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180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180A
KR20170016180A KR1020150109607A KR20150109607A KR20170016180A KR 20170016180 A KR20170016180 A KR 20170016180A KR 1020150109607 A KR1020150109607 A KR 1020150109607A KR 20150109607 A KR20150109607 A KR 20150109607A KR 20170016180 A KR20170016180 A KR 20170016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nozzle
tub
passage
back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845B1 (ko
Inventor
김승훈
우상우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0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845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01537.7A priority patent/CN106561080B/zh
Priority to JP2016567493A priority patent/JP6334002B2/ja
Priority to CA2947013A priority patent/CA2947013C/en
Priority to BR112016026778-8A priority patent/BR112016026778B1/pt
Priority to US15/323,906 priority patent/US10251529B2/en
Priority to PCT/KR2016/007960 priority patent/WO2017022985A1/en
Priority to EP16833221.1A priority patent/EP3331413A4/en
Priority to RU2016150367A priority patent/RU2683661C1/ru
Priority to AU2016301808A priority patent/AU2016301808B2/en
Publication of KR2017001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룰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와; 상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과;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을 향해서 스팀을 분사하는 제1스팀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도어에 구비된 스팀노즐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대상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전기기이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종래 식기세척기는 세척수를 가열하여, 가열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대상을 세척하거나 세척대상에 스팀을 공급하여 세척대상을 세척 및 살균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섬프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를 통해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함으로써 온수를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이었다. 또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팀발생기를 구비하여 스팀을 발생시켰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스팀을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터브의 측면에 스팀노즐을 구비하고 스팀노즐과 상기 스팀발생기 사이를 스팀호스로 연결하여 구비하였다.
이 경우, 터브의 측면에서 제공되는 스팀만으로는 세척대상의 전면을 스팀에 노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랙의 양 측면에 구비된 세척대상에만 스팀이 공급되어 랙의 중심부에 구비된 세척대상에는 스팀이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터브의 측면에서만 스팀이 공급되므로 터브 내부의 세척공간의 온도분포가 고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터브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세척대상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의 도어에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프 또는 펌프에 연결되 스팀노즐에 역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구부룰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와; 상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과;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을 향해서 스팀을 분사하는 제1스팀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스팀노즐은 상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어 스팀이 터브의 하부 및 상부에 골로루 퍼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스팀노즐의 분사방향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스팀노즐에 스팀을 연공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스팀노즐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하는 제1스팀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팀유로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공간을 통해서 상기 제1스팀유로가 상기 제1스팀노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스팀유로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는 고무 재질을 가진다. 따라서, 도어가 열고 닫힐 경우 호스에 비틀임 응력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제1스팀유로의 소정 구간을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스팀노즐은 스팀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스팀수용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노즐하우징과; 상기 스팀수용부로 스팀이 공급되도록 상기 노즐하우징에 구비된 수용부인입구와; 상기 스팀수용부에 저장된 스팀을 세척대상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하우징에 구비된 다수개의 수용부배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인입구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팀 공급원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는 상기 제1스팀유로는 상기 터브의 하부에 구비된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섬프의 내부에 구비된 섬프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팀유로의 일단은 상기 섬프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의 내부에 구비된 펌프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팀유로의 일단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의 전면뿐만 아니라 터브의 후면에서 스팀을 분사하여 터브의 내부 전체 공간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터브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을 향해서 스팀을 분사하는 제2스팀노즐과; 상기 제2스팀노즐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스팀노즐에 연결되며, 터브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제2스팀유로와; 상기 제2스팀유로와 스팀공급원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제2스팀유로의 길이를 상기 제2연결유로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2스팀노즐과 상기 터브의 후방면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스팀노즐과 상기 터브의 후방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소정거리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스팀노즐에 구비된 이물질 방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펌프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압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역압방지부는 상기 스팀노즐 내부 또는 상기 스팀유로 상에 체크밸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크밸브는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유로홀을 포함하는 제1격벽과; 상기 스팀유로홀을 개폐하기 위한 역압방지판과; 상기 역압방지판의 일측에 형성된 방지판고리와; 상기 제1격벽에 구비되며, 상기 방지판고리가 끼워져 상기 역압방지판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역압방지판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역압방지판이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역압방지판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스팀의 압력에 의해 움직인 상기 역압방지판에 부‹H혀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팀유로홀의 맞은편에 구비된 제2격벽에 상기 역압방지판이 수막현상에 의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격벽에 접촉방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브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세척대상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여 터브의 중심부에서 스팀을 공급하여 터브의 전체 공간에 스팀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의 도어에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도어에 스팀으 노즐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더해, 터브의 후방면에 노즐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열고 닫히면서 움직이는 도어에 구비된 노즐에 스팀을 공급하는 유로를 터브의 외부, 즉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공간에 구비하여 시각적으로 안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섬프 또는 펌프에 연결되 스팀노즐에 역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수의 분사압력이 줄어들어가 펌프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도어의 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1스팀노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1스팀노즐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1스팀노즐의 다른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서 터브 하측공간 및 도어 내부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에서 제1스팀유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터브의 후방면에 구비된 제2스팀노즐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2스팀노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2스팀노즐의 단면도 및 내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스팀노즐에 구비된 이물질 방지리브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스팀노즐에 구비된 역압방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스팀유로에 구비된 역압방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역압방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터브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캐비닛(1)과,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2)와, 상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711, 713)과,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3)와,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도어(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제품의 외관을 이루며, 일측에 개구부(11)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11)는 상기 터브(2)의 내부에 연통한다.
