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117A -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117A
KR20170014117A KR1020150106961A KR20150106961A KR20170014117A KR 20170014117 A KR20170014117 A KR 20170014117A KR 1020150106961 A KR1020150106961 A KR 1020150106961A KR 20150106961 A KR20150106961 A KR 20150106961A KR 20170014117 A KR20170014117 A KR 20170014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mailbox
smart
imig
smart mail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배
Original Assignee
정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배 filed Critical 정영배
Priority to KR102015010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117A/ko
Publication of KR2017001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2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2Mail or newspaper receptacles, e.g. letter-boxes; Openings in doors or the like for delivering mail or newspa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6Combinations with letter-bo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우편함에 동작감지센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스마트폰 NFC칩, RF태그방식에 전자도어락을 개폐하는 구동부,
우편함의 우편물의 도착여부를 IMIG로 전송하는 MDIC 제어부,
MDIC로부터 우편함상태를 전송받아 해당세대원에게 정보를 공급하는 IMIG 제어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어 있어, 스마트우편함에 우편물이 완전 투입될 경우 동작감지센서가 작동되어 자동으로 MDIC에서 IMIG로 우편물 도착여부가 전송되며, IMIG 컨트롤러는 해당 세대원 스마트폰의 WI-FI무선통신을 활용하여 우편물 도착알림서비스를 스마트폰 입주자용 우편관리 앱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서 개인별로 부여된 인증방식을 스마트폰의 NFC 태그방식으로 스마트우편함을 개폐하여 개인우편물의 분실,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우편물을 수취하며,
무인상태에서 등기우편 관리 앱을 활용함으로써 등기우편물까지 수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우편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관리시스템{Congregate Building Smart Mailbox System}
본 발명은 집합건축물 세대우편함에 관한 것으로, 세대 우편물을 임시로 보관하도록 하는 우편함에 있어서 우편물 투입 시 무선통신 기술과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각 해당 세대원의 스마트폰으로 우편물 도착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며, 태그방식의 NFC를 전자도어락과 연계함으로써 우편물의 분실, 도난 등으로부터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우편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인 확인 후 직접 수취를 해야 하는 등기우편물인 경우 1인 1세대 가구 수의 증가로 인하여 대부분 본인의 부재중일 경우가 많아 본인에게 수취되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항을 고려하여 등기우편물관리 앱을 통하여 우편배달부와 등기우편물 수취인과 실시간으로 본인확인 인증절차 및 자필서명으로 등기우편물을 도난, 분실 등의 개인정보 보안이 강화 된 스마트우편함에 투입함으로써 등기우편물의 수취를 완료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합건물의 세대 우편물을 보관하는 우편함은 열쇠 등의 잠금장치를 통하여 우편함 개방 후 내용물이 들어 있는지 직접 확인 후 수취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우편물의 도착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기 위해 우편함 투입구에 꽂아 놓게 되는데, 이를 외부 사람이 무단으로 수취할 수 있어 우편물의 도난, 분실 등으로 개인정보가 침해될 수 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등기우편물 수취는 본인확인 후 수령이 가능한 사항이라 부재중일 경우 수차례 방문하지만 본인수취가 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시간적 낭비를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002254에는 우편함에 전자도어락을 장착하고 우편물 투입될 경우 외부의 LED조명이 켜짐을 통하여 우편물 도착여부를 확인하고 RF카드로 전자도어락 해제 후 우편물을 수취하는 자동개폐우편함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060552에는 전자우편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우편물이 전자우편함에 투입될 경우 우편함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광센서를 통하여 우편물 도착여부를 확인하고 유선 전용선으로 세대내에 설치된 비디오폰으로 우편물 도착여부를 알려주는 전자우편함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091559에는 집합건물용 우편함 시스템으로 우편함내부에 동작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우편물 도착여부를 확인하고 유선 전용방식으로 공동 주출입구 자동도어 개폐 시 공동출입구 비디오폰에서 우편물 도착 알림여부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전달하는 방식의 우편함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게시된 선행기술들은 모두가 전자도어락을 활용하여 잠금장치 부분을 강화시키는 방식이거나 유선방식으로 설치문제의 번거로움과 한정된 공간내에서 알림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으로 불특정 지역의 외부공간에서는 우편물 도착알림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시스템이다. 또한 등기우편물에 대한 무인 수취방식에 대하여는 어떠한 방법도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002254
