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44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445A
KR20170018445A KR1020177001282A KR20177001282A KR20170018445A KR 20170018445 A KR20170018445 A KR 20170018445A KR 1020177001282 A KR1020177001282 A KR 1020177001282A KR 20177001282 A KR20177001282 A KR 20177001282A KR 20170018445 A KR20170018445 A KR 20170018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master user
master
base station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구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1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장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 유닛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을 포함한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 유닛은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고, 여기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선택을 포함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처리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포워딩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은 사용자 장비들과 기지국 간의 채널 품질에 따라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들로서 선택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들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크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적 네트워크 계획이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요구사항이 충족되면서 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이 보장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글로벌 정보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의 차세대 네트워크(NGN)로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 장비, 서비스 요구사항 및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양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무선 스펙트럼 자원의 부족이 더욱 심화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네트워크 작동 동안 네트워크 노드 및 데이터 전송 경로 등의 기능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적응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무선 스펙트럼 자원의 재사용 효율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효과적인 자원 활용을 보장하면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동적 네트워크가 제안된다.
도 1은 동적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기반구조와 사용자 장비(UE)라고 하는 2종류의 논리적 개체로 구성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기지국(BS)들 및 UE들에 의해 형성되고, 소정 UE는 단지 일부 BS에만 관련된다. 네트워크 작동 동안,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 되도록 변한다. 기지국들과 다른 사용자 장비 간에 신호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장비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Master UE, mUE)가 된다. 일부 mUE로부터 신호 중계 서비스와 연관되어 이 신호 중계 서비스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비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슬레이브 UE, sUE)가 된다. 기지국에만 연관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비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Direct UE, dUE)라고 명명된다.
그러나, 아키텍처의 복잡성 및 가변성으로 인해, 네트워크 관리가 동적 네트워크를 수반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와 필요할 경우 변경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동적 네트워크에 효과적인 네트워크 관리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작업은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한 성능 평가나 동적 네트워크에 대한 평가 결과 기반의 아키텍처 설계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간단한 요약이 아래에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이 요약은 본 개시내용을 포괄적으로 설명하지 않으며, 본 개시내용의 본질적인 또는 중요한 컴포넌트들 또는 범위를 정의하는 것을 의도하지도 않으며, 본 개시내용의 일부 개념들을 단순한 형태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따라서 나중에 설명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의 서론으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쟁점의 견지에서,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동적 네트워크 성능 평가를 수행하고, 그 평가에 기초하여 동적 네트워크 계획 결정을 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 자원 활용 효율이 보장될 수 있는 네트워크 계획 결정을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함- ; 및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큼- 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영역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전력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성능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간격 거리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간격 거리 계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각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중계되는 신호에 대한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신호 수신 품질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연관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고,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최적화된 네트워크 용량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을 포함하여, 동적 네트워크 계획에 수반되는 네트워크 노드에 재구성 명령을 전송하여, 현재 네트워크 접속을 변경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재구성 지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분포 상태 추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간격 거리 계산 유닛은 또한 분포 상태에 따라 간격 거리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은 또한 분포 상태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전체 내에 미리 결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 영역에 대하여, 원형 영역의 노드 분포 밀도가 영역 전체의 노드 분포 밀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분포 상태 추정 유닛은 미리 결정된 반경에 대하여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클러스터(Cluster)인 것으로 추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분포 상태 추정 유닛은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레귤러(Regular)인 것으로 추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반경은 사용자 장비 간의 유효 전송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각각에 대해, 영역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중계 능력에 기초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 제공될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 및 선택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선택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를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획득하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영역에서의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간격 거리에 기초한 동적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달성되는 예측된 최대 네트워크 용량과 현재 네트워크 용량을 비교함으로써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활성화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만료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타이머, 네트워크 성능 저하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요구사항 충족 실패, 열악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구조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이 추가로 제공된다. 방법은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방법이 수행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함- ; 및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서, 메모리 매체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메모리 매체는 정보 처리 장치상에서 실행될 때,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방법이 수행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함- ; 및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서, 프로그램 제품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프로그램 제품은 정보 처리 장치상에서 실행될 때,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방법이 수행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함- ; 및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들은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충분히 개시하지만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는 역할을 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이들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추가로 설명하고 예로서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이점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동적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의 간격 거리의 계산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예시적인 구조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실제 구현의 모든 특성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개발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나의 구현에서 또 다른 구현으로 변하게 되는 시스템- 및 비지니스-관련 제약 조건을 준수하기 위해, 임의의 그러한 실제 구현을 개발하는 동안 수많은 구현-특정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개발 노력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단순히 일상적인 작업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해결책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디바이스 구조들 및/또는 프로세스 단계들만이 도면들에 도시되며, 본 개시내용과 덜 관련된 다른 상세들은 그러한 불필요한 상세들로 인해 본 개시내용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된다는 점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타워 서버, 랙 서버, 및 블레이드 서버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서버로서 실현될 수 있다. 