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674A - 무선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674A
KR20170017674A KR1020150142029A KR20150142029A KR20170017674A KR 20170017674 A KR20170017674 A KR 20170017674A KR 1020150142029 A KR1020150142029 A KR 1020150142029A KR 20150142029 A KR20150142029 A KR 20150142029A KR 20170017674 A KR20170017674 A KR 20170017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coil
layer
shielding sheet
dissip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806B1 (ko
Inventor
장재혁
이현정
송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73,831 priority Critical patent/US9960630B2/en
Publication of KR2017001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전자파 차폐시트 및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전자파 차폐시트 측에 배치된 방열층을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장치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로 각종 전자기기의 중량이 가벼워짐에 따라 전기적 접촉 없이 자기 결합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비접촉형, 즉, 무선 충전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무선충전 방식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으로, 충전기(무선전력 전송장치)에 1차 코일(송신부 코일)을 구비하고 충전 대상(무선전력 수신장치)에 2차 코일(수신부 코일)을 구비하여,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유도결합에 의해 발생한 전류를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이때, 수신부 코일과 배터리 사이에 전자파 차폐시트를 배치한다. 차폐시트는 수신부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배터리로 도달하는 것을 차단해주고,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효율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자파 차폐 시트를 사용하여 무선충전을 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수~수십 Watt의 전력이 이동하면서 재료와 회로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당 기술 분야에서는 전자파 차폐 시트 혹은 그 주변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방열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에 유리한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은 일 실시 형태를 통하여 방열 성능과 사이즈 효율성이 우수한 무선 충전장치의 신규한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전자파 차폐시트 및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전자파 차폐시트 측에 배치된 방열층을 형태이다.
이 경우, 상기 방열층은 열 전도도가 높은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제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 코일 패턴 등의 표면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제안하는 무선 충전장치의 경우, 코일부와 전자파 차폐시트 사이에 방열층을 적용함으로써 방열 특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바,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신뢰성 향상에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방열층을 커버나 코일 패턴, 전자파 차폐시트 등에 직접 코팅함으로써 방열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무선 충전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내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코일부와 전자파 차폐시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 예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코일부와 전자파 차폐시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무선 충전장치의 제조공정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내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자장치무선전력 전송장치(1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전력 수신장치(20)는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3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0)의 내부를 보면, 기판(12) 상에 송신부 코일(11)이 형성되어 있어 무선전력 전송장치(10)로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20)에 내장된 수신부 코일(21)에는 송신부 코일(11)로부터 유도된 기전력에 의하여 배터리(22)가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22)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니켈수소 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가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터리(22)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20)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배터리(22)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신부 코일(11)과 수신부 코일(21)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구리 등의 금속 와이어를 권회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권회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등이 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크기나 권회 횟수 등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하여 설정할 수 있다.
수신부 코일(21)과 배터리(22) 사이에는 전자파 차폐시트(100)가 배치되며, 전자파 차폐시트(100)는 수신부 코일(21)과 배터리(22) 사이에 위치하여 자속을 집속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수신부 코일(21) 측에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전자파 차폐시트(100)는 자속 중 적어도 일부가 배터리(22)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전자파 차폐 시트(100)는 코일부와 결합되어 상술한 무선충전 장치의 수신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 외에도 상기 코일부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 시트(100)는 무선충전 장치의 수신부가 아닌 송신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하에서는 송신부와 수신부 코일을 모두 코일부로 칭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수신부에 포함된 코일부와 전자파 차폐시트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은 송신부에도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무선충전 장치는 전자파 차폐 시트(100)와 코일부(21)를 포함하며, 여기서 코일부(21)는 전자파 차폐시트(100) 측에 배치된 방열층(101)을 포함한다.