(특허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060552
(특허문헌) 대한민국 특허출원 10-109155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우편함에 우편물이 완전 투입될 경우 세대원의 스마트폰 입주자용 우편관리 앱을 통하여 어떤 지역에서든지 도착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내장된 NFC칩으로 스마트우편함을 개방하고 우편물을 수취하는 방식으로 우편물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여 재산상으로부터 피해를 막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폰 등기우편물 관리 앱을 활용하여 등기우편물배달 방식의 새로운 시스템으로 우편배달부의 시간적인 낭비를 최소화 하고 등기우편물 수취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등기우편물 관리 앱과 스마트우편함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우편함에 동작감지센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NFC칩으로 이루어진 전자도어락 구동부,
우편물도착 및 개폐이력을 IMIG(지능형 우편함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WI-FI모듈 구성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어 있어, MDIC(우편함도어컨트롤러)로 동작감지센서가 우편물 도착여부를 체크하며, 세대별 개인인증이 부여된 스마트폰 NFC칩으로 도어 개폐를 제어하며 WI-FI통신으로 우편함의 상태를 IMIG(지능형우편함게이트웨이)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IMIG는 MDIC로부터 송신된 각 세대 스마트우편함의 정보를 각 세대원 스마트폰 입주자용 우편관리 앱을 통하여 우편물도착 알림 서비스를 구현하려 한다.
상기 우편함이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우편함의 우편함 도착감지센서와 NFC의 자동도어개폐 기능들을 탑재할 수 있는 MDIC 기능 탑재부,
상기 각 부의 정보를 처리하고 컨트롤하는 IMIG 제어부,
및 스마트폰 앱으로 구성되어 스마트폰과 각종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주고받으며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스마트우편함을 제공하려 한다.
스마트 우편함은 기존방식인 열쇠로 우편함을 열거나 다이얼키 방식이거나 비밀번호의 푸쉬버튼을 누르거나 하는 등의 조작을 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으로 스마트우편함과 근거리 비접촉을 하게 되면 스마트우편함이 자동으로 개폐되어 쉽게 우편물을 수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열쇠분실이나 비밀번호 노출우려가 없어 개인정보 보안이 한층 강화된 것이다.
최근 각종 개인정보 노출로 인하여 피해사고로부터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집합건축물내의 우편물 부분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보안을 강화해 줄 수 있도록 우편물 분실, 도난 등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본인 확인을 해야만 수령할 수 있는 등기우편물의 경우 1인 세대의 증가로 인하여 부재중일 경우가 상당하기 때문에 몇 번의 걸쳐 배달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본인에게 수취되는 기간도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우편배달원은 시간적인 낭비와 등기우편물 수령인 또한 원하는 시간에 수취를 못하는 비생산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비합리적인 문제를 스마트우편함과 등기우편물 관리 앱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우편배달부와 등기우편물을 수령할 세대원이 스마트폰 등기우편물 관리 앱을 통하여 본인확인 인증절차 확인 후 자필서명으로 수취확인을 완료하고 스마트우편함에 투입하여 안전하게 등기우편물을 수취하는 방식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우편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우편함 회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전자도어락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합건물용 우편함 시스템에서 우편함의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
그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우편함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우편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시스템은 복수개의 스마트우편함, 전자도어락, MDIC, IMIG, 입주자용 우편관리 앱, 등기우편물 관리 앱, 세대원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우편함은 스마트폰의 NFC칩을 통한 자동 잠금장치가 작동되는 세대별 우편함으로써, 아파트 각 동별로 동일호수에 대한 세대 스마트우편함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우편함은 동작감지센서, WI-FI통신모듈, NFC칩, MDIC(우편함도어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스마트우편함 내부의 우편물투입구 일측에 부착되어 있어 투입구를 통한 우편물이 투입됨에 따라 동작감지를 통해 우편물의 존재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신호를 MDIC로 전달하는 센서이다.
