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094A -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094A
KR20170015094A KR1020160019910A KR20160019910A KR20170015094A KR 20170015094 A KR20170015094 A KR 20170015094A KR 1020160019910 A KR1020160019910 A KR 1020160019910A KR 20160019910 A KR20160019910 A KR 20160019910A KR 20170015094 A KR20170015094 A KR 2017001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ion
coding level
base station
terminal
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706B1 (ko
Inventor
장석호
안재현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1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AP)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부,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적합 판단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STA)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레벨 선택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OF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직교다분할전송(UL-OFDMA;Uplink-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선택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랜 표준화 그룹에서는 802.11ax라고 하여 802.11ac 대비 더욱 효율적인 네트워크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하는 태스크 그룹을 조직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태스크 그룹에서 목표를 지향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유력 기술에는 DL/UL OFDMA, CCAT adjustment, Outdoor access 등이 제시되고 있다.
여기서, UL-OFDMA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무선랜 구성에서 스테이션(STA)에서 AP(Access Point)로의 패킷 전송은 다음과 같다. 이때, OFDMA는 직교다분할전송으로, 주파수 대역을 수백 개로 쪼개고 각 대역마다 적절한 데이터 량을 할당하여 주파수간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대용량 데이터를 동시에 고속으로 보내는 기술로 와이브로의 핵심 기반기술이다.
스테이션은 AP로부터의 전송된 패킷의 시그널 세기를 측정하여 적합한 수준의 변조 및 부호화(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선택하여 AP로의 패킷 전송에 사용을 하게 된다. 하지만 채널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되므로 스테이션으로부터 AP로의 패킷 전송하는 상향링크 시점의 채널을 AP로부터 스테이션으로의 전송하는 하향링크 시점에서의 채널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서의 간섭 경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채널의 세기가 동일하더라도 수신 신호의 품질이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상향링크의 채널 세기가 상대적으로 약하거나 간섭이 많아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 해당 패킷 전송이 해당 링크에 적절하지 않아 실패를 하게 될 것이다. 이리하여, 스테이션은 AP로부터 ACK을 받지 않게 되며, 다음번 패킷 전송에서는 좀 더 낮은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여 전송을 하게 된다. 반대로, 상향링크의 채널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하거나 간섭이 적어 품질이 좋은 경우, 해당 패킷 전송은 성공하겠지만,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8-0040112호는 "채널 에러 보상 방법 및 변조 및 코딩 방식 선택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단말(STA)은 기지국(AP)이 제시한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다음번 전송부터 사용했으면 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상향링크 직교 다분할 전송에 피기백(piggy back)시키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이 제시한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는 경우, 단말이 제시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Grant message)을 단말에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이 제시한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단말에 전송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는 기지국(AP)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부;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적합 판단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STA)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레벨 선택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엔코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수신 확인 메시지의 preamble 또는 MAC header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수신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허용 판단부; 및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패킷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은 패킷 수신부에 의해, 기지국(AP)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적합 판단부에 의해,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레벨 선택부에 의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STA)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 및 메시지 전송부에 의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계에서,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엔코딩하여 수신 확인 메시지의 preamble 또는 MAC header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은, 메시지 수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허용 판단부에 의해, 수신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패킷 전송부에 의해,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이 제시한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다음번 전송부터 사용했으면 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상향링크 직교 다분할 전송에 피기백함으로써, 상향링크의 커버리지(coverage) 확장과 함께 평균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에서 기지국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출력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은 기지국(AP)과 다수개의 단말(STA1…STA4)로 구성되며, 상향링크 직교 다분할 전송(UL-OFDMA;Uplink-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상향링크 직교 다분할 전송 방식의 스케쥴링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기지국은 단말의 전송 파워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변조 및 부호화 레벨(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MCS)이 적합한지 알 수가 없다. 이때, 전송 파워가 부족하게 되면, 의도했던 전송률을 얻을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직교 다분할 전송에 적합한 통신 연결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말에 변조 및 부호화 레벨(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MCS)을 선택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100)는 크게 패킷 수신부(110), 적합 판단부(120), 레벨 선택부(130) 및 메시지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100)는 단말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킷 수신부(11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한다.
적합 판단부(120)는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레벨 선택부(130)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한다.
메시지 전송부(140)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를 피기백 전송이라 말한다.
보다 자세하게, 메시지 전송부(140)는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향링크 직교 다분할 전송을 수행한다.
메시지 전송부(140)는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가장 높은 변조 및 부호화 레벨 또는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에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엔코딩하여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 전송부(140)는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수신 확인 메시지의 preamble 또는 MAC header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에서 기지국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200)은 크게 메시지 수신부(210), 허용 판단부(220) 및 패킷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210)는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허용 판단부(220)는 수신된 수신 확인 메시지에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
패킷 전송부(230)는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는 경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한편, 패킷 전송부(230)는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에서, 단말이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한다(S100). 이때, 패킷은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S110).
S110 단계에서,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120).
S110 단계에서,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한다(S113).
다음, 단말은 가장 높은 변조 및 부호화 레벨 또는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엔코딩(S115)한 후 S120 단계로 이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에서, 기지국이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S200).
다음, 수신된 수신 확인 메시지에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가 포함 여부를 확인한다(S210).
S210 단계에서, 수신된 수신 확인 메시지에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처음 기지국이 원했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상향링크 직교 다분할 전송을 수행하는 S240 단계로 이동한다.
S210 단계에서, 수신된 수신 확인 메시지에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S220).
S220 단계에서,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는 경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S225)한 후, S240 단계로 이동한다.
S220 단계에서,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S230)한 후, S240 단계로 이동한다.
이처럼,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이 제시한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다음번 전송부터 사용했으면 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상향링크 직교 다분할 전송에 피기백함으로써, 상향링크의 커버리지(coverage) 확장과 함께 평균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110 : 패킷 수신부
120 : 적합 판단부
130 : 레벨 선택부
140 : 메시지 전송부
200 : 기지국
210 : 메시지 수신부
220 : 허용 판단부
230 : 패킷 전송부

