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22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229A
KR20170016229A KR1020150109706A KR20150109706A KR20170016229A KR 20170016229 A KR20170016229 A KR 20170016229A KR 1020150109706 A KR1020150109706 A KR 1020150109706A KR 20150109706 A KR20150109706 A KR 20150109706A KR 20170016229 A KR20170016229 A KR 20170016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rear cover
cover
storage means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837B1 (ko
Inventor
김필상
김호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8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면커버와 디스플레이 배면 사이에 후면커버에 형성된 돌출리브를 사용하여 저장매체를 디스플레이 내부에 지지 및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란, 컴퓨터 등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는 특정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수단과, 처리 수단에서 처리된 정보가 표시되는 출력 수단이 별도로 마련된다. 이로 인해, 컴퓨터의 설치 시 처리수단 및 출력수단을 위한 장소가 각각 마련되어야 하고, 처리 수단과 출력 수단을 연결하기 위해 유선 케이블을 사용함에 따라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처리 수단을 배치시켜, 처리 수단과 출력 수단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배치하는 일체형 컴퓨터 또는 스마트 TV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일체형 컴퓨터 또는 스마트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는 처리 수단이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처리수단의 예로는 메인보드, 저장매체, 입출력 포트 등이 있다.
그런데, 기존의 경우 저장매체를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저장매체의 외부에 저장매체 고정부를 설치하여 나사 등을 사용하여 저장매체를 디스플레이 배면에 고정시키고, 메인보드에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저장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Hard Disk Drive : HDD)) 들어가기 위해 종래에는 메인보드 뿐만 아니라, 세컨드 보드가 필요하였고, 저장매체를 고정하기 위한 저장매체 고정부가 별도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내부 구성의 배치가 복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저장매체가 배치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경우 스크류 또는 볼트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내면에 저장매체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내부에 저장매체를 배치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매체를 교환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저장매체에 연결된 고정수단을 제거한 뒤 저장매체를 외부로 빼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하여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상기 후면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정보를 처리하는 메인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저장수단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해 일면의 일부가 상기 저장수단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전면에서 돌출된 상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저장수단의 일단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저장수단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해 일면의 일부가 상기 저장수단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돌출된 하부지지부; 및 상기 상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수단이 삽입가능한 삽입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개구에 상기 저장수단이 삽입되면 상기 상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 사이에 상기 저장수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장매체가 후면커버에 형성된 지지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저장매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 없어 재료비 절감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 효과가 있다.
둘째, 기존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었던 세컨드 보드가 필요없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의 감소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가 저장매체를 교체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한 저장매체 고정상태를 해제할 필요 없이 저장매체를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탈부착할 수 있어 저장매체의 교체 및 수리가 간소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탈착 커버의 구성을 제거한 배면도.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커버 및 탈착 커버의 구성을 제거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수단(600)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커버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커버 중 저장수단(600)이 삽입되는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탈착 커버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탈착 커버의 전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커버와 탈착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저장수단(600)이 결합되는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저장수단(600)이 결합된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커버 및 탈착커버의 배면 일부를 잘라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탈착커버의 구성을 제거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커버및 탈착커버의 구성을 제거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0), 전면커버(200), 후면커버(300), 탈착커버(400), 메인보드(500) 및 저장수단(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메인보드(5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보드(500)의 작동에 의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엘씨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공지기술 인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면커버(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200)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상부 전면커버(200)의 중앙에는 내부의 카메라 유닛이 배면에 연결되기 위한 카메라개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300)는 상기 전면커버(200)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300)는 배면의 중앙부에 기 설정된 크기의 부착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홈(310)에는 상기 탈착커버(400)가 부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착홈(310)에는 상기 메인보드(500) 및 다 수의 입출력 포트와 연결되기 위한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입출력개구(30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홈(310) 하부의 상기 후면커버(300)에는 다 수의 입출력 포트가 결합되기 위한 제2 입출력개구들이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착홈(31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연결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 USB 단자, 스피커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300)에 대한 자세한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한다.
상기 탈착커버(400)는 상기 후면커버(300)에 부착 또는 탈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후면커버(300)의 상기 부착홈(310) 내부의 공간에 형성된 다 수의 개구를 차폐하고, 상기 다 수의 개구를 통해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착커버(400)의 자세한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한다.
