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905A - 조작 보조 리세스를 구비한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 - Google Patents

조작 보조 리세스를 구비한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905A
KR20170017905A KR1020167034114A KR20167034114A KR20170017905A KR 20170017905 A KR20170017905 A KR 20170017905A KR 1020167034114 A KR1020167034114 A KR 1020167034114A KR 20167034114 A KR20167034114 A KR 20167034114A KR 20170017905 A KR20170017905 A KR 20170017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vessel
inlet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986B1 (ko
Inventor
리카르도 제이 트레소
바트 카터
스콧 아이크호프
알레잔드로 라마스
제이슨 데이비드슨
크레이그 잭
마크 에이. 페트리치
스콧 맥피터스
안토니 플람미노
댄 엘리엇
제프 존슨
Original Assignee
알엠비 프로덕츠,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엠비 프로덕츠,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알엠비 프로덕츠,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1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4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loosely interengaged by integral complementary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3/00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28Progressively advancing of work assembly station or assembled portion of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원에 개시된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200)는 내부에 저장된 유체(214)의 상-변화로부터 용기를 보호하는 다양한 특징을 포함한다. 그 결과, 용기는 사이에 개재된 어떠한 가요성 멤브레인이나 백 없이도 유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유체 용기는 용기를 물리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정합된 리세스(206) 쌍과, 리세스들 사이로 연장하는 보강 리브(207)와, 용기로의 유체 입구, 용기로부터의 유체 출구, 및 용기의 압력 평형용 통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작 보조 리세스를 구비한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PHASE-CHANGE ACCOMMODATING RIGID FLUID CONTAINER WITH MANIPULATING ASSISTING RECESS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입구/출구가 조합된 동결/해동 유체 용기"라는 명칭으로 2014년 6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010,681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 출원은 그 개시 내용 또는 교시 내용 전체가 본원에 구체적으로 인용되어 있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경질 유체 용기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질 용기와 연질 용기를 모두 포함하여, 종래의 유체 용기는 다양한 특징을 가진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제공되며, 그 중 일부는 용기 내에서의 유체 상-변화에 순응한다. 예컨대, 일부 유체(예컨대, 의료용 유체)는 연질 백에 저장되어 운반되는데, 이 연질 백은 유체가 동결되는 경우 유연성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유체를 오염시킬 수 있는 백의 물리적 천공에 대한 보호 기능이 약하다. 다른 유체는 경질 용기에 저장되어 운반되는데, 이 경질 용기는 물리적 천공으로부터 우수한 보호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유체가 동결 및 해동될 때 유체의 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파손될 수 있다. 또 다른 유체는 조합형 용기(예컨대, 경질 용기 내부의 가요성 백)에 저장되는데, 이 조합형 용기는 각 유형의 용기의 장점 중 일부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규정된 양의 유체를 위해 여분의 저장 용기가 추가로 필요하다.
종래의 경질, 연질 및 조합형 유체 용기는 각각 용기에 대한 외부 위협과 유체 상-변화로부터 용기를 포괄적으로 보호하면서, 동결/해동 저항, 천공 저항 및, 예컨대, 보호되고 사용하기 쉬운 입구/출구 조립체를 포함한 용기의 물리적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의 조합이 결여되어 있다.
본원에 기술되고 청구된 구현예는 유체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며, 상기 유체 용기는, 각각의 리세스가 용기의 대향 측면들에 배향되어 있으며 용기를 물리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의 2개 이상의 정합된 리세스 쌍; 및 용기 본체의 리세스들 중 2개의 리세스 사이로 각각 연장하는 2개 이상의 보강 리브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되고 청구된 구현예는 유체 용기의 사용 방법을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며, 상기 유체 용기의 사용 방법은, 각각의 리세스가 용기의 대향 측면들에 배향되어 있는 용기 본체의 2개 이상의 정합된 리세스 쌍을 조작 하드웨어와 각각 인터페이싱하는 단계; 및 리세스로부터 용기를 현수하는 단계(suspending)를 포함하며, 용기 본체의 리세스들 중 2개의 리세스 사이로 2개 이상의 보강 리브가 각각 연장한다.
본원에는 다른 구현예들도 기술되고 열거되어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A-A 단면에서 취한 도 2의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예시적인 입구/출구 조립체의 세부 사시도이다.
도 5는 B-B 단면에서 취한 도 4의 예시적인 입구/출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입구/출구 조립체를 위한 예시적인 잠금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입구/출구 조립체에 설치된 예시적인 잠금 기구의 세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를 위한 예시적인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에 사용된 예시적인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충전 배향(fill orientation)의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배출 배향(discharge orientation)의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C-C 단면에서 취한 도 12의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크기의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들의 적층 가능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를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100)(대안적으로, "상-변화 유체 용기" 또는 "용기")의 사시도이다. 용기(100)는 내부에 저장된 유체(미도시)의 상-변화로부터 용기(100)를 보호하는 본원에 상세하게 기술된 다양한 특징을 포함한다. 그 결과, 용기(100)는 사이에 개재된 어떠한 가요성 멤브레인이나 백 없이도 유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용기(100)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박스로 도시된 본체(101)를 포함하지만,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다른 용적-포위(volume-enclosing)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용기(100)는 임의의 크기(예컨대, 2리터 내지 200리터)일 수 있고, 임의의 유체(예컨대, 의료용 또는 의약용 유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0)는 임의의 적당한 제조 공정(예컨대, 성형(회전 성형,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취입 성형), 용접 등)을 사용하여 임의의 적당한 재료(예컨대, 다양한 플라스틱(폴리에틸렌), 금속 또는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0)는 내부에 저장된 유체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을 받지 않을 때 규정된 형상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경질이다. 경질 용기(100)는 유체의 상-변화에 순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예컨대, 유체가 동결될 때 용기가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100)는 일회용(즉, 1회만 충전 및 배출됨), 다중 사용(즉, 충전 및 배출이 반복됨), 유체의 단기 저장 및/또는 장기 저장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100)는 일반적으로 외부 길이(122), 외부 높이(124) 및 외부 폭(126)과, 비교적 일정한 벽체 두께(미도시)를 갖는 것으로 규정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용기(100)의 고응력 영역이 더 큰 강도를 위해 더 두꺼운 벽체를 갖고 용기(100)의 저응력 영역이 더 큰 유연성 및 비용/중량 절감을 위해 더 얇은 벽체를 갖도록, 벽체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원하는 동결/해동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용기(100)는 4에서 10까지 다양한 길이/폭 및 높이/폭 종횡비를 갖는다. 용기(100)의 비교적 높은 종횡비 치수 특징은 용기(100)의 폭에 의해 대부분 형성되는 외면에서 내부의 유체가 비교적 신속하게 동결될 수 있도록 한다. 용기(100)의 내부에서, 동결될 유체의 마지막 부분은 용기(100)를 손상시키거나 현저히 변형시키지 않고 일부 헤드 스페이스를 대체하면서 상방으로 가압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기(100)는 유체 동결에 의해 유도되는 일종의 응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로 설계됨과 아울러(예컨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보강 리브 참조), 용기(100) 내에서의 유체 동결에 의해 유도되는 응력에 순응하도록 약간의 만곡을 허용할 수 있다.
용기(100)는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100)를 충전하고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한 쌍의 입구/출구 조립체(102, 104)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입구/출구 조립체(102, 104)는 대기와의 유체 소통을 제공하고, 용기(100)에 대해 유체가 추가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용기(100) 내의 유체가 용기(100) 내에 압력을 축적하지 않고 동결 및 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구(vent)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입구/출구 조립체(102, 104)는 충전되거나 배출되는 유체 스트림 또는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통기 가스 스트림을 통해 오염 물질이 용기(100)로 유입되거나 용기(100)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및/또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또한, 입구/출구 조립체(102, 104)는 용기(100)를 조작하는 동안 또는 용기(100)에 근접한 장비 또는 다른 물체를 조작하는 동안 충격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본체(101) 내에 매립되어 있다(도 2의 리세스(216, 218) 참조). 입구/출구 조립체(102, 104)를 매립하면, 용기(100)가 받는 충격이 입구/출구 조립체(102, 104) 자체보다는 본체(101)에 의해 흡수될 가능성이 커진다.
