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555A -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555A
KR20170016555A KR1020150109554A KR20150109554A KR20170016555A KR 20170016555 A KR20170016555 A KR 20170016555A KR 1020150109554 A KR1020150109554 A KR 1020150109554A KR 20150109554 A KR20150109554 A KR 20150109554A KR 20170016555 A KR20170016555 A KR 20170016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panels
display pane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철
송대호
권성규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6555A/ko
Priority to US15/019,818 priority patent/US20170038626A1/en
Publication of KR2017001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77Cells with plural compartments or having plurality of liquid crystal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ne microcell per pix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분기된 둘 이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과 마주보는 루프층, 및 상기 절연 기판과 상기 루프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미세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세 공간은 액정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F BLIND-TYP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적용 가능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진다.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점증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발광소자(ELD: Electro Luminescent Display) 등을 포함한 다양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왔고 일부는 이미 디스플레이 장치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픽셀 단위로 미세 공간(cavity)을 형성하고 여기에 액정(nano crystal)을 채워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기술은 하판 위에 상판을 형성하는 대신 유기 물질 등으로 희생층을 형성하고 상부에 지지 부재를 형성한 후에 희생층을 제거하고, 희생층 제거로 형성된 빈 공간에 액정 주입구를 통해 액정을 채워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기술이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용 스크린이나 컴퓨터용 모니터에 주로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용 스크린이나 컴퓨터용 모니터 이외에 다른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적용 가능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분기된 둘 이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과 마주보는 루프층, 및 상기 절연 기판과 상기 루프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미세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세 공간은 액정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영상표시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 배선이 포함되며, 상기 연결 배선을 통해 제어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인접한 액정 표시 패널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일측 및 타측에서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고정부 내 위치하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연결하는 둘 이상의 조절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를 회전 동작시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 각각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승강 또는 하강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기되는 상기 연결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분기되며,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고정부 내 위치하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조절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를 회전 동작시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 각각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계에 따른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외압에 의해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외부광을 광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의 적용 가능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선과 화소의 배치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일부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3은 도 3은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를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를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한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선과 화소의 배치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선(Gn-1a, Gn-1b, Gna, Gnb,.., Gma, Gmb),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D1, D2, D3, D4, D5, .., Dn),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복수의 게이트선(Gn-1a, Gn-1b, Gna, Gnb,.., Gma, Gmb)은 제1 쌍의 게이트선(Gn-1a 및 Gn-1b), 제2 쌍의 게이트선(Gna 및 Gnb), 그리고 제3 쌍의 게이트선(Gn+1a 및 Gn+1b)를 포함한다. 각 쌍의 게이트선(Gn-1a 및 Gn-1b, Gna 및 Gnb, Gn+1a 및 Gn+1b)은 두 개의 화소행마다 위치한다.
즉, 각 쌍의 게이트선(Gn-1a 및 Gn-1b, Gna 및 Gnb, Gn+1a 및 Gn+1b)은 두 개의 화소 행과 인접한 두 개의 화소 행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각 쌍의 게이트선(Gn-1a 및 Gn-1b, Gna 및 Gnb, Gn+1a 및 Gn+1b)과 중첩하는 위치에 그루브(groove)(GRV)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GRV)는 액정층이 주입되는 액정 주입구를 정의한다. 이에 대하여,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루브(GRV)는 게이트선(Gn-1a, Gn-1b, Gna, Gnb,.., Gma, Gmb)이 뻗어 있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그루브(GRV)는 각 쌍의 게이트선(Gn-1a 및 Gn-1b, Gna 및 Gnb, Gn+1a 및 Gn+1b)과 중첩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게이트선과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개구율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일부를 도시한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3은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진 기판(110) 위에 제1 게이트선(121a) 및 제2 게이트선(121b), 그리고 유지 전극선(131)이 위치한다. 제1 게이트선(121a) 및 제2 게이트선(121b)은 서로 쌍을 이루어 두 쌍의 화소(PX1 및 PX2, PX3 및 PX4) 사이에 위치한다.
제1 게이트선(121a) 및 제2 게이트선(121b)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제1 게이트선(121a)은 제1 게이트 전극(124a)을 포함하고, 제2 게이트선(121b)은 제2 게이트 전극(124b)을 포함한다.