상기 터브(2)는 내부에 세척공간(21)을 구비하고, 세척공간(21)에는 수납되는 랙(rack)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은 터브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는 상부랙(23), 상기 상부랙(23)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랙(2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도어(13)를 열어 터브(2)를 개방한 후 상기 상부랙(23) 또는 하부랙(25)을 터브(2)에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랙이 상부랙(23) 및 하부랙(25)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분사암(711, 713)은 상부랙(23)의 하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암(711)과, 하부랙의 하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암(713)과, 상부랙(23)의 상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암(715)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암(711, 713)에서 세척대상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섬프(3)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섬프(3)는 터브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부(31)를 포함한다. 저장부(31)는 세척대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섞인 세척수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섬프(3)는 상부에 섬프커버(33)를 구비하여 터브(2)와 구분된다. 이 경우, 섬프커버(33)는 상기 터브(2) 내부를 섬프(3) 내부와 연통시키는 회수홀(33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섬프(3)는 급수유로(311)를 통해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는데, 상기 급수유로(311)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급수밸브(3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는 배수유로(313) 및 배수펌프(314)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섬프(3)에 저장된 물은 후술할 펌프(8) 및 제1공급유로(731)를 통해 상기 분사암(711, 713)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1공급유로(731)는 펌프(8)와 탑암(715)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제1공급유로(731)는 터브(2)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터브(2) 내부에 구비되며, 터브(2)의 일측면을 타고 터브(2)의 상측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부암(711)은 상기 제1공급유로(731)에서 분지된 제3공급유로(735)에 연결되며, 제3공급유로(73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부암(713)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터브(2)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제2공급유로(733)에 연결되며, 제2공급유로(733)는 섬프(3) 또는 펌프(8)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100)는 상기 분사암(711, 713)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8)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8)는 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 바디(82), 상기 바디 내부의 공간을 구분하여 바디(82) 내부에 제1챔버(C1)와 제2챔버(C2)를 형성시키는 섬프격벽(84), 상기 섬프격벽(84)에 구비되어 제1챔버(C1)와 제2챔버(C2)를 연통시키는 연통홀(86), 상기 섬프(3)와 제1챔버(C1)를 연결하는 유입부(841), 상기 제2챔버와 제1공급유로(731)를 연결하는 세척수배출부(845), 상기 제2챔버(C2) 내부에 구비되는 임팰러(85),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히터어셈블리(H)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8)는 상기 섬프(3)와 연결로(35)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로(35)는 섬프(3)의 저장부(31)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고, 펌프(8)의 유입부(841)에 연결된다.
상기 히터어셈블리(H)는 상기 제1챔버(C1)의 바닥면을 형성하므로, 본 발명은 세척수 가열기능과 세척수 순환기능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펌프(8)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히터어셈블리(H)는 펌프히터(83)를 제1챔버(C1)에 노출되게 구비하여 세척수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히터어셈블리(H)는 섬프히터(83)를 히터하우징(833) 내부에 구비하고, 히터하우징(833)이 제1챔버(C1)의 바닥면을 형성하여 섬프히터(83)가 세척수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히터하우징(833)에 열을 전달하고 히터하우징(833)이 세척수를 가열하는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히터하우징(833)은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금속과 같은 도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85)는 연통홀(86)을 통해 제1챔버(C1)에서 제2챔버(C2)로 융비된 세척수를 세척수배출부(845)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바디의 외부에 구비된 임펠러 구동부(87)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7)는 상기 제2챔버(C2)의 상부에 구비된 모터(871) 및 펌프(8)를 관통하여 임펠러(85)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축(8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도어의 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1스팀노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1스팀노즐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1스팀노즐의 다른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스팀노즐(4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100)는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척대상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스팀을 터브의 측면에서만 분사하여 랙의 양측면에 놓인 세척대상에만 스팀의 분사가 집중되어 터브의 내부에 스팀 분사 커버리지가 편중적이었으며, 식기간 온도가 균일하게 상승하기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도어(13)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을 향해서 스팀을 분사하는 제1스팀노즐(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 내부의 식기로 고른 스팀 분사가 가능하여 세척대상의 양단에만 집중된 스팀의 영향이 아닌 전체적인 스팀의 영향을 세척대상 전체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의 내면이란 터브(2) 내부의 세척공간(21)에 접하는 도어(13)의 표면을 말한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13)는 식기세척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전면패널(131)과, 도어의 내면을 이루는 후면패널(133)과, 전면패널(131)과 후면패널(133) 사이에 구비된 도어 내부공간(135)으로 이뤄질 때에 상기 도어(13)의 후면패널(133)에 제1스팀노즐(42)이 구비되는 경우를 말한다.