용기(100)는 각각 입구/출구 조립체(102, 104)와 함께 사용되는 한 쌍의 홈통(136, 138)을 또한 포함한다. 예컨대, 입구/출구 조립체(104)가 용기(100)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용기(100)의 하부에 홈통(138)이 배향되도록 용기(100)가 회전될 수 있다(도 11 참조). 중력은 유체를 홈통(138) 측으로 가압하고, 홈통(138)은 용기(1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지점으로 유체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며, 이 지점에서는 회수할 수 없는 최소량의 폐 유체를 남기고 최대량의 유체를 용기(100)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입구/출구 조립체(104)에 의해 스트로우(미도시, 도 4 참조)가 사용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회수할 수 없는 나머지 폐 유체는 용기(100)의 총 용적의 0.1% 미만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회수할 수 없는 나머지 폐 유체는 용기(100)의 총 용적의 약 0.06% 미만이다.
용기(100)는 본체(101)에 조작 리세스들(예컨대, 리세스(106))의 어레이를 또한 포함한다. 입구/출구 조립체(102, 104)를 제외하고, 용기(100)가 대기로부터 밀봉되도록, 각 리세스의 내부는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용기(100)는 리세스를 통해 물리적으로 고정되고 조작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들 중 2개 이상의 리세스 내로 핀 또는 로드(미도시)가 연장할 수 있으며, 핀 또는 로드를 일제히 또는 서로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용기(100)가 이동하거나 조작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스트랩을 일제히 또는 서로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용기(100)가 이동하거나 조작될 수 있도록 하는 리세스들 중 1개 이상의 리세스 내로 스트랩(미도시)이 연장할 수 있다. 8개의 원통형 리세스가 용기(100) 내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리세스는 용기(100)의 의도된 이동 또는 조작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형상 또는 개수일 수 있다. 또한, 리세스는 용이한 제조를 위해 용기(100)의 폭을 통해 테이퍼질 수 있다. 또한, 리세스는 개별 리세스를 둘러싸는 카운터 싱크(countersink) 또는 카운터 보어(counterbore)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카운터 싱크 또는 카운터 보어는 리세스에서 국소적인 강도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핀, 로드 또는 스트랩이 용기(100)와 인터페이싱하게 될 때 핀, 로드 또는 스트랩을 리세스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주변 본체(101) 내에 하드웨어를 고정하는 대응하는 핀, 로드 또는 스트랩을 매립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리세스는 용기 본체(101)를 통해 완전히 연장하지 않는다. 그 결과, 용기 본체(101)의 각 측면으로부터 리세스 내로 대응하는 핀을 가압함으로써 리세스를 조작하기 위해, 리세스가 사용된다. 용기 본체(101)를 통해 완전히 연장하거나 연장하지 않을 수 있는 리세스를 본원에서 리프팅 포인트(lifting point)라고 총칭한다.
또한, 용기(100)는 용기(100)의 측벽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보강 리브(예컨대, 리브(107))를 포함한다. 보강 리브는 (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본체(101)에 대해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거나 주변 본체(101)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는, 용기(100)의 본체(101)에 형성된 채널이다. 또한, 보강 리브는 리세스에 접근하기는 하지만, 리세스의 구조적 완전성을 보존하고 일부 제조 공정에서 재료의 두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임의의 급격한 전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리세스들을 연결하기 직전에 멈춘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보강 리브가 리세스들을 연결함으로써, 리프팅 포인트로서 사용될 때 리세스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리세스에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 리브를 사용하면, 리세스에서 국소적인 강도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동결/해동(또는 상-변화) 배향의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200)의 정면도이다. 용기(200)는 유체 라인(210) 아래에 존재하는 유체(214)의 상-변화로부터 용기(200)를 보호하는 본원에 상세하게 기술된 다양한 특징을 포함한다. 헤드 스페이스(212)는 유체 라인(210) 위에 존재한다. 용기(200)를 도시된 바와 같이 동결/해동 배향으로 배향시킴으로써, 한 쌍의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가 각각 헤드 스페이스(212) 내에 존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체(214)의 동결 팽창 및 해동 수축으로 인한 손상을 받지 않는다. 용기(200)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박스로 도시된 본체(201)를 포함하지만, 본원에 기술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다른 용적-포위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일 수 있다.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 쌍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200)를 충전하고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는 대기와의 유체 소통을 제공하고, 용기(200)에 대해 유체가 추가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용기(200) 내의 유체(214)가 용기(200) 내에 압력을 축적하지 않고 동결 및 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용기(200)는 용기(200)를 조작하는 동안 또는 용기(200)에 근접한 장비 또는 다른 물체를 조작하는 동안 충격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본체(201) 내로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를 매립하는 입구/출구 리세스(216, 218)를 추가로 포함한다.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를 매립하면, 용기(200)가 받는 충격이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 자체보다는 본체(201)에 의해 흡수될 가능성이 커진다.
용기(200)는 각각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와 함께 사용되는 한 쌍의 홈통(236, 238)을 또한 포함한다. 예컨대, 입구/출구 조립체(204)가 용기(200)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용기(200)의 하부에 홈통(238)이 배향되도록 용기(200)가 회전될 수 있다(도 11 참조). 중력은 유체를 홈통(238) 측으로 가압하고, 홈통(238)은 용기(2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지점으로 유체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며, 이 지점에서는 회수할 수 없는 최소량의 폐 유체를 남기고 최대량의 유체를 용기(200)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입구/출구 조립체(204)에 의해 스트로우(미도시, 도 4 참조)가 사용된다.
용기(200)는 본체(201)에 조작 리세스들(예컨대, 리세스(206))의 어레이를 또한 포함한다.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를 제외하고, 용기(200)가 대기로부터 밀봉되도록, 각 리세스의 내부는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용기(200)는 리세스를 통해 물리적으로 고정되고 조작될 수 있다.
8개의 원통형 리세스가 용기(200)에 도시되어 있지만, 리세스는 용기(200)의 의도된 이동 또는 조작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형상 또는 개수일 수 있다. 또한, 리세스는 개별 리세스를 둘러싸는 카운터 싱크 또는 카운터 보어(예를 들어, 카운터 싱크 또는 카운터보어(208))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 싱크 또는 카운터 보어는 리세스에서 국소적인 강도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조작 하드웨어가 용기(200)와 인터페이싱하게 될 때 조작 하드웨어를 리세스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카운터 싱크 또는 카운터 보어는 주변 본체(201) 내에 조작 하드웨어의 일부분을 매립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각각의 리세스에 카운터 싱크를 사용하는 구현예에서, 카운터 싱크는 리세스에서 부정확하게 지향될 수 있는 조작 하드웨어와의 정렬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즉, 셀프-센터링 기능).
또한, 각각의 리세스는 용기(200)의 중심을 향해 리세스를 좁히는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206)는 카운터 싱크(208)를 갖는다. 카운터 싱크(208)의 베이스에서, 리세스(206)는 리세스 직경(232)을 갖는다. 리세스(206)는 리세스 직경(234)으로 리세스(206)를 동심원적으로 좁히는 다른 경사각을 갖고, 이 경사각으로 인해 리세스 직경(234)은 리세스 직경(232)보다 작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1°에서 10°까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리세스 직경(234)은 용기(200)의 전체 폭의 중심에 존재할 수 있고, 경사각은 용기(200)의 각 측면으로부터 경상(mirror image)으로 리세스 직경(232)으로부터 리세스 직경(234)으로 리세스 직경을 좁힌다(도 2에는 용기(200)의 오직 1개의 측면만 도시되어 있음). 다른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용기(200)의 전체 폭을 통해 연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세스 직경(232, 234)은 용기 본체(201)의 대향 면들에 존재하게 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용기(200)를 제조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리세스는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리세스는 용기 본체(201)를 통해 완전히 연장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용기 본체(201) 내의 카운터 보어 또는 카운터 싱크이다.