장치(200)는 서버 상에 장착되는 제어 모듈(예를 들어, 단일 다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 및 블레이드 서버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또는 블레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등의 임의의 타입의 향상된(evolved) Node B(eNB)로서 실현될 수 있다. 스몰 eNB는 피코(pico) eNB, 마이크로(micro) eNB, 및 홈(펨토(femto)) eNB 등의, 매크로 셀보다 작은 셀을 커버하는 eNB일 수 있다. 그 대신에, 장치(200)는 NodeB 및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의 임의의 다른 타입의 기지국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장치(200)는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이것은 기지국 장치라고도 지칭됨), 및 본체와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RRH(remote radio hea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다양한 타입의 단말기는, 각각이 장치(200)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장치(200)로서 동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기는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 있을 때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계획 명령을 획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형 이동 라우터,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이동 단말기, 또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량-장착의 단말기로서 실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구체적으로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 또는 M2M(machine-to-machin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이것은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지칭됨)로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는 각각의 단말기 상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단일 다이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200)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202)과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2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유닛의 기능 구성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여기에서,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다"라는 용어는 프로그래밍, 하드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202)은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한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만료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타이머 -따라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장치(200)의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202)에 의해 주기적으로 활성화됨- ; 네트워크 성능 저하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요구사항 충족 실패,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작동 불능 레이트(outage rate); 열악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예를 들어, 채널 품질 표시자(CQI) 등); 및 네트워크 구조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작은 셀들이 턴오프되거나 작은 셀의 커버리지가 감소되면, 영향을 받는 사용자 장비 또는 작은 셀 자체는 네트워크 구조의 재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턴오프된 작은 셀과 기저대역을 공유하는 매크로 셀은 네트워크 구조를 능동적으로 재조정한다. 대안적으로, 새로운 진입 사용자 장비는 능동적으로 네트워크 구조의 재조정을 요구하거나 네트워크 구조가 재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그 관련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가 원래 시스템에 존재하는 시나리오 예에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시스템에 원래 존재하는 2개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그들 사이의 거리가 간격 거리보다 작아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트리거된다. 또 다른 예로서,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간에 D2D 통신 요구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임의의 하나의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동작하고, 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기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가 간격 거리보다 작은 경우,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트리거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그룹의 사용자 장비 간에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요구사항과 제2 그룹의 사용자 장비 간에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요구사항이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 동적 네트워크 계획이 또한 트리거될 수 있으며, 계획 객체는 2개의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에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A와 B 간의 거리가 간격 거리보다 큰 것을 보장하는 동안,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제1 그룹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A가 제1 그룹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선택되고, 제2 그룹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B가 제2 그룹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202)은 장치(2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여 영역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2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은 전체 네트워크 영역 또는 턴오프된 작은 셀에 의해 원래 서비스되는 영역과 같은 전체 네트워크 영역의 일부일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204)은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장치(2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크다.
D2D 통신 클러스터의 경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제어 서비스를 어느 정도 제공하는 셀룰러 D2D 통신에서 D2D 통신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헤드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 예로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모든 사용자 장비가 원래 셀룰러 통신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가 D2D 통신(클러스터)을 형성하도록 선택되는 경우, 또는 영역 내에 이미 D2D 통신(클러스터)이 존재하는 경우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장치(200)는 클러스터 헤드(즉,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서로 너무 가깝거나 각각의 클러스터의 자원 활용 효율이 임계값보다 낮다는 것 등을 검출하고, 따라서 클러스터 헤드가 재선택된다. D2D 통신 클러스터의 원래 남아있는 클러스터 멤버로부터 클러스터 헤드를 재선택하거나, D2D 통신 클러스터를 재계획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때,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으로부터 양호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임의의 2개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에 일정한 거리가 존재하도록 보장하여, 동일한 스펙트럼을 사용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의해 형성되는, 링크의 수신기에 대한 상호 간섭이 높은 자원 활용 효율이 획득되는 허용 범위 내에 있게 되어, 이에 의해 무선 송신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필요한 데이터 및 시그널링 외에도,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은 또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신호가 중계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송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때,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204)은 높은 부하를 갖는 링크가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것이 되도록,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간의 채널이 양호한 품질을 갖는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이한 시스템 성능 요구사항(예를 들어, 최대 네트워크 용량을 달성하는 것,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 등)에 기초하여, 시스템 간섭을 감소시키면서 높은 자원 효율을 획득하기 위해, 동일한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시스템 성능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간격 거리보다 커야 한다. 대안적으로, 간격 거리는 미리 특정되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종래의 시스템 성능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연관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자원을 재사용하고, 결정된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산되는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최적화된 네트워크 용량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장치(200)에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위해 마스터 사용자 장비 자원 각각에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자원 할당 유닛이 더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비에 할당되는 자원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D2D 통신 클러스터의 상기 예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에 따라 D2D 통신 클러스터 1 및 D2D 통신 클러스터 2에 의해 동일한 자원이 재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클러스터 헤드(즉,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선택된 후에, eNB는 동일한 스펙트럼 자원을 각각의 클러스터 헤드에 동적으로 할당하거나, 클러스터 헤드가 내부-클러스터 통신을 위해 미리 결정된 동일한 D2D 자원 풀로부터 자원을 자율적으로 직접 선택한다.