전자파의 집속 및 차폐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파 차폐시트(100)는 비정질 합금이나 나노 결정립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 리본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질 합금으로는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Fe계 자성 합금은 Si를 포함하는 물질, 예를 들어, Fe-Si-B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Fe를 비롯한 금속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포화 자속 밀도가 높아지지만, Fe 원소의 함유량이 과다할 경우 비정질을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Fe의 함량은 70-90atomic%일 수 있으며, 비정질 형성 가능성 측면에서는 Si 및 B의 합이 10-30atomic%의 범위인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러한 기본 조성에 부식을 방지시키기 위해 Cr, Co 등 내부식성 원소를 20 atomic% 이내로 첨가할 수도 있고, 다른 특성을 부여하도록 필요에 따라 다른 금속 원소를 소량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나노 결정립 합금을 이용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Fe계 나노 결정립 자성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Fe계 나노 결정립 합금은 Fe-Si-B-Cu-Nb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자파 차폐시트(100)는 일체화 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조각으로 파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파쇄 구조는 복수의 조각 사이에 전기 절연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전자파 차폐시트(100)에 발생할 수 있는 와류 전류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요구되는 차폐 성능이나 채용되는 전자 장치의 크기, 디자인 등에 따라 전자파 차폐시트(100)는 복수의 자성층이 적층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자성층은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층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코일부(21)의 구성을 설명하면, 코일부(21)는 상부 커버(106)와 하부 커버(104)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는 코일 패턴(105)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부 커버(106)와 하부 커버(104)는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일 패턴(105)과 함께 연성회로기판(FPCB)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상부 커버(106)와 하부 커버(104)는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니며 코일 패턴(105)을 보호할 수 있는 요소라면 적절한 다른 것이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부 커버(106)와 하부 커버(10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방열층(101)은 무선 충전장치의 구동 중에 코일 패턴(105), 전자파 차폐시트(100) 등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사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하부 커버(104), 그리고 전자파 차폐시트(100)와 결합된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코일 패턴(105)으로 전력이 전송되면서 발생하는 열 중에서 코일 패턴(105)의 직류 저항성분에 의하여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방열층(101)에 의한 효과적인 열 방출이 가능하므로 무선 충전장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방열층(101)은 하부 커버(104)와 접착제(103)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접착제(103)의 예로서 양면테이프, 점착층 등 당 기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방열층(101)은 전자파 차폐 시트(100)와 접착제(102)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방열층(101)은 코일부(21)나 전자파 차폐시트(100)와 함께 적용되기에 적합하면서도 열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물질로서 그래핀을 사용하였다. 즉, 방열층(101)은 그래핀을 포함하는 필름 형태로 제공되어 접착제(102, 103)를 통하여 전자파 차폐시트(100) 및 하부 커버(104)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방열층(101)에 포함된 그래핀의 경우, 탄소 원자들이 sp2 혼성 결합의 벌집 모양을 이루면서 한 층으로 이루어진 2차원 구조의 신소재이다. 그래핀은 구조적,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뛰어난 전도체로서 실리콘보다 100배 정도 빠르게 전자를 이동시킬 수 있고, 구리보다 100배 정도 더 많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강철의 200배 정도 되는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을 가지고, 약 5,300 W/m·K의 열 전도도를 가지면서 입사하는 빛의 97.7%를 투과시키는 광학적 성질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래핀은 탄소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2,600 m2/g의 높은 비표면적을 가진다.
이러한 방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4의 변형 예와 같이, 방열층(101)은 하부 커버(104)와 직접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방열층(101)은 하부 커버(104)의 표면에 직접 코팅될 수 있다. 즉, 방열층(101)은 접착층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 하부 커버(104)의 표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직접 코팅 구조에 의하여 우수한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접착제가 제거된 형태이므로 수신부 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코일 패턴(105)에서 발생한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하부 커버(104)가 삭제된 구조도 채용 가능하며, 이 경우, 방열층(101)은 코일 패턴(105)의 표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방열층(101)과 전자파 차폐시트(100) 사이의 접착체(102) 역시 제거되어 전자파 차폐시트(100)에서 발생된 열이 직접 방열층(101)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방열 성능이 더욱 향상되고 나아가 컴팩트 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래핀 분말을 사용하여 전자파 차폐시트(100), 하부 커버(104), 코일 패턴(105) 등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진공 여과법, 랑뮤어-블라젯 조립법, LBL 조립법, 디핑(dipping), 롤 코팅, 콤마코팅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을 이용할 경우, 그래핀 파우더가 유기 또는 무기 바인더와 같이 혼합되어 있는 구조로 전자파 차폐시트(100), 하부 커버(104), 코일 패턴(105) 등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공정들 중 일부를 설명한다.