또한, 용기(200)는 용기(200)의 측벽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보강 리브(예컨대, 리브(207))를 포함한다. 보강 리브는 (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본체(201)에 대해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거나 주변 본체(201)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는, 용기(200)의 본체(201)에 형성된 채널이다. 또한, 보강 리브는 리세스에 접근하기는 하지만, 리세스의 구조적 완전성을 보존하고 일부 제조 공정에서 재료의 두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임의의 급격한 전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리세스들을 연결하기 직전에 멈춘다. 또한, 보강 리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출구 리세스(216, 218)를 추가로 보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보강 리브가 리세스들을 연결함으로써, 리프팅 포인트로서 사용될 때 리세스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리세스에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 리브를 사용하면, 리세스에서 국소적인 강도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보강 리브는 주변 본체(201)로의 보다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는 플레어(flared) 단부(예컨대, 플레어 단부(228))를 포함한다. 그 결과, 플레어 단부는 본체(201) 내에서의 응력 집중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렇지 않았더라면, 보다 급격한 전이로 인해 용기(200)를 제조할 때 발생하였을 재료의 국소적인 박막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보강 리브는 플레어 단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용기(200)는 유체 레벨(210) 아래에 존재하는 유체(214)로 대부분 충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유체 레벨(210) 위에는 작은 헤드 스페이스(212)가 존재한다. 용기(200)는 임의의 유체를 저장할 수 있지만, 용기(200)는 고상과 액상 간의 상-변화가 가능하거나 예상되는 압력 및 온도 조건 하에서 유체를 저장하도록 특별히 구성되어 있다. 유체(214)는 용적 기준으로 최대 100%의 충전 상태까지 용기(200)의 임의의 백분율을 충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액상 유체가 고상으로 변할 때(즉, 유체(214)가 동결될 때) 팽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체(214)는 액상으로 최대 100%의 충전 상태까지 용기(200)를 충전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상-변화 과정 중에 입구/출구 조립체(202, 204)를 잠재적으로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체(214)는 입구/출구 리세스(216, 218)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점유하는 레벨까지 용기(200)를 충전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유체(214)로 충전되지 않고 남아 있는 용기(200)의 백분율을 헤드 스페이스(212)라 지칭한다. 예컨대, 용기(200)는 90%의 액체 물 또는 수용액(즉, 물을 주요 용매로서 함유한 용액)과 10%의 대기 또는 기타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헤드 스페이스(212)의 일부분은 용기(200) 내에서 유체(214)가 동결 및 해동하는 동안뿐만 아니라 충전 및 배출하는 동안에도 조정될 수 있다.
도 3은 A-A 단면에서 취한 도 2의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200)(여기서는, 용기(300))의 단면도이다. 용기(300)는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상-변화로부터 용기(300)를 보호하는 본원에 상세하게 기술된 다양한 특징을 포함한다. 용기(300)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박스로 도시된 본체(301)를 포함하지만, 본원에 기술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다른 용적-포위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일 수 있다.
용기(300)는 본체(301)에 리세스(303, 305, 306, 309)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리세스들은 정합된 쌍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리세스(303, 305)들은 용기(300)의 대향 측면들에 있는 정합된 리세스 쌍이다. 마찬가지로, 리세스(306, 309)들은 용기(300)의 대향 측면들에 있는 정합된 리세스 쌍이다. 입구/출구 포트(예컨대, 입구/출구 포트(320))를 제외하고, 용기(300)가 대기로부터 밀봉되도록, 각 리세스의 내부는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용기(300)는 리세스를 통해 물리적으로 고정되고 조작될 수 있다.
A-A 단면은 용기(300)의 4개의 예시적인 원통형 리세스를 도시하지만, 리세스는 용기(300)의 의도된 이동 또는 조작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형상 또는 개수일 수 있다. 또한, 리세스는 개별 리세스를 둘러싸는 카운터 싱크(예컨대, 카운터 싱크(308))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카운터 싱크(30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거나 오목한 배향으로 직선형이거나 곡선형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도시된 곡선형 카운터 싱크 대신 카운터 보어가 포함될 수 있다.
카운터 싱크는 리세스에서 국소적인 강도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조작 하드웨어가 용기(300)와 인터페이싱하게 될 때 조작 하드웨어를 리세스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주변 본체(301) 내에 조작 하드웨어의 일부분을 매립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카운터 싱크는 리세스에서 부정확하게 지향될 수 있는 조작 하드웨어와의 정렬을 돕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즉, 셀프-센터링 기능).
또한, 각각의 리세스는 용기의 중심을 향해 리세스를 좁히는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306)는 카운터 싱크(308)를 갖는다. 카운터 싱크(308)의 베이스에서, 리세스(306)는 리세스 직경(332)을 갖는다. 리세스(306)는 리세스 직경(334)으로 리세스(306)를 동심원적으로 좁히는 다른 경사각을 갖고, 이 경사각으로 인해 리세스 직경(334)은 리세스 직경(332)보다 작다. 리세스 직경(334)은 용기(300)의 전체 폭의 중심에 존재하고, 경사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0)의 각 측면으로부터 경상으로 리세스 직경(332)으로부터 리세스 직경(334)으로 리세스 직경을 좁힌다. 다른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용기(300)의 전체 폭을 통해 연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세스 직경(332, 334)은 용기 본체(301)의 대향 면들에 존재하게 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용기(300)를 제조하는데 도움이 된다.
리세스는 용기 본체(301)를 통해 완전히 연장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베이스 구조(예컨대, 베이스 구조(333))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베이스 구조는 정합된 리세스 쌍들 사이에서 공유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각의 리세스는 대향하는 리세스의 베이스 구조와 구별되는 고유의 베이스 구조를 갖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리세스는 용기 본체(301)를 통해 완전히 연장됨으로써, 용기 본체(301)를 통해 정합된 리세스 쌍들을 연결시킨다.
도 4는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400)의 예시적인 입구/출구 조립체(402)의 세부 사시도이다. 용기(400)는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상-변화로부터 용기(400)를 보호하는 본원에 상세하게 기술된 다양한 특징을 포함한다. 용기(400)는 본원에 기술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임의의 용적-포위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일 수 있는 본체(401)를 포함한다.
입구/출구 조립체(402)는 용기(400)를 충전하고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유사한 제2 입구/출구 조립체(미도시)가 용기(4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입구/출구 조립체(402)는 대기와의 유체 소통을 제공하고, 용기(400)에 대해 유체가 추가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용기(400) 내의 유체가 용기(400) 내에 압력을 축적하지 않고(즉, 용기(400)와 대기압 간의 압력 평형) 동결 및 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입구/출구 조립체(402)는 입구/출구 포트(420)를 포함하며, 이 입구/출구 포트를 통해 스트로우(440)가 홈통(436)의 하부에 인접한 지점까지 연장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유사한 제2 홈통(미도시)이 용기(4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입구/출구 조립체(402)가 용기(400)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용기(400)의 하부에 홈통(436)이 배향되도록 용기(400)가 회전될 수 있다(도 11 참조). 중력은 유체를 홈통(436) 측으로 가압하고, 홈통(436)은 용기(4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지점으로 유체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며, 이 지점에서는 회수할 수 없는 최소량의 폐 유체를 남기고 최대량의 유체를 용기(400)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입구/출구 조립체(402)에 의해 스트로우(440)가 사용된다.
스트로우(440)는 입구/출구 포트(420)로부터 연장되어 미늘(barb)(미도시, 예컨대, 도 5의 미늘(552) 참조)로 종료된다. 캡(442)은 용기(400)에 대해 스트로우(440)를 고정하고, 스트로우(440)를 입구/출구 포트(420)에 대해 밀봉한다. 캡(442)은 원하는 구현예에 따라 나합되거나 압입될 수 있다. 또한, 캡(442)은 입구/출구 포트(420) 및/또는 스트로우(44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튜브(444)는 미늘에 부착되며, 입구/출구 포트(420)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튜브(444)는 입구/출구 포트(420)에 대한 접근을 입구/출구 포트(420)로부터 멀어져 각각 종료되는 2개의 개별 튜브 섹션으로 분할하는 y자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튜브(444)는 용기(400)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 실리콘,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튜브(444)는 도시된 y자 구조를 갖지 않고, 단지 입구/출구 포트(420)로부터 멀리 위치된 단일의 단부로 종료된다.