이하, 간격 거리의 결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300)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302), 간격 거리 계산 유닛(304)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306)을 포함할 수 있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3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306)의 기능 구성은 각각 위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2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204)과 동일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사항을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간격 거리 계산 유닛(304)의 기능 구성예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간격 거리 계산 유닛(304)은 장치(3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전력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성능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간격 거리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적어도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전력 및 SINR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 간의 유효 송신 거리는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가 유효 송신 거리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 장비 간에 통신이 수행될 수 없다. 즉,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분포는 적어도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 제공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조건을 부합시켜야 한다. 또한,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전력 및 SINR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분포는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동일한 스펙트럼 자원을 사용하고 이렇게 함으써 제공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의해 형성되는,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링크의 수신기에 대한 상호 간섭이 SINR 요구사항을 부합시키는 조건을 부합시켜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결정된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연관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중계되는 신호들에 대한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신호 수신 품질을 가질 수 있다. 그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중계되는 신호에 대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신호 수신 품질은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신호 수신 품질보다 높아야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를 획득하는 것이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최적화하는데 유리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400)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402),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 간격 거리 계산 유닛(406)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408)을 포함할 수 있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402), 간격 거리 계산 유닛(406)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408)의 기능 구성은 각각 위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302), 간격 거리 계산 유닛(304)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306)과 동일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사항은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의 기능 구성예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은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4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400)에 의해 관리되는 전체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크기의 영역,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반경의 원형 영역에 대해, 원형 영역의 노드(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분포 밀도가 전체 영역의 노드 분포 밀도보다 높은 경우,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은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미리 결정된 반경에 대해 클러스터(Cluster)인 것으로 추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은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레귤러(Regular)인 것으로 추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결정된 반경은 사용자 장비 간의 유효 송신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의 경도 및 위도로 표현될 수 있다.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은 사용자 장비에 위치 정보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비는 요청에 응답하여, 자신이 운반한 포지셔닝 모듈에 의해 그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위치 정보를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에 보고한다. 대안적으로,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은 위치 정보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는 측정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위치 정보를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에 보고한다.
다음으로, 분포 상태 추정 유닛(404)은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의 분포와 관련된 특성 파라미터를 계산하여,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특성 파라미터는 노드 위치들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함수 K 및 함수 L을 포함한다. 함수 K는
Figure pct00001
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기대값(expectation)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고,
Figure pct00003
는 노도의 수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고, b(x,r)은 각각의 노드로부터 노드 X까지의 거리가 r을 초과하지 않는 한 세트의 노드를 나타내고, Φ는 조사된 영역 A(즉, 장치(4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 내의 한 세트의 노드를 나타내며, λ는 영역 A의 노드 밀도를 나타낸다. 또한, 함수 L은
Figure pct00004
로서 정의된다. 영역 A에 대하여, 영역 A에 다수의 노드가 있는 경우에는, 함수 K 및 함수 L의 계산량이 많다. 이 경우, 전체 영역 A 중에서 몇 개의 부분 영역을 선택하고, 그 부분 영역에 대해서 2개의 함수의 값을 각각 계산하여, 평균값을 전체 영역 A의 함수값의 근사치로서 계산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노드 세트 Φ는 영역 A 내의 노드들만을 포함하고, 거리 r은 노드들 간의 유효 데이터 송신 거리의 상위 경계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의 임의의 부분은 필요에 따라 영역 A로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세트 Φ가 처음으로 주어지고 노드 세트로부터 노드 세트 Φ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추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음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번째로, 각각의 노드의 근접 중심(closeness centrality)이 계산되는데, 이는 노드와 다른 모든 노드 간의 거리의 합을 노드들의 수로 나눔으로써 획득되는 평균값의 역수로서 정의된다. 그 다음으로, 가장 작은 근접 중심값을 갖는 노드가 중앙 노드로서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중앙 노드와 다른 노드 간의 거리 중 최대 거리가 반경으로서 선택된다. 따라서, 노드 세트 Φ를 커버하는 원형 영역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이 실현된다. 유사하게, 노드 세트 Φ를 커버하는 다른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형 영역)의 영역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방법들이 실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산된 특성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를 판정한다. L(r)>r인 경우에는, 사용자 장비의 분포가 거리 r에 대해 클러스터라는 것, 즉 b(x,r)의 단위 면적 내의 노드 수의 기대값이 전체 영역의 노드 밀도를 초과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L(r)<r인 경우에는, 사용자 장비의 분포가 거리 r에 대해 레귤러라는 것, 즉 b(x,r)의 단위 면적 내의 노드 수의 기대값이 전체 영역의 노드 밀도보다 낮다는 것을 가리킨다.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영역 A의 단위 면적당 사용자 장비의 수를 단순하게 계산함으로써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단위 면적당 사용자 장비의 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분포 상태가 클러스터라고 결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분포 상태는 레귤러라고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결정된 후에, 간격 거리 계산 유닛(406)은 또한 결정된 분포 상태에 기초하여 간격 거리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 거리 계산 유닛(406)는 우선, 결정된 분포 상태에 기초하여 분포 상태를 기술하기에 적합한 수학적 모델을 선택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포인트 프로세스(Point Process)를 기본 수학적 모델로 취하고, 간격 거리 계산 유닛(406)은 분포 상태에 따라 설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정확한 모델을 더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거리 r에 대해 클러스터인 경우, 클러스터 프로세스(CP)와 같은 클러스터 타입에 적합한 포인트 프로세스 모델이 선택된다. 그렇지 않다면, 거리 r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레귤러인 경우, HCP(Hard-Core Process) 또는 SP(Strauss Process)와 같은 레귤러 타입에 적합한 포인트 프로세스 모델이 선택된다. 보다 정확한 모델은 일반적으로 성능 추정의 복잡성 및 컴퓨팅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에서, 정확도와 복잡성 간의 트레이드오프를 위해, 보다 일반적인 PPP(Poisson Point Process)가 예시로서 취해진다.