스핀 코팅은 기판 위에 그래핀 산화물 용액을 일정량 떨어뜨리고 기판, 즉, 코팅 대상물(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층)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용액에 가해지는 원심력으로 기판을 코팅하는 방법이다.
스프레이 코팅법은 그래핀 산화물 용액을 기판에 분사하는 코팅 방법으로서, 대면적의 기판을 코팅하기에 용이하고, 공정 자체가 빠르며 간단하지만, 상기 용액이 노즐에서 분사되어 기판에 닿기 전에 그래핀 산화물 조각들의 엉김(aggregation)현상이 발생하여 필름의 전체 면적이 균일하지 못할 수 있다.
진공 여과법은 그래핀 산화물 용액을 미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면, 상기 미세 여과지에 걸러진 그래핀 산화물 조각들이 필름을 형성하는 코팅 방법으로, 균일하게 코팅된 필름을 얻을 수 있고 필름의 두께를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다만, 사용되는 그래핀 산화물 용액의 소모가 많고, 소요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릴 수 있다.
랑뮤어-블라젯 조립법은, 그래핀 산화물들이 표면에 배열되어 있는 용액에 기판을 수직으로 담근 후, 일정한 속도로 천천히 기판을 들어 올려 그래핀 산화물 조각들이 기판에 자기 조립되는 코팅 방법이다. 랑뮤어-블라젯 조립법은 비교적 균일한 필름을 얻을 수 있으나, 공정 소요시간이 길고, 대면적의 기판을 코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LBL (Layer-by-layer) 조립법은 그래핀 조각에 서로 다른 표면 전하를 부여하고,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필름을 조립하는 코팅 방법이다. LBL 조립법의 경우, 그래핀 조각에 작용기를 붙여 양전하를 가지는 그래핀 산화물 용액 및 음전하를 가지는 그래핀 산화물 용액을 각각 제조하고, 기판을 상기 두 용액에 번갈아 담금으로써 그래핀 산화물 조각들을 한 층씩 쌓아나갈 수 있다. LBL 조립법은 조작성이 좋지만 그래핀 조각에 작용기를 붙이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고, 공정에 소요되는 그래핀 산화물 용액의 양과 소요되는 시간이 많을 수 있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무선 충전장치는 앞선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자파 차폐 시트(100)와 코일부(21)를 포함하며, 여기서 코일부(21)는 전자파 차폐시트(100) 측에 배치된 방열층(201)을 포함한다. 앞선 실시 형태와는 방열층(201)의 형상과 코일부(21)의 세부 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다만, 서로 상반되는 형태가 아니라면 본 실시 형태에서 채용된 구조가 도 3과 4의 구조에도 채용될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방열층(201)은 코일 패턴(20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코일 패턴(205)에 하부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방열층(201)이 형성된 형태이다. 그래핀 등으로 이루어진 방열층(201)을 코일부(21)의 전체 영역이 아닌 코일 패턴(205)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형성함으로써 방열 성능은 유지하면서 코일 패턴(205)에 형성되는 자기장에는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열층(201)은 코일 패턴(205)과 접착제(204)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코일 패턴(205)과 방열층(201)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방열층(201)의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방열층(201)에서 그리핀의 분율을 높이거나 접착제(204)를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점착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앞선 실시 형태들과 마찬가지로, 도 6의 변형된 예와 같이 방열층(201)은 코일 패턴(205)과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방열층(201)은 코일 패턴(205)의 표면에 직접 코팅되어 방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코일 패턴(205)의 표면에 직접 방열층(201)을 형성하는 방법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공정 예들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성을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에와 같이, 방열층(201)과 코일 패턴(205)은 제1 및 제2 접착층(202, 203)에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에 의하여 고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접착층(202, 203)으로서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자파 차폐시트(100)는 제1 접착층(202)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층(203)의 상부엔 이와 결합된 커버층(20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층(206)은 PET 등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만드는 방법의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구조의 경우, 도전성 박막(예컨대, 구리 호일)이 형성된 캐리어(207)를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박막은 타발 공정에 의하여 코일 패턴(205)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도전성 박막의 표면에 방열층(201)을 직접 코팅하여 형성한다. 구리 호일 상에 직접 방열층을 코팅하는 경우, 점착제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정밀하고 단단하게 타발된 코일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열전도도와 전기전도도가 크게 떨어지는 점착층이 없으므로 전기적, 자기적 특성 면에서도 큰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후, 구리 호일과 방열층(201)을 동시에 타발하여 코일 패턴(205)과 방열층(201)의 접합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체(202)가 도포된 전자파 차폐시트(100) 상에 코일 패턴(205)과 방열층(201)을 전사하며, 이후, PET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층을 접착제 등으로 부착함으로써 도 6의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커버층(206)에 직접 코일 패턴(205)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PET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층(206)에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층(203)을 이용하여 도전성 박막(예컨대, 구리 호일)을 접합한다. 이어서, 그래핀 시트와 같은 방열층(201)을 상기 도전성 박막과 접합한다. 이어서, 타발 공정을 이용하여 코일 패턴(필요 시 NFC, MST 코일과 동시에)과 방열층(201)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때 코일의 선폭과 선간 거리가 수십~수백 um 정도로 미세한 형상이기 때문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점착제 보다는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이 더 바람직하다.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코일 패턴(205)과 방열층(201)을 전자파 차폐(100)과 적절히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상기 전자파 차폐 시트는 무선충전 장치의 수신부에 적용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전자파 차폐 시트는 무선충전 장치의 송신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송신부 코일
