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545A -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545A
KR20170014545A KR1020150108106A KR20150108106A KR20170014545A KR 20170014545 A KR20170014545 A KR 20170014545A KR 1020150108106 A KR1020150108106 A KR 1020150108106A KR 20150108106 A KR20150108106 A KR 20150108106A KR 20170014545 A KR20170014545 A KR 2017001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
vehicle
image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296B1 (ko
Inventor
문주성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2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92Interactive image processing based on input by user
    • G06T2207/20101Interactive definition of point of interest, landmark or s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 관심지점(POI)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출력부 및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고 상기 저장부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면 상기 전방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POI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거리를 고려해 상기 영상출력부를 제어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상기 POI를 강조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POINT OF INTEREST}
본 발명은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관심지점을 표시하는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다니거나 차량 등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정확한 거리 및 소요시간을 알려주고, 목적지까지의 길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내비게이션 장치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는 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세슘(cesium) 원자시계가 설치된 24개의 GPS 위성들은 동일한 시각마다(초당 50회) 식별신호, 시간신호 및 위치신호를 발신하고 있으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신호를 적어도 4개(위치파악용 3개, 시간오차보정용 1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2차원 상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이렇게 파악된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지도데이터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를 계산하고, 계산된 최적경로를 따라 목적지까지의 길을 안내한다.
이에 더해 최근에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영상의 형태로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76734호(2013.07.0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심지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 관심지점(POI)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출력부; 및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고 상기 저장부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면 상기 전방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POI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거리를 고려해 상기 영상출력부를 제어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상기 POI를 강조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POI의 위치정보를 고려해 상기 영상출력부를 제어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상기 PO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드라이브 뷰모드를 통해 상기 PO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는 지구 자기장 정보를 측정하는 지자기센서; 및 차량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자기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방법은 제어부가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고 저장부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전방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방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POI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거리를 고려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상기 POI를 강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방법은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POI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상기 PO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방법은 상기 저장부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드라이브 뷰모드를 통해 상기 PO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지구 자기장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측정된 자기장 정보 및 각속도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판단된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스테레오 형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심지점의 위치 및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당 관심지점의 실제위치를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강조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관심지점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에서 증강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지점을 강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에서 증강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지점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에서 드라이브 뷰모드를 이용하여 관심지점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에서 증강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지점을 강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에서 증강현실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지점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에서 드라이브 뷰모드를 이용하여 관심지점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는 제어부(100), 영상촬영부(110), 위치정보수신부(120), 저장부(130), 지자기센서(140), 자이로센서(150) 및 영상출력부(160)을 포함한다.
영상촬영부(1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1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 즉 제1카메라(111)와 제2카메라(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촬영부(110)는 스테레오 형태의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1카메라(111)와 제2카메라(112)는 특정 이격거리만큼 떨어져서 설치될 수 있다.
위치정보수신부(120)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수신부(120)는 GPS,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위치정보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관심지점(POI)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일반적인 지도 데이터뿐만 아니라, 고정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저장부(130)에는 관심지점의 위치정보나 일반적인 도로 정보뿐만 아니라 건물의 형상, 도로의 형상 등 POI의 실제 형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지자기센서(140)는 지구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고, 자이로센서(150)는 차량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지자기센서(140) 및 자이로센서(150)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과정은 일반적인 추측항법(Dead Reckoning)의 수행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영상출력부(160)은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출력부(160)는 일반적인 영상뿐만 아니라,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출력부(160)는 헤드업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헤드업디스플레이 영상의 형태로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출력부(160)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증강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0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가상의 객체를 겹쳐서 하나의 화면을 형성하고, 이를 영상출력부(160)를 통해 표시하는 방식으로 증강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출력부(160)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동작방식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00)는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위치정보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에 