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479A - 스포츠용 물티슈 - Google Patents

스포츠용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479A
KR20170017479A KR1020150111457A KR20150111457A KR20170017479A KR 20170017479 A KR20170017479 A KR 20170017479A KR 1020150111457 A KR1020150111457 A KR 1020150111457A KR 20150111457 A KR20150111457 A KR 20150111457A KR 20170017479 A KR20170017479 A KR 20170017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ltraviolet ray
present
ultraviole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787B1 (ko
Inventor
김성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컴퍼니
Priority to KR102015011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7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8Corrosion-inhibiting agents or anti-oxid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방지제 및 탄산수를 포함하는 스포츠용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 물티슈를 이용하여 인체 피부 표면에 자외선 차단 성분 및 피부 미용 성분 등이 도포될 시, 상기 피부 미용 성분은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자외선 차단 성분은 피부 표면에 효율적으로 고르게 전달 및 부착될 수 있어 자외선 방지능 및 지속시간 등의 자외선 방지 특성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Description

스포츠용 물티슈{Wet tissue for sports}
본 발명은 스포츠용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의 일부 파장대 영역인 자외선은 의료학적으로 다양하며 유용한 작용을 행하며, 인체 피부 표면에 적당량의 자외선이 노출될 경우에는 피부 건강에 도움을 주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태앙광이 강한 예컨대 여름철에는 강한 자외선이 장시간 피부에 노출되게 되면 피부 표면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피부암 등의 질병도 유발시키는 부작용을 나타낸다.
이러한 자외선의 피해로부터 인체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최근 피부에 도포되면 자외선을 차단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약리 성분을 함유한 크림제 또는 로숀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가 시판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 활성을 갖는 물질로는 유ㆍ무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있으며, 무기계로는 이산화티탄 분산액 등이, 유기계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틸트리아존, 옥시벤존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성 성분을 기초로 한 종래의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적용한 후 땀에 의해 씻겨 없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오일을 외부상으로 하고 그 안에 물이 분산되어 있는 유중수적형(油中水滴形;W/O 형) 로션 또는 크림제로 제조 및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W/O형 자외선 차단제는 땀에 대한 내구성 및 지속성은 우수하지만, 제품의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거리며, 미끈거리는 감촉을 나타내어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로션이나 크림제의 제형으로 사용할 경우, 큰 부피로 인한 휴대의 불편성이 있으며, 손에 일정량을 묻혀 피부에 적용해야하는 특성상, 대부분의 제제에 함유된 무기안료에 의하여 피부에 적용된 후 일정시간 동안 백탁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이를 없애는데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한 후에도 손에 잔류하는 로션 또는 크림 성분이 땀 등으로 인하여 끈적거리게 되므로 사용감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는 여름철에만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대형 용기에 들어 있는 차단제 중 일부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남아 다음 해까지 보관의 어려움이 존재하며, 보관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율의 저하 등의 비효율 및 비경제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성분이 함침된 티슈 형태의 제형으로 연구 및 상용화에 이르렀다. 이러한 티슈 형태로 손, 팔, 얼굴 등의 피부 표면을 닦으면서 동시에 자외선 차단 성분이 도포되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발현되므로, 손에 묻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KR2015-0028476A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일회용 티슈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공지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KR2013-0011632A에는 자외선 차단 조성물 함유 티슈 및 이를 포장한 일회용 티슈 제품에 대하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차적인 전달물질을 통해 자외선 차단 성분을 피부 표면에 도포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자외선 차단 효율이 떨어지며, 피부에 고르게 분산시켜 도포시키는 것 또한 어려우며, 얼굴 등의 피부에 도포 시 사용감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가 편리하고 야외에서 간편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감이 뛰어나고, 자외선 차단 성분 효과가 제대로 발현될 수 있는 티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KR2015-0028476A 한국공개특허 KR2013-0011632A
