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057A - 다목적 농사용 집게 - Google Patents

다목적 농사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057A
KR20170019057A KR1020150112911A KR20150112911A KR20170019057A KR 20170019057 A KR20170019057 A KR 20170019057A KR 1020150112911 A KR1020150112911 A KR 1020150112911A KR 20150112911 A KR20150112911 A KR 20150112911A KR 20170019057 A KR20170019057 A KR 20170019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head portion
head
handle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위국
Original Assignee
신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위국 filed Critical 신위국
Priority to KR102015011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9057A/ko
Publication of KR2017001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2Fertiliser distributors for hand 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25B9/02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without sliding or pivotal connections, e.g. tweezers, onepiece to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극히 간단하고 사용이 쉬우며, 무게가 가볍고 보관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하여 농사를 짓는 노인분들이 다루기에 쉽고, 특히 한 가지 도구로 비료 투입 작업과 씨앗의 파종 작업을 함께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농사용 집게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목적 농사용 집게는, 숟가락과 같이 오목한 구면의 표면 가지고 있으며, 또한 타원형상의 제1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의 상부로 연장하는 제1손잡이부재와; 상기 제1헤드부에 마주 대향하며, 오목한 구면의 표면 가지고 있으며, 또한 타원형상의 제2테두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테두리부는 상기 제1테두리보다 동심을 이루는 작은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헤드부의 구면 표면에 밀착하여 내측에 닫힌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제2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의 상부로 연장하는 제2손잡이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재의 단부를 결속하되 회동 움직임을 허용토록 연결하는 핀축과; 상기 핀축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부재가 항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헤드부 또는 제2헤드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비료 또는 씨앗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소정 위치에 형성된 통과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목적 농사용 집게{Multipurpose nipper for farming}
본 발명은 밭 농사에 있어 심어진 작물 근처의 땅 속에 비료를 손쉽게 투입할 수 있는 비료 투입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료 투입용 집게를 씨앗의 파종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다목적 농사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밭농사는 쌀을 재배하는 논 농사보다 손이 매우 많이 가는 농사로서, 심어진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기 및 무기질의 비료를 주게 된다. 그런데 밭은 통상 산지나 구릉지를 이용하여 개간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크기도 작고 평평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기계화가 어려워 대부분 밭농사는 농부의 많은 일손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작물을 심은 후 비료를 줄 경우에는 호미를 사용하여 땅을 얕게 파고 비료를 준 후 호미로 흙을 밀어 덮는 식으로 비료 주기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 노령화된 농촌의 현실에서 농사는 점점 더 고되고 힘든 직업이 되고 있다.
그런데 호미를 가지고 비료 주기 작업 등의 밭일을 많이 하는 경우 작업자가 쭈그리고 않아 장시간 일해야 함으로써 작업자의 무릎 관절이 나빠지고 허리가 굽는 등의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나 밭농사가 논농사보다 소득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힘이 많이 들고 농촌의 건강을 위협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호미를 대체하여 비료를 주는 기구가 여러 가지 고안되어 사용 중에 있는 데, 이 같은 방식으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9-0039006호에 개시되어 있는 자동 비료 살포기가 있다.
