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129A -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 Google Patents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129A
KR20170017129A KR1020150110577A KR20150110577A KR20170017129A KR 20170017129 A KR20170017129 A KR 20170017129A KR 1020150110577 A KR1020150110577 A KR 1020150110577A KR 20150110577 A KR20150110577 A KR 20150110577A KR 20170017129 A KR20170017129 A KR 20170017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assembly
wing
jack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147B1 (ko
Inventor
이호균
Original Assignee
이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균 filed Critical 이호균
Priority to KR102015011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1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2Removable shuttering; Bearing or suppor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2Temporary supports for use during building;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잭 자체의 길이가 가변되되 너트에 의하여 어떤 특정한 길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잭에 있어서, 보다 이 잭의 길이 가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Jack having separable nut}
본 발명은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잭 자체의 길이가 가변되되 너트에 의하여 어떤 특정한 길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잭에 있어서, 보다 이 잭의 길이 가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에 관한 것이다.
잭(jack)이란 기어, 나사, 유압 등을 이용하여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거나 큰 하중의 구조물을 지탱하는 데 사용된다. 나사 잭(screw jack)의 경우 가장 간단한 것은 잭의 몸체에 암나사를 만들어 이것에 나사봉을 끼우고, 이 나사봉을 회전시켜 나사봉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중량물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구조로 되며,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나사 잭 제품들은 들어 올릴 수 있는 하중은 2∼50t, 양정(揚程)은 10∼30cm, 무게는 5∼50kg 정도인 것이 많다. 래크 잭(rack jack)의 경우 여러 개의 기어 조합으로 마지막 기어에 래크(봉에 치형을 절삭한 것)가 맞물려 있는 것으로, 수동으로 기어를 돌려 래크를 오르내리게 하여 래크에 붙어 있는 받침대 위의 것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구조로 되며,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래크 잭 제품들은 2∼20t의 하중을 움직일 수 있고, 양정은 30∼40cm인 것이 많다. 유압 잭(oil pressure jack)의 경우 펌프에 의해 압력유를 실린더로 보내 램을 움직이는 구조로 되며, 큰 하중으로 양정이 작을 때 주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잭은 다양한 기계, 건축, 토목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구조물의 지지 및 안정적인 이동이 필요한 건축, 토목 분야에서, 구조물의 지지 수단으로서 잭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 예시로서, 터널 건축 시 사용되는 거푸집에 이러한 잭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터널을 건설할 때에는, 굴착을 통해 통로를 형성하고, 강재 거푸집을 설치한 후 굴착된 통로와 강재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건설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터널은 대개 단면 폭이 수~수십 m 정도에 콘크리트 두께 역시 수십~수백 cm 정도 되는 정도의 규모인 바, 터널 공사에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도 이러한 규모의 공사에 사용되기 적당하도록 강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형상으로 설계 제작되며 또한 매우 큰 부피를 가지게 된다. 터널 건설 과정에서, 굴착되어 형성된 통로에 강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굳으면 강재 거푸집을 빼내어야 한다. 이 때 강재 거푸집을 보다 원활하게 빼내기 위해서, 이러한 강재 거푸집은 외형이 축소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있다. 한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0876546호("아치형 강재거푸집", 2008.12.22)에는, 거푸집과 터널 굴착면 간의 간격(즉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 개의 잭볼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치형 강재 거푸집이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널 건설에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의 경우 외형 축소를 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 개의 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잭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외형 크기 변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대형 구조물에 구비되는 잭(10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구조물(500) 사이에 배치되어 각 구조물(500)로부터 누르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잭(10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가 볼트부(111) 및 파이프부(112)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부(112)가 상기 볼트부(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길이 가변이 가능하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잭(100')은 두 개의 구조물(500)에 의하여 양 끝단에서 누르는 방향의 힘을 받게 되며, 이를 버티고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볼트부(111)에는 너트부(120')가 나사 결합된다. 도 1(B) 하부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너트부(120')가 상기 파이프부(112)의 끝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잭(100')의 양 끝단에서 누르는 힘이 상기 너트부(120')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잭(100')의 길이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상기 잭(100')에서 상기 너트부(12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상기 너트부(120')의 위치 변경을 위해서는 상기 너트부(120')를 회전시켜 나사 회전에 따른 길이 방향 위치 이동을 이용하는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이동은 실질적으로 꽤 많은 시간을 소요시키게 된다. 특히 강재 거푸집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 이러한 상기 잭(100')은 수십 개 이상이 구비되게 되는데, 각각의 잭들의 길이 고정을 위하여 일일이 너트부를 돌려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엄청나게 많은 시간이 낭비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잭에 있어서 보다 작업 시간을 줄여 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에 대한 요구가 당업자 사이에 꾸준히 있어 왔다.