본 발명의 목적은 물티슈를 이용하여 인체 피부 표면에 자외선 차단 성분 및 피부 미용 성분 등이 도포될 시, 상기 피부 미용 성분은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자외선 차단 성분은 피부 표면에 효율적으로 고르게 전달 및 부착될 수 있어 자외선 방지능 및 지속시간 등의 자외선 방지 특성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스포츠용 물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 차단 성분 및 피부 미용 성분 등이 피부에 도포될 시, 청량감을 부여하여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피부 미용 성분 및 자외선 차단 성분의 피부 표면 도포 및 흡수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땀, 이물질 등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한 물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 방지제 및 탄산수를 포함하는 스포츠용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는 물티슈를 이용하여 인체 피부 표면에 자외선 차단 성분 및 피부 미용 성분 등이 도포될 시, 상기 피부 미용 성분은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자외선 차단 성분은 피부 표면에 효율적으로 고르게 전달 및 부착될 수 있어 자외선 방지능 및 지속시간 등의 자외선 방지 특성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는 자외선 차단 성분 및 피부 미용 성분 등이 피부에 도포될 시, 청량감을 부여하여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피부 미용 성분 및 자외선 차단 성분의 피부 표면 도포 및 흡수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땀, 이물질 등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는 물티슈를 이용하여 인체 피부 표면에 자외선 차단 성분 및 피부 미용 성분 등이 도포될 시, 상기 성분들이 피부에 고르게 분산되어 도포될 수 있는 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불분명하게 사용된 %의 단위는 중량%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액상형, 스프레이형 등에 자외선 방지제를 도입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 성분이 전체 상에 분산이 잘 되지 않아 계면활성제등의 분산제 등을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 성분 함유 조성물이 물티슈에 함침 또는 도포될 경우, 상기 물티슈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물티슈 상에 분산되어 있는 자외선 차단 성분이 물티슈 상에 제대로 분산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짐은 물론, 성분들이 휘발되어 감소함에 따라 초기 특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나타난다.
즉, 본 출원인은 자외선 차단 성분이 물티슈에 함침 또는 도포될 경우,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액상의 초기 분산 상태를 물티슈 상에서 지속적인 분산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정제수가 적용된 물티슈 대비, 탄산수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성분 함유 물티슈가 물티슈 상에서 지속적인 분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인식하고 각고의 노력 및 연구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탄산수에 의해 청량감이 부여되어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기능성 성분(피부 미용 성분 등)의 피부 흡수율을 향상시킬 있는 것은 물론, 피부 미용 성분 및 자외선 차단 성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땀, 이물질 등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형 물티슈는 자외선 방지제 및 탄산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탄산수가 자외선 방지제와 결합되어 물티슈에 적용될 경우, 물티슈 상에서 지속적인 분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티슈가 피부에 접촉 시, 자외선 차단 크림을 피부에 직접 접촉된 상태와 같은 특성이 부여되는 동시에 청량감에 의해 사용감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성 성분(피부 미용 성분 등)의 피부 흡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부 미용 성분 및 자외선 차단 성분의 피부 표면 도포 및 흡수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땀, 이물질 등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물티슈 상에서 탄산수가 자외선 방지제 성분과 결합되어 지속적인 분산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종래의 일반적인 물티슈에서 문제가 되었던 자외선 방지능 및 이의 지속시간 등의 자외선 차단 특성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방지제 함유 조성물을 직접 피부에 도포하는 자외선 차단 크림제와는 달리, 정제수 함유 물티슈에 자외선 방지제가 함유된 것일 경우, 인체 피부 표면에 접촉 시 고르게 분포되도록 도포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고르게 분포되도록 도포한다 하더라도 보관 경과 시간에 따라 자외선 방지제 성분이 물티슈에 안정한 분산상 및 분포 형태가 저하되므로, 최종적인 인체 피부 표면에 미치는 자외선 차단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물티슈 상에서 탄산수가 자외선 방지제 성분과 결합되어 존재할 경우, 보관 시간이 경과함에도 지속적인 분산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자외선 방지능 및 이의 지속시간 등의 자외선 차단 특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탄산수는 탄산(H2CO3) 이산화탄소(CO2)를 함유하는 수용액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을 생성하며, 상기 반응은 가역반응으로 역방향 또한 진행 가능하므로, 이산화탄소 및 탄소가 평형에 의해 수용액 상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탄산의 생성에 의해 수용액은 약 산성을 띄게 되므로, pH의 조절에 의해 탄산의 함유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탄산수의 pH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5.5 내지 6.7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탄산수는 제한되지 않으나, 전술한 pH의 범위를 만족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초정리 광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정리 광천수는 예컨대 초정탄산수로도 불리며,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본 발명의 성분들 및 이들 성분들이 티슈에 결합 및 적용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성분(피부 미용 성분 등)의 피부 흡수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네랄 성분에 의한 피부 미용 효과 또한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피부 미용 성분 및 자외선 차단 성분의 피부 표면 도포 및 흡수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땀, 이물질 등에 대한 세정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자외선 방지제는 제한되지 않으나,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자외선 