따른 차량의 현재위치 및 지자기센서(140)와 자이로센서(150)의 측정결과에 따른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차량의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는 목적지, 경유지, 추천 POI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어부(10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전방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의 기준점을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00)는 차량의 전방영상에서 차선, 전신주, 가로수, 가드레일 등을 기준으로 소실점을 추출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고, 저장부(130)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면,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면, 이러한 형상 데이터와 전방영상을 비교 및 분석하여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전방영상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표출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전방영상에 근거하여 해당 POI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영상촬영부(110)의 제1카메라(111)와 제2카메라(112) 각각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하나의 영상이 아닌,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에 해당하고, 제어부(100)는 이러한 두 개의 카메라 사이의 거리, 각 카메라의 시야각, 초점거리 등을 미리 파악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삼각법을 사용하여 두 개의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POI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00)는 이러한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을 기준으로 한 해당 POI의 정확한 방향 등을 파악할 수도 있으므로, 차량을 기준으로 한 해당 POI의 정확한 위치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이렇게 파악된 해당 POI의 위치(거리)를 고려해 영상출력부(160)를 제어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해당 POI를 강조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해당 POI의 정확한 위치에 강조 표시가 겹쳐지도록 증강현실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전방영상에 해당 POI가 존재하지 않으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POI의 위치정보를 고려해 영상출력부(160)를 제어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해당 POI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전방영상에 해당 POI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POI가 사용자의 시야에 표출되지 않는 경우(해당 POI가 골목 안쪽에 위치한 경우 등)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10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POI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투시되는 형태처럼 해당 POI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시야를 가리는 건물 등을 흐려진 것 같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저장부(130)에 해당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드라이브 뷰모드를 통해 해당 POI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해당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증강현실의 형태로 해당 POI를 표시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드라이브 뷰모드를 사용하여 해당 PO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00)는 먼저 차량의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00). 즉 제어부(100)는 차량의 위치정보에 따른 차량의 현재위치 및, 지자기 측정결과와 차량의 각속도의 측정결과에 따른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차량의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의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면, 제어부(100)는 저장부(130)에 해당 POI의 형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210). 즉 저장부(130)에는 관심지점의 위치정보나 일반적인 도로 정보뿐만 아니라 건물의 형상, 도로의 형상 등 POI의 실제 형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단계(S210)의 확인결과, 저장부(130)에 해당 POI의 형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부(100)는 차량의 전방영상에 해당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20).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면, 이러한 형상 데이터와 전방영상을 비교 및 분석하여 촬영된 전방영상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표출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20)의 판단결과, 차량의 전방영상에 해당 POI가 존재하면, 제어부(100)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전방영상에 근거하여 해당 POI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S230). 즉 제어부(100)는 두 개의 카메라 사이의 거리, 각 카메라의 시야각, 초점거리 등을 미리 파악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삼각법을 사용하여 두 개의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POI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00)는 이러한 스테레오 형태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을 기준으로 한 해당 POI의 정확한 방향 등을 파악할 수도 있으므로, 차량을 기준으로 한 해당 POI의 정확한 위치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30)에서 산출된 거리를 고려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해당 POI를 강조시킨다(S240).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30)에서 파악된 해당 POI의 위치(거리)를 고려해 영상출력부(160)를 제어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해당 POI를 강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220)의 판단결과, 차량의 전방영상에 해당 POI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따른 해당 POI의 위치를 고려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해당 POI를 표시한다(S250). 즉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촬영된 전방영상에 해당 POI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POI가 사용자의 시야에 표출되지 않는 경우(해당 POI가 골목 안쪽에 위치한 경우 등)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POI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투시되는 형태처럼 해당 PO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210)의 확인결과, 저장부(130)에 해당 POI의 형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부(100)는 드라이브 뷰모드를 통해 해당 POI를 표시한다(S260). 즉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해당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증강현실의 형태로 해당 POI를 표시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드라이브 뷰모드를 사용하여 해당 POI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스테레오 형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심지점의 위치 및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당 관심지점의 실제위치를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강조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관심지점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영상촬영부
111: 제1카메라
112: 제2카메라
120: 위치정보수신부
130: 저장부
140: 지자기센서
150: 자이로센서
160: 영상출력부

Claims (8)

  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
    관심지점(POI)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출력부; 및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고 상기 저장부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면 상기 전방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POI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거리를 고려해 상기 영상출력부를 제어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상기 POI를 강조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심지점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POI의 위치정보를 고려해 상기 영상출력부를 제어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상기 PO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지점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드라이브 뷰모드를 통해 상기 PO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지점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지구 자기장 정보를 측정하는 지자기센서; 및
    차량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자기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지점 표시 장치.
