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422A -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422A
KR20170013422A KR1020150099703A KR20150099703A KR20170013422A KR 20170013422 A KR20170013422 A KR 20170013422A KR 1020150099703 A KR1020150099703 A KR 1020150099703A KR 20150099703 A KR20150099703 A KR 20150099703A KR 20170013422 A KR20170013422 A KR 2017001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progress management
cost
management module
lab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766B1 (ko
Inventor
현창택
한상원
이현종
윤유상
차용운
임수상
김정훈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피엠피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피엠피지엠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9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7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을 이용한 건설 프로젝트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 종류, 기간 및 예산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프로젝트 정보 입력단계;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입력된 프로젝트 정보를 바탕으로 WBS 및 공종별 액티비티의 일위대가를 포함하는 CBS를 구축하는 분류 체계 구축단계;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WBS 및 CBS를 포함하는 분류 체계와 공종별 액티비티의 표준품셈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되는 공정표, 노무량 및 노무비 예산을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는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공종별 액티비티에 대한 기성 노무비를 산정하는 기성비 산정단계; 및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노무관리 계획과 산정된 기성 노무비를 바탕으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하는 시공 진도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Labor-based Progress Measurement for Cost and Schedule Control System in Construction Programs}
본 발명은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입력된 프로젝트 정보를 바탕으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 분류체계) 및 CBS(Cost Breakdown Structure, 비용분류체계)를 구축하며, 상기 WBS 및 CBS를 포함하는 표준분류 체계와 공종별 액티비티의 표준품셈 정보를 바탕으로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고, 상기 노무관리 계획과 산정된 기성 노무비를 바탕으로 비용 및 일정계획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하는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관리 방법 및 BPS(Business Process Structure, 업무 절차 체계)의 업무별 가중치와 완료여부를 바탕으로 진도율을 산정하는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프로젝트의 시공단계에서는 비용과 일정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업무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개별적 건축 프로젝트는 설계사가 실시 설계도면을 작성하면, 실시 설계도면에 의거하여 자재의 원가와 물량을 계산하여 자재비를 산출함으로써 건축 프로젝트 설계 내역서와 수량 산출서를 작성하게 된다.
소규모의 건축 프로젝트는 여전히 2차원의 설계도면에 의존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건축물의 3차원 정보와 생애주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괄하고 있는 BIM 설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그 활용도가 아직 미비하여, 여전히 재료비 중심의 제한된 정보만을 활용하여 설계 내역서와 수량 산출서를 제안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방법으로 설계 내역서와 수량 산출서에 기초하더라도 담당자의 임의적인 판단과 수작업으로 공정관리 요소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정표를 제작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공정표에 의한 공정계획이 담당자의 임의적인 판단에 따른 공간분류 체계 및 공종분류 체계에 의존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공정표상의 비용 및 일정은 정확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없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0686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 2014. 02. 03. 등록)가 출원된 바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수량산출과 아이템별 대가기준을 표준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분류체계(WBS) 및 비용분류체계(CBS)를 연계하여 표준화함으로써 비용과 일정을 통합하여 표준정보 관리부에 저장하고, 이를 연계하여 프로젝트 관리에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정관리가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수량과 아이템별 대가수준에 기초하여 WBS와 CBS를 구축함으로써 여전히 재료비에 의존하여 비용과 일정을 관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비용은 재료비, 경비, 노무비 등으로 구성되지만 종래에는 다양한 비용 항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재료비를 중심으로 비용과 일정을 관리하였다. 하지만, 재료비는 실질적인 시공 여부와는 무관하게 건설현장에 재료가 반입이 완료되면 시공이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자재가 반품되거나 수량이 부족, 자재의 할증 등 불확정적 변수가 많아 재료비를 바탕으로 비용 및 일정 관리를 하는 것에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비용과 일정을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보할 진도율 방식과 기성에 의한 진도율 방식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보할 진도율 방식은 건설 현장에서 진도율을 측정하기 위해 보할(가중치) 공정표를 사용하여 특정 공종이 전체 프로젝트 기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고, 기성에 의한 진도율 방식은 총 공사금액 대비 기성으로 인정받아 지불된 비용을 진도율로 산정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두 가지 방식에 대한 진도 산출의 특별한 기준이 없이 내역서 기반의 실제 작업 측정 또는 CPM 기반의 보할 산정에 의하여 측정됨으로써, 산출기준 및 방법이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게 운영되기 때문에 각 현장 특성에 크게 의존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개별적 건축 프로젝트에는 활용되는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가 비용과 일정의 관리 업무의 효율 극대화를 위하여 사용된바 있다. 