상기 WI-FI통신모듈은 스마트우편함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MDIC에 전달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MDIC의 명령에 의해 IMIG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WI-FI모듈이 작동되어 된다.
상기 NFC칩은 전자도어락의 제어신호를 받은 MDIC에 의해 시건장치의 잠금 및 해제를 작동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MDIC는 동작감지센서에서 전달하는 감지신호에 따라 우편함의 정보를 IMIG로 전송시키며, 전자도어락으로부터 전달되어온 제어 신호에 따라 시건장치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NFC칩으로 명령하게 된다.
상기 전자도어락은 세대원 스마트폰이 등록된 NFC칩을 인식하여 고유 코드번호를 전달받게 되며 전달받은 고유코드번호를 IMIG에 전달한 후, IMIG에서 세대인증을 수행한 바에 따라 스마트우편함의 시건장치 해제명령을 제어신호로 전달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도어락은 NFC칩 리더기, 제어부, 전원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NFC칩 및 카드리더기는 IMIG에 입력된 세대원의 스마트폰 NFC의 근거리 비첩촉식 태그방식의 리더기이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자도어락 및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우편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이다.
상기 제어부는 일측이 IMIG와 스마트우편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NFC칩리더기는 IMIG에 등록된 세대원 스마트폰 NFC 고유코드번호를 IMIG에 전달하고, IMIG는 고유코드번호에 따른 세대인증 신호를 전달받으면 이에 따른 시건장치 해제를 위한 제어신호를 스마트우편함에 전달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MDIC는 스마트우편함에 우편물이 투입됨에 따라 동작감지센서의 동작감지를 통하여 우편물 존재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IMIG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세대원 스마트폰이 등록된 NFC칩을 NFC칩리더기에 태그 될 경우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그 고유코드번호를 IMIG에 전달한 후, IMIG에서 세대인증을 수행한 바에 따라 스마트우편함의 시건장치 해제명령을 전달받아 전자도어락의 제어를 하게 된다.
상기 IMIG는 MDIC로부터 스마트우편함의 정보를 전송받아 전자도어락의 세대인증을 수행하며, 우편물의 도착알림을 해당 세대원의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입주자용 우편관리 앱은 IMIG가 WI-FI를 통하여 스마트우편함의 우편정보와 스마트우편함 개폐이력을 전달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입주자용 등기우편 관리 앱은 등기우편물이 도착하였으나 해당 세대원이 부재중일 등기우편관리 앱을 실행하여 해당세대원에게 등기우편물 수취여부를 확인한 후 개인인증과 자필서명을 등기우편 관리 앱 프로그램으로 실행하여 본인확인 절차 완료 후 스마트우편함에 등기우편물을 투입함으로써 수취완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우편함에 동작감지센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스마트폰 NFC칩, RF태그방식에 전자도어락을 개폐하는 구동부,
    우편함의 우편물의 도착여부를 IMIG로 전송하는 MDIC 제어부,
    MDIC로부터 우편함상태를 전송받아 해당세대원에게 정보를 공급하는 IMIG 제어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어 있어, 스마트우편함에 우편물이 완전 투입될 경우 동작감지센서가 작동되어 자동으로 MDIC에서 IMIG로 우편물 도착여부가 전송되며, IMIG 게이트웨이 컨트롤러는 해당 세대원에게 스마트폰의 입주자용 우편물 관리 앱을 통하여 스마트우편함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각 세대원은 인증된 스마트폰의 NFC 태그 방식으로 스마트우편함을 개폐하여 우편물의 분실,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우편물을 수취하며, 무인상태에서 등기우편물까지 수취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우편함.
  2.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우편함에 우편물의 도착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감지기는 동작감지센서를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우편함 도어락 개폐 인증방식을 해당 세대원이 보유한 스마트폰 NFC칩의 개인인증 방식을 활용하여 근거리 비접촉방식으로 스마트우편함을 개폐할 수 있도록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시스템.