차단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산화아연(ZnO), 티타늄옥사이드(TiO2), 규산염 또는 탈크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 성분은 매우 입자가 작은 분말 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자외선 흡수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xycinnamate),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p-methoxycinnamate) 등의 신나메이트(cinnamate) 유도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methoxy dibenzoylmethane),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PABA(paminobenzoicacid) 유도체, 벤조페논(benzophenones), 안트라닐레이트(anthranilates)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자외선 방지제는 에멀젼형 자외선 방지제일 수 있다. 에멀젼형 자외선 방지제가 탄산수와 결합되어 물티슈에 적용될 경우, 탄산수와 함께 물티슈 상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어 자외선 방지능 및 이의 지속시간 등의 자외선 차단 특성의 저하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에멀젼형 자외선 방지제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는 기재의 일 면에 상기 자외선 방지제 및 상기 탄산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함침되거나, 상기 조성물이 도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레시틴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난황레시틴, 대두레시틴 및 수첨레시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분산제가 자외선 방지제 및 탄산수 등의 본 발명의 성분들과 함께 물티슈에 결합 및 적용될 경우, 물티슈 상에서 시간에 따른 분산 상태를 보다 지속적으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물티슈가 보관된 포장을 뜯은 후, 탄산을 비롯하여 다양한 성분이 휘발됨으로써 급격하게 성능이 저하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산제는 기재로 셀룰로오스 계통의 직물로 제조된 물티슈에 적용될 경우, 상기 직물에 보다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상기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므로, 물티슈 상에서 지속적인 분산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자외선 방지능 및 이의 지속시간 등의 자외선 차단 특성의 저하를 보다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자외선방지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수 1 내지 500 중량부, 분산제 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는 티슈 충진 성분 또는 피부 미용 성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이 티슈 충진 성분 또는 피부 미용 성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사항이므로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 또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방지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티슈 충진 성분 1 내지 500 중량부 또는 피부 미용 성분 1 내지 500 중량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티슈 충진 성분은 증점제, 방부제, 살균제, 유화제, 가용화제, 산도조절제, 향료, 정제수, 유기용매, 지방산,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피부 미용 성분은, 미백 성분 또는 주름개선 성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사항이므로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 또는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미백 성분은 알부틴, 에틸아스코빌에테르, 유용성감초추출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또는 알부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인 일 예로, 주름개선 성분은 아데노신, 레티놀, 콜라겐, 레티닐팔미테이트, 상피세포성장인자 또는 섬유아세포성장인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인 일 예로, 보습 성분은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자일리톨, 소듐히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 코폴리머, 천년초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또는 스쿠알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보습 성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방지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백 성분 1 내지 500 중량부, 주름개선 성분 1 내지 500 중량부 또는 보습 성분 1 내지 1,000 중량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는 기재의 일 면에 상기 자외선 방지제 및 상기 탄산수가 함침 또는 도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기재는 티슈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일반적인 모든 펄프지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는 일반적으로 피부 청결, 세정 및 화장 제거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습식 티슈에 사용이 가능한 모든 소재가 가능하며, 예컨대 부직포(Non-woven fabric), 화학섬유, 종이류 및 셀룰로오스 계통의 직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계통의 직물인 것이 좋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계통의 직물은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피부에 접촉능이 우수한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기재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는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또는 도포되는 기재의 면의 반대 면은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및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자외선 방지제가 기재의 전체 면에 함침 또는 도포되어 있을 경우, 이를 사용하여 얼굴 등의 피부에 접촉시킬 때, 자외선 방지제가 손 등의 부위에 지나치게 묻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또는 도포되는 기재의 