한편, 상기 제1스팀노즐(42)은 상기 도어(13)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뜨거운 스팀이 상승하는 성질을 이용하기 위함으로 세척공간의 하부뿐만 아니라 세척공간의 상부에도 스팀이 골고루 전달되기 위함이며, 세척대상의 온도 상승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스팀노즐(42)의 분사방향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제1스팀노즐(42)의 분사방향은 상부랙(23) 또는 하부랙(25)에 놓인 세척대상을 향해 분사된다. 이는 제1스팀노즐(42)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직접적으로 세척대상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구비된 일 예 및 다른 예의 제1스팀노즐(42)은 스팀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제1스팀수용부(423)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1노즐하우징(421)과, 상기 제1스팀수용부(423)로 스팀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노즐하우징(421)에 구비된 제1수용부인입구(425)와 상기 제1스팀수용부(423)에 저장된 스팀을 세척대상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제1노즐하우징(421)에 구비된 다수개의 제1수용부배출단(4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하우징(421)은 상기 제1스팀수용부(423)를 형성하고, 제1수용부인입구(425)가 구비된 제1하부노즐하우징(421b)과, 상기 제1하부노즐하우징(421b)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스팀수용부(423)를 형성하는 제1상부노즐하우징(421a)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수용부배출단(427)은 제1하부노즐하우징(421b)에 구비되며, 상기 제1수용부배출단(427)이 관통할 수 있는 제1배출단관통홀(428)이 제1상부노즐하우징(421a)에 구비된다. 제1수용부배출단(427)은 제1스팀수용부와 연통하는 제1입구(427a)와 제1입구에 연결되며 실제로 스팀이 배출되는 제1수용부배출단의 일단에 구비된 제1배출구(427b)로 구비된다. 즉, 제1입구(427)은 제1스팀수용부에 구비되며, 제1배출구는 제1노즐하우징 외부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노즐하우징(421)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수용부인입구(425)와 연통하여 외부로부터 제1스팀노즐(42)에 스팀을 공급하는 제1노즐삽입부(4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상부노즐하우징(421a)과 상기 제1하부노즐하우징(421b)은 후크로 체결되며, 제1상부노즐하우징과 제1하부노즐하우징 사이의 이음부로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가스켓(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가스켓(424)은 고무로 인서트 사출에 만들며, 제1노즐하우징(421)의 이음새를 실링하여 스팀을 밀폐하는 역할 및 도어(13)의 내면과 제1스팀노즐(42) 사이를 실링하여 도어와 제1스팀노즐(42)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노즐가스켓(424)은 제1노즐하우징(421)의 이음새 부분만 덮는 구조와 제1하부노즐하우징(421b)의 전면을 감싸는 구조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하우징(421)은 상기 도어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다수개의 제1수용부배출단(427)을 구비한다. 이는 세척공간에 전체적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스팀노즐(42)은 제1노즐하우징(421)의 외부에 구비된 제1노즐데코(429)를 더 포함하여 노즐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스팀수용부(423)는 제1수용부인입구(425)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수용부인입구(425)에서 멀어질수록 제1스팀수용부(423) 내 스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제1스팀배출단(427)에서 토출되는 스팀의 압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수용부인입구(425)에서 멀어질수록 제1스팀수용부(423)의 단면적을 작아지게하여 제1스팀배출단(427)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분사압력이 일정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노즐하우징(421)은 제1상부노즐하우징(421a)과 제2하부노즐하우징(421b)을 결합하여 실링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리브(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422)는 상기 제1상부노즐하우징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상부리브(422a)와, 제1하부노즐하우징에서 상부로 돌출된 하부리브(422b)로 구비된다. 상부리브(422a)와 하부리브(422b)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으로 구비하여 서로 겹쳐지게 구비되며, 제1스팀수용부(423)에서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상부노즐하우징(421a)와 제1하부노즐하우징(421b)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후크(424a)와 후크홀(424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서 터브 하측공간 및 도어 내부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에서 제1스팀유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스팀유로(4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는 터브 내부에 구비된 스팀노즐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터브의 일측을 관통하여 터브 내부로 연결된 스팀유로를 터브 내부에서 스팀노즐에 연결한다. 