유지 전극선(131)은 공통 전압(Vcom) 등의 기설정된 전압을 전달하고, 제1 게이트선(121a) 및 제2 게이트선(121b)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은 세로부(131b)와 세로부(131b)의 끝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부(131a)를 포함한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121a, 121b)과 교차한다. 데이터선(171)은 제1 게이트 전극(124a)을 향하여 뻗어있는 제1 소스 전극(173a), 제2 게이트 전극(124b)을 향하여 뻗어 있는 제2 소스 전극(173b)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 있다.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제1 게이트 전극(124a) 위에서 제1 소스 전극(173a)과 마주보고,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제2 게이트 전극(124b) 위에서 제2 소스 전극(173b)과 마주본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데이터선(171)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부를 포함한다. 드레인 전극(175a, 175b)은 드레인 전극(175a, 175b)의 막대부의 단부에서 넓이가 넓어진 확장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막대부라는 용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전극(175a, 175b)의 모양을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가 막대 모양의 드레인 전극(175a, 175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게이트선(121a)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게이트 전극(124a), 제1 소스 전극(173a), 제1 드레인 전극(175a), 그리고 제1 채널부(154a)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2 화소(PX2)의 화소 전극(191)과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게이트선(121b)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게이트 전극(124b), 제2 소스 전극(173b), 제2 드레인 전극(175b), 그리고 제2 채널부(154b)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3 화소(PX3)의 화소 전극(191)과 연결된다.
반도체층(151, 154a, 154b)은 소스 전극(173a, 173b)과 드레인 전극(175a, 175b) 사이의 채널 영역을 제외하고는 데이터 도전체(171, 173a, 173b, 175a, 175b) 및 그 하부의 저항성 접촉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한 예로,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a, 173b) 및 드레인 전극(175a, 175b)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층이 그 아래에 위치하는 저항성 접촉 부재(미도시) 및 반도체층(151, 154a, 154b)과 하나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동시에 형성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구조이다.
반도체층의 제1 채널부(154a) 및 제2 채널부(154b)에는 소스 전극(173a, 173b)과 드레인 전극(175a, 175b) 사이에서 소스 전극(173a, 173b) 및 드레인 전극(175a, 175b)에 의해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다.
데이터 배선층(171, 173a, 173b, 175a, 175b) 및 노출된 반도체층의 제1 채널부(154a) 및 제2 채널부(154b) 위에는 보호막(180)(passivation layer)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은 질화 규소와 산화 규소 따위의 무기 절연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보호막(180)은 유기 절연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표면이 평탄할 수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유기막(230)이 위치한다. 유기막(230)은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위치하는 곳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막(230)은 화소 전극(191)의 열 방향을 따라서 길게 뻗을 수 있다. 유기막(230)은 색필터일 수 있고, 색필터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에 제한되지 않고,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옐로(yellow), 화이트 계열의 색 중 하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서로 이웃하는 유기막(230)은 도 2에서 나타낸 가로 방향(D) 및 이와 교차하는 세로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도 3에서는 가로 방향(D)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유기막(230)을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가로 방향(D)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유기막(230) 사이에 세로 차광 부재(220b)가 위치한다. 세로 차광 부재(220b)는 이웃하는 유기막(230) 각각의 가장자리와 중첩하고 있으며, 세로 차광 부재(220b)가 유기막(230)의 양쪽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세로 차광 부재(220b)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라고도 하며 빛샘을 막아준다. 이러한 세로 차광 부재(220b)는 생략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선(171)이 차광 부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세로 차광 부재(220b)와 유기막(230) 위에 평탄화막(182)이 위치할 수 있다. 평탄화막(182)은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형성된 막들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평탄화막(182) 위에는 화소 전극(191)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접촉 구멍(185)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한 단자인 드레인 전극(175a, 17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화소(PX2)의 화소 전극(191)은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되고, 제3 화소(PX3)의 화소 전극(191)은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화소 전극(191)은 미세 슬릿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고 미세 슬릿 전극의 전체적인 모양은 사각형이며, 가로 줄기부(191a) 및 이와 교차하는 세로 줄기부(191b)로 이루어진 십자형 줄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가로 줄기부(191a)와 세로 줄기부(191b)에 의해 네 개의 부영역으로 나뉘어지며 각 부영역은 복수의 미세 가지부(191c)를 포함한다.
