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325A - 유리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325A
KR20170018325A KR1020167034409A KR20167034409A KR20170018325A KR 20170018325 A KR20170018325 A KR 20170018325A KR 1020167034409 A KR1020167034409 A KR 1020167034409A KR 20167034409 A KR20167034409 A KR 20167034409A KR 20170018325 A KR20170018325 A KR 20170018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article
face
compressive stress
depth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442B1 (ko
Inventor
키요타카 키노시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9/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mechanica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끝면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유리 물품을 제공한다. 유리 물품(10)은 주면(10a, 10b)에 압축 응력층을 갖는 유리 물품이다. 유리 물품(10)의 끝면(10c)은 외측을 향해서 돌출한 곡면형상의 곡면부(10c1)를 갖는다. 유리 물품(10)에서는 하기 식(1)
D≥c(6.637(t/R)+1.123)………(1)
이 충족된다. 식(1)에 있어서,
t(㎜) : 유리 물품(10)의 두께,
R(㎜) : 곡면부(10c1)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
c(㎛) : 끝면(10c)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
D(㎛) : 끝면(10c)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층의 평균 깊이이다.

Description

유리 물품 및 그 제조 방법{GLASS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유리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폰 정보단말 등의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 부재로서 유리판이 사용되어 있다. 휴대폰 정보단말 등의 커버 부재로서 사용되는 유리판에는 끝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도 파손되기 어려운 것, 즉 끝면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이를 감안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유리판의 끝면을 폴리머로 덮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표 2012-52739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은 폴리머가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며, 유리판 자체의 끝면의 내충격성을 향상할 수는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리판의 끝면에 폴리머 코팅을 실시하는 방법은 폴리머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원료가 필요해지며, 유리판의 끝면에 수지 원료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유리판을 사용한 제품의 제조 효율이 저하되거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끝면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유리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은 주면에 압축 응력층을 갖는 유리 물품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끝면은 외측을 향해서 돌출한 곡면형상의 곡면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에서는 하기 식(1)
D≥c(6.637(t/R)+1.123)………(1)
이 충촉된다.
식(1)에 있어서,
t(㎜) : 유리 물품의 두께,
R(㎜) : 곡면부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
c(㎛) :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
D(㎛) : 끝면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층의 평균 깊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에 있어서, 하기 식(2)
D≤c(6.637(t/R)+4.122)………(2)
이 더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리 물품의 끝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내충격성뿐만 아니라 유리 물품의 주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내충격성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에 있어서, 하기 식(3)
0.571≤R/t≤2.857………(3)
이 더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리 물품의 주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내충격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은 판형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두께(t)는 0.1㎜~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끝면 전체가 곡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물품의 끝면에 외측을 향해서 돌출한 곡면형상의 곡면부를 형성한다. 곡면부가 형성된 유리 물품과 강화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유리 물품을 화학 강화하는 강화 공정을 행한다. 강화 공정에 있어서의 강화액의 농도, 강화액과 유리 물품을 접촉시키는 시간, 및 강화액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유리 물품의 두께, 곡면부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 및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에 따라 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하기 식(1)
D≥c(6.637(t/R)+1.123)………(1)
이 충족되도록 강화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1)에 있어서,
t(㎜) : 유리 물품의 두께,
R(㎜) : 곡면부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
c(㎛) :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
D(㎛) : 끝면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층의 평균 깊이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끝면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유리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변형예에 의한 유리 물품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샘플 1의 끝면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샘플 7의 끝면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샘플 13의 끝면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샘플 19의 끝면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끝면의 내충격성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샘플 1~6의 활주 거리(L)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샘플 7~12의 활주 거리(L)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샘플 13~18의 활주 거리(L)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샘플 19~24의 활주 거리(L)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t/R와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한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형태는 단순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유리 물품(10)은 제 1 주면(10a)과, 제 2 주면(10b)과, 끝면(10c)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주면(10a)과, 제 2 주면(10b)은 평면이다. 끝면(10c)은 제 1 주면(10a)과, 제 2 주면(10b)을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물품(10)은 판형상이며, 상세하게는 평판형상이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 물품이 반드시 평판형상일 필요는 없다. 유리 물품은, 예를 들면 곡판형상, 관형상, 하우징형상 등이어도 좋다.