상기 PMIS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스템 상에서 공정과 비용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주체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PMIS는 대부분 상용이 문서관리 형태에 지나지 않아 온라인상으로 상호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체적으로 담당자의 임의적인 판단과 수작업에 의존하던 종래의 방법과 크게 달라지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개별 건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비용과 일정의 관리가 이루어졌다면 최근의 건축 프로젝트는 복합, 대형 건설화됨에 따라 다수의 프로젝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프로젝트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게 되면, 프로그램 단위의 통합진도 관리 기준이 정립되지 않아 프로젝트별 현황을 개별적으로 보여줄 수밖에 없으며, 프로그램 단위의 사업비나 사업기간과 관련하여 의사결정의 중요도가 높음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건축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운 바, 다수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수준의 관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기존에 개발된 건설 프로그램 종합사업관리시스템(i-PgMIS, Intelligent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은 다수의 프로젝트 관리는 가능하지만, 통합진도관리 기준이 정립되지 않아 프로젝트별 현황을 개별적으로 보여주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시공 이전단계의 진도관리는 단순히 비용과 시간만으로 관리하기에는 예측이 쉽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표준품셈 정보와 일위단가를 바탕으로 노무 기반의 합리적인 WBS 및 CBS를 구축함으로써 담당자의 임의적인 판단이 아닌 정확도가 높고 투명한 비용의 집행이 가능한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을 제시하며, 건축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에도 불구하고 가중치를 바탕으로 다수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 프로그램 수준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한 건설 프로그램의 사업 진도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은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을 이용한 건설 프로젝트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 종류, 기간 및 예산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프로젝트 정보 입력단계(S100);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입력된 프로젝트 정보를 바탕으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분류체계) 및 공종별 액티비티의 일위대가를 포함하는 CBS(Cost Breakdown Structure, 비용분류체계)를 구축하는 분류 체계 구축단계(S200);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WBS 및 CBS를 포함하는 분류 체계와 공종별 액티비티의 표준품셈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되는 공정표, 노무량 및 노무비 예산을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는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공종별 액티비티에 대한 기성 노무비를 산정하는 기성비 산정단계(S400); 및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노무관리 계획과 산정된 기성 노무비를 바탕으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하는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WBS는 건설 프로젝트를 최종적으로 공종별 액티비티 단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BS는 공종별 액티비티의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예측되는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 예산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며, 상기 기성비 산정단계(S4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공종별 액티비티에 대한 기성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산정하고, 상기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노무관리 계획과 입력된 기성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류 체계 구축단계(S2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OBS(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 조직 분류 체계)를 추가적으로 구축하고, 상기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상기 OBS를 포함하는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예측되는 공정표, 노무량 및 노무비 예산을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 이후에,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산정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보고서 형태로 출력하는 보고서 작성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프로그램의 사업 진도 관리방법은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을 이용한 건설 프로그램의 사업 진도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복수의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받는 프로그램 정보 입력단계(S10);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입력된 프로그램 정보를 바탕으로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별 BPS(Business Process Structure, 업무 절차 체계)를 구축하는 BPS 구축단계(S20);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단계(S30);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 완료여부를 판정하는 완료여부 판정단계(S40); 및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 가중치와 완료여부를 바탕으로 진도율을 산정하되, 상기 시공단계는 청구항 1의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산정하는 프로젝트별 진도율을 이용하는 사업 진도 관리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PS는 건설 프로그램을 기획 단계, 설계 단계, 발주/계약 단계, 시공 단계 및 운영/유지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대분류로 분류하고, 상기 대분류를 중분류로 분류하며, 상기 중분류를 최종적으로 소분류로 분류하며, 상기 가중치 부여단계(S30)는 BPS의 중분류 단위 및/또는 소분류 