나타내는 배터리셀 식별코드와, 각 배터리셀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수치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harge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is generated by combining a battery cell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which battery cell among the battery cells stored in the case and numeric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of each battery cell .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보조배터리 팩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 하네스;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 output harnes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uxiliary battery packs in parallel.

본 발명은 운전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전기자동차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의 응급출동서비스와 같은 도움 없이 전기자동차 충전소까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a power source capable of driving an electric car even by a simple operation of a driver, and thus it is possible to stably move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out assistance such as an emergency emergency dispatch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보조배터리 팩을 병렬 연결하는 것만으로 배터리셀의 확장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용이한 조작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battery cell can be expanded only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packs in parallel,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travelable distance by an easy operation by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은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상태나 방전정도 등을 모니터링 서버 또는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도 충전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비상시에 전기자동차의 운행을 위한 안정적인 구동전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uitively and easily identify and confirm the state of charge or discharge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through the monitoring server or the smart terminal,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nage the state of charge even during normal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a stable driving power source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의 개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입출력 하네스가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배터리 팩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배터리 상태를 표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llustration of an auxiliary battery pack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n input / output harness is mounted on 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a battery through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auxiliary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monitoring the state of charge of a secondary battery pack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의 개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의 예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llustration of an auxiliary battery pack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be monitored according to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충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셀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데이터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통신부가 구비된 보조배터리 팩(100)과, 상기 보조배터리 팩에서 전송되는 충전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해당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서버(200)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송되는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출시키는 스마트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cell in which a power source for driving an electric vehicle is charged,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charge data transmitted from the supplementary battery pack and generating a charge data indicative of a charge state of the supplementary battery pack, A monitoring server (200) for monitoring the charging status and transmitting charging data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to a user registered in advance, a smart (200) for receiving the charging data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And a terminal 300.

상기 보조배터리 팩(100)은,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셀(110)과, 상기 배터리셀에 충전되는 있는 전원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데이터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통신부(120)와, 상기 배터리셀과 제어통신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보조배터리 팩의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전기자동차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에 결합되는 외부단자(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uxiliary battery pack 100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cell 110 capable of being repeatedly charged, and a charging / discharging unit 130 for generating charging data by sensing a charging state of a power source charged in the battery cell, A case 130 for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and forming an outer housing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and a control unit 1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n external terminal 140 coupled to the vehicl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of the vehicle.

상기 배터리셀(110)은, 반복적인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셀이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배터리셀을 병렬 연결시켜 전기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일정 수준의 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배터리셀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ttery cell 110 may be a lithium ion battery cell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cell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supply a certain level of power for driving the electric vehicle It is preferable that two battery cells are formed as one set as shown in Fig.

그에 따라, 상기 배터리셀(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이 용이한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제1배터리셀(A)과 제2배터리셀(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cell 110 includes a first battery cell A and a second battery cell B, which are housed in one case that is easy to move as shown in FIG. 3 Do.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셀(110)이 제1배터리셀(A)과 제2배터리셀(B)로 구성될 경우, 먼저 방전 중인 배터리셀의 전압이 일정전압(예를 들어, 3V)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제어통신부(120)에서 차량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다른 배터리셀로 자동 전환하여 전기자동차의 주행을 위한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일정전압 이하로 떨어진 배터리셀에서는 충전이 진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주행 중 방전과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battery cell 110 is composed of the first battery cell A and the second battery cell B, if the voltage of the battery cell being discharged first falls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3V) ,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20 automatically switches the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to another battery cell to secure safety for traveling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o allow charging to proceed in a battery cell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So that discharge and charging during traveling can be stably performed.

또한, 상기 제어통신부(120)는,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모든 배터리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배터리셀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데이터를 생성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충전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20 generates charging data indicating the charging state of each battery cell electrically connected to all the battery cells 110 housed in the case and sets the charging data in advan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is programmed to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tha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이때, 상기 제어통신부(120)에서 생성되는 충전데이터는,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셀 중 어느 배터리셀 인지를 나타내는 배터리셀 식별코드와, 각 배터리셀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도 6에서는 제1배터리셀이 경우 95%, 제2배터리셀의 경우 39%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도시되어 있음)정보를 결합하여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harge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a battery cell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which of the battery cells is stored in the case, and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the state of charge of each battery cell 1 < / RTI > of the battery cell is shown to indicate 95%, and the second battery cell shows 39% of the charged state).