상기 메인보드(5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처리수단에는 메인보드(5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보드(500) 상에는 중앙 처리 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입출력 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처리수단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500)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수단(600)이 연결될 수 있는 저장수단 연결포트(5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수단(600)은 상기 메인보드(500)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보드(500) 내에서 처리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6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 또는 탈거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임의로 상기 저장수단(600)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수단(600)의 분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수단(600)은 저장부(610), 제1 완충부(620), 제2 완충부(630) 및 연결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10)는 상기 메인보드(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저장디스크(예를 들어, SSD : Solid-State Driv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610)는 상기 연결부(640)가 연결되기 위해 일단에 입출력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620) 및 상기 제2 완충부(630)는 각각 상기 저장부(610)의 양 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완충부(620)는 상기 저장부(610)의 상면을 감쌀 수 있고, 상기 제2 완충부(630)는 상기 저장부(610)의 하면을 감쌀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의 상면 및 하면이란, 도면상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저장부(610)에서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상하면을 의미하고, 제1 완충부 및 제2 완충부의 일단은 저장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이며, 제1 완충부 및 제2 완충부의 타단은 저장부의 타단에 대응된다. 또한, 제1 완충부의 상면은 상기 저장수단의 상면을 감싸는 면의 반대면이고, 제2 완충부의 하면은 상기 저장수단의 하면을 감싸는 면의 반대면이다. 또한, 상기 제1 완충부(620) 및 상기 제2 완충부(630)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완충부(620) 및 상기 제2 완충부(630)는 상기 저장부(610)가 상기 후면커버(300)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610)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40)는 상기 저장부(610)와 상기 메인보드(500)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640)의 일단은 상기 저장부(610)의 타단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640)의 타단은 상기 메인보드(500)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저장부(610)와 상기 메인보드(5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부(640)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저장부(610) 및 상기 메인보드(500)의 입출력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후면커버(300) 및 탈착커버(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커버 중 저장수단이 삽입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탈착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탈착커버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커버와 탈착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저장수단이 결합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후면커버(300)의 배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홈(310)의 일부에는 상기 저장수단(600)이 삽입되는 삽입개구(30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홈(310)에는 상기 탈착커버(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삽입개구(303)의 일부는 상기 저장수단(600)의 폭 이상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장수단(600)이 상기 삽입개구(303)로 삽입되어 상기 후면커버(3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배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수단(600)은 상기 제1 완충부(620) 및 제2 완충부(630)의 타단이 먼저 삽입되고 일단이 나중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저장수단(600)은 상기 제1 완충부(620) 및 제2 완충부(63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300)는 상기 삽입개구(303)에 의해 삽입되는 상기 저장수단(600)의 상면 및 하면를 지지하기 위해서, 전면에 상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저장수단(60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6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수단(600) 일단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320)는 상기 저장수단(600)의 상면, 상세히, 상기 저장부(610)의 상면을 감싸는 상기 제1 완충부(620)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일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지지부(320)는 상기 저장수단(600)이 상기 삽입개구(303)를 통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면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저장수단(600)을 가이드하고 상기 저장수단(600)의 상면 일부 및 일단 일부를 지지하는 제1 상부지지부(321)와, 상기 저장수단(600)의 상면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제2 상부지지부(325)와, 상기 저장수단(600)의 타단 및 상면이 연장되는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3 상부지지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지지부(321)는 상기 삽입개구(303)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1 상부돌출리브(322)와, 상기 제1 상부돌출리브(32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지면에 수직하게 하방으로 돌출된 제2 상부돌출리브(323)와, 상기 제2 