유리 물품(10)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3㎜~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리 물품(10)은 제 1 및 제 2 주면(10a, 10b) 각각에 압축 응력층(11, 12)을 갖는다. 압축 응력층(11, 12)은, 예를 들면 이온 교환법 등으로 화학 강화됨으로써 형성된 것이어도 좋고, 풍랭 강화에 의해 형성된 것 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응력층(11, 12)이 화학 강화에 의해 형성된 것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리 물품(10)의 끝면(10c)은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외측 방향(도 1의 화살표 A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돌출한 곡면형상의 곡면부(10c1)를 갖는다. 곡면부(10c1)는 끝면(10c)의 단면으로부터 볼 때의 최정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끝면(10c)의 일부가 곡면부(10c1)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끝면(10c)이 곡면부(10c1) 및 테이퍼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곡면부(10c1)는 각각 테이퍼부(10c2, 10c3)를 통해 제 1 및 제 2 주면(10a, 10b)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끝면(10c)의 전체가 곡면부(10c1)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주면(10a)과 제 2 주면(10b)이 곡면부(10c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곡면부(10c1)의 횡단면형상은 원호형상이어도 좋고, 타원호형상, 긴 원호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곡면부(10c1)는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의 곡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유리 물품(10)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리 물품(10)은 이하의 요령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조성으로서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미강화 유리 물품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를 50%~80%, Al2O3를 5%~35%, B2O3를 0~15%, Na2O를 1%~20%, K2O를 0%~10%, 및 MgO를 0%~10% 함유하는 유리가 되도록 유리 원료를 혼합 및 용융하고, 용융 유리를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이나 플로트법 등의 성형 방법에 의해 판형상으로 성형하여 미강화 유리 물품을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미강화 유리 물품의 끝면에 외측을 향해서 돌출한 곡면형상의 곡면부(10c1)를 형성한다. 곡면부(10c1)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강화 유리 물품의 끝면을 홈이 형성된 숫돌의 홈부에 압박하여 연삭 가공함으로써 곡면부(10c1)를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후에 곡면부가 형성된 미강화 유리 물품과 강화액을 접촉시킴으로써 미강화 유리 물품을 화학 강화한다(강화 공정). 이때, 형성되는 압축 응력층의 깊이 등이 이하에 설명하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미강화 유리 물품을 화학 강화함으로써 강화 유리 물품인 유리 물품(10)을 완성시킬 수 있다.
그런데, 강화 유리 물품에 있어서 끝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크랙으로부터 크랙이 진전되는 것에 기인하는 파손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는 마이크로 크랙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을 크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마이크로 크랙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을 크게 해 두면 끝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마이크로 크랙의 선단부에 인장 응력이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끝면의 내충격성을 향상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압축 응력 깊이(DOL)를 깊게 하여 마이크로 크랙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을 크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압축 응력 깊이(DOL)를 크게 할수록 끝면의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끝면 형상을 갖는 강화 유리 물품에 있어서는 압축 응력 깊이(DOL)를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크게 하면 끝면의 내충격성이 그다지 향상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소정의 역치를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예의 연구의 결과,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는 곡면부(10c1)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R)에 대한 유리 물품(10)의 두께(t)의 비(t/R)와 상관되는 것을 발견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실험예의 결과로부터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와, 곡면부(10c1)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R)에 대한 유리 물품(10)의 두께(t)의 비(t/R)는 하기 식(A)을 실질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을 발견했다.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c(6.637(t/R)+1.123)………(A)
단,
t(㎜) : 유리 물품의 두께,
R(㎜) : 곡면부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
c(㎛) :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
D(㎛) : 끝면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층의 평균 깊이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c)(㎛)의 측정은 끝면에 형성된 복수의 크랙 각각의 깊이를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에 의거하여 구한 99% 신뢰 구간에 있어서의 크랙의 최심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지견에 의거하여 강화 공정에 있어서의 강화액의 농도, 강화액과 유리 물품을 접촉시키는 시간, 및 강화액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유리 물품(10)의 두께(t), 곡면부(10c1)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 및 끝면(10c)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끝면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유리 물품(10)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해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자들은 상기 지견에 의거하여 하기 식(1)을 충족시키도록 함으로써 압축 응력 깊이(DOL)가 충분히 크며, 끝면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유리 물품(10)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해냈다.