도 1은 상기 선 발명에 의한 자동 비료 살포기를 도시한 것으로, 비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용기(31)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에 저장된 비료가 지면에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 삽입막대(60)가 구비되며, 살포작업시 자동 비료살포기 및 비료의 무게를 지탱하기에 적절한 어깨 걸이형 멜빵(20) 및 미끌림을 방지하는 손잡이형 고무밴드가 형성되며, 삽입막대의 하단부(60a)에는 계량공(7)으로의 비료의 유입을 유도하는 1차 토출공(9)이 위치하며, 계량공에서 추출된 비료가 자연방출되는 것을 막는 개폐공(1)과 지면으로의 한계 삽입을 유도하는 한계 스톱퍼(3)가 맨 하단부에 형성되며, 비료의 살포작업 직후 삽입막대(60)의 복원을 유도하는 복원스프링(10)과 복원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압 조절클립(15)이 삽입막대 하단부(60a)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비료를 투입 시 삽입막대 (60) 상부에 마련된 용기(31)에 저장된 가루형태의 비료(50)가 자동 비료살포기가 수직형태로 세워 지면서 파이프 형태의 삽입막대(60)의 내부에 자연낙하 하게 되고, 이때 복원스프링(10)에 의해 완전 복원되면서 삽입막대(60)의 1차 토출공(9)은 닫히게 되면서 용기(31)와 삽입막대 내부의 비료의 자연유출은 방지되지만 계량공(7,7a)이 포함한 비료(50a)는 개폐공(1)에 쏟아지게 되면서 개폐공은 비게 되며, 복원스프링(10)의 압력에 의해 지면에 개폐공(1)은 삽입되지만 이때 한계 스톱퍼(3)가 지면에 닿으면서 더 이상 개폐공의 삽입을 막으며, 복원 스프링압 조절 클립(15)을 상하로 이동하여 완성된 스프링압이 복원스프링압력보다 더 큰 저항력이 발생함으로써 이때는 삽입막대(60)가 하강하게 되면서 개폐공(1)이 포함한 비료를 땅속에 밀어넣게 되고, 이때 삽입막대 하단부(60a)에 위치한 1차 토출공(9)과 계량공(7)이 일치하면서 삽입막대(60) 내의 비료는 계량공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계량공에 위치한 비료(50a)는 복원스프링(10)에 의해서 발생한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는 과정 중 계량공에서 흘러내려 개폐공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땅 속으로 투입되며, 이 같이 삽입막대(60)를 눌러 줬다 누름력을 해소시키는 압축 하강과 상승 복원 작업만으로 정량의 비료를 살포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 비료 살포기는 긴 막대(60) 상부에 비료 저장 용기(31)가 마련되어 있어, 무게 중심이 높고 무거워 노인분들이 밭농사를 짖고 있는 농촌의 현실에서 크기가 크고 무거우며 높은 무게 중심에 의해 불안정한 기구를 휴대한 채 이동하면서 비료 투입 작업을 하기가 매우 불편하여 실용화가 어려우며, 특히 매우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값이 비싸 외면당하는 문제가 있고, 스프링(10)에 각종 풀 등의 이물질이 끼이는 경우가 많아 막대(60)의 승하강에 지장을 주고, 스프링(10)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편, 비료만이 아니고 씨앗류, 특히 콩이나 옥수수 등의 씨앗을 심고자 하는 경우에도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는 호미이나, 앞서 설명한 것처럼 호미를 이용한 농사는 힘이 많이 들고 농부의 신체에 무리를 가져 오므로, 호미를 대체하여 많은 파종기들이 제안되어 왔는데, 기계화된 각종 파종기들은 값도 비싸고 유지 보수의 문제뿐 아니라 소규모 밭농사 및 대부분 기계화에 친숙하지 못한 노인분들이 농촌에 남아 농사를 짓고 있는 것이 현실이어서 노인들이 다루기 쉽게 구조적으로 극히 간단하고 사용이 쉬우며, 무게가 가볍고 보관이 편리하고 비료 투입 작업과 씨앗의 파종 작업을 함께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의 존재가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9-003900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극히 간단하고 사용이 쉬우며, 무게가 가볍고 보관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하여 농사를 짓는 노인분들이 다루기에 쉽고, 특히 한 가지 도구로 비료 투입 작업과 씨앗의 파종 작업을 함께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농사용 집게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목적 농사용 집게는, 숟가락과 같이 오목한 구면의 표면 가지고 있으며, 또한 타원형상의 제1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의 상부로 연장하는 제1손잡이부재와; 상기 제1헤드부에 마주 대향하며, 오목한 구면의 표면 가지고 있으며, 또한 타원형상의 제2테두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테두리부는 상기 제1테두리보다 동심을 이루는 작은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헤드부의 구면 표면에 밀착하여 내측에 닫힌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제2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의 상부로 연장하는 제2손잡이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재의 단부를 결속하되 회동 움직임을 허용토록 연결하는 핀축과; 상기 핀축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부재가 항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헤드부 또는 제2헤드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비료 또는 씨앗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소정 위치에 형성된 통과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핀축에 의해 연결된 제1 및 제2손잡이부재의 연결단부에는 상기 판스프링부재의 탄발에 의해 벌어지게 되는 제1 및 제2손잡이부재가 소정 범위를 넘어서 벌어지지 못하게 제한하며, 또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재 또는 플라스틱재의 손잡이보호캡이 끼워져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 중 통과구멍이 형성된 헤드부로부터 연장하는 손잡이부재는 상부부재와, 헤드부를 구비한 하부부재의 2파트로 분리 형성되어 그 분리된 2파트는 서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부재와 동일 형상으로서 상기 통과구멍과는 다른 설치 높이를 가지는 통과구멍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하부부재를 대체하여 상기 상부부재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보조 하부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목적 농사용 집게는 흔히 음식점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집게의 구조를 변경하여 농사용에 적합하게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그 구조가 극히 간단하고 사용이 쉬우며 휴대 보관이 용이하여 노인들이 밭 농사를 지을 때 비료 투입이나 콩과 옥수수 등의 씨앗 파종 시 허리를 굽히거나큰 힘을 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밭농사의 작업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특히 서로 접하는 제1 및 제2헤드부는 어느 한 쪽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부재를 