  5. 제어부가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고 저장부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전방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방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POI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거리를 고려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상기 POI를 강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심지점 표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영상에 상기 POI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POI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증강현실 영상의 형태로 상기 PO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지점 표시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상기 POI의 형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드라이브 뷰모드를 통해 상기 PO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지점 표시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지구 자기장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측정된 자기장 정보 및 각속도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판단된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차량 전방에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POI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지점 표시 방법.
KR1020150108106A 2015-07-30 2015-07-30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40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06A KR102407296B1 (ko) 2015-07-30 2015-07-30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06A KR102407296B1 (ko) 2015-07-30 2015-07-30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545A true KR20170014545A (ko) 2017-02-08
KR102407296B1 KR102407296B1 (ko) 2022-06-10

Family

ID=5815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106A KR102407296B1 (ko) 2015-07-30 2015-07-30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2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565B1 (ko) 2018-08-16 2019-11-04 주식회사 인터포 3차원 캐릭터를 이용한 증강현실 도보 길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455303A (zh) * 2019-08-05 2019-11-15 深圳市大拿科技有限公司 Ar导航方法、装置及适用于车辆的ar导航终端
WO2022050435A1 (ko) * 2020-09-02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ar 화면을 위한 시스템 및 차량용 ar 화면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63B1 (ko) * 2010-01-29 2010-10-26 (주)올라웍스 단말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지 않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10015707A (ko) * 2009-08-07 2011-02-17 팅크웨어(주) 내비게이션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삼차원 맵 표시 방법
JP2012141154A (ja) * 2010-12-28 2012-07-26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20092352A (ko) * 2011-02-11 2012-08-21 팅크웨어(주) 영상 정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63876A (ko) * 2011-12-07 2013-06-17 (주)엘에이치에스지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증강 현실 시스템 및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707A (ko) * 2009-08-07 2011-02-17 팅크웨어(주) 내비게이션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의 삼차원 맵 표시 방법
KR100989663B1 (ko) * 2010-01-29 2010-10-26 (주)올라웍스 단말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지 않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2141154A (ja) * 2010-12-28 2012-07-26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20092352A (ko) * 2011-02-11 2012-08-21 팅크웨어(주) 영상 정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63876A (ko) * 2011-12-07 2013-06-17 (주)엘에이치에스지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증강 현실 시스템 및 생성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565B1 (ko) 2018-08-16 2019-11-04 주식회사 인터포 3차원 캐릭터를 이용한 증강현실 도보 길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455303A (zh) * 2019-08-05 2019-11-15 深圳市大拿科技有限公司 Ar导航方法、装置及适用于车辆的ar导航终端
WO2022050435A1 (ko) * 2020-09-02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ar 화면을 위한 시스템 및 차량용 ar 화면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296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0550B2 (ja) 車載用撮影装置
US8315796B2 (en) Navigation device
CN104848863B (zh) 产生所关注位置的扩增视图
KR20180088149A (ko) 차량 경로 가이드 방법 및 장치
US20050209776A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intersection guidance method
JP5414673B2 (ja) 車両走行環境検出装置
US20100268452A1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US20200326191A1 (en) Position calculating apparatus
KR20050081492A (ko) 전방 실제 영상을 사용한 자동차 항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201237369A (en) Navigation device integrating driving image recording and navigation information functionality
JP562158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6395010B2 (ja) 課金位置評価用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8249555A (ja) 位置特定装置、位置特定方法および位置特定プログラム
US9086293B2 (en) Navig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detour
KR20140025244A (ko) 차량 항법 장치의 자이로센서 보상장치 및 그 방법
KR102407296B1 (ko) 관심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JP6444508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TWI426237B (zh) Instant imag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CN102288180B (zh) 实时影像导航系统及方法
JP2014173956A (ja) 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プログラム
JP2006153565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自車位置補正方法
KR20200036405A (ko) 정밀측위 시스템의 종방향 위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1289651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マップマッチング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726384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347352A (ja) 配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