튜브(444)의 원위 단부들은 각각 용기(400)로부터 유체를 인출하도록 의도된 장비와 인터페이싱하는 커넥터(예컨대, 무균 커넥터(446))로 각각 봉쇄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커넥터는 용기(400)로부터 유체가 부주의하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지 튜브(444) 상의 제거 가능한 캡일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는, 용기(400)의 내부에서 유체의 상(및 용적)이 변화할 때 대기 및/또는 유체 증기가 용기(400)에 대해 유입 및 유출할 수 있도록, 기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용기(400)는 용기(400)를 조작하는 동안 또는 용기(400)에 근접한 장비 또는 다른 물체를 조작하는 동안 충격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본체(401) 내로 입구/출구 조립체(402)를 매립하는 입구/출구 리세스(416)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유사한 제2 입구/출구 리세스(미도시)가 용기(4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입구/출구 조립체(402)를 매립하면, 용기(400)가 받는 충격이 입구/출구 조립체(402) 자체보다는 본체(401)에 의해 흡수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용기(400)는 용기(400)의 측벽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보강 리브(예컨대, 리브(407))를 포함한다. 보강 리브는 (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본체(401)에 대해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거나 주변 본체(401)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는, 용기(400)의 본체(401)에 형성된 채널이다. 또한, 보강 리브는 리세스에 접근하기는 하지만, 리세스들을 연결하기 직전에 멈춘다. 또한, 보강 리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출구 리세스(416)를 추가로 보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보강 리브가 리세스들을 연결한다.
입구/출구 조립체(402)는 입구/출구 리세스(416) 내에 튜브(444)와 커넥터를 고정하는 클립(예컨대, 클립(450))을 포함하는 리테이너 브래킷(448)을 추가로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리테이너 브래킷(44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출구 리세스(416)에 인접하여 용기(400)의 대향 측면들에서 연장하는 보강 리브 상에 클립핑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구현예에서, 리테이너 브래킷(448)은 용기(400)의 본체(401)에 기계적으로 또는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입구/출구 조립체(402)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튜브(444)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클립이 리테이너 브래킷(448)에 고정되고 튜브(444)에 클립핑된다. 사용자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기(400)로부터 유체를 인출하거나 또는 유체를 용기(400)에 추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클립으로부터 튜브(444)를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리테이너 브래킷(448)과 관련 클립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구조이다.
클립들 중 일부는 시험 및/또는 전체 용기(400)의 내용물 검증 목적을 위해 용기(400) 내에 저장된 유체의 샘플(예컨대, 테일 게이트(tailgate) 샘플(441))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테일 게이트 샘플(441)은 용기(400) 내에 저장된 유체의 샘플을 저장하는 용기(400)로부터 분리된 폐쇄 용기이다. 테일 게이트 샘플(441)은 테일 게이트 샘플(441)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캡들 중 하나에 고정될 수 있는 샘플 포트(44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B-B 단면에서 취한 도 4의 예시적인 입구/출구 조립체(402)(여기서는, 입구/출구 조립체(502))의 단면도이다. 입구/출구 조립체(502)는 용기가 용기 내에 압력을 축적하지 않고 동결 및 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관련 용기(예컨대,도 4의 용기(400) 참조)를 충전, 배출 및/또는 통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입구/출구 조립체(502)는 입구/출구 포트(520)를 포함하며, 이 입구/출구 포트를 통해 스트로우(540)가 홈통(536)의 하부에 인접한 지점까지 연장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스트로우(540)의 단부가 홈통(536)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홈통(536)의 하부에서 스트로우(540)가 대략 90°선회한다. 이는 스트로우(540)를 통해 유체가 용기에 대해 추가되거나 제거될 때 홈통(536) 내에서 난류를 줄일 수 있다. 스트로우(540)는 입구/출구 포트(520)로부터 연장되어 미늘(552)로 종료된다. 캡(542)은 용기에 대해 스트로우(540)를 고정하고, 스트로우(540)를 입구/출구 포트(520)에 대해 밀봉한다. 튜브(544)는 미늘(552)에 부착되며, 입구/출구 포트(520)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튜브(544)의 원위 단부는 용기로부터 유체를 인출하도록 의도된 장비와 인터페이싱하는 커넥터(546)로 봉쇄된다.
입구/출구 조립체(502)는 튜브(544)와 커넥터(546)를 고정하는 클립(예컨대, 클립(550))을 포함하는 리테이너 브래킷(548)을 추가로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입구/출구 조립체(502)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튜브(544)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클립이 리테이너 브래킷(548)에 고정되고 튜브(544)에 클립핑된다. 클립들 중 일부는 시험 및/또는 검증 목적을 위해 용기 내에 저장된 유체의 샘플(예컨대, 테일 게이트 샘플(541))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미도시, 예컨대, 도 7의 용기(700) 참조)의 입구/출구 조립체(미도시, 예컨대, 도 7의 입구/출구 조립체(702) 참조)를 위한 예시적인 잠금 기구(654)의 사시도이다. 잠금 기구(654)는 캡(미도시, 예컨대, 도 7의 캡(742) 참조)과 함께 사용되어 캡을 고정함으로써, 캡이 부주의하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압력 및 온도의 변화, 유체의 상-변화, 또는 기계적인 힘으로 인해, 부주의하게 느슨해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잠금 기구(654)는 해당 용기의 공인되지 않은 변조의 증거를 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잠금 기구(654)는 패각 구조의 2개의 반부(halves)(656, 658)를 포함하며, 관통구(660, 661, 662)들이 반부(656, 658)들을 함께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힌지(예컨대, 라이브 힌지, 미도시)가 2개의 반부(656, 658)들의 일측을 함께 고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반면, 관통구(660, 661, 662)들 중 하나 이상이 2개의 반부(656, 658)들의 타측을 함께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예컨대, 2개의 반부(656, 658)들을 함께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관통구(660, 661, 662)를 걸쇠(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관통구(660, 661, 662)를 통해 연장하는 걸쇠는 잠금 기구(654)에 의해 보호된 캡에 대한 임의의 공인되지 않은 접근을 드러내는 변조 방지 연결부 생성한다.
반부(656, 658)들은 캡을 둘러싸며 부분적으로 봉입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잠금 기구(654)가 캡에 설치될 때, 잠금 기구(654)에 대한 캡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캡으로부터의 돌기(미도시)가 잠금 기구(654)의 파형(scalloped) 또는 기타 윤곽의 내부 패턴(미도시)과 인터페이싱한다. 또한, 잠금 기구(654)는 잠금 기구(654)가 캡으로부터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 플랜지(668)를 포함한다. 또한, 잠금 기구(654)는 인접한 유체 용기 표면과 결합하여(예를 들어,도 7의 유체 용기(700) 참조) 유체 용기에 대한 잠금 기구(654)(및 캡)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계적 스톱(670, 672)을 포함한다.
도 7은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700)의 입구/출구 조립체(702)에 설치된 예시적인 잠금 기구(754)의 세부 사시도이다. 용기(700)는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상-변화로부터 용기(700)를 보호하는 본원에 상세하게 기술된 다양한 특징을 포함한다. 용기(700)는 본원에 기술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임의의 용적-포위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일 수 있는 본체(701)를 포함한다.