또한, 렌트카 등 카쉐어링 업체나, 긴급출동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보험회사처럼 여러 지역에 비치되어 있는 다수의 보조배터리 팩을 관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통신부(120)에서 각 보조배터리 팩(100)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코드를 추가하여 충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서버를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다수의 지역에 비치된 보조배터리 셀의 충전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manage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packs provided in various areas, such as a car sharing company such as a rental car, or an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that provides emergency dispatch service,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20 controls each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s 100 ) To generate charge data. By simply managing the monitoring server as shown in FIG. 1, the charging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cells provided in a plurality of areas can be easily .

이때, 상기 제어통신부(120)는 케이스를 운반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바, 와이파이(WIFI), CDMA, LTE와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20 can be easily moved by simply carrying the case, and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iFi, CDMA, and LTE should be provided. Of course.

또한, 상기 제어통신부(120)는 상기 배터리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상태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충전상태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저전압 컷팅 기능과, 과열방지센서 제어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통상적인 충전시스템의 경우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a low voltage cutting function and an overheat prevention sensor control function so as to stably manage the charging state as well as to check the charging st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Possible is the same as for a typical charging system.

상기 케이스(130)는, 배터리셀(110)과 제어통신부(120)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3 및 도 4에서는 서류가방 형태의 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se 130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20 are accommodated and a handle is provided so that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20 can be easily move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outer shape of the briefcase is show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케이스(130)는 충전이나 방전시 배터리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용이하도록 냉각효과가 우수하고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130 is preferably made of a lightweight aluminum material having excellent cooling effect so as to easily discharge heat generated in the battery cell during charging or discharging.

또한, 상기 외부단자(140)는, 배터리셀에 충전되어 있는 구동전원을 차량으로 공급하기 위해 전기자동차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external terminal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1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케이스(130)의 일면에는 보조배터리 팩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충전상태나 방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셀에 충전되거나 배터리셀에서 차량으로 공급되는 전압(V), 전류(A) 및 온도(℃) 등을 표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5, the battery 130 may be charged to the battery cell or supplied to the vehicle from the battery cell so that the user who wants to use the auxiliary battery pack can easily check the state of charge or discharg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50 that can display voltage V, current A, and temperature (占 폚).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보조배터리 팩의 현재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카쉐어링 업체나 자동차 보험회사와 같이 다수의 보조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경우에는 충전해야 할 보조배터리 팩과 응급시 전기자동차의 이동을 위해 사용해야 할 보조배터리 팩을 용이하게 구별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present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can be confirmed quickly and accurately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when managing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packs such as a car-sharing company or an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The auxiliary battery pack to be used for moving the electric vehicle can be easily distinguished and suitably used.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통신부(120)에서 배터리셀의 충전전압, 충전전류, 및 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수치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For this purpose,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20 may measure the charging voltage, the charging current, and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and convert the charging voltage, the charging current, and the temperature to the display unit 150.

또한, 상기 케이스(1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조배터리 팩 상호간을 병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배터리 팩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입출력 하네스(1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4, the case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put / output harness 16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uxiliary battery packs so that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packs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desirable.

그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방전된 상태에서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다소 멀 경우에는, 상기 입출력 하네스(160)에 의해 복수의 보조배터리 팩(100)들을 병렬 연결하여 전체적인 배터리셀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한 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istance that the electric vehicle must move in a discharged state is somewhat distant,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packs 100 are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input / output harness 160 to secure a sufficient capacity of the entire battery cell So that it can be stably moved.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는, 상기 보조배터리 팩(100)에서 전송되는 충전데이터를 무선통신망 상에서 수신하여 각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상태와 방전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함과 아울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300)나 클라이언트 단말기 등으로 해당 보조배터리 팩의 모니터링 결과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monitoring server 200 receives charg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pack 100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inuously monitors and controls the charging state and the discharging state of each auxiliary battery pack, The smart terminal 300, the client terminal, and the like.

이때,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는 충전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보조배터리 팩(100)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코드나 배터리셀 식별코드에 의해, 어느 보조배터리 팩의 어떤 배터리셀에 충전된 전원이 어느 정도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충전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스마트 단말기(300)를 도출해 내어 해당 충전데이터를 특정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onitoring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any of the battery cells of any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s, which are charged by the unique code or the battery cell identification code that can distinguish the secondary battery pack 100 included in the charge data, And the smart terminal 300 to which the charging data is to be transmitted can be derived and the corresponding charging data can be transmitted to a specific user.