네트워크에서 PPP 모델을 최대 우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으로 피팅함으로써, 모델의 노드 밀도 λ의 최대 우도 추정은
Figure pct00005
과 같이 획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Ai는 샘플링된 영역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6
는 샘플링된 영역의 면적을 나타낸다. 최대 우도 추정
Figure pct00007
은 영역 A의 노드 밀도 λ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간격 거리 계산 유닛(406)은 시스템 성능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 간의 간격 거리를 추가로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대 네트워크 용량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간격 거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함수 K 및 함수 L을 계산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조사 노드 세트를 커버하는 영역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사 노드들에 대해 사각형 커버리지 영역 A가 발견되고, 영역 A의 변 길이는 D라고 가정된다. 영역 A내의 기지국 BS들은 밀도가 λBS인 PPP 모델 ΦBS로서 모델링된다.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dUE들은 밀도가 λd인 PPP 모델 Φd로서 모델링되고, 여기서 Ud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의 수를 나타낸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mUE들은 밀도가 λm인 PPP 모델 Φm으로서 모델링되고, 여기서 Um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수를 나타낸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sUE들은 밀도가 λs인 PPP 모델 Φs로서 모델링되고 mUE를 중심으로 하고 Rm을 반경으로 하는 원형으로 분포되며, 여기서 Us는 원형 내에 분포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수를 나타내기 때문에, 전체 영역 내의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밀도는
Figure pct00008
이다. 따라서, 다음 수학식이 다음과 같이 획득된다.
Figure pct00009
(1)
특히, λs는 λUE로서 근화화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다음과 같은 수학식이 획득된다:
Figure pct00010
(2)
또한,
Figure pct00011
라고 가정하면, Ud가 영역 A에서 밀도가 λd인 푸아송 포인트 분포와 일치하거나,
Figure pct00012
가 등가적으로 획득된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것은 푸아송 분포의 표준 공식이며, 여기서 분포 i!는 i의 계승을 나타내고, 분자의 첫번째 항목,
Figure pct00013
은 e를 베이스로서 취한 지수 함수를 나타내고, 지수는 대괄호 안의
Figure pct00014
이고, 분자의 두번째 항목은
Figure pct00015
에 대한 i의 거듭제곱이다. 마찬가지로,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가 획득된다. 푸아송 분포의 특성으로 인해, Ud +m이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의 수와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수의 합계를 나타내는 경우,
Figure pct00018
가 획득되며, 여기서 λBS와 λUE는 예를 들어, 최대 우도 추정 방법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시스템에서 총 서브 채널의 수는 M이고, 서브 채널은 2개 부분으로 분할된다고 가정되며, 여기서 MB 서브 채널들은 기지국 BS과 접속하여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Mm 서브 채널들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의 송신에 사용되며, M=MB+Mm이 획득된다.
이 경우, 기지국 BS이 하나의 서브 채널을 점유할 확률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mUE가 하나의 서브 채널을 점유할 확률은 각각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9
(4)
Figure pct00020
(5)
또한, 커버리지 밀도는
Figure pct00021
로서 정의되고, 이것은 임의의 사용자 장비가 임계치 T보다 높은 타겟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획득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된다.
Figure pct00022
라고 가정되며, 여기서 P는 송신 전력을 나타내고, 랜덤 변수 h는 1/μ의 평균값을 갖는 지수 분포와 일치하는 페이딩을 기술하고, r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α는 경로 손실 인자이다. 또한,
Figure pct00023
는 받은 간섭을 나타내고, 여기서 랜덤 변수 gi는 간섭 경로의 페이딩을 기술하고, Ri는 간섭 소스로부터 타겟 노드까지의 경로 길이를 나타내고, Φ는 모든 기지국들의 세트를 나타내고, {BS0}는 타겟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BS0에 의해 구성되는 한 세트를 나타내고, 심볼 '\'는 세트 간의 차이 연산(difference operation)을 나타내며,
Figure pct00024
는 Φ의 모든 멤버의 세트가 아닌 {BS0}의 멤버를 나타낸다.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의 역할을 하는 것 간의 거리와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의 역할을 하는 것 간의 거리를 r이라고 가정하면, 확률 분포 함수(pdf)는
Figure pct00025
이고, 따라서 다음 수학식이 구해진다:
Figure pct00026
(6)
여기서,
Figure pct00027
는 라플라스 변환이고, 수학식 (5)는 Stoyan D, Kendall W S, Mecke J. Stochastic geometry and its applications, 1995 [J]. Akademie-verlag, Berlin(이하, 참고 문헌 1이라고 함)를 참조하여 해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커버리지 밀도
Figure pct00028
가 계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범위에서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평균 레이트(또는 섀넌(Shannon) 용량)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29
(7)
유사하게, 수학식 (6)은 참조 문헌 1을 참조하여 해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평균 레이트
Figure pct00030
가 계산될 수 있다.