이 경우, 스팀유로는 호스로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식세척기는 도어(13)에 제1스팀노즐(42)을 구비하므로, 도어(13)를 열고 닫다보면, 제1스팀노즐(42)에 연결된 제1스팀유로가 터브(2) 내부에서 계속에서 움직이므로, 제1스팀노즐에서 제1스팀유로가 빠지거나 호스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팀유로를 터브 내부에 구비하면 스팀이나 랙의 움직임에 의해 호스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스팀노즐(42)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하는 제1스팀유로(44)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팀유로(44)는 터브(2)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스팀유로(44)가 제1스팀노즐(42)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터브(2)의 내부에서 제1스팀노즐(42)에 연결된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스팀노즐(42)은 도어(13)의 후면패널(133)의 일면에 구비되며, 제1스팀유로(44)는 도어(13)의 후면패널(133)의 다른 일면에 구비되며, 제1스팀노즐(42)은 도어(13)의 후면패널(133)을 관통하여 제1스팀유로(44)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1스팀노즐(42)의 제1노즐삽입부(426)는 후면패널(133)에 구비된 노즐삽입홀(1331)에 삽입되어 도어 내부공간(135)으로 돌출된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제1노즐하우징(421)과 도어 사이는 노즐가스켓(424)이 구비되어 스팀노즐삽입홀(1331)로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후면패널(133)의 안쪽면에 구비되며, 제1노즐삽입부(426)에 연결되어 스팀의 유로 방향을 수직하게 바꿔주는 스팀가이더(4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해 보면, 스팀가이더(428)는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측이 후면패널(133)에 수직하게 돌출된 제1노즐삽입부(426)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도어(13)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향해 휘어진 형상을 가지며, 제1스팀유로(44)에 연결된다.
이는 도어(13)의 후면패널(133)에 연결된 제1스팀유로(44)의 소정 길이가 도어의 회전축에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어를 반복해서 열고 닫음으로 해서 터브(2)의 하부측으로 연결된 제1스팀유로(44)에 비틀림 응력이 걸리게 하여 제1스팀유로(44)가 접히거나 구부러져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제1스팀유로(44)가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터브(2)의 하부측에 구비된 제1스팀유로(44)를 터브의 외부 하부면에서 좌측(또는 우측)에 고정한다. 즉, 도어가 열고 닫혀도 터브의 하부측에 고정된 제1스팀유로(44)가 움직이게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팀유로(44)가 터브의 하부 우측(또는 좌측)에서 구비된 경우상기 스팀가이더(428)를 적어도 도어(13)의 좌우 중심부보다 먼 좌측(또는 우측)에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놓이는 제1스팀유로(44)의 구간을 길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팀유로(44)는 도어(13)의 열고 닫히면서 발생하는 비틀림 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을 가지는 호스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100)는 제1스팀유로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는 별도의 스팀발생장치(미도시)를 터브의 하부에 구비하고, 제1스팀유로(44)를 스팀발생장치(미도시)에 연결하여 스팀을 제1스팀노즐(42)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섬프(3)의 내부에 섬프히터(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팀유로(44)를 섬프(3)의 일측에 연결하여 스팀을 제1스팀노즐(42)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앞서 설명한 펌프(8)에 구비된 펌프히터(83)를 이용하여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펌프히터(83)에서 생성된 스팀은 펌프(8)에 연결되 제1스팀유로(44)의 일단에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펌프(8)는 제1챔버(C1)의 바닥면에 히터어셈블리(H)가 구비되기 때문에 제1챔버(C1)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공급한 뒤 펌프히터(83)를 작동시켜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제1챔버(C1)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제1챔버(C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스팀배출구(8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구(843)는 제1스팀유로(44)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고 펌프(8)에서 생성된 스팀은 제1스팀유로(44)를 통해 제1스팀노즐(42)로 공급되어 터브로 분사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터브의 후방면에 구비된 제2스팀노즐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2스팀노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제2스팀노즐의 단면도 및 내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스팀노즐에 구비된 이물질 방지리브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터브의 후방면에서 스팀을 분사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브(2)의 후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을 향해서 스팀을 분사하는 제2스팀노즐(43)과, 상기 제2스팀노즐(43)에 스팀을 공급하는 제2스팀유로(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팀노즐(43)는 제1공급유로(73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팀노즐(43)은 터브(2)의 후방면(27)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는 터브(2)의 