1. 한국등록특허 제0876546호("아치형 강재거푸집", 2008.12.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잭 자체의 길이가 가변되되 너트에 의하여 어떤 특정한 길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잭에 있어서, 보다 이 잭의 길이 가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100)은,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볼트부(111) 및 상기 볼트부(111)를 내부에 삽입 결합시키는 파이프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트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부(112)가 이동 가능하게 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는 몸체부(110); 너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부(112)의 내측 끝단(112B)을 지지하도록 상기 볼트부(111)에 나사 결합되되, 몸체가 상기 볼트부(111)의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너트부(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볼트부(111)의 반경 방향으로 이등분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상기 볼트부(111)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나사부(121a),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나사부(121a)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1날개부(121b), 상기 제1날개부(121b)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조립부(1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몸체(121), 내측에 상기 볼트부(111)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나사부(122a),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나사부(122a)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날개부(122b), 상기 제1조립부(121c)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날개부(122b)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2조립부(122c), 상기 제2날개부(122b)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부(122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몸체(122), 상기 제1조립부(121c) 및 상기 제2조립부(122c)를 묶어 조립 결합하는 조립부재(123),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결합부(122d)를 묶어 조립 결합하는 결합부재(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제1나사부(121a) 및 상기 제2나사부(122a)가 각각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날개부(122b)가 형성하는 평면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이 원통형의 일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부재(123)는, 몸체에 2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나의 통공이 상기 제1조립부(121c)에 형성된 통공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볼트 결합으로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통공이 상기 제2조립부(122c)에 형성된 통공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볼트 결합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립부재(123)는, 상기 제1나사부(121a) 및 상기 제2나사부(122a)가 밀착 결합되어 하나의 나사산 형태를 이룰 때, 상기 제1조립부(121c)에 형성된 통공 및 상기 제2조립부(122c)에 형성된 통공 간의 간격과 비교하여, 상기 조립부재(123)에 형성되는 2개의 통공 간의 간격이 같거나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24)는, 몸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날개부(121b)와 고정 결합으로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1개의 통공이 상기 제2결합부(122d)에 형성된 통공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날개부(122b)가 결합되었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날개부(122b)가 결합되었을 때 이루어지는 삼각형 형태의 한 꼭지점 측에 상기 제1조립부(121c) 및 상기 제2조립부(122c)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잭 자체의 길이가 가변되되 너트에 의하여 어떤 특정한 길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잭에 있어서, 너트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됨으로써 볼트부 길이 방향으로의 너트부 위치 이동을 위해 반드시 나사 회전을 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훨씬 짧은 시간 안에 먼 거리의 너트부 위치 이동을 시킬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즉 너트부를 분리하여 원하는 위치 근처까지 이동시킨 후 다시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너트부를 나사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동일 거리에 대해 너트부의 위치 이동 시간을 비약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너트부의 위치 이동 시간을 줄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러한 잭이 사용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잭 길이 변화 작업에 드는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 또한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형 크기 변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대형 구조물에 이러한 잭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되는 잭의 개수는 수십 개 이상이 되는데, 각각의 잭 길이 변화 작업 시간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발생되는 시간 절약이 누적됨으로써, 전체 구조물 외형 크기 변경 작업 시간은 그야말로 종래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게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로써 공사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커다란 효과 또한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의 길이 가변 잭의 사용 상태 및 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잭 및 너트부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너트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부의 위치 이동 예시.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잭 및 너트부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길이 가변 잭의 기본 구성은 종래의 길이 가변 잭과 유사하나, 너트부가 분리형으로 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길이 가변 잭과는 크게 상이하다.