면과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또는 도포되지 않은 기재의 면의 색상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또는 도포된 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또는 도포되지 않은 면을 피부에 접촉시키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티슈는 낱개로 개별 포장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수의 물티슈가 적층된 물티슈 적층체가 포장되어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낱개로 개별 포장되어 사용될 경우 문제되지 않으나, 다수의 티슈가 적층 및 포장되어 사용될 경우에 한해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포츠용 물티슈는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또는 도포되는 기재의 면의 반대 면은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및 도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경우,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또는 도포되는 기재의 면과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또는 도포되지 않는 기재의 면끼리 접촉되어 기재의 전체 면에 자외선 방지제 성분이 혼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포츠형 물티슈 적층체는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및 도포되지 않은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 면에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및 도포된 제2면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물티슈가 다수 적층되되, 일 스포츠용 물티슈의 제1면과 다른 일 스포츠용 물티슈의 제1면이 대향하여 적층되거나, 일 스포츠용 물티슈의 제2면과 다른 일 스포츠용 물티슈의 제2면이 대향하여 다수 적층되거나, 일 스포츠용 물티슈의 제1면과 다른 일 스포츠용 물티슈의 제1면이 대향하여 적층되고 일 스포츠용 물티슈의 제2면과 다른 일 스포츠용 물티슈의 제2면이 대향하여 다수 적층될 수 있다. 스포츠용 물티슈가 이러한 구조로 적층될 경우, 자외선 방지제가 함침 또는 도포되어 있는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이 접촉되지 않는 구조를 취하므로, 상기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1의 실시예 1의 조성비로 혼합 및 분산시켜 자외선 차단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분산제인 수첨레시틴은 Lipoid S 75-S를 사용하였으며, 탄산수는 초정탄산수(일화)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차단 조성물을 순면 티슈에 1 시간 동안 함침시킨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반 건조하여 스포츠용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또한 상기 스포츠용 물티슈에 대한 물티슈 보관 시간에 따른 분산 안정성 및 자외선 차단능을 테스트하였다. 구체적으로,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온도, 습도가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 상기 스포츠용 물티슈를 각각 1, 5 및 10 일 동안 방치한 후, 자외선 차단능에 대한 특성을 테스트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상기 자외선 차단능은 자외선차단지수(SPF) 측정 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자외선 차단지수(SPF)를 측정하였다. 상기 각각의 시간 동안 방치된 스포츠용 물티슈를 2 mg/cm2 수준이 되도록 트랜스포어 테이프(Transpore tape)에 도포하고 15 분 동안 건조한 후, SPF 290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신체 건강한 18 내지 50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끈적임 정도, 번들거림 정도, 화장효과 정도, 접촉횟수 정도 및 세정력 정도에 대한 블라인드 사용감 관능평가를 테스트하였다. 구체적으로, 해당 항목 값이 높을수록 끈적이는 정도가 낮으며, 번들거림 정도가 낮으며, 화장효과가 높으며, 접촉횟수가 적으며, 세정력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5 : 매우 만족, 4 : 만족, 3 : 보통, 2 : 불만족, 1 :매우 불만족)
상기 표 1의 실시예 2의 조성비로 혼합 및 분산시켜 스포츠용 물티슈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표 1의 비교예 1의 조성비로 혼합 및 분산시켜 스포츠용 물티슈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표 1의 비교예 2의 조성비로 혼합 및 분산시켜 스포츠용 물티슈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하기 표 2는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스포츠용 물티슈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SPF) 및 끈적임 정도, 번들거림 정도, 화장효과 정도, 접촉횟수 정도 및 세정력 정도에 대한 블라인드 사용감 관능평가를 테스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분산제를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가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1의 경우보다 보관 시간 경과에 따른 스포츠용 물티슈의 자외선 차단능의 저하 폭이 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가 탄산수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보다 끈적임 등의 사용감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물티슈 상의 분산력 지속 안정성에 따른 자외선 차단능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보다 세정력이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 및 분산제가 사용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경우, 특히 탄산수 및 분산제가 사용된 실시예 2의 경우보다 대부분의 항목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탄산수의 높은 휘발성을 비롯한 각 성분들의 보관 시간 경과에 따른 성분 감소에 의한 것으로, 물티슈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산수와 분산제의 동반 상승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 특성의 변화 폭이 큰 이유는 일반적인 크림 제형과는 달리, 물티슈를 통해 2차적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특성에 기인하여, 피부에 자외선 방지 성분이 고르게 도포되지 못하는 문제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자외선 방지제 및 탄산수를 포함하는 스포츠용 물티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는 초정리 광천수를 포함하는 스포츠용 물티슈.