후방면(27)에서 하측(측면에서 아래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팀이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며, 스팀을 세척공간 전체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스팀노즐(43)은 세척대상을 향해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세척대상에 스팀을 공급하여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스팀노즐(43)은 제1스팀노즐과 유사하게, 스팀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제2스팀수용부(433)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2노즐하우징(431)과, 상기 제2스팀수용부(433)로 스팀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2노즐하우징(431)에 구비된 제2수용부인입구(435)와 상기 제2스팀수용부(433)에 저장된 스팀을 세척대상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제2노즐하우징(431)에 구비된 다수개의 제2수용부배출단(4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하우징(431)은 상기 제2스팀수용부(433)를 형성하고, 제2수용부인입구(435)가 구비된 제2하부노즐하우징(431b)과, 상기 제2하부노즐하우징(431b)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스팀수용부(433)를 형성하는 제2상부노즐하우징(431a)으로 구비되며, 제2수용부배출단(437)은 제2상부노즐하우징(431a)에 구비된다.
상기 제2노즐하우징(431)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2수용부인입구(435)와 연통하여 외부로부터 제2스팀노즐(43)에 스팀을 공급하는 제2노즐삽입부(436)를 포함하며, 제2노즐삽입부(436)는 제2스팀유로(45)에 연통하여 스팀을 공급받는다.
한편, 제2스팀유로(45)와 제2노즐삽입부(436) 사이에는 펌프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압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체크밸브(47)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노즐하우징(431a)과 상기 제2하부노즐하우징(431b)은 후크(434a) 및 후크체결부(434b)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제2상부노즐하우징과 제2하부노즐하우징 사이의 이음부로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스팀누설방지 리브(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누설방지 리브(432)는 제2상부노즐하우징(431a)에 구비된 상부 스팀누설방지 리브(432a) 및 제2하부노즐하우징(431b)에 구비된 하부 스팀누설방지 리브가 서로 맞물려서 실링된다. 예를 들어, 제2상부노즐하우징(431a)에 2개의 상부 스팀누설방지 리브(432a)가 구비되면, 제2하부노즐하우징(431b)에는 3개의 하부 스팀누설방지 리브(432b)를 구비하여 하부 스팀누설방지 리브(432b)의 리브 사이에 상부 스팀누설방지 리브(432a)가 끼워져 이중으로 실링되어 스팀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노즐하우징(431)은 상기 도어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다수개의 제2수용부배출단(437)을 구비한다. 이는 세척공간에 전체적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스팀수용부(433)는 제2수용부인입구(435)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2수용부인입구(435)에서 멀어질수록 제2스팀수용부(433) 내 스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제2스팀배출단(437)에서 토출되는 스팀의 압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수용부인입구(435)에서 멀어질수록 제2스팀수용부(433)의 단면적을 작아지게 하여 제2스팀배출단(437)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분사압력이 일정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스팀노즐(43)은 터브(2)의 후방면(27)과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가기 위하여 터브(2)의 후방면(27)에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는 세척대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터브의 벽면을 타고 내려오다가 제2스팀노즐(43)과 터브의 벽면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가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스팀노즐(43)과 터부의 후방면(27) 사이에 이격거리를 소정거리 이상 유지하기 위하여 제2스팀노즐에 이물질 방지리브(4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방지리브(438)는 제2스팀노즐(43)의 뒷면, 즉 제2하부노즐하우징(431b)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 방지리브(438)는 상하로 길게 구비되어 제2스팀노즐(43)과 터브 사이의 거리를 유지함과 동시에 이물질 방지리브(438) 사이가 세턱수가 흐를 수 있는 물길 역할을 한다. 따라서, 펌프(8)의 진동, 터브(2)의 진동 등에도 불구하고, 제2스팀노즐(43)과 터브(2)의 후방면(27)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다시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2스팀유로(45)는 터브(2)의 내부에 구비되며, 터브(2)의 하부면을 관통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스팀유로는 터브(2)의 내부에 구비된 제2스팀노즐(43)의 제2노즐삽입부(436)에 연결되며, 터브(2)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다른 일측이 터브(2)의 하부면(28)을 관통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스팀유로(45)와 스팀 공급원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터브(2)의 하부에 제2연결유로(46)를 포함한다. 즉, 스팀 공급원에서 제2스팀노즐(43)에 스팀을 공급하는 유로에서 터브 내부에 구비된 구간을 제2스팀유로(45)로 정의하며, 터브 외부에 구비된 구간을 제2연결유로(46)로 정의한다.