또한, 본인의 전기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해 구입하여 차량에 비치해 놓은 하나의 보조배터리 팩에 대한 충전 또는 방전상태를 모니터링 해야 하는 경우와 달리, 여러 지역에 차량이 분산된 상태로 관리되는 카쉐어링 업체나, 방전으로 인해 차량이 운행할 수 없는 경우에 긴급출동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보험회사 등은 다수의 보조배터리 팩을 여러 지역에 보관하고, 그 충전 또는 방전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하는바,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는 카쉐어링 업체별 또는 자동차 보험회사별로 다수의 보조배터리 팩들에 대한 충전 및 방전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그 결과를 각 업체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Unlike the case where a secondary battery pack purchased for use in an electric vehicle is monitored for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 a car sharer Or an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that provides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when a vehicle can not be operated due to a discharge, it is necessary to store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packs in various areas and continuously monitor the state of charge or discharge, The monitoring server may be configur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us of a number of secondary battery packs by car sharing company or car insurance company and provide the results to each company.

그에 따라, 이러한 업체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송되는 충전데이터로 이루어진 모니터링 결과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다수의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항상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관리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uch a company can always easily grasp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s of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packs simply by checking and managing the monitoring result made of the charg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는 특정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제공받고자 등록해 놓은 특정 사용자에게는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300)로 일정 시간마다 해당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에서는 충전데이터 상의 배터리셀 식별코드 또는 보조배터리 팩의 고유코드에 의해 충전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를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200 transmits the charge data of the corresponding auxiliary battery pack to the smart terminal 300, such as the user's smartphone, In this case, the monitoring server 200 can easily derive the user who transmitted the charge data by the battery cell identification code on the charge data or the unique code of the supplementary battery pack.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전송되는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배터리팩 모니터링 앱(APP)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기기로 구성된다.The smart terminal 300 may be a smart phon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monitoring app (APP) programmed to receive and display charge data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Equipment.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 모니터링 앱(APP)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배터리셀들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표출시킴과 아울러, 배터리 전압, 배터리 용량, 배터리 온도 등을 함께 표출시킬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정보를 보는 것만으로도 보조배터리 팩의 상황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6, the smart terminal 300 having the battery pack monitoring app (APP) installed therein may include an interface (not shown) for easily recognizing the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cas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battery voltage, the battery capacity, and the battery temperature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by simply viewing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Do.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에서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에 해당 보조배터리 팩의 고유코드나 배터리셀의 식별코드가 미리 등록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In order to receive and display the charging data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in the smart terminal 300, the unique code of the corresponding auxiliary battery pack or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attery cell must be registered in the monitoring server 200 in advance Of course.

이와 같이, 미사용시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상태와, 사용 중 보조배터리 팩에서 방전되는 배터리셀의 상태를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방전으로 인해 차량을 운행할 수 없는 비상시에 충전소까지 이동할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rged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when not in use and the state of the battery cell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pack during use can be easily grasped by using a smart phone or the like, when the vehicle can not be driven due to discharge,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vehicle can be expanded.

또한, 복잡한 개조나 설치의 어려움 없이, 다수의 보조배터리 팩을 병렬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주행거리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아직까지 해외에 비해 만충전시 주행 가능한 거리가 짧고 충전소의 개수도 부족한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볼 때, 전기자동차의 보급과 이용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mileage when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pack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out complicated modification or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mileage even further, Considering this,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diffusion and activation of electric vehicl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보조배터리 팩 110 : 배터리셀
120 : 제어통신부 130 : 케이스
140 : 외부단자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입출력 하네스
200 : 모니터링 서버
300 : 스마트 단말기
100: auxiliary battery pack 110: battery cell
120: control communication unit 130: case
140: external terminal 150:
160: Input / output harness
200: Monitoring Server
300: Smart terminal

Claims (5)