시스템 용량은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장비의 평균 레이트 Φj의 합계이다. 각 유형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평균 레이트 Φj는 총 용량에 대한 평균 레이트의 가중치 인자, θ와, 이러한 타입의 사용자 장비의 액티브 노드들에 의해 획득되는 평균 레이트
Figure pct00031
의 곱의 합계이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사용자 장비의 액티브 노드들에 의해 획득되는 평균 레이트는 Φj로 사용자 장비에 대해 이용 가능한 대역폭 min(i, Mj), 커버리지 밀도
Figure pct00032
, 액티브 사용자 장비의 수 P(Uj=i) 및 각 사용자의 평균 레이트 τ(λjj)의 곱으로 표현되며, 이것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ct00033
(8)
구체적으로, θj는 총 용량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평균 레이트의 가중치 인자를 나타내며, 이것은 시스템 총 용량에 대한 이러한 유형의 사용자 장비의 평균 레이트의 비율을 나타내며,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신호를 중계하는데, 즉, 중복 송신이다. 시스템 용량에 중복성이 포함되어 있으면, θj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유효 신호만이 고려되는 경우, 중복 신호 송신은 제거되어야 하며, θd+m은 1로 설정될 수 있으며 θs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규화된 비율값은 2개의 링크의 실제 트래픽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2)를 조건으로 하면, 수학식 (8)을 풀어서 최대값 Cmax을 구한 경우에, λm는 영역 A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분포의 필요한 최대 밀도
Figure pct00034
가 된다. 이 경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현재 간격 거리는
Figure pct00035
(9)라고 구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주어진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간격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균일하게 분포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경우 거리 간격의 계산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5에서, BS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용량을 고려하는 것 이외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영역 A는 여러 개의 작은 그리드(예를 들어, 도면에 나타낸 N=9)로 동일하게 나눌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각 그리드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그 관련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간의 최대 거리가 d이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동일한 송신 전력 P를 채택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참조(일반성없이, 그리드 그룹의 중심 위치에 가까운 그리드 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5의 BS0)로서 취한다고 가정하고, BS0의 커버리지 에지상의 임의의 포인트(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UE0)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은
Figure pct00036
의 방법으로 계산되며, 여기서
Figure pct00037
이고, Ri는 BSi로부터 UE0까지의 거리이다. SINR이 소정의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N의 값이 최대값에 도달하도록 보장함으로써,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간격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408)은 장치(4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에 따라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선택을 위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대한 양호한 신호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간섭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서 자원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에 소정 거리를 유지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도 고려해야 한다. 양호한 신호 커버리지는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여 기반구조가 양호한 품질을 갖는 링크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사이에 유지되어야 하는 간격 거리와 관련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를 결정된 간격 거리보다 크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는 분포 상태가 클러스터인지 또는 레귤러인지에 기초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일례로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408)이 상기 3가지의 인자에 기초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408)은 우선 기지국과 같은 기반구조에 대해 영역 A내의 모든 사용자 장비 각각의 SNR(Signal-to-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및 SNDR(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 Ratio)을 계산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추가 처리되는 CQI를 계산하고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간의 채널 품질을 반영하고, 사용자 장비의 노드 리스트 S를 채널 품질값의 내림차 순으로 획득한다.
분포 상태가 클러스터인 경우, 리스트 S 내의 사용자 장비는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체크될 수 있다. 먼저, 제1의 널이 아닌 노드 n1이 선택된다. 원은 노드 n1를 중심으로 하고 간격 거리의 절반을 반경으로 하여 그려진다. 원 내에 속하고 리스트 S에 속하는 노드들은 노드 n1의 후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세트로서 새로운 노드 세트 Sn1를 형성할 수 있다. 세트 Sn1의 노드 n1와 노드들을 리스트 S로부터 제거하여 새로운 리스트 S1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리스트 S1의 노드들이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체크된다. 상기 노드와 상기 선택된 노드 n1 사이의 거리가 간격 거리보다 작지 않은 제1 노드는 n2로서 선택된다. 원은 노드 n2를 중심으로 하고 간격 거리의 절반을 반경으로 하여 그려진다. 원 내에 속하고 리스트 S1에 속하는 노드들은 노드 n2의 후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세트로서 새로운 노드 세트 Sn2를 형성할 수 있다. 세트 Sn2의 노드 n2와 노드들을 리스트 S1으로부터 제거하여 새로운 리스트 S2를 획득한다. 마찬가지로, 리스트 Si -1의 노드들은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체크된다. 상기 노드와 상기 선택된 노드 nj 사이의 거리가 간격 거리보다 작지 않은 제1 노드는 ni로서 선택되고, 여기서 j<i이다. 원은 노드 ni를 중심으로 하고 간격 거리의 절반을 반경으로 하여 그려진다. 원 내에 속하고 리스트 Si -1에 속하는 노드들은 노드 ni의 후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세트로서 새로운 노드 세트 Sni를 형성할 수 있다. 세트 Sni의 노드 ni와 노드들을 리스트 Si -1로부터 제거하여 새로운 리스트 Si를 획득하는 등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노드가 선택될 수 없거나 노드 리스트가 널이 될 때까지 계속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분포 상태가 레귤러인 경우, 타겟 영역은 간격 거리의 변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 영역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하위 영역에서, 하나의 노드만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되고, 다른 노드들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후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세트를 형성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근접성 중심성의 파라미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최소 근접성 중심값을 갖는 노드, 즉 사각형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노드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 ni로서 선택되고, 다른 노드들은 후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대응하는 세트 Sni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주어진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상술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다른 방식을 상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들도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노드 분포 상태가 클러스터인 사용자 장비를 랭킹할 경우,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와 기반구조 사이의 채널 품질 대신에 그것의 근접성 중심성에 기초하여 랭킹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한 후에,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구조를 더 결정하기 위해,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이외의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각각에 의해 서비스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및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의 결정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600)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602),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604),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606),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608), 판단 유닛(610) 및 재구성 지시 유닛(612)을 포함할 수 있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6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604)의 기능적 구성은 각각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의 기능적 구성과 동일하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과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사항은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606),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608), 판단 유닛(610) 및 재구성 지시 유닛(612)의 기능 구성예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606)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각각에 대하여, 장치(6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내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중계 능력에 기초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 제공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선택 우선순위,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요구사항,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중계 능력,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위치 관계 등과 같은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선택 우선순위는, 예를 들어, 일부 선택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소정 또는 소정 그룹의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전용으로 제공하는 경우, 이 또는 이들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 제공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중계 능력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성능,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및 처리 능력과 전원 내구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요구사항 및 지리적 분포도 고려되어야 하며, 이들 인자들 모두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제공할 수 있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수의 상위 경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중계 능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먼저 단위 시간에 데이터 중계 레이트 v를 결정하고, 레이트 v에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이용 가능한 지속 시간을 곱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중계 능력, 즉 전체 데이터 중계 능력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용 가능한 지속 시간은 예를 들어,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전원 지속 시간의 최소값,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장소에 머물러 있는 체류 시간, 사용자가 장비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등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는 서빙 시간에 의존한다.