  3. 제1항에 있어서,
    난황레시틴, 대두레시틴 및 수첨레시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스포츠용 물티슈.
  4. 제1항에 있어서,
    티슈 충진 성분 또는 피부 미용 성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부 미용 성분은,
    알부틴, 에틸아스코빌에테르, 유용성감초추출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또는 알부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미백 성분,
    아데노신, 레티놀, 콜라겐, 레티닐팔미테이트, 상피세포성장인자 또는 섬유아세포성장인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성분 또는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자일리톨, 소듐히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 코폴리머, 천년초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또는 스쿠알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보습 성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티슈 충진 성분은 증점제, 방부제, 살균제, 분산제, 유화제, 가용화제, 산도조절제, 향료, 정제수, 유기용매, 지방산,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물티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방지제는 산화아연(ZnO), 티타늄옥사이드(TiO2), 규산염 또는 탈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또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xycinnamate),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p-methoxycinnamate) 등의 신나메이트(cinnamate) 유도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methoxy dibenzoylmethane),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PABA(paminobenzoicacid) 유도체, 벤조페논(benzophenones), 안트라닐레이트(anthranilate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물티슈.
  6. 제1항에 있어서,
    기재의 일 면에 상기 자외선 방지제 및 상기 탄산수가 함침 또는 도포되어 제조되는 스포츠용 물티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포츠용 물티슈가 다수 적층되는 스포츠용 물티슈 적층체.
KR1020150111457A 2015-08-07 2015-08-07 스포츠용 물티슈 KR10181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57A KR101814787B1 (ko) 2015-08-07 2015-08-07 스포츠용 물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57A KR101814787B1 (ko) 2015-08-07 2015-08-07 스포츠용 물티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79A true KR20170017479A (ko) 2017-02-15
KR101814787B1 KR101814787B1 (ko) 2018-01-04

Family

ID=5811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457A KR101814787B1 (ko) 2015-08-07 2015-08-07 스포츠용 물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7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632A (ko) 2011-07-22 2013-01-30 강효정 자외선 차단 조성물 함유 티슈 및 이를 포장한 일회용 티슈 제품
KR20150028476A (ko) 2013-09-06 2015-03-16 박영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일회용 티슈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632A (ko) 2011-07-22 2013-01-30 강효정 자외선 차단 조성물 함유 티슈 및 이를 포장한 일회용 티슈 제품
KR20150028476A (ko) 2013-09-06 2015-03-16 박영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일회용 티슈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787B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6047B2 (ja) 加齢皮膚およびしわの処置用および予防用のγ−ジケトン
KR101355051B1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780623B2 (ja) 肌の手入れ用のすすぎ洗い可能なマスク型化粧品組成物
KR10134229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536764A (ja) ヒト皮膚を修復するための化粧的方法および化粧用組成物
WO2009094374A2 (en) Method of selecting antioxidants for use in topically applied compositions
CN104114144B (zh) 提供防护对抗uv射线的护肤方法和/或化妆用方法
KR102007800B1 (ko)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9351911B1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providing broad spectrum sunscreen
CN105434327A (zh) 一种全效型润肤防晒霜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5689A (ko) 피부 자극이 저감된 고마쥬 타입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8171B1 (ko) 자외선 차단 하이드로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8733B1 (ko)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WO2013102248A2 (en) "aqueous cosmetic sunscree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osmetic method for application of said composition, cosmetic method to prevent and control skin oiliness, cosmetic method to protect the skin from the damages caused by ultraviolet radiation, and cosmetic product."
KR20200131850A (ko) 국소 피부 관리 조성물
KR102209847B1 (ko) 피부 보습 및 진정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EP3006016A1 (en) Dermatological kit comprising compositions based on Hibiscus flower and Buriti oil
CA2870042C (en) Vegetable sourced petrolatum
KR20080046983A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4787B1 (ko) 스포츠용 물티슈
KR102537397B1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2947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