전기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충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셀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데이터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통신부가 구비된 보조배터리 팩;
상기 보조배터리 팩에서 전송되는 충전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해당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송되는 보조배터리 팩의 충전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출시키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
At least one battery cell in which a power source for driving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a control communication unit for generating charging data indicating a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cell by sens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cel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harging data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condary battery pack;
A monitoring server for receiving charg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ary battery pack, monitoring a state of charge of each secondary battery pack, and transmitting charging data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 to a user registered in advance; And
And a smart terminal for receiving the charging data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and displaying the received charging data through the display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팩은,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에 충전되는 있는 전원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데이터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통신부;
상기 배터리셀과 제어통신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보조배터리 팩의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전기자동차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에 결합되는 외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pack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cell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 control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charge state of a power source charged in the battery cell to generate charge data and transmitting the charge data to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case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cell and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can be housed and forming an outer housing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And
And an external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coupled to the vehicl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은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제1배터리셀(A)과 제2배터리셀(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통신부는 상기 제1배터리셀(A)과 제2배터리셀(B) 중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며 먼저 방전 중인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 전압이 일정전압보다 낮아질 경우, 차량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을 다른 배터리셀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ttery cell includes a first battery cell A and a second battery cell B accommodated in one case.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first battery cell A and a second battery cell B, B), when the voltage of any one of the battery cells that is being discharged first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the controller controls to automatically switch the battery cell that supplies power to the vehicle to another battery cell Second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통신부에서 생성되는 충전데이터는,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셀 중 어느 배터리셀 인지를 나타내는 배터리셀 식별코드와, 각 배터리셀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수치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harge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is generated by combining a battery cell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which battery cell among the battery cells stored in the case and numerical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of each battery cell Monitorable second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보조배터리 팩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 하네스;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se further includes an input / output harnes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uxiliary battery pack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KR1020150115020A 2015-08-14 2015-08-14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 KR201700201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20A KR20170020163A (en) 2015-08-14 2015-08-14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20A KR20170020163A (en) 2015-08-14 2015-08-14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163A true KR20170020163A (en) 2017-02-22

Family

ID=5831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020A KR20170020163A (en) 2015-08-14 2015-08-14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0163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185A (en) 2017-10-17 2019-04-26 주식회사 솔라플러스컴퍼니 Portable Auxiliary Battery Apparatus and Energy Conversion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using Solar Power and Commercial Power
KR102085782B1 (en) * 2018-10-08 2020-03-06 디자인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usages of secondary batteries
KR20220155527A (en) * 2021-05-14 2022-11-23 손영찬 Electric Vehicle Spare Battery and Battery Pack
KR20230059990A (en) 2021-10-27 2023-05-04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Emergency driving device and method using external batt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255B1 (en) 2011-12-08 2012-03-06 주식회사 디와이티오코리아 Vehicles equipped with a spare battery
KR101273060B1 (en) 2011-03-28 2013-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Subsidiary Battery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
KR20130116419A (en) 2012-03-15 2013-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estimating soc of auxiliary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060B1 (en) 2011-03-28 2013-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Subsidiary Battery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
KR101114255B1 (en) 2011-12-08 2012-03-06 주식회사 디와이티오코리아 Vehicles equipped with a spare battery
KR20130116419A (en) 2012-03-15 2013-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estimating soc of auxiliary batter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185A (en) 2017-10-17 2019-04-26 주식회사 솔라플러스컴퍼니 Portable Auxiliary Battery Apparatus and Energy Conversion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using Solar Power and Commercial Power
KR102085782B1 (en) * 2018-10-08 2020-03-06 디자인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usages of secondary batteries
KR20220155527A (en) * 2021-05-14 2022-11-23 손영찬 Electric Vehicle Spare Battery and Battery Pack
KR20230059990A (en) 2021-10-27 2023-05-04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Emergency driving device and method using external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0853B1 (en) Identification of acceptable vehicle charge stations
CN108237942B (en) Electric automobile rescue system and electric automobile rescue method
CN106994910B (en) Electric energy conversion equipment and method for electric automobiles
US11081893B2 (en) Removable high voltage battery components
KR101180806B1 (en) Charging st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EP3461674B1 (en) Multipoint emergency responder safety isolation system
US89526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pack
US20160124050A1 (en) Storage battery type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and charge management method
KR101402666B1 (en) Electric bus
US1113967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and managing the charging state of a battery
JP2012120416A (en) Controller of electric vehicle
KR20170020163A (en) Auxiliary battery pack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11830999B2 (en) Hybrid energy storage module system having auxiliary battery
TW201401213A (en) Batter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2013247854A (en) Battery system, batter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attery control method
KR20210014611A (en) Charging management device, wireless charging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charging services
EP32345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assistan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692839B1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for battery
KR20180021504A (en) Mobile charging truck system using the used battery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6474B1 (en) System for charging battery of vehicle
KR102385205B1 (en) The method of indicationg condition of sharing electric kickboard with realtime
CN203119507U (e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management system
JP5527188B2 (en) Storage amount management system
CN206412793U (en) Suitable for the two-way DC/DC chargers of V2G charging management systems
WO2014034221A1 (en) Battery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