입구/출구 조립체(702)는 용기(700)를 충전하고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유사한 제2 입구/출구 조립체(미도시)가 용기(7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입구/출구 조립체(702)는 대기와의 유체 소통을 제공하고, 용기(700)에 대해 유체가 추가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용기(700) 내의 유체가 용기(700) 내에 압력을 축적하지 않고 동결 및 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입구/출구 조립체(702)는 입구/출구 포트(미도시)를 포함하며, 이 입구/출구 포트를 통해 용기(700)에 대해 유체가 추가 및/또는 제거된다. 입구/출구 포트로부터 한 쌍의 튜브(744)가 연장하여 캡(742)을 통해 입구/출구 포트에 고정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입구/출구 포트로부터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된 2개의 튜브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튜브가 있을 수 있다. 캡(742)이 입구/출구 포트에 나합됨으로써, 용기(700)에 튜브(744)를 고정하고, 입구/출구 포트에 대해 튜브(744)를 밀봉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캡(742)은 잠금 기구(754)와 정합되어 선택적으로 인터페이싱하는 돌기(미도시)를 포함하며, 이 돌기는 잠금 기구(754)에 대한 캡(742)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기구(754)는 캡(742)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캡(742)의 주위에 걸린다. 잠금 기구(754)는 잠금 기구(754)가 캡(742)으로부터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 플랜지(미도시, 예컨대, 도 6의 후방 플랜지(668)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잠금 기구(754)는 인접한 본체(701)와 결합하여 유체 용기(700)에 대한 잠금 기구(754) 및 캡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계적 스톱(770, 772)을 포함한다.
튜브(744)의 원위 단부들은 각각 용기(700)로부터 유체를 인출하도록 의도된 장비와 인터페이싱하는 커넥터(예컨대, 무균 커넥터(746))로 각각 봉쇄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커넥터는 용기(700)로부터 유체가 부주의하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지 튜브(744) 상의 제거 가능한 캡이다. 또한, 커넥터는, 용기(700)의 내부에서 유체의 상(및 용적)이 변화할 때 대기 및/또는 유체 증기가 용기(700)에 대해 유입 및 유출할 수 있도록, 기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용기(700)는 용기(700)를 조작하는 동안 또는 용기(700)에 근접한 장비 또는 다른 물체를 조작하는 동안 충격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본체(701) 내로 입구/출구 조립체(702)를 매립하는 입구/출구 리세스(716)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유사한 제2 입구/출구 리세스(미도시)가 용기(7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용기(700)는 용기(700)의 측벽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보강 리브(예컨대, 리브(707))를 포함한다. 보강 리브는 (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본체(701)에 대해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거나 주변 본체(701)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는, 용기(700)의 본체(701)에 형성된 채널이다. 또한, 보강 리브는 입구/출구 리세스(716)를 추가로 보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미도시, 예컨대, 도 9의 용기(900) 참조)를 위한 예시적인 덮개(874)의 사시도이다. 덮개(874)는 보호될 용기의 부분과 정합하고, 용기의 하나 이상의 특징 위로 미끄러져 이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덮개(874)는 덮개(874)와 용기 사이에 미끄럼 끼워 맞춤을 허용하도록 용기의 외부 프로파일과 긴밀하게 정합하는 내부 프로파일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덮개(874)는 용기 위로 덮개(874)가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개구(예컨대, 도시된 덮개(874)의 저면도)를 갖는다. 덮개(874)는 덮개(874)가 용기 상의 제자리에 있을 때 용기의 리세스와 크기 및 위치가 대응하는 관통공(예컨대, 통공(806))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그 결과, 덮개(874)가 용기 상의 제자리에 있든지 없든지, 용기의 리세스는 여전히 접근 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덮개(874)는 덮개(874)를 제거하지 않고 보호된 용기의 특징(예컨대, 입구/출구 조립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패널(예컨대, 패널(876))을 포함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액세스 패널은 개방된 통공, 힌지식 도어, 미끄럼 끼워 맞춤 패널 등일 수 있다.
도 9는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900)에 사용된 예시적인 덮개(974)의 사시도이다. 덮개(974)는 용기(900)의 상부와 정합하고, 용기(900)의 상부 위로 미끄러져 용기의 하나 이상의 특징(예컨대, 도 1의 입구/출구 조립체(102, 104))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덮개(974)는 덮개(974)와 용기(900) 사이에 미끄럼 끼워 맞춤을 허용하도록 용기(900)의 외부 프로파일과 긴밀하게 정합하는 내부 프로파일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덮개(974)는 용기(900) 위로 덮개(974)가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개구(예컨대, 도시된 덮개(974)의 저면도)를 갖는다. 덮개(974)는 덮개(974)가 용기(900) 상의 제자리에 있을 때 용기(900)의 리세스와 크기 및 위치가 대응하는 관통공(예컨대, 통공(906))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그 결과, 덮개(974)가 용기(900) 상의 제자리에 있든지 없든지, 용기(900)의 리세스는 여전히 접근 가능하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덮개(974)와 용기(900)에 있는 통공들의 정합은 이들을 통해 보안 케이블 루프를 통과시킴으로써 덮개(974)와 용기(900)를 잠그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충전 배향의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1000)의 정면도이다. 용기(1000)는 유체 라인(1010) 아래에 존재하는 유체(1014)의 상-변화로부터 용기(1000)를 보호하는 본원에 상세하게 기술된 다양한 특징을 포함한다. 헤드 스페이스(1012)는 유체 라인(1010) 위에 존재한다.
충전 배향의 용기(1000)는 도 2의 용기(200)의 동결/해동 배향에 비해 시계 방향으로 10°회전된다. 입구/출구 조립체(1002)는 유체 입구로서 사용되고, 입구/출구 조립체(1004)는 통기구로서 사용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통기 입구/출구 조립체(여기서는, 입구/출구 조립체(1004))가 유체 라인(1010) 위에 남아있기만 하면, 충전 배향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 각도는 달라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충전 배향이 도 2의 용기(200)의 동결/해동 배향에 비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입구/출구 조립체(1002)는 통기구로서 사용되어 유체 라인(1010) 위에 남아있는 반면, 입구/출구 조립체(1004)는 유체 입구로서 사용된다.
유체(1014)는 화살표(107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출구 조립체(1002)를 통해 용기(1000)를 충전한다. 이로 인해, 유체 라인(1010)이 화살표(1080)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되고, 유체 증기가 화살표(108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출구 조립체(1004)를 통해 용기(1010)를 빠져나가게 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용기(1000)가 입구/출구 조립체(1002)를 통해 유체(1014)로 충전될 때, 유체 레벨(1010)은 상승하고 헤드 스페이스(1012)는 축소된다. 유체가 용기(1000)를 충전할 때 유체(1014)에 의해 대체되는 헤드 스페이스의 가스는 입구/출구 조립체(1004)를 통해 용기(1000)로부터 배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용기(1000) 내에서의 동결 팽창에 순응하기 위해, 유체(1014)는 용기(1000)를 완전히 충전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약간의 헤드 스페이스(1012)를 항상 남긴다.
도 11은 배출 배향의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1100)의 정면도이다. 용기(1100)는 유체 라인(1110) 아래에 존재하는 유체(1114)의 상-변화로부터 용기(1100)를 보호하는 본원에 상세하게 기술된 다양한 특징을 포함한다. 헤드 스페이스(1112)는 유체 라인(1110) 위에 존재한다.
배출 배향의 용기(1100)는 도 2의 용기(200)의 동결/해동 배향에 비해 시계 방향으로 100°회전된다. 입구/출구 조립체(1102)는 유체 출구로서 사용되고, 입구/출구 조립체(1104)는 통기구로서 사용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유체 출구 입구/출구 조립체(여기서는, 입구/출구 조립체(1102))가 용기(1100)의 하부 부근에 배향되어 있기만 하면, 배출 배향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 각도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용기(1100)의 유체 배출 홈통(1136)이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0)의 하부 또는 그 부근에 배향되었을 때, 용기(1100)로부터 최대량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배출 배향이 도 2의 용기(200)의 동결/해동 배향에 비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입구/출구 조립체(1102)는 통기구로서 사용되는 반면, 입구/출구 조립체(1104)는 유체 출구로서 사용된다.
유체(1114)는 화살표(117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출구 조립체(1102)를 통해 용기(1100)를 빠져나간다. 이로 인해, 유체 라인(1110)이 화살표(1180)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게 되고, 대기 또는 다른 가스가 화살표(118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출구 조립체(1104)를 통해 용기(1110)로 유입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용기(1100)로부터 입구/출구 조립체(1102)를 통해 유체(1114)로 배출될 때, 유체 레벨(1110)은 하강하고 헤드 스페이스(1112)는 축소된다. 유체가 용기(1100)로부터 배출될 때 입구/출구 조립체(1104)를 통해 용기(1100)로 유입된 대기 또는 다른 가스가 유체(1114)를 대체한다.