움켜쥐어 양측 헤드부가 접촉할 때 작은 측의 헤드부가 큰 축의 헤드부의 구면 내측 표면에 밀착하게 되므로, 헤드부가 좌우로 미끄러져 서로 이탈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투입구멍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된 하부부재와 보조 하부부재의 2가지를 구비하고 있어, 비료를 투입시에는 투입구멍이 높게 형성된 하부부재를 사용하고, 콩류나 옥수수 등을 파종 시에는 투입구멍이 헤드부 하단 가까이 높이에 형성된 보조 하부부재로 교체하여 사용(비료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투입구멍의 위치가 높게 형성되나, 콩 등의 파종 시에는 2~4개 정도를 심게 되므로 투입구멍이 높으면 많은 콩이 투입구멍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므로, 적정분량인 2~4 개 정도만이 들어가도록 투입구멍을 낮게 형성한 하부부재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임)하게 되므로, 하나의 집게 도구로써 비료 투입용과 씨앗 파종용의 2가지 용도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는 것이다.
또 손잡이부재의 연결단부에 고무 손잡이보호캡이 장착되어 있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될 뿐 아니라, 손잡이보호캡이 없는 경우 판스프링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제1 및 제2손잡이부재가 서로 최대로 벌어지게 되어 손으로 늘 오므러드는 가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쥐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본 발명은 손잡이부재를 스프링 탄발력에 대항하여 움켜쥐는 힘을 계속하여 가하지 않아도 되도록 양측의 손잡이부재가 스프링 힘에 의해 소정 간격(스프링 힘에 대항하는 힘을 가하지 않고 손으로 자연스럽게 손잡이부재를 쥘 수 있는 간격) 이상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손잡이보호캡이 벌어짐의 한계를 설정해 주게 됨으로써, 단순히 잡고 있기만 하면 되므로 비료 투입이나 씨앗 파종이 이루어 지지 않는 휴지기 및 다음 작업 지점으로의 이동 및 휴대 시에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를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에 손잡이보호캡을 장착하고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를 이용하여 비료나 콩 등의 씨앗을 협지하기 위해 양측 헤드부를 합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의 평면도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의 부품 세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집게 본체이고, (b)와 (c)는 집게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게 부품으로서 (b)는 비료 투입용의 하부부재이며, (c)는 씨앗 파종용의 보조 하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의 목적으로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이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비록 다르더라도 반드시 상호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로서, 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되는 특정한 양상, 구조 또는 특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다른 실시예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히 해석된 첨부된 청구범위와 이 청구범위가 관여되는 충분한 범위의 균등물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를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에 손잡이보호캡을 장착하고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를 이용하여 비료나 콩 등의 씨앗을 협지하기 위해 양측 헤드부를 합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의 평면도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의 부품 세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집게 본체이고, (b)와 (c)는 집게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게 부품으로서 (b)는 비료 투입용의 하부부재이며, (c)는 씨앗 파종용의 보조 하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농사용 집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전체를 부호 1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다목적 농사용 집게(10)는 숟가락과 같이 오목한 타원형의 구면 표면(12)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타원형상의 제1테두리부(14, 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있는 제1헤드부(16)와, 상기 제1헤드부(16)의 일측으로(세워져 사용하는 상태를 기준하면 상측) 연장하는 제1손잡이부재(18)와, 상기 제1헤드부(16)에 마주 대향하며, 오목한 타원형 구면의 표면(20) 가지고 있으며, 또한 타원형상의 제2테두리부(22)를 구비하되 상기 제2테두리부(22)는 상기 제1테두리(14)보다 동심을 이루는 상대적으로 작은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헤드부(16)의 구면 표면(12)에 밀착하여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측에 비료(24)나 콩을 수용할 수 있는 닫힌 공간(26)을 형성하게 되는 제2헤드부(28)와, 상기 제2헤드부(28)의 일측으로 연장하는 제2손잡이부재(30)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재(18,30)의 단부를 합쳐 결속하되 회동 움직임을 허용토록 연결하는 핀축(32)과, 상기 핀축(32)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부재(18,30)가 항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부재(34)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헤드부(16) 또는 제2헤드부(28)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본 발명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2헤드부(28)에 비료 또는 씨앗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소정 위치에 통과구멍(36: 36A, 36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 부재(18,30)는 도 7의 측면 형상에서 보여지고 있는 것 같이 금속 판재를 서로 마주하는 내측 부분의 일부 벽이 개방된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절곡 가공하여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적어도 어느 한쪽의 손잡이부재,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분할 형성되는 손잡이부재(30)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부재를 삽입하여 끼워 접속할 수 있는 빈 공간(48)을 가지고 있다.