상부돌출리브(323)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후면커버(300)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높이가 상기 저장수단(600)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짐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600)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상부 가이드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가이드부(324)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고, 이 경우 낮아진 돌출높이는 상기 저장수단(600)의 폭 이상의 높이일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지지부(325)는 상기 저장수단(600)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면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일면의 일부가 상기 저장수단(60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상부지지부(325) 일면의 일부는 상기 제1 완충부(620)의 상면 일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저장수단(6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상부지지부(326)는 상기 저장수단(600)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면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상기 제1 완충부(620)의 일단(621)이 접촉하기 위해 일면이 지면에 수직하도록 돌출된 제3 상부돌출리브(327)와, 상기 제3 상부돌출리브(327)의 상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면이 지면에 수평하도록 돌출된 제4 상부돌출리브(328)와, 상기 제4 상부돌출리브(328)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만큼 상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5 상부돌출리브(3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330)는 상기 저장부(610)의 상면, 상세히, 상기 저장부(610)의 하면을 감싸는 상기 제2 완충부(630)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세 수평한 방향으로 일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지지부(330)는 상기 저장수단(600)이 상기 삽입개구(303)를 통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면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저장수단(600)을 가이드하고 상기 저장수단(600)의 하면 일부 및 일단 일부를 지지하는 제1 하부지지부(331)와, 상기 저장수단(600)의 하면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제2 하부지지부(335)와, 상기 저장수단(600)의 타단 및 하면이 연장되는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3 하부지지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지지부(331)는 상기 삽입개구(303)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1 하부돌출리브(332)와, 상기 제1 하부돌출리브(33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지면에 수직하게 하방으로 돌출된 제2 하부돌출리브(333)와, 상기 제2 하부돌출리브(333)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후면커버(300)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높이가 상기 저장수단(600)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짐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600)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하부 가이드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가이드부(334)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고, 이 경우 낮아진 돌출높이는 상기 저장수단(600)의 폭 이상의 높이일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지지부(335)는 상기 저장수단(600)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면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일면의 일부가 상기 저장수단(600)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하부지지부(335) 일면의 일부는 상기 제2 완충부(630)의 하면 일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저장수단(6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부지지부(336)는 상기 저장수단(600)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면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상기 제2 완충부(630)의 일단(631)이 접촉하기 위해 일면이 지면에 수직하도록 돌출된 제3 하부돌출리브(337)와, 상기 제3 하부돌출리브(337)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면이 지면에 수평하도록 돌출된 제4 하부돌출리브(338)와, 상기 제4 하부돌출리브(338)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만큼 하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제5 하부돌출리브(3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커버(400)는 상기 후면커버(300)의 상기 부착홈(31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부착홈(310)에 결합 또는 탈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면커버(300)의 상기 부착홈(310)에는 다 수개의 결합개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면에서 상기 부착홈(310)에 형성된 다 수개의 결합개구(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 수개의 결합리브(401)가 형성되어 상기 탈착커버(400)가 상기 부착홈(310)에 결합할 때, 상기 다 수개의 결합리브(401)가 상기 다 수개의 결합개구(312)에 억지끼움 또는 후크형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커버(400)와 상기 후면커버(300)를 연통하는 연통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연통개구에 나사 등을 결합하여 상기 탈착커버(400)를 상기 후면커버(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합방식은 일 예로 제시한 것이고 실제 결합방식에 대한 제한은 없다.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면 일측에는 제4 상부지지부(410) 및 제4 하부지지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수단(600)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탈착커버(400)를 상기 후면커버(300)의 상기 부착홈(310)에 결합시키면, 상기 제4 상부지지부(410)는 상기 저장수단(600)의 타단의 상측에 접촉하고, 상기 제4 하부지지부(420)는 상기 저장수단(600) 타단의 하측에 접촉하여, 상기 저장수단(600)을 지지한다.