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100)의 기본 구조 및 너트부(120)의 간략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잭(100)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잭과 유사하게) 몸체부(110) 및 너트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10)는 볼트부(111) 및 파이프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부(111)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겉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즉 볼트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부(112)는 상기 볼트부(111)를 내부에 삽입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어, 상기 볼트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부(112)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파이프부(112) 내에 상기 볼트부(111)를 얼마나 깊숙이 넣고 빼는지의 정도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잭(100)은 대형 구조물의 사이에 개재 구비되어 지탱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볼트부(111)의 외측 끝단(111A) 및 상기 파이프부(112)의 외측 끝단(112A)에서는 내측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볼트부(111)의 내측 끝단(111B)은 상기 파이프부(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뿐으로 아무런 지지 구조가 없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를 변화시킨 후에는 그 길이로 고정해 주는 구조가 필요하고,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상기 너트부(120)이다. (참고로,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작업 자체는 유압 기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너트부(120)를 사용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를 고정하기 전에, 유압 기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를 변화시킨 후, 상기 너트부(120)로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를 고정하고 유압 기구를 제거하는 식으로 잭 길이 변경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너트부(120)는 그 명칭 그대로 너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부(112)의 내측 끝단(112B)을 지지하도록 상기 볼트부(111)에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너트부(120)가 상기 파이프부(112)의 내측 끝단(112B)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볼트부(111)의 외측 끝단(111A) 및 상기 파이프부(112)의 외측 끝단(112A)에서 작용하는 내측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상기 너트부(120)가 지지해 주어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가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120)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상기 너트부(120)를 나사 회전시키는 수밖에는 없었다. 그런데 이렇게 너트를 돌려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시키는 데에는 시간이 굉장히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작업자 입장에서도 너트를 계속 돌리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함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너트부(120)의 몸체가 상기 볼트부(111)의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B)는 이처럼 분리형 몸체를 가지는 상기 너트부(12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볼트부(111)의 반경 방향으로 갈라진 형태로 되어, 상기 볼트부(111)에 물려 있을 때는 나사 회전을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너트부(120)의 분리된 몸체를 벌려 줌으로써 상기 볼트부(111)에서 쉽게 빼낼 수 있고 또는 반대로 상기 너트부(120)의 분리된 몸체를 오므려 줌으로써 상기 볼트부(111)의 아무 위치에나 쉽게 물릴 수 있다.
도 4의 예시를 통해 이러한 본 발명의 너트부의 위치 이동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도 4(A)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가 볼트부의 외측 끝단 쪽에 위치하고 있을 때 너트부를 파이프부의 내측 끝단까지 이동시키기 위해서, 너트부를 계속 돌려서 움직이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너트부(120)가 상기 볼트부(111)의 외측 끝단(111A) 쪽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도 4(A)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120)의 분리형 몸체를 벌려 상기 볼트부(111)로부터 빼낸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120)를 상기 볼트부(111)의 원하는 위치에 물려 준다. 이 때 상기 너트부(120)의 분리형 몸체를 다시 오므려 주면, 상기 너트부(120) 안쪽의 나사산이 상기 볼트부(111) 겉면의 나사산과 결합되면서 상기 너트부(120)가 자연스럽게 상기 볼트부(111)와 다시 나사 결합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120)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상기 볼트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파이프부(112)의 내측 끝단(112B)에 꽉 밀착되어 고정되게 한다. 즉 종래에는 상기 너트부(120)를 상기 볼트부(111)의 외측 끝단(111A) 위치에서 상기 파이프부(112)의 내측 끝단(112B) 위치까지 오로지 나사 회전으로만 이동시켜야 했기 때문에 수십~수백 회의 회전이 필요하여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너트부(120)를 상기 파이프부(112)의 내측 끝단(112B)에 아주 가까운 위치까지 금방 이동시켜 상기 볼트부(111)에 물려준 다음 몇 번만 더 회전시켜 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형 몸체를 가지는 상기 너트부(120)에 의하면, 상기 잭(100)에서 상기 너트부(120)의 위치 이동을 위해 들여야 하는 시간 및 노력을 종래에 비해 훨씬 줄일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이러한 상기 잭(100)은 대형 구조물에 한두 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대개 수십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가 많은데, 각각의 상기 잭(100)에서 발생되는 시간 및 노력의 절약이 누적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작업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너트부의 한 실시예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너트부를 위에서 본 도면(상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너트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몸체(121) 및 제2몸체(122)를 소정 간격 이격시켜 놓은 상태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도 3에서 조립부재(123) 및 결합부재(124)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120)는 몸체가 상기 볼트부(111)의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너트부(120)는 분리형 몸체가 벌려지거나 오므려짐으로써 상기 볼트부(111)에 쉽게 물리거나 빼낼 수 있는 구조로 되기만 한다면, 그 몸체가 둘로 나뉘거나 셋 또는 그 이상으로 나뉘어도 아무 상관이 없다. 