도 7은 다목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16,28) 중 통과구멍(36)이 형성된 헤드부(28, 통과구멍은 어느 쪽 헤드부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로부터 연장하는 손잡이부재(30)는 상부부재(30A)와, 헤드부(28)를 구비한 하부부재(30B)(하부부재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의 2파트로 분리 형성되어, 그 분리된 2파트(30A,30B)는 상부부재(30A)의 단부에 몸체 일부가 삽입되어(즉, 공간 48에 끼워져 삽입) 리벳이나 볼트 등의 고정구(38)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 몸체 일부는 외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된 접속막대부재(40)를 구비하고 있어, 하부부재(30B)가 공간(48)을 통해 상기 접속막대부재(40)에 끼워져 상부부재(30A)와 서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집게의 본체(10A)(하부부재를 제외한 집게의 나머지 부분을 본체로 지칭한다)와 2개의 하부부재(30B, 30B')가 한 세트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데, 상기 하부부재(30B)와 동일 형상으로서 상기 통과구멍(36A)과는 다른 설치 높이를 가지는 통과구멍(36B)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하부부재(30B)를 대체하여 상기 상부부재(38)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보조 하부부재(30B')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두 개의 하부부재(30B,30B')의 통과구멍(36A,30B)의 설치 높이가 다르게 하여 한 세트를 이루도록 한 이유는 상기 높은 설치위치를 가지는 통과구멍(36A)(도 7(b) 참조)은 비료 투입용으로 사용되고, 그보다 낮은 설치위치를 가지는 통과구멍(36B)는 콩이나 옥수수 등 크기가 큰 씨앗류의 경우 2~4개 정도를 파종하여야 하므로, 적정량의 씨앗을 빈 공간(26)의 통과구멍(36B) 하부에 수용되도록 하고 여분의 씨앗은 통과구멍(36B)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필요 이상 많은 씨앗이 파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과 같은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농사용 집게(10)는 그 내부에 판스프링부재(34)가 들어 있어 집게의 벌어짐이 결속단부가 서로 접촉하여 더이상 벌어짐이 차단당할 때까지 최대로 벌어지게 되며, 이 같은 상태에서는 최대로 벌어진 집게(10)를 손으로 움켜 잡을 때 스프링 탄성력을 이기도록 힘을 가하여 잡아야 하므로 손이 늘 피곤할 수밖에 없고, 움켜쥔 손을 펴는 경우 집게(10)가 판스프링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해 튕겨져 나가게 되기 때문에 불편함이 상존하게 된다. 이 같은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핀축(32)에 의해 연결된 제1 및 제2손잡이부재(18,30)의 연결단부에는 상기 판스프링부재(34)의 탄발에 의해 벌어지게 되는 제1 및 제2손잡이부재(18,30)가 소정 범위를 넘어서 벌어지지 못하게 제한하며, 또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재 또는 플라스틱재의 손잡이보호캡(42)이 끼워져 장착되며, 이 손잡이보호캡(42)의 미끄러짐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그의 표면에는 복수의 마찰돌기(44)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로써 집게(10)는 자연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벌어지나 이 같은 구성의 손잡이보호캡(42)을 집게 단부에 끼워 장착하는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벌어짐이 강제로 좁혀져, 즉 집게가 더 이상 벌어지는 것을 손잡이보호캡(42)이 차단하여 손아귀에 들어오게 되므로 집게의 휴대 시 손아귀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집게(10)의 평면도 형상으로서, 통과구멍(36)이 형성된 상측에 위치하여 보여지고 있는 헤드부(28)가 하부에 위치하는 헤드부(16)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이 형성하는 이유는 두 개의 헤드부(16,28)가 서로 밀착하여 합치되었을 때(즉 손으로 움켜쥐고 손가락으로 눌러 잡은 상태) 작은 헤드부(28)가 큰 헤드부(16)의 구면 안쪽에서 접촉하게 되어, 도 5의 확대도에서 보여지고 있듯이 큰 헤드부(16)에 노출면(46)이 형성되는 상태가 되어 양측 헤드부(16,28)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에 의한 어긋남이 없게 된다.