상기 스팀 공급원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스팀발생기, 섬프에 구비된 섬프히터, 펌프에 구비된 펌프히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스팀 공급원이 펌프(8)에 구비된 펌프히터(83)인 경우에 제2연결유로(46)는 펌프(8)의 제1챔버(C1)에 구비된 스팀배출구(843)에 연결된다. 또는 제2연결유로(46)는 제1스팀유로(44)에서 분지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분지된 부분에는 전환밸브(미도시)를 구비하여 제1스팀유로(44) 또는 제2연결유로(46)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하거나 개방/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2연결유로(46)는 펌프(8)에 연결되어 터브의 하부면(28)을 관통한 제2스팀유로(45)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2연결유로(46)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외기와의 온도에 의한 결로 및 응축으로 스팀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2연결유로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스팀유로(45)의 길이를 제2연결유로(46)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스팀노즐에 구비된 역압방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스팀유로에 구비된 역압방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역압방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역압방지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섬프(3)나 펌프(8)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압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섬프(3) 또는 펌프(8)에 제1스팀유로(44) 또는 제2스팀유로(45)가 연결된 경우 펌프(8)를 구동하여 세척수를 터브(2)로 분사하면 섬프(3) 또는 펌프(8)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므로 제1스팀유로(44) 또는 제2스팀유로(45)를 통해서 외기가 섬프(3) 또는 펌프(8)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 분사암(711, 71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낮아지거나 분사암(711, 713)에서 세척수를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펌프(8)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85)에 공기가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역압방지부는 펌프(8)에서 스팀이 생성되어 제1스팀유로(44) 또는 제2스팀유로(45)로 공급될 때는 스팀의 유로를 개방하고, 펌프(8)를 구동하여(임펠러를 구동하여) 세척수를 터브로 분사하는 때는 스팀의 유로를 폐쇄하는 체크밸브(47)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47)는 상기 제1스팀노즐 또는 제2스팀노즐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47)는 제1스팀유로 또는 제2스팀유로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우선, 스팀노즐 및 스팀유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체크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크밸브(47)는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유로홀(4711)을 포함하는 제1격벽(471)과, 상기 스팀유로홀(4711)을 개폐하기 위한 역압방지판(47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역압방지판(4713)은 스팀유로홀에서 분출하는 스팀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스팀유로홀(4711)을 개방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역압방지판(4713)은 중심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며, 이는 역압방지판(4713)이 스팀의 압력에 의해 들려졌다가 떨어지더라도 스팀유로홀(4711)의 내부에 역압방지판(4713)의 중심이 놓이면 펌프(8)의 역압에 의해 역압방지판(4713)의 중심이 스팀유로홀(4711)의 중심으로 놓이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여기서, 체크밸브(47)가 스팀노즐에 구비되는 경우 제1격벽(471)은 스팀노즐의 노즐하우징이 되며, 스팀유로홀(4711)은 수용부인입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체크밸브(47)가 스팀유로 상에 구비되는 경우는 제1격벽(471)은 제1스팀유로 또는 제2스팀유로를 폐쇄하고 스팀유로홀(4711)을 통해서 스팀이 토출되는 구조가 된다.