상기 제4 상부지지부(410)는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면 일측에서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4 상부지지부(410)는 상기 후면커버(300)에 상기 탈착커버(400)가 결합되면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면 상부를 압착하기 위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부압착부(411)와, 상기 상부압착부(411)의 일단에서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방으로 상기 상부압착부(411)의 돌출높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단의 상측에 접촉하여 상기 저장수단(600)을 지지하는 제6 상부돌출리브(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하부지지부(420)는 상기 제4 상부지지부(410)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단 길이만큼 이격된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면 일측에서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4 하부지지부(420)는 상기 후면커버(300)에 상기 탈착커버(400)가 결합되면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면 하부를 압착하기 위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방으로 돌출된 하부압착부(421)와, 상기 하부압착부(421)의 일단에서 상기 탈착커버(400)의 전방으로 상기 하부 압착부의 돌출높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단의 하측에 접촉하여 상기 저장수단(600)을 지지하는 제6 하부돌출리브(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후면커버(30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는 이격 거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1 상부지지부(321), 상기 제2 상부지지부(325) 및 상기 제3 상부지지부(326)는 상기 제1 하부지지부(331), 상기 제2 하부지지부(335) 및 상기 제3 하부지지부(336)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커버(400)의 제4 상부지지부(410)와 상기 제4 하부지지부(420)는 이격 거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수단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저장수단이 결합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커버 및 탈착커버의 배면 일부를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저장수단(600)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단을 상기 삽입개구(303) 쪽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수단(600)의 타단은 상기 제1 상부지지부(321) 및 상기 제1 하부지지부(331)에 각각 형성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324)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334)를 통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정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경사 각도만큼 기울어져 상기 삽입개구(303)에 삽입된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수단(600)을 삽입한 뒤, 상기 삽입방향으로 상기 저장수단(60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저장수단(600)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후면커버(300)의 정면에 형성된 상부지지부 및 하부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저장수단(60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 완충부(620)의 일단(621) 모서리 부분이 상기 제3 상부지지부(326)에 접촉되고, 상기 저장수단(60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제2 완충부(630)의 일단(631) 모서리 부분이 상기 제3 하부지지부(336)에 접촉되어,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단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완충부(620)의 상면 일부와 상기 제2 완충부(630)의 하면 일부가 각각 상기 제2 상부지지부(325) 및 상기 제2 하부지지부(335)에 접촉되어 상기 저장수단(600)의 중앙부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완충부(620)의 타단(622) 쪽 상면과 상기 제2 완충부(630)의 타단(632) 쪽 하면은 상기 제1 상부지지부(321) 및 상기 제1 하부지지부(331)에 접촉하여 상기 저장수단(600)의 상면 및 하면의 타단쪽을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탈착커버(400)를 상기 후면커버(3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후면커버(300)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부착홈(310)의 다 수개의 결합개구(312)에 상기 탈착커버(400)에 형성된 다 수개의 결합리브(401)를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탈착커버(400)가 상기 부착홈(310)에 결합되면 상기 탈착커버(400)의 정면에 형성된 상기 제4 상부지지부(410)의 제6 상부돌출리브(412)가 상기 제1 완충부(620)의 타단(622)에 접촉하고, 상기 제4 하부지지부(420)의 제6 하부돌출리브(422)가 상기 제2 완충부(630)의 타단(632)에 접촉하여 상기 저장수단(600)의 타단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4 상부지지부(410)의 상부압착부(411)가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면 상부를 압착하고, 상기 제4 하부지지부(420)의 하부압착부(421)가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면 하부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배면이 상기 저장수단(600)의 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저장수단(600)의 일면은 상기 제4 상부지지부(410)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저장수단(600)이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수단(600)을 후면커버(300)에 삽입한 후, 상기 저장수단(600)의 타단에 연결된 연결부(640)의 일단을 상기 메인보드(500)에 형성된 저장수단 연결포트(501)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저장수단(600)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4)

  1.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하여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상기 후면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정보를 처리하는 메인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저장수단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해 일면의 일부가 상기 저장수단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전면에서 돌출된 상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저장수단의 일단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저장수단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해 일면의 일부가 상기 저장수단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돌출된 하부지지부; 및
    상기 상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수단이 삽입가능한 삽입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개구에 상기 저장수단이 삽입되면 상기 상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 사이에 상기 저장수단이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배면에 결합 또는 탈거 가능한 탈착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의 배면에 결합되면, 상기 탈착커버의 전면 일부가 상기 저장수단의 일면을 압착하고 상기 저장수단의 일단에 접촉하여 상기 저장수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정보가 저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단에 입출력 포트가 형성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면을 감싸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제1 완충부;
    상기 저장부의 하면을 감싸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제2 완충부; 및
    상기 저장부의 일단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보드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2 완충부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상기 저장수단이 상기 삽입개구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삽입개구를 통해 상기 저장수단이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저장수단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 완충부의 상면 과 일단을 지지하는 제1 상부지지부;
    상기 제1 완충부의 상면 중앙부를 지지하기 위해 일면의 일부가 상기 제1 완충부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돌출된 제2 상부지지부; 및