  4.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우편함에 전원을 공급하고 우편물의 도착상태 여부를 체크하며, 스마트우편함 도어락 개폐상태를 체크하는 우편도어 콘트롤러를 매칭하는 MDIC(Mailbox Doorlock Information Controller)를 구성하여 모든 정보를 스마트우편함 게이트웨이인 IMIG로 무선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우편함.
  5. 제 1항 및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함의 우편물 도착여부 및 스마트우편함 개폐상태를 MDIC로부터 전송받아 전체적인 우편물 도착정보와 개폐이력정보를 총괄하여 컨트롤하는 IMIG(Intelligent Mailbox Information Gateway)는 해당 세대원에게 우편물 도착알림을 메세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6. 제1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우편함에 우편물이 도착할 경우 스마트우편함의 정보를 체크하여 해당 세대원에게 스마트폰 입주자용 우편관리 앱을 통하여 우편물 도착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우편함 입주자용 우편관리 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우편함은 우편물이 완전 투입되어 우편물의 분실,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수취할 수 있으므로 해당 세대원의 부재중일 경우에 등기우편물이 배달되었을 경우 스마트폰 등기우편 관리 앱을 이용하여 우편배달부와 우편물 수취인간의 본인인증 확인 및 자필서명 완료 후 스마트우편함에 투입하는 것으로 무인상태에서도 등기우편물을 수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우편함 등기우편 관리 앱.
KR1020150106961A 2015-07-29 2015-07-29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관리시스템 KR20170014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61A KR20170014117A (ko) 2015-07-29 2015-07-29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61A KR20170014117A (ko) 2015-07-29 2015-07-29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117A true KR20170014117A (ko) 2017-02-08

Family

ID=5815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961A KR20170014117A (ko) 2015-07-29 2015-07-29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29B1 (ko) * 2020-02-04 2020-08-31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스마트폰 주차 위치 및 원패스 시스템 적용 건물의 입주자를 위한 택배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54B1 (ko) 2010-02-23 2010-12-20 이기섭 자동개폐 우편함
KR101060552B1 (ko) 2009-03-20 2011-08-30 신동익 전자우편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91559B1 (ko) 2010-03-04 2011-12-13 이기섭 집합건물용 우편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552B1 (ko) 2009-03-20 2011-08-30 신동익 전자우편함을 이용한 우편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02254B1 (ko) 2010-02-23 2010-12-20 이기섭 자동개폐 우편함
KR101091559B1 (ko) 2010-03-04 2011-12-13 이기섭 집합건물용 우편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29B1 (ko) * 2020-02-04 2020-08-31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스마트폰 주차 위치 및 원패스 시스템 적용 건물의 입주자를 위한 택배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060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mitting remote check-in and coordinating access control
EP3120334B1 (en) An electronic locking system
KR102335727B1 (ko) 로킹 시스템을 동작하기 위한 방법, 로킹 시스템, 및 관형 세이프
EP2877983B1 (en) Access control of an in-room safe
KR101995874B1 (ko)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CA2397442A1 (en) Entry control system
KR100917718B1 (ko)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691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locks on depositories
KR2017007965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용 다기능 방범 장치
US20170010592A1 (en) Assistance for the causing of actions
KR102031245B1 (ko)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X2021001121A (es) Caja de entrega a domicilio desatendida inteligente.
US20120019357A1 (en) Access control device
KR102149729B1 (ko) 스마트폰 주차 위치 및 원패스 시스템 적용 건물의 입주자를 위한 택배관리 시스템
EP3945502A1 (en) Improved access control accessibility
CN207728217U (zh) 用于控制物理对象的系统
KR20170014117A (ko) 집합건물용 스마트우편함 관리시스템
ES2932261T3 (es) Sistema de cierre y procedimiento para cerrar un contenedor
JP2014148850A (ja) 配送品受取箱および配送システム
JP4863611B2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ホームコントロール方法およびホームコントローラ用プログラム
KR102291211B1 (ko)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0958420B1 (ko)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 개폐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도어 개폐장치
KR100836366B1 (ko)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KR20090117154A (ko) 무인 택배 관리 장치
CN103279853B (zh) 一种基于单片机的物流取货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