도 12는 동결/해동(또는 상-변화) 배향의 다른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1200)의 정면도이다. 용기(1200)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박스로 도시된 본체(1201)를 포함하지만, 본원에 기술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다른 용적-포위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일 수 있다. 용기(1200)는 용기(1200)를 조작하는 동안 또는 용기(1200)에 근접한 장비 또는 다른 물체를 조작하는 동안 충격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입구/출구 조립체(미도시)를 본체(1201) 내에 매립하는 입구/출구 리세스(1216, 1218)를 포함한다.
용기(1200)는 본체(1201)에 조작 리세스들(예컨대, 리세스(1206))의 어레이를 또한 포함한다. 입구/출구 조립체를 제외하고, 용기(1200)가 대기로부터 밀봉되도록, 각 리세스의 내부는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용기(1200)는 리세스를 통해 물리적으로 고정되고 조작될 수 있다.
8개의 원통형 리세스가 용기(1200)에 도시되어 있지만, 리세스는 용기(1200)의 의도된 이동 또는 조작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형상 또는 개수일 수 있다. 또한, 리세스는 개별 리세스를 둘러싸는 카운터 싱크 또는 카운터 보어(예컨대, 카운터 보어(1208))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 싱크 또는 카운터 보어는 리세스에서 국소적인 강도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조작 하드웨어가 용기(1200)와 인터페이싱하게 될 때 조작 하드웨어를 리세스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카운터 싱크 또는 카운터 보어는 주변 본체(1201) 내에 조작 하드웨어의 일부분을 매립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각각의 리세스에 카운터 싱크를 사용하는 구현예에서, 카운터 싱크는 리세스에서 부정확하게 지향될 수 있는 조작 하드웨어와의 정렬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즉, 셀프-센터링 기능).
또한, 각각의 리세스는 용기(1200)의 중심을 향해 리세스를 좁히는 하나 이상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1206)는 카운터 보어(1208)를 갖는다. 카운터 보어(1208)의 베이스에서, 리세스(1206)는 리세스 직경(1232)을 갖는다. 리세스(1206)는 리세스 직경(1234)으로 리세스(1206)를 동심원적으로 좁히는 다른 경사각을 갖고, 이 경사각으로 인해 리세스 직경(1234)은 리세스 직경(1232)보다 작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1°에서 10°까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리세스 직경(1234)은 용기(1200)의 전체 폭의 중심에 존재할 수 있고, 경사각은 용기(1200)의 각 측면으로부터 경상으로 리세스 직경(1232)으로부터 리세스 직경(1234)으로 리세스 직경을 좁힌다(도 12에는 용기(1200)의 오직 1개의 측면만 도시되어 있음). 다른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용기(1200)의 전체 폭을 통해 연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세스 직경(1232, 1234)은 용기 본체(1201)의 대향 면들에 존재하게 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용기(1200)를 제조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리세스는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리세스는 용기 본체(1201)를 통해 완전히 연장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용기 본체(1201) 내의 카운터 보어 또는 카운터 싱크이다.
또한, 용기(1200)는 용기(1200)의 측벽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보강 리브(예컨대, 리브(1207))를 포함한다. 보강 리브는 (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본체(1201)에 대해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거나 주변 본체(1201)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는, 용기(1200)의 본체(1201)에 형성된 채널이다. 보강 리브는 리세스들을 연결하며, 이는 리세스가 리프팅 포인트로서 사용될 때 리세스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리세스에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 리브를 사용하면, 리세스에서 국소적인 강도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보강 리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출구 리세스(1216, 1218)를 추가로 보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보강 리브는 리세스에 접근하기는 하지만, 리세스의 구조적 완전성을 보존하고 일부 제조 공정에서 재료의 두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임의의 급격한 전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리세스들을 연결하기 직전에 멈춘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보강 리브는 주변 본체(1201)와 연결된 리세스로의 보다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는 플레어 단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그 결과, 플레어 단부는 본체(1201) 내에서의 응력 집중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렇지 않았더라면, 보다 급격한 전이로 인해 용기(1200)를 제조할 때 발생하였을 재료의 국소적인 박막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C-C 단면에서 취한 도 12의 예시적인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1200)(여기서는, 용기(1300))의 단면도이다. 용기(1300)는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상-변화로부터 용기(1300)를 보호하는 본원에 상세하게 기술된 다양한 특징을 포함한다. 용기(1300)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박스로 도시된 본체(1301)를 포함하지만, 본원에 기술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 다른 용적-포위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일 수 있다.
용기(1300)는 본체(1301)에 리세스(1303, 1305, 1306, 1309)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리세스들은 정합된 쌍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리세스(1303, 1305)들은 용기(1300)의 대향 측면들에 있는 정합된 리세스 쌍이다. 마찬가지로, 리세스(1306, 1309)들은 용기(1300)의 대향 측면들에 있는 정합된 리세스 쌍이다. 입구/출구 포트(예컨대, 입구/출구 포트(1320))를 제외하고, 용기(1300)가 대기로부터 밀봉되도록, 각 리세스의 내부는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용기(1300)는 리세스를 통해 물리적으로 고정되고 조작될 수 있다.
C-C 단면은 용기(1300)의 4개의 예시적인 원통형 리세스를 도시하지만, 리세스는 용기(1300)의 의도된 이동 또는 조작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형상 또는 개수일 수 있다. 또한, 리세스는 개별 리세스를 둘러싸는 카운터 보어(예컨대, 카운터 보어(1308))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도시된 카운터 보어 대신 카운터 싱크가 포함될 수 있다.
카운터 보어는 리세스에서 국소적인 강도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조작 하드웨어가 용기(1300)와 인터페이싱하게 될 때 조작 하드웨어를 리세스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주변 본체(1301) 내에 조작 하드웨어의 일부분을 매립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카운터 보어는 리세스에서 부정확하게 지향될 수 있는 조작 하드웨어와의 정렬을 돕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즉, 셀프-센터링 기능).
또한, 각각의 리세스는 용기의 중심을 향해 리세스를 좁히는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1306)는 카운터 보어(1308)를 갖는다. 카운터 보어(1308)의 베이스에서, 리세스(1306)는 리세스 직경(1332)을 갖는다. 리세스(1306)는 리세스 직경(1334)으로 리세스(1306)를 동심원적으로 좁히는 다른 경사각을 갖고, 이 경사각으로 인해 리세스 직경(1334)은 리세스 직경(1332)보다 작다. 리세스 직경(1334)은 용기(1300)의 전체 폭의 중심에 존재하고, 경사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300)의 각 측면으로부터 경상으로 리세스 직경(1332)으로부터 리세스 직경(1334)으로 리세스 직경을 좁힌다. 다른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용기(1300)의 전체 폭을 통해 연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세스 직경(1332, 1334)은 용기 본체(1301)의 대향 면들에 존재하게 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경사각은 용기(1300)를 제조하는데 도움이 된다.
리세스는 용기 본체(1301)를 통해 완전히 연장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베이스 구조(예컨대, 베이스 구조(1333))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베이스 구조는 정합된 리세스 쌍들 사이에서 공유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각의 리세스는 대향하는 리세스의 베이스 구조와 구별되는 고유의 베이스 구조를 갖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리세스는 용기 본체(1301)를 통해 완전히 연장됨으로써, 용기 본체(1301)를 통해 정합된 리세스 쌍들을 연결시킨다.