    상기 제1 완충부의 상면과 타단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된 일면이 절곡된 제3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삽입개구를 통해 상기 저장수단이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저장수단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2 완충부의 하면과 일단을 지지하는 제1 하부지지부;
    상기 제2 완충부의 하면 중앙부를 지지하기 위해 일면의 일부가 상기 제2 완충부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돌출된 제2 하부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부의 하면 및 타단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된 일면이 절곡된 제3 하부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탈착커버가 부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홈에는 상기 삽입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홈에는 다 수개의 결합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탈착커버의 정면에는 상기 다 수개의 결합개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 수개의 결합리브가 돌출되며,
    상기 다 수개의 결합개구에 상기 다 수개의 결합리브가 삽입되어 상기 탈착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커버는,
    상기 탈착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완충부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1 완충부를 상기 후면커버의 전방으로 압착하도록 전면에 돌출된 제4 상부지지부; 및
    상기 상기 탈착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결합되면 상기 제2 완충부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완충부를 상기 후면커버의 전방으로 압착하도록 돌출된 제4 하부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지지부는,
    상기 삽입개구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면커버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1 상부돌출리브;
    상기 제1 상부돌출리브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지면에 수직하게 하방으로 돌출된 제2 상부돌출리브 및
    상기 제2 상부돌출리브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부지지부는,
    상기 일면이 지면에 수직하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3 상부돌출리브;
    상기 제3 상부돌출리브의 상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면이 지면에 수평하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4 상부돌출리브; 및
    상기 제4 상부돌출리브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만큼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5 상부돌출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지지부는,
    상기 삽입개구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면커버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1 하부돌출리브;
    상기 제1 하부돌출리브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지면에 수직하게 상방으로 돌출된 제2 하부돌출리브 및
    상기 제2 하부돌출리브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진 하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부지지부는,
    상기 일면이 지면에 수직하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3 하부돌출리브;
    상기 제3 하부돌출리브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면이 지면에 수평하도록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4 하부돌출리브; 및
    상기 제4 하부돌출리브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만큼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5 하부돌출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상부지지부는,
    상기 탈착커버의 전면 일측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탈착커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완충부를 압착하는 상부압착부; 및
    상기 상부압착부의 일단에서 상기 탈착커버의 전방으로 상기 상부압착부의 돌출높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상기 제1 완충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6 상부돌출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하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압착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탈착커버의 전면 일측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탈착커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완충부를 압착하는 하부압착부; 및
    상기 하부압착부의 일단에서 상기 탈착커버의 전방으로 상기 하부압착부의 돌출높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상기 제2 완충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6 하부돌출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9706A 2015-08-03 2015-08-0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706A KR102495837B1 (ko) 2015-08-03 2015-08-03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706A KR102495837B1 (ko) 2015-08-03 2015-08-0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229A true KR20170016229A (ko) 2017-02-13
KR102495837B1 KR102495837B1 (ko) 2023-02-03

Family

ID=5815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706A KR102495837B1 (ko) 2015-08-03 2015-08-0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8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389Y1 (ko) * 2006-01-16 2006-04-06 아프로하이테크주식회사 다기능 엘씨디 모니터 시스템
KR100682671B1 (ko) * 2005-11-02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디바이스 베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71B1 (ko) * 2005-11-02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디바이스 베이
KR200413389Y1 (ko) * 2006-01-16 2006-04-06 아프로하이테크주식회사 다기능 엘씨디 모니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837B1 (ko)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427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KR102116932B1 (ko)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220257A1 (en) Display module, display-module support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TTO20060905A1 (it) Dispositivo elettronico portabile avente un'unita a disco rigido rimovibile
USRE48588E1 (en) Storage unit combining module capable of loading several storage units, storage unit moving suit and related server apparatus having several storage unit combining modules
US20130217255A1 (en) Locking mechanism for connector
EP2977814A1 (en) Display device
US20150247967A1 (en) Display device
US20070170337A1 (en) Stand structure
US7969726B2 (en) Fixing mechanism for storage device
KR201700162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0109717U (zh) 支撑架
US20120039068A1 (en) Display device
US20080252861A1 (en) Rear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JP2008129474A (ja) 表示装置
US20140362554A1 (en) Display Device
US20050068719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keyboard
US8199483B2 (en) Optical disc drive retenti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JP6685173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1385775B1 (ko) 디지털 영상 녹화장치
JP6402048B2 (ja) 電子機器及び支持構造
TW201242493A (en) Enclosure
JP2012058330A (ja) 液晶表示装置
TWI413476B (zh) 顯示裝置
US20110085292A1 (en) Arrangement of computer h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