상기 인자들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가능한 예시적인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606)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604)에 의해 결정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ni 및 그 후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세트 Sni에 대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세트 Sni의 사용자 장비의 선택 우선순위와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부터 그리고 기반구조로부터 획득하는 서비스 품질 간의 차이(예를 들어, SNR들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세트 Sni내의 사용자 장비를 랭킹할 수 있고, 세트 Sni의 사용자 장비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로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요구사항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 ni의 중계 능력을 달성하거나 또는 세트 Sni의 모든 사용자 장비가 선택될 때까지 선택을 종료한다. 또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선택할 때, 사용자 장비의 능력이 또한 고려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가 선택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사용자 장비 간의 명시적인 통신 목적에 대한 요구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선택은 사용자 장비의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608)은 장치(6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에서 선택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선택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를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서비스를 획득하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 제공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및 나머지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가 결정된 후에, 그에 따라 타겟 영역의 네트워크 계획이 결정된다.
판단 유닛(610)은 장치(600)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동적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달성되는 예측된 최대 네트워크 용량을 현재의 네트워크 용량과 비교하여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달성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 유닛(610)은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 계획이 달성할 수 있는 예측된 최대 네트워크 용량과 현재 네트워크 용량을 비교한다. 위의 2개의 네트워크 용량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네트워크 계획이 네트워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네트워크 계획이 수행되기 전후에 네트워크 용량의 변화가 현저하지 않다면, 네트워크 계획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재구성 지시 유닛(612)은 동적 네트워크 계획에 관련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재구성 명령을 송신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현재의 네트워크 접속을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구성 지시 유닛(612)은, 판단 유닛(610)에 의해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마스터 사용자 장비,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 제공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에게,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수반하여, 이들 네트워크 노드들에게 결정된 네트워크 계획에 기초하여 그들의 현재의 네트워크 접속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들의 기능 구성예들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 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예를 변경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 실시예에서 기능 모듈을 추가, 삭제 또는 조합할 수 있으며, 이들 변경 모두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예에서, 현재 네트워크 구조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자원과 같은 비용이 고려되지 않는다면, 판단 유닛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단 네트워크 계획이 결정되면, 재구성 지시 유닛은 네트워크 노드들에게 네트워크 계획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처리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처리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700)은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7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704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702에서, 방법(700)이 수행되는 영역에서의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트리거링된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한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이 만료된 것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타이머, 네트워크 성능 저하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요구사항 충족 실패, 열악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구조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704에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가 타겟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크다. 간격 거리는 특정 시스템 성능 요구사항(예를 들어, 최대 시스템 용량을 달성하거나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연관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및 결정된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최적화된 네트워크 용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방법(700)은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자원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간격 거리의 결정이 도 8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처리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800)은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802, 간격 거리 계산 단계 S804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806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8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806에서의 프로세스는 각각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7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704에서의 프로세스와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사항을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간격 거리 계산 단계 S804에서의 처리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간격 거리 계산 단계 S804에서, 타겟 영역 내의 각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전력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성능 파라미터 정보가 획득될 수 있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간격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정된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각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중계되는 신호에 대한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신호 수신 품질을 갖는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중계되는 신호에 대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의 신호 수신 품질은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신호 수신 품질보다 높아야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900)은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902, 분포 상태 추정 단계 S904, 간격 거리 계산 단계 S906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908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902, 간격 거리 계산 단계 S906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908에서의 프로세스는 각각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802, 간격 거리 계산 단계 S804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806에서의 프로세스와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사항을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분포 상태 추정 단계 S904에서의 처리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분포 상태 추정 단계 S904에서,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영역에서의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추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 영역 전체 내의 미리 결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 영역에 대하여, 원형 영역의 노드 분포 밀도가 영역 전체의 노드 분포 밀도보다 높으면,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는 미리 결정된 반경에 대해 클러스터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는 레귤러로서 추정된다. 바람직하게, 미리 결정된 반경은 사용자 장비 사이의 유효 송신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결정된 후에, 간격 거리 계산 단계 S906에서 결정된 분포 상태에 기초하여 간격 거리가 추가로 계산될 수 있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908에서 결정된 분포 상태에 기초하여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추가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처리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1000)은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1002,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1004,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1006,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 S1008, 판단 단계 S1010 및 재구성 지시 단계 S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S1002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1004의 프로세스는 각각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및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의 프로세스와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사항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1006,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1008, 판단 단계 S1010 및 재구성 지시 단계 S1012에서의 프로세스들만이 상세히 설명된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선택되면,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S1006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각각에 대해,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 제공될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중계 능력 및 방법(1000)이 수행되는 영역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 S1008에서, 타겟 영역 내의 선택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선택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서비스를 획득하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로서 결정될 수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 그것의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및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가 결정되면, 타겟 영역에서의 네트워크 계획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판단 단계 S1010에서, 영역 내의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결정된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동적 네트워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예측된 최대 네트워크 용량과 현재의 네트워크 용량을 비교함으로써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활성화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 단계 S1010에서,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 계획(결정된 간격 거리, 그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및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달성될 수있는 예측된 최대 네트워크 용량은 현재의 작업 용량과 비교된다. 예측된 최대 네트워크 용량과 현재의 네트워크 용량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이는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네트워크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 계획 전후에 네트워크 용량의 편차가 크지 않은 경우, 이는 네트워크 계획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재구성 지시 단계 S1012에서,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에 관련된 네트워크 노드에 재구성 명령이 전송되어 네트워크 노드가 현재 네트워크 접속을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의 처리 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상기 실시예를 변경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 실시예에서의 단계들을 추가, 삭제 또는 조합할 수 있으며, 이들 변경 모두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된 장치의 실시예에 대응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방법의 실시예들에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은 내용들은 장치의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반복하여 기술되지 않는다.