미세 슬릿 전극의 미세 가지부(191c) 중 하나는 가로 줄기부(191a) 또는 세로 줄기부(191b)에서부터 왼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미세 가지부(191c)는 가로 줄기부(191a) 또는 세로 줄기부(191b)에서부터 오른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미세 가지부(191c)는 가로 줄기부(191a) 또는 세로 줄기부(191b)에서부터 왼쪽 아래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미세 가지부(191c)는 가로 줄기부(191a) 또는 세로 줄기부(191b)에서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이웃하는 두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1c)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미세 가지부(191c)의 폭은 점진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드레인 전극(175a, 175b)의 막대부는 화소 전극(191)의 세로 줄기부(191b)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막(180), 유기막(230), 평탄화막(182)을 관통하는 접촉 구멍(185)이 형성되어 있고, 접촉 구멍(185)을 통해 드레인 전극(175a, 175b)과 화소 전극(191)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구멍(185)은 화소 전극(191)의 가로 줄기부(191a)와 세로 줄기부(191b)가 교차하는 교차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전극(175a, 175b)의 넓은 끝부분은 가로 줄기부(191a)와 세로 줄기부(191b)의 교차 지점과 중첩하고, 이 부분에 접촉 구멍(185)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부영역에서 액정 분자가 기울어지는 방향은 서로 다르다. 가로 줄기부(191a)와 세로 줄기부(191b)는 이웃하는 부영역이 만나는 경계 영역이고, 이러한 경계 영역은 액정 분자가 기울어지는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비투과부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드레인 전극(175a, 175b)과 접촉 구멍(185)이 화소 영역(PX) 내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개구율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위에는 미세 공간(400)이 위치한다. 미세 공간(400)에는 액정 분자(310)를 포함하는 액정 물질이 주입되어 있고, 미세 공간(400)은 입구부(미도시)를 갖는다. 미세 공간(400)은 화소 전극(191)의 열 방향 다시 말해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위에는 하부 배향막(11)이 형성될 수 있고, 미세 공간(400) 위에 상부 배향막(21)이 위치한다. 이때,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 배향막(11)과 상부 배향막(21)은 측면에서 상호 연결되도록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향막(11, 21)을 형성하는 배향 물질과 액정 분자(310)를 포함하는 액정 물질은 모관력(capillary force)을 이용하여 미세 공간층(400)에 주입될 수 있다.
미세 공간층(400) 위에 공통 전극(270) 및 덮개막(250)이 위치한다. 공통 전극(270)은 공통 전압을 인가 받고,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화소 전극(191)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하여 두 전극 사이의 미세 공간층(400)에 위치하는 액정 분자(31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결정한다. 공통 전극(270)은 화소 전극(191)과 축전기를 이루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turn-off)된 후에도 인가된 전압을 유지한다. 덮개막(250)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막(250) 위에 지지 부재(supporting member; 260)가 위치한다. 지지 부재(260)는 실리콘 옥시카바이드(SiOC) 또는 포토 레지스트 또는 그 밖의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60)가 실리콘 옥시카바이드(SiOC)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형성할 수 있고, 포토 레지스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코팅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 옥시카바이드(SiOC)는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막 중에서 투과율이 높고, 막 스트레스도 적어 변형도 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60)를 실리콘 옥시카바이드(SiOC)로 형성함으로써 빛이 잘 투과되도록 하며 안정적인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부재(260) 위에 보호층(240)(protecting layer)이 위치한다. 보호막(240)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240) 위에 캐핑막(280)이 위치한다. 캐핑막(280)은 지지 부재(260)의 상부면 및 측벽과 접촉하며, 캐핑막(280)은 그루브(GRV)에 의해 노출된 미세 공간층(400)의 액정 주입구(A1, A2)를 덮는다. 캐핑막(280)은 열경화성 수지, 실리콘 옥시카바이드(SiOC) 또는 그라핀(Graph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핑막(280)이 그라핀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라핀(Graphene)은 헬륨 등을 포함하는 가스에 대한 내투과성이 강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액정 주입구(A1, A2)를 막는 캐핑막 역할을 할 수 있고, 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이기 때문에 액정 물질과 접촉하더라도 액정 물질이 오염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그라핀(Graphene)은 외부의 산소 및 수분에 대해 액정 물질을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를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 예시된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의 패널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10)는 다수개의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 다수개의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을 고정하는 고정부(12) 및 각각의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를 연결하는 연결부(13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의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패널을 다수개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 구성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된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에는 각각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라인으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소스 구동부(source driving circuit),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신호를 인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스위칭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gate driving circuit) 등이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에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회로들은 각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2)는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의 최상단에 수평형으로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는 각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별도의 제어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a)는 신호 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인접한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 간 신호 케이블로 연결되어 각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의 영상표시 구동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 제어 신호, 전원 등을 전달한다. 영상 데이터 종류 및 제어 신호 형태에 따라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은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하나의 영상 화면을 분할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고정부(12)는 연결부(13a)와 연결되는 연결 배선(미도시)을 포함하며, 연결 배선(미도시)을 통해 제어 장치와 연결부(13a)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10)에 대해 외부광 또는 측면에 별도의 광원(14)을 설치하여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로 광원을 조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은 연결부(13a)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rotation) 또는 롤링(rolling)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2) 내에 회전 또는 롤링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15)를 설치하고, 구동부(15)와 연결부(13a) 및 패널 조절 와이어(16)를 연결하여 구동부(15)의 동작에 따라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b)이 회전하거나 또는 롤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부(15)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13a) 및 패널 조절 와이어(16)를 구동시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부(15)의 회전에 따라 패널 조절 와이어(16)를 감기거나 풀려지도록 조정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을 승, 하강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 기판을 사용하고 미세 공간 내 액정을 채운 표시 장치를 액정 표시 패널(11a 내지 11d)로 사용함에 따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형 블라인드 액정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수직형 블라인드 액정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10)는 다수개의 액정 표시 패널(11e 내지 11h), 다수개의 액정 표시 패널(11e 내지 11h)을 고정하는 고정부(12) 및 각각의 액정 표시 패널(11e 내지 11h)을 연결하는 연결부(13b)를 포함한다.