20: 무선전력 수신장치
21: 수신부 코일(코일부)
22: 배터리
30: 전자기기
100: 전자파 차폐시트
101, 201: 방열층
102, 103, 201, 202, 203, 204: 접착층
104: 하부 커버
105, 205: 코일 패턴
106: 상부 커버
206: 커버층
207: 캐리어

Claims (14)

  1. 전자파 차폐시트 및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전자파 차폐시트 측에 배치된 방열층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하부 커버와 이들 사이에 배치된 코일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하부 커버와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하부 커버와 직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하부 커버의 표면에 직접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하부 커버 및 상기 코일 패턴은 연성회로기판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코일 패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코일 패턴과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코일 패턴과 직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코일 패턴의 표면에 직접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과 상기 코일 패턴은 제1 및 제2 접착층에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에 의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시트는 상기 제1 접착층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과 결합된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은 상기 전자파 차폐 시트와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장치.
KR1020150142029A 2015-08-06 2015-10-12 무선 충전장치 KR10177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73,831 US9960630B2 (en) 2015-08-06 2016-06-06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245 2015-08-06
KR20150111245 2015-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674A true KR20170017674A (ko) 2017-02-15
KR101771806B1 KR101771806B1 (ko) 2017-08-25

Family

ID=5811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029A KR101771806B1 (ko) 2015-08-06 2015-10-12 무선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3549A (zh) * 2021-11-25 2022-03-01 东莞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双路独立无线充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9809B2 (ja) * 2005-11-01 2010-11-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3549A (zh) * 2021-11-25 2022-03-01 东莞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双路独立无线充电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806B1 (ko)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0630B2 (en)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US9929599B2 (en) Sheet for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waves an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US20140184151A1 (en) Coil for cordless charging and cordless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8184333A (zh) 组合式天线模块
WO2015115789A1 (ko) 무선 충전 기판 및 장치
CN106170196B (zh) 用于屏蔽电磁波的片材和无线充电装置
CN104011814A (zh) 磁场屏蔽片及其制造方法和无线充电器用接收装置
KR102506374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CN108140951A (zh) 车载天线模块
US11349346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20140340030A1 (en) Magnetic sheet and noncontact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096391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US9955614B2 (en) Sheet for shielding against electromagnetic waves and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KR101489391B1 (ko) 연자성 시트
JP2022003864A (ja) 車両用無線電力送信装置
JP2014036116A (ja) 非接触給電用受信装置
KR101823206B1 (ko) 전자파 차폐 시트 및 무선 충전장치
KR101771806B1 (ko) 무선 충전장치
KR102154258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20170053272A (ko) 자성체 시트 및 무선 충전장치
KR102315813B1 (ko)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용 방열부재,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 및 무선충전 수신장치
US11770021B2 (en) Wireless charging module coated with magnetic material on surface of coil
KR20150082895A (ko) 연자성 기판
KR20180036202A (ko) 자성체 시트 및 전자기기
KR101994746B1 (ko) 전자파 차폐 시트 및 무선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