Claims (9)

  1. 기지국(AP)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부;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적합 판단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STA)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레벨 선택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엔코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수신 확인 메시지의 preamble 또는 MAC header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수신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허용 판단부; 및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패킷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6. 패킷 수신부에 의해, 기지국(AP)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적합 판단부에 의해,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레벨 선택부에 의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STA)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 및
    메시지 전송부에 의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계에서,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통해 수신 확인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엔코딩하여 수신 확인 메시지의 preamble 또는 MAC header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선택된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은,
    메시지 수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허용 판단부에 의해, 수신된 수신 확인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의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패킷 전송부에 의해,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해당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음 패킷에 상기 기지국이 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방법.




KR1020160019910A 2015-07-31 2016-02-19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22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09160 2015-07-31
KR1020150109160 2015-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094A true KR20170015094A (ko) 2017-02-08
KR101922706B1 KR101922706B1 (ko) 2018-11-27

Family

ID=5815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910A KR101922706B1 (ko) 2015-07-31 2016-02-19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8907A (zh) * 2019-11-22 2021-05-25 上海新岸线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自适应调制编码方法、基站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096A (ko) * 2007-03-13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한 링크 적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8907A (zh) * 2019-11-22 2021-05-25 上海新岸线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自适应调制编码方法、基站及终端
CN112838907B (zh) * 2019-11-22 2023-09-19 上海新岸线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自适应调制编码方法、基站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706B1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47856B (zh) 侧边链路车联网通信方法及其用户设备
JP7246396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US9979581B2 (en) Control channel design for eLAA
JP686236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装置
US9451604B2 (en) Signaling and channel designs for D2D communications
KR102616547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협대역 신호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889324B (zh) 基于接收器的侧行链路资源选择设备和方法
US20180083761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U2529878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связи, беспроводная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KR1024319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00145212A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7835340B2 (en) Method of supporting multiple codes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1630914A (zh) 新无线电非授权中的物理上行控制信道的先听后说及信道接入优先级类别
CN110235499B (zh) 用于无线通信网络中侧行干扰协调的无线通信设备及方法
JP6486928B2 (ja) セルラ移動通信システムでのスケジューリング要請方法及び装置
WO20060732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a channel quality information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50903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CN108156662B (zh) 通信方法、基站和终端设备
US11490365B2 (en) Method to handle joint restriction of transmission resource and data QoS requirement
CN113923792A (zh) 下行数据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2586031A (zh) 无线通信方法和终端
CN107431943B (zh) 用户终端、无线基站、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KR101922706B1 (ko) 단말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581749B (zh) TD-LTE的VoLTE语音质量提升方法及装置
CN107041006B (zh)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