이때, 액정 표시 패널(11e 내지 11h)은 각각 수직형의 패널로 구현되고, 수평형의 고정부(1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분기되어 각각의 연결부(13b)를 통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각 패널(11e 내지 11h)에 연결된 연결부(13b)도 신호테이블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부 내 위치한 구동부 및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 각각에 연결된 다수의 조절 와이어 및 연결부를 이용하여 각 액정 표시 패널의 각도 또는 이동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를 회전 동작시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해 액정 표시 패널 각각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좌측 또는 우측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는 차양막의 기능과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겸비한 차세대 액정 표시 장치라 할 수 있다. 또한, 단일 기판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블라인드 시트로 사용함에 따라 제품의 경량화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10: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11a, 11b, 11c, 11d, 11e, 11f, 11g, 11h: 액정 표시 패널
12: 고정부 13a, 13b: 연결부
14: 측면 광원 15: 구동부
16: 조절 와이어 110: 기판
191: 화소 전극 230: 유기막
220a, 220b, BM: 차광 부재 240: 보호층
250: 덮개막 260: 지지 부재
270: 공통 전극 280: 캐핑막
300: 희생막 310: 액정 분자
400: 미세 공간층

Claims (15)

  1.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분기된 둘 이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과 마주보는 루프층, 및 상기 절연 기판과 상기 루프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미세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세 공간은 액정 물질을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영상표시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 신호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케이블을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인접한 액정 표시 패널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일측 및 타측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내 위치하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연결하는 둘 이상의 조절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회전 동작시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 각각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회전 동작시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승강 또는 하강을 조절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기되는 상기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분기되며,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내 위치하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조절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회전 동작시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 각각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회전 동작시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을 조절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외압에 의해 휘거나 구부러지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외부광을 광원으로 이용하는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KR1020150109554A 2015-08-03 2015-08-03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16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54A KR20170016555A (ko) 2015-08-03 2015-08-03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US15/019,818 US20170038626A1 (en) 2015-08-03 2016-02-09 Blind-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54A KR20170016555A (ko) 2015-08-03 2015-08-03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555A true KR20170016555A (ko) 2017-02-14

Family

ID=5805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554A KR20170016555A (ko) 2015-08-03 2015-08-03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38626A1 (ko)
KR (1) KR201700165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423A (ko) * 2017-07-25 2019-02-07 정재준 영상 출력 기능을 구비한 루버 시스템
KR20210075407A (ko) * 2019-12-13 2021-06-23 (주)엘지하우시스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3809A1 (en) * 2000-11-28 2002-05-30 Fletcher Robin Windell Method of providing privacy by temporarily shading or opaquing windows
KR20160122935A (ko) * 2015-04-14 2016-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WO2016201422A1 (en) * 2015-06-12 2016-12-15 Kent State University Frequency-controlled electro-optical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423A (ko) * 2017-07-25 2019-02-07 정재준 영상 출력 기능을 구비한 루버 시스템
KR20210075407A (ko) * 2019-12-13 2021-06-23 (주)엘지하우시스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38626A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6041B2 (en) Display device
KR20150047399A (ko) 액정표시패널
KR20150133934A (ko) 표시 장치
KR20150097897A (ko) 표시 장치
KR2016011618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252054B (zh) 液晶显示器
KR101682079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16555A (ko) 블라인드형 액정 표시 장치
US97850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974659B (zh) 阵列基板及显示面板
KR2015008573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109765A1 (en) Curved display device
JP2016128908A (ja) 液晶表示装置
KR10167677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7246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244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289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41260A (ko) 표시 장치
US20160306217A1 (en) Display panels and blind including the same
KR10170879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8600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0839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86127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40127112A (ko) 액정 표시 장치 모니터링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4735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