다만 상기 잭(100)이 지지해야 하는 힘이 수~수십 톤 가량으로 매우 높은 경우가 많으므로, 가능한 한 상기 너트부(120)의 안정성을 높이는 구조로 되는 것이 유리하며, 따라서 상기 너트부(120)는 도 2(B) 및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볼트부(111)의 반경 방향으로 이등분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너트부(120)는 제1몸체(121), 제2몸체(122), 조립부재(123), 결합부재(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몸체(121)는, 상기 볼트부(111)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내측에 상기 볼트부(111)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나사부(121a),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나사부(121a)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날개부(121b), 상기 제1날개부(121b)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조립부(1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날개부 부분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파이프부(112)가 더 밀고 들어오지 못하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굉장히 큰 하중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부(120)를 상기 파이프부(112) 내측 끝단(112B)에 꽉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때(또는 이로부터 풀어내는 작업을 할 때에도), 상기 너트부(120)를 단순히 손으로 돌리는 정도로는 부족하고, 실제 작업 시에는 작업자가 상기 너트부(120)의 외측 플랜지 부분을 망치 등의 수단으로 타격하여 아주 강한 힘을 주어 돌려 준다. 따라서 플랜지 형태로 된 상기 제1날개부(121b)가 도 2(B)에서처럼 넓게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상기 너트부(120)의 타격이 보다 편리해지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이 타격에 의하여 상기 너트부(120)를 돌려 줌으로써 별도의 스패너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다.
상기 제2몸체(122)는, 상기 볼트부(111)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내측에 상기 볼트부(111)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나사부(122a),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나사부(122a)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날개부(122b), 상기 제1조립부(121c)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날개부(122b)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2조립부(122c), 상기 제2날개부(122b)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부(122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21)와 상기 제2몸체(122)가 오므려져 결합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나사부(121a)와 상기 제2나사부(122a)가 합쳐져 하나의 나사산 형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볼트부(111)에 물려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의 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120)에서, 상기 제1나사부(121a) 및 상기 제2나사부(122a)가 각각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날개부(122b)가 형성하는 평면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이 원통형의 일부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나사부들(121a)(122a)의 두께가 플랜지 형태로 된 날개부들(121b)(122b)의 두께로 동일하게 형성되어도 안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나사부들(121a)(122a)은 궁극적으로는 상기 볼트부(111)와 나사 결합되어 위치를 단단히 고정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즉 상기 나사부들(121a)(122a)이 보다 두껍게 형성될수록 이러한 고정력이 강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들(121a)(122a)이 상기 날개부들(121b)(122b)에 비해 두꺼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나사부들(121a)(122a)이 상기 날개부들(121b)(122b)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경우, 상기 나사부들(121a)(122a) 및 상기 날개부들(121b)(122b)을 각각 제작한 다음 이들을 서로 용접 결합하는 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날개부 부분들은 회전을 위한 타격을 잘 받을 수 있기 위해 구비되는 것인데, 이 때 상기 너트부(12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날개부(122b)가 결합되었을 때 도 2(B)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1조립부(121c) 및 상기 제2조립부(122c)는,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날개부(122b)가 결합되었을 때 이루어지는 삼각형 형태의 한 꼭지점 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조립부재(123)는, 상기 제1조립부(121c) 및 상기 제2조립부(122c)를 묶어 조립 결합하여 압축력을 견디는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립부(121v)와 상기 제2조립부(122c)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결합 시 서로 밀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립부재(123)가 상기 제1조립부(121c) 및 상기 제2조립부(122c)에 조립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121) 및 상기 제2몸체(122)의 결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립부재(123)의 구체적인 형태의 한 예시를 도 2(B)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부재(123)는 몸체에 2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나의 통공이 상기 제1조립부(121c)에 형성된 통공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볼트 결합으로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통공이 상기 제2조립부(122c)에 형성된 통공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볼트 결합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조립부재(123)가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조립부(121c) 및 상기 제2조립부(122c)를 용이하게 묶거나 풀 수 있는 형태이고 또한 충분한 고정력을 가지는 형태라면 다른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도 된다.