도 14는 다양한 크기의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들의 적층 가능한 어레이(1400)의 사시도이다. 대형 용기(1480)(예컨대, 100리터 용기)는 4개의 소형 용기(1482, 1484, 1486, 1488)(예컨대, 4개의 20리터 용기)들의 전체 프로파일 치수와 실질적으로 정합하는 프로파일 치수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형 용기(1480)는 외부 길이(1422)와, 그 프로파일 치수를 규정하는 외부 높이(1424)를 갖는다. 소형 용기(1482, 1484, 1486, 1488)들은 각각 작은 프로파일 치수를 갖지만, 조합될 경우, 대형 용기(1480)의 프로파일 치수와 실질적으로 정합하는 프로파일 치수를 갖는다. 그 결과, 유사한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크기의 용기들이 서로 인접하여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대형 용기의 정합된 리세스 쌍(예컨대, 정합된 쌍(1490))들은 점선(149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용기의 정합된 리세스 쌍(예컨대, 정합된 쌍(1494))들과 정렬된다. 그 결과, 조작 하드웨어가 정렬되어 있는 정합된 리세스 쌍들을 통해 대형 용기 및 소형 용기와 결합하여 용기들의 어레이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물리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15는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를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1500)을 도시하고 있다. 충전 동작(1505)은 한 쌍의 입구/출구 조립체를 통해 유체로 용기를 충전한다. 입구/출구 조립체들 중 하나가 입구/출구 조립체들 중 다른 하나 위에 있는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 내에 위치되는 충전 배향으로 용기가 배향된다. 이는 헤드 스페이스 내의 입구/출구 조립체가 대기로의 통기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압에 대한 용기 내의 압력 평형을 유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기구는 용기 내로 도입된 유체에 의해 대체되는 가스를 위한 대기로의 출구를 제공한다. 다른 입구/출구 조립체는 용기 내로 유체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용기는 예상되는 동결 팽창 및 해동 수축에 순응하기 위해 최소 헤드 스페이스 용적을 유지하는 임의의 원하는 충전 상태로 충전된다.
잠금 동작(1510)은 입구/출구 조립체들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캡을 제자리에 잠근다. 잠금 동작(1510)은 캡을 부분적으로 봉입하는 잠금 기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잠금 기구에 대한 캡의 회전과 용기에 대한 잠금 기구의 회전을 방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잠금 기구는 입구/출구 조립체로부터 캡이 부주의하게 나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잠금 기구는 공인되지 않은 변조를 방지하거나, 입구/출구 조립체의 공인되지 않은 변조를 경고한다. 또한, 입구/출구 조립체로부터의 캡의 부주의하거나 인증되지 않은 나합 해제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잠금 동작(710)이 생략될 수 있다.
동결 동작(1515)은 용기 내에 저장된 유체를 동결시킨다. 동결 동작 중에는,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 내에 입구/출구 조립체들이 모두 배향되는 상-변화 배향으로 용기가 위치된다. 따라서, 유체의 어떠한 상-변화도, 상-변화로 인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입구/출구 조립체에 충격을 주지 않는다. 용기의 종횡비(높이/폭 및/또는 길이/폭)와 개시된 다른 특징은 동결 동작(1515)이 용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인터페이싱 동작(1520)은 용기 본체의 2개 이상의 정합된 리세스 쌍들을 조작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싱한다. 용기는 용기의 용이한 물리적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정합된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정합된 리세스 쌍들은 용기의 대향 측면들에 배향되어 있으며, 조작 하드웨어는 (리세스 쌍들이 용기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리세스를 통해 연장하거나, 용기에 부착되도록 용기의 리세스를 핀칭(pinch)한다.
현수하는 동작(1525)은 리세스를 통해 용기를 현수한다. 조작 하드웨어는 리세스를 통해 용기를 들어올리고, 용기는 리세스를 통해 완전히 지지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다. 이동 동작(1530)은 새로운 위치 및/또는 배향으로 용기를 이동시킨다. 용기를 물리적으로 재배치하기 위해 조작 하드웨어가 일제히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용기를 물리적으로 재배치하기 위해(예컨대, 충전 배향, 상-변화 배향, 및 배출 배향으로부터 이동하기 위해) 조작 하드웨어가 그 자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해동 동작(1535)은 용기 내에 저장된 동결 유체를 해동시킨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용기 내의 유체는 동작(1515)에서 완전히 동결되지 않으며/또는 동작(1535)에서 완전히 해동된다. 완전한 상-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완전한 상-변화를 용기가 견딜 수 있을 뿐이다. 또한, 동결 동작(1515)과 해동 동작(1535)은, 동작(1500)을 수행하는 동안, 예컨대, 용기를 운반하는 동안, 반복될 수 있다.
잠금 해제 동작(1540)은 입구/출구 조립체의 캡의 잠금을 해제한다. 잠금 해제 동작(1540)은 입구/출구 조립체의 캡으로부터 잠금 기구를 제거함으로써 달성된다. 잠금 동작(1510)이 생략되는 경우, 잠금 해제 동작(1540)은 생략될 수 있다.
배출 동작(1545)은 입구/출구 조립체를 통해 용기로부터 유체를 배출한다. 용기의 낮은 지점에 입구/출구 조립체들 중 하나의 스트로우가 위치하게 되는 배출 배향으로 용기가 배향된다. 입구/출구 조립체들 중 다른 하나는 통기구로서 사용되며, 용기로부터 유체가 배출될 때 용기 내로 압력 평형 가스(대기 또는 다른 가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압에 대한 용기 내의 압력 평형을 유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기구는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대체하는 가스를 위한 입구를 제공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논리적 동작이 동작, 단계, 물체 또는 모듈로서 다양하게 지칭된다. 또한, 명시적으로 달리 청구되지 않았거나 청구항의 언어가 본질적으로 특정 순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임의의 순서로, 동작을 추가하여, 또는 동작을 생략하여, 논리적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명세서, 예 및 데이터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조 및 용도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가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하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적 특징들이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

Claims (22)

  1. 유체 용기로서,
    각각의 리세스가 용기의 대향 측면들에 배향되어 있으며 용기를 물리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의 2개 이상의 정합된 리세스 쌍; 및
    용기 본체의 리세스들 중 2개의 리세스 사이로 각각 연장하는 2개 이상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정합된 쌍의 각각의 리세스는 정합된 쌍의 대향하는 리세스의 베이스 구조와 구별되는 베이스 구조를 갖는,
    유체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정합된 쌍의 각각의 리세스는 용기 내의 공통 베이스 구조에서 대향하는 리세스와 만나는,
    유체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정합된 쌍의 각각의 리세스는 용기를 통해 완전히 연장하며, 정합된 쌍의 대향하는 리세스와 인접하는,
    유체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세스는 용기 본체에 있는 카운터 싱크와 카운터 보어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세스는 1°내지 10°의 경사각을 포함하는,
    유체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강 리브는 플레어 단부로 종료되며, 해당 보강 리브가 사이로 연장하는 2개의 리세스와 불연속적인,
    유체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강 리브는 해당 보강 리브가 사이로 연장하는 2개의 리세스와 연속적이며 이들을 연결하는,
    유체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강 리브는 용기 본체로부터 내측 및 외측 중 하나로 돌출하여 용기 본체에 형성된 채널인,
    유체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용기로의 유체 입구, 용기로부터의 유체 출구, 및 대기압에 대한 용기 내의 압력 평형용 통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각각 구성된, 용기 본체 내에 매립된 2개의 입구/출구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체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2개의 입구/출구 조립체는 입구/출구 조립체를 통과하는 유체 및 압력 평형 가스 중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오염 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된 필터를 각각 포함하는,
    유체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높이 대 폭의 종횡비와 길이 대 폭의 종횡비 중 하나 또는 모두는 4를 초과하는,
    유체 용기.