단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분류 단위의 가중치는 비용과 기간을 변수로 하는 산출방식에 의하여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중치 부여단계(S30) 이후에,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로 중간관리일(Milestone)을 부여하는 중간관리일 부여단계(S35)를 포함하고, 상기 완료여부 판정단계(S40)는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 중간관리일을 바탕으로 완료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WBS 및 CBS를 포함하는 분류 체계와 공종별 액티비티의 표준품셈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되는 공정표, 노무량 및 노무비 예산을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고, 산정된 기성 노무비를 바탕으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하여 담당자의 임의적인 판단이 아닌 정확도가 높고 투명한 비용의 집행이 가능한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WBS를 최종적으로 공종별 액티비티 단위로 분류하여 보다 정확한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고, 기성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고려하여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하여 보다 예측 가능성이 높은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OBS를 추가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여 조직 구성원의 특성에 기한 업무분배가 가능하며, 조직 구성원의 역량과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바 보다 정확한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의 효율성을 위하여 비용 및 일정계획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보고서 형태로 간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시공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 완료여부를 판정하고, BPS의 업무별 가중치와 완료여부를 바탕으로 진도율을 산정하여, 프로그램 수준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한 건설 프로그램의 사업 진도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공단계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산정하는 프로젝트별 진도율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사업 진도율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PS의 소분류 단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프로그램의 특수성과 개별적 고려사항을 추가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중치는 비용과 기간을 이용한 산출방식에 의하여 부여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BPS의 업무별로 중간관리일(Milestone)을 부여하고, 상기 중간관리일을 바탕으로 완료여부를 판정하여 단순히 비용이나 기간이 아닌 특정한 시점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사업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과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건설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과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BS와 BPS를 동시에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프로그램의 사업 진도 관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PS의 대분류 및 중분류를 도시한 구성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PS의 소분류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BS, CBS 및 OBS를 반영하는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건설 프로젝트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과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을 이용한 건설 프로그램의 사업 진도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건설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은 크게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과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건설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과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은 데이터베이스(DB)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건설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설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인트라넷과 같은 내부 전산망 혹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전산망일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과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은 프로그램 정보 입력부(10), BPS 구축부(20), 가중치 생성부(30), 완료여부 판정부(40) 및 사업 진도 관리부(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은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100), 분류체계 구축부(200), 계획 도출부(300), 기성비 산정부(400) 및 시공 진도 관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은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의 사업 진도 관리부(50)와 정보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을 이용한 건설 프로젝트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은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정보 입력단계(S100), 분류 체계 구축단계(S200),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 기성비 산정단계(S400) 및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정보 입력단계(S100)는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100)가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 종류, 기간 및 예산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는 구조 및 형태, 연면적, 용적률, 건폐율, 지상여부, 고도, 층수,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종류는 용도, 대지분류체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간과 예산은 단위 프로젝트의 시공에 소요되는 목표 기간 및 목표 예산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후에 진행되는 분류 체계 구축단계(S200)는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분류체계 