이하에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 및 기능에 대하여,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농부)가 집게(10)를 단순히 휴대하는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으며, 밭에서 비료를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의 비료 용기(48) 속에 벌어진 집게(10)의 헤드부(16,28)를 박아 넣으면서 집게(10)에 손힘을 가하여 오므라들도록 하여 양측 헤드부(16,28)가 서로 밀착하게 되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26) 내에 비료(24)가 갇힌 상태로 수용되며, 이때 비료(24)의 양은 통과구멍(36(36A)) 높이가 기준으로서, 그 이상 비료(24)가 공간(26)에 들어가면 집게(10)를 비료 용기(48)에서 빼내면서 집게(10)를 살살 좌우로 흔들어 주면 공간(26) 내에 통과구멍(36A)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비료(24)들이 통과구멍(36A)을 통해 외부로 흘러 나와 비료 용기(48)로 여분의 비료가 회수되고 집게(10)에는 정적량의 비료가 간직되게 구성되어 있다.
비료(24)를 적정량 취한 집게(10)는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심어 놓은 밭작물 옆의 땅에 대고 끝으로 흙을 약간 파내거나 정돈하듯이 한 후 움켜쥐었던 상태를 해제하면 집게(10)가 판스프링부재(34)의 탄발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공간(26)이 개방되어 비료(24)가 파헤쳐진 땅속으로 낙하하여 투입되며, 비료 투입이 끝나면 숟가락처럼 생긴 헤드부(16,28)를 사용하여 흙을 모아 비료 위를 덮어주면 1 작물에의 비료 투입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며, 이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모든 작물에의 비료 주기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집게(10)는 비료 주기 작업에만 사용되지 않고 씨앗,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콩류나 옥수수 등의 종자의 파종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데, 이때 비료(24) 투입용의 헤드부(28)의 통과구멍(36A)의 높이가 높아 콩이나 옥수수가 많이 들어가므로 씨앗 파종용으로 사용하기는 부적합하다. 왜냐하면 콩이나 옥수수는 한번 파종 시 2~5개 정도의 소량을 심어야 하는 데, 높은 통과구멍(36A)을 가진 헤드부(28)를 사용하면 공간(26) 내에 콩 등이 너무 많이 들어갈 수밖에 없어 사용이 적당치 않다.