게다가, 전자 디바이스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배치되고,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방법이 수행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함- ; 및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포함한다.
메모리 매체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제공된다. 메모리 매체는 정보 처리 장치상에서 실행될 때,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방법이 수행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함- ; 및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제품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제공된다. 프로그램 제품은 정보 처리 장치상에서 실행될 때,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방법이 수행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함- ; 및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에서의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응하는 방법들을 달성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은 내용은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기계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상기 프로그램 제품을 보유하는 저장 매체도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포함된다. 저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광학적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저장 카드, 메모리 로드(memory rod)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전술한 일련의 프로세스들 및 장치들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용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컴퓨터,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범용 개인용 컴퓨터(1100)에 설치되며, 이 컴퓨터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서, 중앙 처리 유닛(CPU)(1101)은 판독 전용 메모리(ROM)(1102)에 저장되거나 또는 저장부(1108)로부터 CPU(1101)가 각종 프로세스들을 실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또한 저장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03)에 로드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CPU(1101), ROM(1102) 및 RAM(1103)은 버스(1104)를 통해 서로 접속되며, 이 버스(1104)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05)도 접속된다.
이하의 컴포넌트들: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1106);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출력부(1107);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저장부(110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예를 들어, LAN 카드, 모뎀 등을 포함하는 통신부(1109)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05)에 접속된다. 통신부(1109)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통신 처리를 수행한다.
드라이브(1110)는 또한 필요에 따라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105)에 접속된다. 착탈가능 매체(1111),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은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1110)에 설치되어, 그로부터 페치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저장부(1108)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된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 경우에,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인터넷 등, 또는 저장 매체, 예를 들면, 착탈가능 매체(1111) 등으로부터 설치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러한 저장 매체가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와는 별개로 배포되는 도 11에 도시된 착탈가능 매체(1111)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착탈가능 매체(1111)의 예는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등록 상표)를 포함함), 광 디스크(컴팩트 디스크-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및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미니 디스크(MD)(등록 상표)를 포함함) 및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장치와 함께 사용자에게 배포되는, ROM(1102), 저장부(1108)에 포함된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물론 상기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수정을 고안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자연스럽게 속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유닛에 포함되는 다수의 기능들은 분리된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유닛에 의해 구현되는 다수의 기능은 각각 분리된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들 중 하나는 다수의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흐름도에 기술된 단계들은 만성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순차적인 순으로 수행되는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되지만 반드시 만성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또한, 만성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에서도, 순서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로서,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유닛 -상기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상기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함- ;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큼-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전력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성능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간격 거리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간격 거리 계산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각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중계되는 신호에 대한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신호 수신 품질을 갖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연관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자원을 재사용하고, 상기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상기 기지국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최적화된 네트워크 용량을 실현할 수 있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여, 상기 동적 네트워크 계획에 수반되는 네트워크 노드에 재구성 명령을 전송하여, 현재 네트워크 접속을 변경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재구성 지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분포 상태 추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 거리 계산 유닛은 또한 상기 분포 상태에 따라 상기 간격 거리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은 또한 상기 분포 상태에 따라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전체 내에 미리 결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 영역에 대하여, 상기 원형 영역의 노드 분포 밀도가 상기 영역 전체의 노드 분포 밀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분포 상태 추정 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반경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클러스터(Cluster)인 것으로 추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분포 상태 추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레귤러(Regular)인 것으로 추정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반경은 상기 사용자 장비 간의 유효 전송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각각에 대해, 상기 영역 내의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및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중계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공될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유닛; 및
    상기 영역내의 상기 선택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선택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획득하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간격 거리에 기초한 상기 동적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달성되는 예측된 최대 네트워크 용량과 현재 네트워크 용량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활성화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만료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타이머, 네트워크 성능 저하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요구사항 충족 실패, 열악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구조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으로서,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영역에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는 동적 네트워크 계획 트리거링 단계 -상기 동적 네트워크 계획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상기 D2D 통신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과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함- ;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비 간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서 선택하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거리는 간격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전력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성능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간의 