D≥c(6.637(t/R)+1.123)………(1)
그런데, 강화 유리 물품의 주면의 내충격성은 압축 응력(CS)에 크게 좌우된다. 압축 응력(CS)이 클수록 강화 유리 물품의 주면의 내충격성은 향상된다. 이 점에서 강화 유리 물품의 주면의 내충격성과, 강화 유리 물품의 끝면의 내충격성 양쪽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압축 응력 깊이(DOL)와 압축 응력(CS) 양쪽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압축 응력 깊이(DOL)와 압축 응력(CS)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다. 압축 응력 깊이(DOL)를 크게 하면 압축 응력(CS)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압축 응력(CS)을 크게 하면 압축 응력 깊이(DOL)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압축 응력 깊이(DOL)와 압축 응력(CS) 양쪽을 크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점, 상기 식(1)을 충족시키는 범위에서 끝면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층의 평균 깊이(D)를 작게 하면 끝면에 있어서의 우수한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 압축 응력(CS)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끝면에 있어서의 우수한 내충격성과, 주면에 있어서의 우수한 내충격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끝면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층의 평균 깊이(D)를 작게 하기 위해서 강화 처리의 시간을 단축하는 등 하면 유리 물품(10)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관점으로부터는 유리 물품(10)이 하기 식(2)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물품(10)이 하기 식(1-1)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1-2)을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c(6.637(t/R)+4.122)………(2)
D≤c(6.637(t/R)+3.121)………(1-1)
D≤c(6.637(t/R)+2.120)………(1-2)
또한, 유리 물품(10)은 하기 식(3)을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하기 식(3-1)을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571≤R/t≤2.857………(3)
1.142≤R/t≤1.571………(3-1)
R/t가 지나치게 작으면 곡면부(10c1)의 선단부가 지나치게 첨예해져 곡면부(10c1)에 다른 물체가 충돌했을 때에 곡면부(10c1)의 선단에 큰 응력이 가해지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한편, R/t가 지나치게 크면 끝면(10c)과 주면(10a, 10b) 사이의 능선부가 지나치게 첨예해져 상기 능선부에 다른 물체가 충돌했을 때에 능선부에 큰 응력이 가해지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실험예)
우선, 하기 샘플 1~24를 제작했다. 샘플 1, 7, 13, 19의 끝면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 3~도 6에 나타낸다. 각 샘플은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를 66%, Al2O3를 14.2%, Na2O를 13.4%, K2O를 0.6%, Li2O를 0.1%, B2O3를 2.3%, MgO를 3.0%, 및 SnO2를 0.4% 함유한다.
[샘플 1~6]
치수 : 40㎜×22㎜×0.7㎜
끝면을 구성하고 있는 곡면부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 : 2㎜
끝면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 깊이(DOL) :
샘플 1 : 0㎛(미강화)
샘플 2 : 10㎛
샘플 3 : 20㎛
샘플 4 : 30㎛
샘플 5 : 40㎛
샘플 6 : 50㎛
[샘플 7~12]
치수 : 40㎜×22㎜×0.7㎜
끝면을 구성하고 있는 곡면부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 : 1.1㎜
끝면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 깊이(DOL) :
샘플 7 : 0㎛(미강화)
샘플 8 : 10㎛
샘플 9 : 20㎛
샘플 10 : 30㎛
샘플 11 : 40㎛
샘플 12 : 50㎛
[샘플 13~18]
치수 : 40㎜×22㎜×0.7㎜
끝면을 구성하고 있는 곡면부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 : 0.8㎜
끝면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 깊이(DOL) :
샘플 13 : 0㎛(미강화)
샘플 14 : 10㎛
샘플 15 : 20㎛
샘플 16 : 30㎛
샘플 17 : 40㎛
샘플 18 : 50㎛
[샘플 19~24]
치수 : 40㎜×22㎜×0.7㎜
끝면을 구성하고 있는 곡면부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 : 0.4㎜
끝면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 깊이(DOL) :
샘플 19 : 0㎛(미강화)
샘플 20 : 10㎛
샘플 21 : 20㎛
샘플 22 : 30㎛
샘플 23 : 40㎛
샘플 24 : 50㎛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c)(㎛)의 측정]
각 샘플에 대하여 5개의 단면을 노출시키고, 그 각 단면을 금속 현미경을 사용하여 500배로 확대하여 크랙을 관찰했다. 그 결과, 관찰된 크랙 수가 20개 이하인 경우에는 다른 단면을 노출시켜 마찬가지로 크랙을 관찰했다. 그리고, 크랙 수가 20개 이상인 5개의 단면에 있어서 관찰된 각 크랙의 깊이를 측정했다. 그리고, 가장 깊은 크랙의 깊이를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c)(㎛)으로 하여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각 끝면에 형성된 복수의 크랙 깊이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에 의거하여 구한 99% 신뢰 구획에 있어서 가장 깊은 크랙의 깊이를 최심값(c)(㎛)으로 하여 구했다. 그 결과, 샘플 1~24 전체에 있어서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c)(㎛)은 5.7㎛이었다.