나아가, 상기 체크밸브(47)는 상기 역압방지판(4713)의 일측에 형성된 방지판고리(4715)와, 상기 제1격벽(471)에 구비되며 상기 방지판고리(4715)가 끼워져 상기 역압방지판(4713)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지판고정리브(47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역압방지판(4713)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며, 역압방지판(4713)이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47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역압방지판(4713)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스팀유로홀(4711)을 폐쇄 하지 못하도록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4716)는 제1격벽(471)에 구비되어 되거나 제1격벽(471)의 마주보는 면인 제2격벽(473)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5 참조)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역압방지판(4713)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스팀의 압력에 의해 움직이는 역압방지판(4713)에 부딪혀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토퍼(47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731)는 탄성부재인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역압방지판(4713)이 스팀의 압력에 의해 들어올려진 경우 스토퍼(4731)에 부딪혔다가 스토퍼의 탄성력이 복원력으로 작용하여 역압방지판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격벽(471)의 맞은편에 구비된 제2격벽(473)에 역압방지판(4713)이 수막현상에 의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격벽(473)에 접촉방지리브(47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방지리브(4732)는 역압방지판(4712)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접촉방지리브(4732)는 다수개를 이격시켜 구비하는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방지리브(4732)(또는 접촉방지리브 사이의 홈)를 경사지게 구비하여 스팀이 응축되어 물이 되었을 때 경사를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제2격벽(473)에 물이 고여 수막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1 개구부11 도어13
전면패널131 후면패널133 스팀노즐삽입홀1331
터브2 상부랙23 하부랙25
섬프3 저장부31 섬프커버33
연결로35 상부암711 하부암713
탐압715 제1공급유로731 제2공급유로733
제3공급유로735 제1스팀노즐42 제1노즐하우징421
노즐가스켓423 스팀가이더425 제1스팀유로44
제2스팀노즐43 제2스팀유로45 제2연결유로46
체크밸브47 제1격벽471 제2격벽473
스팀유로홀4711 역압방지판4713 스토퍼4731
펌프8 히터어셈블리H 펌프히터83

Claims (22)

  1. 개구부룰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와;
    상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과;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을 향해서 스팀을 분사하는 제1스팀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팀노즐은 상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팀노즐의 분사방향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팀노즐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하는 제1스팀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팀유로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공간을 통해서 상기 제1스팀유로가 상기 제1스팀노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팀유로는 호스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팀유로의 소정 구간을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팀노즐은
    스팀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스팀수용부를 내부에 구비하는 노즐하우징과;
    상기 스팀수용부로 스팀이 공급되도록 상기 노즐하우징에 구비된 수용부인입구와;
    상기 스팀수용부에 저장된 스팀을 세척대상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하우징에 구비된 다수개의 수용부배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인입구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팀유로는 상기 터브의 하부에 구비된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의 내부에 구비된 섬프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팀유로의 일단은 상기 섬프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의 내부에 구비된 펌프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팀유로의 일단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을 향해서 스팀을 분사하는 제2스팀노즐과;
    상기 제2스팀노즐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스팀노즐에 연결되며, 터브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제2스팀유로와;
    상기 제2스팀유로와 스팀공급원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팀유로의 길이를 상기 제2연결유로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2스팀노즐과 상기 터브의 후방면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스팀노즐과 상기 터브의 후방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소정거리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스팀노즐에 구비된 이물질 방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압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역압방지부는 상기 스팀노즐 내부 또는 상기 스팀유로 상에 체크밸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유로홀을 포함하는 제1격벽과;
    상기 스팀유로홀을 개폐하기 위한 역압방지판과;
    상기 역압방지판의 일측에 형성된 방지판고리와;
    상기 제1격벽에 구비되며, 상기 방지판고리가 끼워져 상기 역압방지판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역압방지판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역압방지판이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역압방지판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스팀의 압력에 의해 움직인 상기 역압방지판에 부딪혀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유로홀의 맞은편에 구비된 제2격벽에 상기 역압방지판이 수막현상에 의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격벽에 접촉방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50109607A 2015-08-03 2015-08-03 식기세척기 KR101737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07A KR101737845B1 (ko) 2015-08-03 2015-08-03 식기세척기
JP2016567493A JP6334002B2 (ja) 2015-08-03 2016-07-21 食洗機
CA2947013A CA2947013C (en) 2015-08-03 2016-07-21 Dishwasher
BR112016026778-8A BR112016026778B1 (pt) 2015-08-03 2016-07-21 Máquina de lavar louça
CN201680001537.7A CN106561080B (zh) 2015-08-03 2016-07-21 洗碟机
US15/323,906 US10251529B2 (en) 2015-08-03 2016-07-21 Dishwasher
PCT/KR2016/007960 WO2017022985A1 (en) 2015-08-03 2016-07-21 Dishwasher
EP16833221.1A EP3331413A4 (en) 2015-08-03 2016-07-21 DISHWASHER
RU2016150367A RU2683661C1 (ru) 2015-08-03 2016-07-21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AU2016301808A AU2016301808B2 (en) 2015-08-03 2016-07-21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07A KR101737845B1 (ko) 2015-08-03 2015-08-03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180A true KR20170016180A (ko) 2017-02-13