이 같은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하부부재(30B)를 본체(10A)로부터 잡아 빼내어 분리시키고, 대신 보조 하부부재(30B')를 본체(10A)의 상부부재(30A)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연결막대부재(40)에 끼워넣어 접속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보조 하부부재(30B')에 형성된 통과구멍(36B)은 도 7(c)에서 보여지듯이 도 7(b)의 통과구멍(30A)보다 상대적으로 하단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공간(26) 내에 요구되는 갯수보다 많이 콩 등의 씨앗이 수용된 경우 집게(10)를 흔들어주면 통과구멍(30B) 위에 있는 씨앗들은 그 구멍을 통해 외부(파종용 콩 저장 용기)로 배출되어 공간(26) 내에는 적정량, 예를 들면 2~5개의 씨앗 정도가 잔류하게 되어 낭비 없이 씨앗의 파종이 가능한 것이며, 이 같이 하여 다른 씨앗의 경우에도 통과구멍(30B)의 위치 조정 및 헤드부(28)의 선단의 크기 조정을 통해 파종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료 주기뿐 아니라 씨앗 파종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목적 농사용 집게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농사용 집게 10A: 집게 본체
12: 구면 표면 14: 제1테두리부
16: 제1헤드부 18: 제1손잡이부재
20: 구면 표면 22: 제2테두리부
24: 비료 26: 공간
28: 제2헤드부 30: 제2손잡이부재
30A: 상부부재 30B: 하부부재
30B': 보조 하부부재 32: 핀축
34: 판스프링부재 36(36A,36B): 통과구멍
38: 고정구 40: 접속막대부재
42: 손잡이보호캡 44: 마찰돌기
46: 노출면 48: 공간

Claims (3)

  1. 숟가락과 같이 오목한 구면의 표면 가지고 있으며, 또한 타원형상의 제1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의 상부로 연장하는 제1손잡이부재와; 상기 제1헤드부에 마주 대향하며, 오목한 구면의 표면 가지고 있으며, 또한 타원형상의 제2테두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테두리부는 상기 제1테두리보다 동심을 이루는 작은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헤드부의 구면 표면에 밀착하여 내측에 닫힌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제2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의 상부로 연장하는 제2손잡이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재의 단부를 결속하되 회동 움직임을 허용토록 연결하는 핀축과; 상기 핀축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부재가 항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헤드부 또는 제2헤드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비료 또는 씨앗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소정 위치에 형성된 통과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사용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축에 의해 연결된 제1 및 제2손잡이부재의 연결단부에는 상기 판스프링부재의 탄발에 의해 벌어지게 되는 제1 및 제2손잡이부재가 소정 범위를 넘어서 벌어지지 못하게 제한하며, 또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재 또는 플라스틱재의 손잡이보호캡이 끼워져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사용 집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 중 통과구멍이 형성된 헤드부로부터 연장하는 손잡이부재는 상부부재와, 헤드부를 구비한 하부부재의 2파트로 분리 형성되어 그 분리된 2파트는 서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부재와 동일 형상으로서 상기 통과구멍과는 다른 설치 높이를 가지는 통과구멍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하부부재를 대체하여 상기 상부부재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보조 하부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사용 집게.
KR1020150112911A 2015-08-11 2015-08-11 다목적 농사용 집게 KR20170019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911A KR20170019057A (ko) 2015-08-11 2015-08-11 다목적 농사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911A KR20170019057A (ko) 2015-08-11 2015-08-11 다목적 농사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057A true KR20170019057A (ko) 2017-02-21

Family

ID=5831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911A KR20170019057A (ko) 2015-08-11 2015-08-11 다목적 농사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90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283A (zh) * 2018-04-17 2018-07-27 芭芭拉(厦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播种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306A (ko) 1999-09-13 2001-04-06 이계안 차량의 타이어 상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306A (ko) 1999-09-13 2001-04-06 이계안 차량의 타이어 상태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283A (zh) * 2018-04-17 2018-07-27 芭芭拉(厦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播种工具
CN108323283B (zh) * 2018-04-17 2023-09-26 芭芭拉(厦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播种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5509A (ko) 종자 자동공급용 수동 파종기
KR20130005094A (ko) 모종기
KR200444544Y1 (ko) 모종 이식기
KR101805787B1 (ko) 모종기
CN106612662B (zh) 一种松土播种一体化的农用铲
JP2009291099A5 (ko)
KR20170019057A (ko) 다목적 농사용 집게
CN206433333U (zh) 手持式两用伸缩工具
US5487236A (en) Plant food and fertilizer applicator
KR20070053862A (ko) 반자동 육묘 파종기
US5438940A (en) Manual plant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plants
CN208446030U (zh) 一种快速移苗器
KR102052426B1 (ko) 비료 투입기
CN200938744Y (zh) 便携式种子点播器
KR20210035647A (ko) 반자동 모종파종기
KR20060133925A (ko) 파종기
KR200472498Y1 (ko) 모종 이식기
CN210959435U (zh) 一种便捷式甘蔗种植工具
KR200404966Y1 (ko) 파종기
CN201248246Y (zh) 多功能补种器
KR20210101445A (ko) 작업편의성을 증진시킨 다용도 파종기
CN207612586U (zh) 栽苗打孔器
CN202455794U (zh) 便携背负式多功能施播器
KR200480773Y1 (ko) 파종기
KR101242799B1 (ko)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