[끝면의 내충격성의 평가]
도 7은 끝면의 내충격성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32° 경사진 경사면(30)의 하단부에 판면 방향이 경사면(30)과 평행해지도록 샘플(S)을 고정했다. 경사면(30)의 상방으로부터 선단부가 곡률 반경 2.5㎜의 반원통형상인 190g의 SUS제 헤드(31)를 경사면(30)을 따라 미끄러뜨려 샘플(S)이 파손되었을 때의 SUS제 헤드(31)의 활주 거리(L)를 구했다. 결과를 도 8~도 11에 나타낸다.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곡면부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R)(㎜)이 2.0㎜, 1.1㎜, 0.8㎜일 때의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를 결정했다.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또한,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는 어떤 샘플의 활주 거리가 그 샘플의 압축 응력 깊이보다 10㎛ 작은 압축 응력 깊이의 샘플의 활주 거리의 115% 이하일 때에 그 샘플의 압축 응력 깊이를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로 했다. 곡면부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R)(㎜)이 0.4㎜인 샘플 19~24에서는 그러한 샘플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를 결정할 수 없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R과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는 대략 1차 상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근사 직선(L1)은 하기 식(4)으로 나타내어졌다.
임계 압축 응력 깊이(DOL)=5.7×(6.637(t/R)+1.123)………(4)
10 : 유리 물품 10a : 제 1 주면
10a, 10b : 제 2 주면 10a : 제 2 주면
10c : 끝면 10c1 : 곡면부
10c2, 10c3 : 테이퍼부 11, 12 : 압축 응력층

Claims (7)

  1. 주면에 압축 응력층을 갖는 유리 물품으로서,
    상기 유리 물품의 끝면은 외측을 향해서 돌출한 곡면형상의 곡면부를 가지며,
    t(㎜) : 상기 유리 물품의 두께,
    R(㎜) : 상기 곡면부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
    c(㎛) : 상기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
    D(㎛) : 상기 끝면에 있어서의 상기 압축 응력층의 평균 깊이
    로 했을 때에 하기 식(1)이 충족되는 유리 물품.
    D≥c(6.637(t/R)+1.123)………(1)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2)이 더 충족되는 유리 물품.
    D≤c(6.637(t/R)+4.122)………(2)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식(3)이 더 충족되는 유리 물품.
    0.571≤R/t≤2.857………(3)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물품이 판형상이며,
    두께(t)가 0.1㎜~5㎜의 범위 내에 있는 유리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끝면 전체가 상기 곡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유리 물품.