KR101737845B1 KR101737845B1 (ko) 2017-05-19

Family

ID=5794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07A KR101737845B1 (ko) 2015-08-03 2015-08-03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51529B2 (ko)
EP (1) EP3331413A4 (ko)
JP (1) JP6334002B2 (ko)
KR (1) KR101737845B1 (ko)
CN (1) CN106561080B (ko)
AU (1) AU2016301808B2 (ko)
BR (1) BR112016026778B1 (ko)
CA (1) CA2947013C (ko)
RU (1) RU2683661C1 (ko)
WO (1) WO201702298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476A1 (en) * 2017-08-31 2019-03-07 Lg Electronics Inc. WASTE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SAID PUMP
KR20190024481A (ko) * 2017-08-31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90097597A (ko)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20020315A (ko) * 2017-03-2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216A (ko) * 2017-01-26 2018-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80088215A (ko) * 2017-01-26 2018-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454768B1 (ko) * 2017-08-31 2022-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N107752948A (zh) * 2017-11-24 2018-03-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水槽洗碗机
CN110432846A (zh) * 2018-05-04 2019-11-12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中喷淋洗碗机的喷淋结构及具有该结构的洗碗机
KR102577548B1 (ko) * 2018-07-26 202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E102019211403A1 (de) * 2019-07-31 2021-02-0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US11191420B2 (en) 2019-11-04 2021-12-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ing appliance having a multi-zone drying assembly
KR20230097824A (ko) * 2021-12-24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20823Y (zh) 1995-05-29 1996-02-28 赵明辉 具有蒸汽杀菌的烘碗机
JP2003265394A (ja) 2001-02-26 2003-09-24 Toto Ltd 食器類洗浄装置
KR20060124268A (ko) 2005-05-31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스팀공급구조
EP1841352B1 (en) * 2005-05-31 2012-11-28 LG Electronics Inc. Dish washer and steam providing unit for the same
KR20060124273A (ko) * 2005-05-31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스팀공급구조
KR20070099358A (ko) * 2006-04-04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356495B1 (ko) * 2007-03-31 2014-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080105297A (ko) 2007-05-30 200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7909046B2 (en) 2007-05-31 2011-03-22 Lg Electronics Inc. Steam dish washing machine with effective positioning and orientation of items to be washed
US20090314316A1 (en) 2008-06-24 2009-12-24 Hall David R Steam Cleaner
CN101332075B (zh) 2008-07-23 2010-08-25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碗机
KR101579461B1 (ko) * 2008-11-25 2015-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식기세척기
PL2510864T3 (pl) 2011-04-12 2014-12-31 Lg Electronics Inc Zmywarka do naczyń
KR20120116326A (ko) 2011-04-12 2012-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03284675B (zh) 2012-02-27 2017-11-24 佛山市顺德区盛熙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洗碗机
KR20150109944A (ko) 2014-03-21 2015-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315A (ko) * 2017-03-2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9045476A1 (en) * 2017-08-31 2019-03-07 Lg Electronics Inc. WASTE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SAID PUMP
KR20190024481A (ko) * 2017-08-31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11295121A (zh) * 2017-08-31 2020-06-16 Lg电子株式会社 清洗泵和包括该清洗泵的洗碗机
US10820779B2 (en) 2017-08-31 2020-11-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RU2737309C1 (ru) * 2017-08-31 2020-11-26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Промывочный насос и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его
CN111295121B (zh) * 2017-08-31 2023-08-15 Lg电子株式会社 清洗泵和包括该清洗泵的洗碗机
KR20190097597A (ko)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P3533375A1 (en) 2018-02-12 2019-09-04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10952590B2 (en) 2018-02-12 2021-03-23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1413A1 (en) 2018-06-13
RU2683661C1 (ru) 2019-04-01
AU2016301808B2 (en) 2019-01-17
BR112016026778B1 (pt) 2022-06-21
AU2016301808A1 (en) 2017-03-16
CN106561080A (zh) 2017-04-12
BR112016026778A2 (ko) 2017-08-15
CA2947013C (en) 2019-07-23
JP2017526393A (ja) 2017-09-14
US10251529B2 (en) 2019-04-09
JP6334002B2 (ja) 2018-05-30
CA2947013A1 (en) 2017-02-03
WO2017022985A1 (en) 2017-02-09
EP3331413A4 (en) 2019-03-20
KR101737845B1 (ko) 2017-05-19
US20170196432A1 (en) 2017-07-13
CN106561080B (zh)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845B1 (ko) 식기세척기
KR101678442B1 (ko) 식기세척기
JP6291084B2 (ja) 食洗機
BR102016022915B1 (pt) Máquina de lavar
KR102487867B1 (ko) 식기세척기
KR20080089111A (ko) 식기세척기
US11737640B2 (en)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KR101054553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KR20170010550A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WO2011161853A1 (ja) 食器洗い機
KR101580125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방방지를 위한 운전방법
KR20170010549A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102461270B1 (ko) 식기세척기
KR102416453B1 (ko) 식기세척기
KR102394268B1 (ko)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180088215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