더불어 상기 조립부재(123)에 형성되는 통공의 간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 예로, 상기 제1나사부(121a) 및 상기 제2나사부(122a)가 밀착 결합되어 하나의 나사산 형태를 이룰 때, 상기 제1조립부(121c)에 형성된 통공 및 상기 제2조립부(122c)에 형성된 통공 간의 간격과 비교하여, 상기 조립부재(123)에 형성되는 2개의 통공 간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되어도 된다. 도 2(B) 및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두 간격(제1조립부 통공-제2조립부 통공 간 간격 / 조립부재 상의 두 통공 간 간격)이 같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경우 상기 조립부재(123)에 의하여 몸체들(121)(122)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나사부(121a)(122a)들은 완전히 밀착 결합되어 완전한 원통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된다면 상기 너트부(120)는 단 하나의 규격을 가지는 상기 볼트부(111)와밖에는 결합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조립부재(123)에 형성되는 2개의 통공 간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하면, 상기 볼트부(111)가 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경우에도 상기 너트부(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상기 너트부(120)를 다양한 반경을 가지는 다양한 상기 볼트부(111)에 결합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124) 역시 도 2(B)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체적인 형태의 예시를 설명한다. 상기 결합부재(124)는 몸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날개부(121b)와 고정 결합으로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1개의 통공이 상기 제2결합부(122d)에 형성된 통공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24) 및 상기 제1날개부(121b)의 결합을 고정 결합이라고 칭한 것은, (상기 조립부재(123)의 경우와는 달리) 상기 결합부재(124) 및 상기 제1날개부(121b)는 작업 중 결합을 풀거나 다시 조립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24) 및 상기 제1날개부(121b)의 결합의 한 예시로서, 상기 조립부재(123)와 상기 제1, 2조립부(121c)(122c)와의 결합과 유사하게, 각각에 통공이 형성되어 이들이 볼트 결합으로 조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B)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날개부(121b)에 2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124)에 형성된 2개의 통공과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개수 역시 물론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이처럼 통공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하되 볼트 결합 대신 리벳 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날개부(121b)와 상기 결합부재(124)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이들을 용접하여 결합시켜도 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124)와 상기 제1날개부(121b)가 안정적이고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만 있다면, 이 결합의 형태는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결합부재(124)와 상기 제2결합부(122d) 간의 결합은, 역시 결합 및 조립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기는 하지만, 상기 결합부재(124)와 상기 제1날개부(121b)간의 결합이 상대적인 배치 형태까지도 완전히 고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상기 결합부재(124) 및 상기 제2결합부(122d)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움직임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 결합부재(124) 및 상기 제2결합부(122d)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너트부(120)가 상기 제1몸체(121) 및 상기 제2몸체(122)로서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하는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면서 또한 상기 너트부(120)가 완전히 두 조각이 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부재(124) 역시 상기 조립부재(123)와 마찬가지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도 무방하기는 하다. 그러나 상기 너트부(12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서는 이처럼 상기 결합부재(124) 측에서는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형태로서, (리벳 결합 등과 같은) 고정 결합 및 (고정적으로 결합되되 회전이 가능한) 힌지 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본 발명의)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110: 몸체부
111: 볼트부
111A: 볼트부 외측 끝단 111B: 볼트부 내측 끝단
112: 파이프부
112A: 파이프부 외측 끝단 112B: 파이프부 내측 끝단
120: 너트부
121: 제1몸체 121a: 제1나사부
121b: 제1날개부 121c: 제1조립부
122: 제2몸체 122a: 제2나사부
122b: 제2날개부 122c: 제2조립부
122d: 제2결합부
123: 조립부재 124: 결합부재

Claims (8)

  1.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볼트부(111) 및 상기 볼트부(111)를 내부에 삽입 결합시키는 파이프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트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부(112)가 이동 가능하게 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는 몸체부(110);
    너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부(112)의 내측 끝단(112B)을 지지하도록 상기 볼트부(111)에 나사 결합되되, 몸체가 상기 볼트부(111)의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너트부(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볼트부(111)의 반경 방향으로 이등분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상기 볼트부(111)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나사부(121a),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나사부(121a)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날개부(121b), 상기 제1날개부(121b)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조립부(1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몸체(121),