  6. 유리 물품의 끝면에 외측을 향해서 돌출한 곡면형상의 곡면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곡면부가 형성된 유리 물품과 강화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유리 물품을 화학 강화하는 강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강화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강화액의 농도, 상기 강화액과 상기 유리 물품을 접촉시키는 시간, 및 상기 강화액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유리 물품의 두께, 상기 곡면부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 및 상기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에 따라 조정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t(㎜) : 상기 유리 물품의 두께,
    R(㎜) : 상기 곡면부의 정상부의 곡률 반경,
    c(㎛) : 상기 끝면에 있어서의 크랙 깊이의 최심값,
    D(㎛) : 상기 끝면에 있어서의 상기 압축 응력층의 평균 깊이
    로 했을 때에 하기 식(1)이 충족되도록 강화 공정을 행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D≥c(6.637(t/R)+1.123)………(1)
KR1020167034409A 2014-06-17 2015-06-03 유리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0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3945A JP6347160B2 (ja) 2014-06-17 2014-06-17 ガラス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4-123945 2014-06-17
PCT/JP2015/066075 WO2015194379A1 (ja) 2014-06-17 2015-06-03 ガラス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325A true KR20170018325A (ko) 2017-02-17
KR102270442B1 KR102270442B1 (ko) 2021-06-29

Family

ID=5493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409A KR102270442B1 (ko) 2014-06-17 2015-06-03 유리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47160B2 (ko)
KR (1) KR102270442B1 (ko)
CN (1) CN106458732B (ko)
WO (1) WO2015194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1829A (zh) * 2016-08-03 2016-12-14 南昌欧菲光学技术有限公司 电子产品、玻璃外壳及其制造设备和方法
EP4056429A1 (en) 2017-09-13 2022-09-14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with improved impact performanc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20210089693A (ko) * 2018-11-09 2021-07-1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고분자 코팅을 갖는 플렉서블한 유리 커버
WO2021076432A1 (en) * 2019-10-14 2021-04-22 Corning Incorporated Foldable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EP4276082A1 (en) * 2021-01-06 2023-11-15 Agc Inc. Glass sheet, display device, and glass sheet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086A (ja) * 2007-12-18 2009-07-30 Hoya Corp 携帯端末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12527399A (ja) 2009-05-21 2012-11-0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機械的耐久性エッジを有する薄型基材
JP2014001123A (ja) * 2012-05-25 2014-01-09 Asahi Glass Co Ltd 化学強化ガラス板、カバーガラス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4097928A (ja) * 2007-08-03 2014-05-2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強化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717U (ko) * 1971-05-24 1973-01-08
JP5616907B2 (ja) * 2009-03-02 2014-10-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のガラスカバーを強化する技術
AU2011212982B9 (en) * 2010-02-02 2014-10-02 Apple Inc. Enhanced chemical strengthening glass of cover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895591B1 (ko) * 2010-12-27 2018-09-05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전자기기용 커버 유리의 유리기판, 휴대형 전자기기용 화상표시장치, 휴대형 전자기기, 및 휴대형 전자기기용 커버 유리의 유리기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7928A (ja) * 2007-08-03 2014-05-2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強化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67086A (ja) * 2007-12-18 2009-07-30 Hoya Corp 携帯端末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12527399A (ja) 2009-05-21 2012-11-0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機械的耐久性エッジを有する薄型基材
JP2014001123A (ja) * 2012-05-25 2014-01-09 Asahi Glass Co Ltd 化学強化ガラス板、カバーガラス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03158A (ja) 2016-01-12
WO2015194379A1 (ja) 2015-12-23
KR102270442B1 (ko) 2021-06-29
CN106458732A (zh) 2017-02-22
CN106458732B (zh) 2019-06-11
JP6347160B2 (ja)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8325A (ko) 유리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2092B1 (ko) 유리에서 응력 프로파일을 달성하는 방법
KR102360979B1 (ko) 붕소 및 인을 함유하는 이온 교환 유리
US10737971B2 (en) Ion exchangeable glass article for three-dimensional forming
CN106604901B (zh) 具有非易碎的应力特性的玻璃
JP6725416B2 (ja) 損傷抵抗性の高いイオン交換可能なガラス
KR101314095B1 (ko)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및 화학강화유리
EP3802451B1 (en) Fracture resistant stress profiles in glasses
KR102302718B1 (ko) 엔지니어링된 응력 프로파일을 갖는 코팅된 유리계 제품
KR20210073544A (ko) 강화 유리 및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KR20200023304A (ko) 화학 강화 유리, 그의 제조 방법 및 화학 강화용 유리
JP2013536155A (ja) ガラスを強化する二段階法
JP2021525209A (ja) 落下性能が改善されたガラス
CN108779025B (zh) 化学强化玻璃
EP2985267A1 (en) Outdoor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plate
US20190161401A1 (en) Method of increasing iox processability on glass articles with multiple thicknesses
TW201600475A (zh) 強化玻璃板及其製造方法
US11465936B2 (en) Glass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200138764A (ko) 높은 파괴 인성을 갖는 유리
CN116209644A (zh) 强化玻璃
TW202334047A (zh) 可熔合形成的高斷裂韌性玻璃
KR20220063191A (ko) 내파단성 유리-계 물품
KR20230109166A (ko) 개선된 인성, 표면 응력 및 내파괴성을 갖는 이온 교환 가능한 유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