  13. 유체 용기의 사용 방법으로서,
    각각의 리세스가 용기의 대향 측면들에 배향되어 있는 용기 본체의 2개 이상의 정합된 리세스 쌍을 조작 하드웨어와 각각 인터페이싱하는 단계; 및
    리세스로부터 용기를 현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용기 본체의 리세스들 중 2개의 리세스 사이로 2개 이상의 보강 리브가 각각 연장하는,
    유체 용기의 사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용기가 충전 배향으로 배향된 상태에서, 소정량의 유체로 용기를 충전하는 동작;
    용기가 상-변화 배향으로 재배향된 상태에서, 용기 내의 소정량의 유체를 동결시키는 동작;
    용기가 상-변화 배향으로 배향된 상태에서, 용기 내의 소정량의 유체를 해동시키는 동작; 및
    용기가 배출 배향으로 재배향된 상태에서, 용기로부터 소정량의 유체를 배출하는 동작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의 사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충전 동작과 배출 동작은 용기 본체에 매립된 2개의 입구/출구 조립체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유체 용기의 사용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충전 배향은 입구/출구 조립체들 중 하나를 입구/출구 조립체들 중 다른 하나 위에 있는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 내에 위치시키는,
    유체 용기의 사용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변화 배향은 입구/출구 조립체들 모두를 용기의 헤드 스페이스 내에 위치시키는,
    유체 용기의 사용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배출 배향은 입구/출구 조립체들 중 하나의 스트로우를 용기의 낮은 지점에 위치시키는,
    유체 용기의 사용 방법.
  19. 유체 용기로서,
    각각의 리세스가 용기의 대향 측면들에 배향되어 있으며, 경질 유체 용기를 통해 완전히 연장하고, 정합된 쌍의 대향하는 리세스와 인접하며, 용기 본체에 있는 카운터 싱크와 카운터 보어 중 하나를 포함하고, 용기를 물리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의 2개 이상의 정합된 리세스 쌍;
    용기 본체의 리세스들 중 2개의 리세스 사이로 각각 연장하며, 플레어 단부로 종료되며, 해당 보강 리브가 사이로 연장하는 2개의 리세스와 불연속적인, 2개 이상의 보강 리브; 및
    용기로의 유체 입구, 용기로부터의 유체 출구, 및 대기압에 대한 용기 내의 압력 평형용 통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각각 구성된, 용기 본체 내에 매립된 2개의 입구/출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높이 대 폭의 종횡비와 길이 대 폭의 종횡비 중 하나 또는 모두는 4를 초과하는,
    유체 용기.
  21. 유체 용기들의 어레이로서,
    2개 이상의 소형 용기와 정합하는 프로파일을 가진 대형 용기로서, 각 용기의 본체에 2개 이상의 정합된 리세스 쌍이 존재하고, 정합된 쌍의 각각의 리세스가 각 용기의 대향 측면들에 배향되어 있으며 용기를 물리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대형 용기; 및
    용기 본체의 리세스들 중 2개의 리세스 사이로 각각 연장하는 2개 이상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들의 어레이.
  22. 제21항에 있어서,
    대형 용기의 2개 이상의 정합된 리세스 쌍은 각각의 소형 용기의 정합된 리세스 쌍들 중 하나와 각각 정렬되는,
    유체 용기들의 어레이.
KR1020167034114A 2014-06-11 2015-06-11 조작 보조 리세스를 구비한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 KR102339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0681P 2014-06-11 2014-06-11
US62/010,681 2014-06-11
PCT/US2015/035377 WO2015191885A1 (en) 2014-06-11 2015-06-11 Phase-change accommodating rigid fluid container with manipulating assisting reces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905A true KR20170017905A (ko) 2017-02-15
KR102339986B1 KR102339986B1 (ko) 2021-12-16

Family

ID=5483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114A KR102339986B1 (ko) 2014-06-11 2015-06-11 조작 보조 리세스를 구비한 상-변화 순응형 경질 유체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077136B2 (ko)
EP (1) EP3145826B1 (ko)
JP (1) JP6660381B2 (ko)
KR (1) KR102339986B1 (ko)
CN (1) CN106573701B (ko)
CA (2) CA2949247C (ko)
ES (1) ES2960772T3 (ko)
IL (1) IL248857A0 (ko)
WO (1) WO2015191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817B1 (ko) * 2016-08-24 2019-11-14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액체 생성물을 동결 및 해동하는 용기 시스템 및 방법
CN109990472B (zh) * 2018-01-02 2024-03-15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相变热水器的内胆和具有其的相变热水器
CN111572980B (zh) * 2020-05-19 2021-07-13 西安交通大学 一种环保型深紫外杀菌智能配送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113A (ko) * 2003-01-02 2003-02-06 김명원 말통 용기 좌우측면 하부에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간 홈에수평 구조로 환봉형의 손잡이로 되어진 말통 용기
US20050051575A1 (en) * 2003-09-05 2005-03-10 Durivage Gary A. Fluid container
KR20110009627U (ko) * 2010-04-05 2011-10-12 김정수 물통
EP2475620B1 (en) * 2009-09-07 2013-11-06 Pritchard IP Limited A water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3003A (en) * 1999-09-21 2000-09-05 Chapin Manufacturing, Inc. Compressed air duster with rotatable agitator
US6270488B1 (en) * 2000-01-24 2001-08-07 Allegiance Corporation Large volume medical fluid vacuum collection canister
WO2005066559A2 (de) * 2004-01-08 2005-07-21 Bernhard Sixt Transportbehälter zur kühlhaltung von gefrorenem gut
US20090217677A1 (en) 2005-12-02 2009-09-03 Youn-Ok Shin Freezing and storage container for biopharmaceutical drug products
WO2007103917A2 (en) * 2006-03-06 2007-09-13 Integrated Bi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ezing, storing and thawing biopharmaceutical materials
US8177123B2 (en) * 2008-09-24 2012-05-15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ezing, storing and thawing biopharmaceutical materials
JP5564989B2 (ja) * 2010-02-26 2014-08-0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液体還元剤貯蔵タンクのブリーザーパイプ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113A (ko) * 2003-01-02 2003-02-06 김명원 말통 용기 좌우측면 하부에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간 홈에수평 구조로 환봉형의 손잡이로 되어진 말통 용기
US20050051575A1 (en) * 2003-09-05 2005-03-10 Durivage Gary A. Fluid container
EP2475620B1 (en) * 2009-09-07 2013-11-06 Pritchard IP Limited A water container
KR20110009627U (ko) * 2010-04-05 2011-10-12 김정수 물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8937A (ja) 2017-07-13
WO2015191885A1 (en) 2015-12-17
EP3145826A4 (en) 2017-12-27
EP3145826B1 (en) 2023-09-06
CA2949247C (en) 2021-08-24
US20180370686A1 (en) 2018-12-27
CA3110586A1 (en) 2015-12-17
CA3110586C (en) 2022-11-08
US20150360815A1 (en) 2015-12-17
EP3145826C0 (en) 2023-09-06
CN106573701A (zh) 2017-04-19
CA2949247A1 (en) 2015-12-17
KR102339986B1 (ko) 2021-12-16
JP6660381B2 (ja) 2020-03-11
EP3145826A1 (en) 2017-03-29
IL248857A0 (en) 2017-01-31
ES2960772T3 (es) 2024-03-06
US10913575B2 (en) 2021-02-09
US10077136B2 (en) 2018-09-18
CN106573701B (zh)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3575B2 (en) Fluid container with input/output shroud
US5295599A (en) Multiple cap seal for containers
CA1299501C (en) Pressure vessel with a bladder
CN112368509B (zh) 分段式蒸汽塞
US20110127264A1 (en) Container assembly
TWI639423B (zh) 藥液收納容器及其乾空氣置換方法
US20230276791A1 (en) Cryogenic vial assemblies
US20220177188A1 (en) Tethered Cap and Spout
US20160236476A1 (en) Ink tank parts
KR100992310B1 (ko) 주출용기
BR112016023475B1 (pt) Unidade de recepção para receber sangue
BRPI0412017B1 (pt) fecho para fixação em uma extremidade aberta de um corpo de recipiente, combinação, e, método de controlar pressão dentro da lata durante processamento térmico
CN106642952A (zh) 冰箱
CN110817140A (zh) 一种生物样品转运箱及生物样品转运方法
CN111442587A (zh) 一种医用冷藏箱
CN220181429U (zh) 冻存盒
CN211495322U (zh) 一种生物样品转运箱
CN212549616U (zh) 一种带密封帽的可加热试管
US20160347510A1 (en) Reservoir closur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08039029A1 (en) Non-refillable pouring device with locking functions
CN116923883A (zh) 一种封闭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