    내측에 상기 볼트부(111)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나사부(122a),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나사부(122a)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날개부(122b), 상기 제1조립부(121c)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날개부(122b)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2조립부(122c), 상기 제2날개부(122b)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부(122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몸체(122),
    상기 제1조립부(121c) 및 상기 제2조립부(122c)를 묶어 조립 결합하는 조립부재(123),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결합부(122d)를 묶어 조립 결합하는 결합부재(12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제1나사부(121a) 및 상기 제2나사부(122a)가 각각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날개부(122b)가 형성하는 평면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이 원통형의 일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123)는
    몸체에 2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나의 통공이 상기 제1조립부(121c)에 형성된 통공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볼트 결합으로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통공이 상기 제2조립부(122c)에 형성된 통공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볼트 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123)는
    상기 제1나사부(121a) 및 상기 제2나사부(122a)가 밀착 결합되어 하나의 나사산 형태를 이룰 때, 상기 제1조립부(121c)에 형성된 통공 및 상기 제2조립부(122c)에 형성된 통공 간의 간격과 비교하여,
    상기 조립부재(123)에 형성되는 2개의 통공 간의 간격이 같거나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24)는
    몸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날개부(121b)와 고정 결합으로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1개의 통공이 상기 제2결합부(122d)에 형성된 통공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날개부(122b)가 결합되었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120)는
    상기 제1날개부(121b) 및 상기 제2날개부(122b)가 결합되었을 때 이루어지는 삼각형 형태의 한 꼭지점 측에 상기 제1조립부(121c) 및 상기 제2조립부(12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KR1020150110577A 2015-08-05 2015-08-05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KR101729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577A KR101729147B1 (ko) 2015-08-05 2015-08-05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577A KR101729147B1 (ko) 2015-08-05 2015-08-05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129A true KR20170017129A (ko) 2017-02-15
KR101729147B1 KR101729147B1 (ko) 2017-04-24

Family

ID=5811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577A KR101729147B1 (ko) 2015-08-05 2015-08-05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1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546B1 (ko) 2007-02-14 2008-12-31 하철용 아치형 강재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10Y1 (ko) * 2004-12-01 2005-03-10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토건용 유압랩 삽입 스크류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546B1 (ko) 2007-02-14 2008-12-31 하철용 아치형 강재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147B1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2567B1 (de) Absenkeinrichtung sowie stützvorrichtung und deckenschalung mit einer solchen absenkeinrichtung
WO2006114183A2 (de) Steigleitung für die förderung von dickstoffen
KR20120140318A (ko) 에이치 형강용 가변 스티프너 잭
KR101729147B1 (ko) 분리형 너트를 가지는 잭
DE102015012483A1 (de) Abziehvorrichtung für Abschalelemente im Betonbau
CN204299182U (zh) 一种墙体模板整体进退模机构
WO2012159758A2 (de) Höhenverstellbare schwerlaststütze
DE19824081C2 (de) Hubvorrichtung, insbesondere Hebebühne für Kraftfahrzeuge
CN219509210U (zh) 一种快拆快搭式钢筋操作平台
JP6953091B2 (ja) エンジン発電機
EP1700815A1 (de) Hebevorrichtung
DE102008006561A1 (de) Abstützplatte
DE102019116519A1 (de) Scha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gleichzeitigen Herstellung mehrerer konzentrisch ineinanderpassender Betonfertigteile unterschiedlicher Größe
CN204418681U (zh) 一种带阴角墙体模板整体进退模机构
DE1634377C3 (de) Verfahren zum Vorpressen von Rohren
KR102298093B1 (ko)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CN117361328B (zh) 一种多节段预制梁的吊装辅助平衡工具及吊装方法
CN214869953U (zh) 一种机械结构纵梁加强结构
CN204299173U (zh) 一种电梯井整体模板
EP2500183A1 (de) Hubrolleneinheit und Transportvorrichtung mit derartigen Hubrolleneinheiten
CN115056177B (zh) 一种狭小空间多角度调节的拆装辅助车和方法
KR101915890B1 (ko) 유압 잭과 그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 방법
KR102431162B1 (ko) 흙막이벽 지지용 선행하중잭
DE202017104471U1 (de) Vorrichtung zum Herauspressen eines vertikalen Trägers einer Trägerbohlwand aus dem Erdreich
CN110821154A (zh) 一种翻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