간격 거리를 계산하는 간격 거리 계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는 각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중계되는 신호에 대한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신호 수신 품질을 갖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연관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자원을 재사용하고, 상기 간격 거리에 기초하여 분포되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하나 이상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최적화된 네트워크 용량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 장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 내의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를 추정하는 분포 상태 추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 거리 계산 단계에서, 상기 간격 거리는 또한 상기 분포 상태에 따라 계산되고,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에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는 또한 상기 분포 상태에 따라 선택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 상태 추정 단계에서, 상기 영역 전체 내에 미리 결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 영역에 대하여, 상기 원형 영역의 노드 분포 밀도가 상기 영역 전체의 노드 분포 밀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미리 결정된 반경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클러스터(Cluster)인 것으로 추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분포 상태가 레귤러(Regular)인 것으로 추정하는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각각에 대해, 상기 영역 내의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의 위치 및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중계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비스 제공될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를 결정하는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선택 단계; 및
    상기 영역 내의 상기 선택된 마스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선택된 슬레이브 사용자 장비 이외의 사용자 장비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획득하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로서 결정하는 다이렉트 사용자 장비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에서의 상기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간격 거리에 기초한 상기 동적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달성되는 예측된 최대 네트워크 용량과 현재 네트워크 용량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활성화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트리거 이벤트는 만료된 동적 네트워크 계획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타이머, 네트워크 성능 저하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요구사항 충족 실패, 열악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네트워크 성능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구조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01282A 2014-06-19 2015-06-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및 방법 KR201700184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76993.5A CN105338534B (zh) 2014-06-19 2014-06-19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CN201410276993.5 2014-06-19
PCT/CN2015/081553 WO2015192766A1 (zh) 2014-06-19 2015-06-16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445A true KR20170018445A (ko) 2017-02-17

Family

ID=5493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282A KR20170018445A (ko) 2014-06-19 2015-06-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555320B2 (ko)
EP (1) EP3160209A4 (ko)
KR (1) KR20170018445A (ko)
CN (1) CN105338534B (ko)
WO (1) WO20151927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983B1 (ko) * 2019-03-28 2020-01-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어드밴스드 동적 시간분할다중접속 장치 및 그 네트워크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750B1 (ko) * 2016-10-21 2017-09-28 국방과학연구소 애드혹 망의 VoIP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입자 계획 및 SIP 처리 통합 운용 방법
US10420104B2 (en) * 2016-12-20 2019-09-17 Google Llc Carrier aggregation on combined user equipment
US10469348B2 (en) * 2016-12-29 2019-11-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Centrality-based caching in information-centric networks
CN109660946A (zh) * 2017-10-09 2019-04-19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US10616751B1 (en) * 2018-02-17 2020-04-07 EMC IP Holding Company LLC Ad-hoc mobile computing
CN113016218A (zh) * 2019-01-04 2021-06-22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方法及设备
CN111988789B (zh) * 2020-08-26 2022-11-11 长安大学 一种无线网络节点部署优化方法、系统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32617B (zh) * 2006-08-24 2010-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点对点对等通信的方法和系统
CN1996920A (zh) * 2006-11-29 2007-07-11 北京邮电大学 基于协同机理的新型无线通信组网方法
EP2342932B1 (en) * 2008-10-29 2023-04-12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164425A (zh) 2011-05-11 2011-08-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mtc设备管理方法、系统及mtc设备
CN102958066B (zh) * 2011-08-31 2017-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D2d终端通信方法和设备
WO2013165291A1 (en) * 2012-05-04 2013-11-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d2d discovery
US20140321355A1 (en) * 2013-04-30 2014-10-30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Relay us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the infrastructure-based communication system
TWI612839B (zh) * 2013-08-09 2018-01-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使用者設備及其裝置對裝置通訊選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983B1 (ko) * 2019-03-28 2020-01-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어드밴스드 동적 시간분할다중접속 장치 및 그 네트워크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0209A4 (en) 2018-02-14
WO2015192766A1 (zh) 2015-12-23
US10555320B2 (en) 2020-02-04
US10887892B2 (en) 2021-01-05
CN105338534A (zh) 2016-02-17
US20170202001A1 (en) 2017-07-13
US20200112967A1 (en) 2020-04-09
CN105338534B (zh) 2020-07-31
EP3160209A1 (en)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892B2 (e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662961B2 (ja) 非セルラーワイヤレスアクセス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6018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network resources utilizing bearer information
JP5674890B2 (ja) 多重無線技術による干渉及び輻輳検出のための方法
US20170188381A1 (en) Method and radio network node for scheduling of wireless devices in a cellular network
KR102077831B1 (ko)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JP6466475B2 (ja) ユーザ装置スケジューリ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US113953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radio access network
EP3726922A1 (en) Predictive bearer assignment for wireless networks
CN103763777A (zh) 一种异构网络的控制方法及基站
US10849143B2 (en) Machine learning (ML) based client behavior prediction for multi-user (MU) scheduler optimization
CN111194564A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82265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selecting and adjusting energy detection thresholds (edts) in uncoordinated radio nodes deploying listen before talk to improve throughput on shared spectrum
CN103650354A (zh) 用于反应性的小区间干扰协调的设备和方法
WO201415950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ad balancing and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networks using frank-wolfe algorithm
Song et al. Semi-persistent scheduling scheme for low-latency and high-reliability transmissions in private 5g networks
EP4120578A1 (en) Beam optimization based on signal measurements in neighboring cells
US20240129877A1 (en) Soft preamble framework for message 1 transmission
WO2024028096A1 (en) Offloading plan enabled exchange between network nodes
WO2023136833A1 (en) Group machine learning (ml) models across a radio access network
CN116724517A (zh) 减少干扰和优化参数
CN113016218A (zh) 无线通信方法及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