구축부(200)가 입력된 프로젝트 정보를 바탕으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분류체계) 및 공종별 액티비티의 일위대가를 포함하는 CBS(Cost Breakdown Structure, 비용분류체계)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WBS는 일 실시예로서 시설물 단위의 건설 프로젝트에 대하여 대공종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대공종은 건축, 토목, 기계, 전기, 통신 및 조경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대공종은 동별, 실별, 층별 공간 등을 포함하는 공간단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단위는 공용, 구조, 건물외부, 건물내부 등을 포함하는 부위단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부위단위는 공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데 건물의 구조부위의 슬라브는 가설공사, 기초공사, 철근 콘크리트공사, 철골공사, 조적공사, 방수공사, 타일공사 등의 공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은 다시금 공종별 액티비티 단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예컨데 철근 콘크리트공사는 거푸집, 철근, 콘크리트 등의 액티비티 단위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BS는 공종별 액티비티의 일위대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공종별 액티비티의 재료비, 경비, 외주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체계 구축단계(S2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분류 체계 구축부(200)가 OBS(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 조직 분류 체계)를 추가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상기 OBS는 시공단계에 투입되는 조직 구성원에 대한 분류 체계로서, WBS에 조직 구성원을 배분함에 있어서 OBS의 분류 체계를 반영하여 공정별 액티비티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개별 조직 구성원에 대한 공정계획은 물론 조직별 공정계획을 도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후에 진행되는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는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계획 도출부(300)가 WBS 및 CBS를 포함하는 분류 체계와 공종별 액티비티의 표준품셈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되는 공정표, 노무량 및 노무비 예산을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준품셈 정보는 정보의 객관성과 명확성을 위하여 국토교통부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표준품셈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표준품셈은 당해 액티비티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투입되는 노무량(인/㎡) 혹은 단위 체적당 투입되는 노무량(인/㎥)으로 표시된다.
상기 표준품셈 정보와 일위대가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되, 매년 변경되는 정보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액티비티에 적용되는 인부도 전문공과 보통인부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OBS에 의한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에 따른 전문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노무관리 계획이 가능해진다.
투입되는 총 노무량은 상기 액티비티의 표준품셈과 단위 면적 또는 체적을 바탕으로 산정되며, 노무비 예산은 상기 CBS의 공종별 액티비티의 일위대가를 바탕으로 도출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를 통하여 도출된 노무관리 계획이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100)에 입력되는 건설 프로젝트 정보를 수정하여 비용-일정을 수정할 수 있다.
CBS는 공종별 액티비티의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예측되는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 예산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할 수 있다.
이로써, 노무비를 중심으로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되,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 예산을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추후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에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의 정확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상기 OBS를 포함하는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예측되는 공정표, 노무량 및 노무비 예산을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할 수 있어 조직 구성원의 특성에 기한 업무분배가 가능하며, 조직 구성원의 역량과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바 보다 정확한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조직별, 조직 구성원별 비용-일정 진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후에 진행되는 기성비 산정단계(S400)는 시공 진도 관리모듈의 기성비 산정부(400)가 공종별 액티비티에 대한 기성 노무비를 산정하는 단계로 집행된 노무비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각 공종별 액티비티 단위로 기성 노무비를 산정하게 된다.
이때, 기성비 산정단계(S4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공종별 액티비티에 대한 기성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그 이후에 진행되는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시공 진도 관리부(500)가 노무관리 계획과 산정된 기성 노무비를 바탕으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시공단계의 진도율을 산정할 수 있음은 물론 WBS의 단위에 따른 진도율을 산정할 수 있는바 산정된 노무비와 노무비 예산을 바탕으로 목표 예산과 비교를 통하여 비용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어떠한 공정에 비용의 비효율성이 발생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나아가, 공정표와 기성 노무비를 통한 진도율을 바탕으로 일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WBS의 단위에 따른 진도율을 산정할 수 있어 어떠한 공정에 일정상의 차질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는 시공 진도 관리모듈이 노무관리 계획과 입력된 기성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다 예측 가능성이 높은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시공 진도 관리부(500)는 WBS의 단위별, OBS의 조직별 또는 CBS의 비용별로 일정, 비용을 검토할 수 있도록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 이후에,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시공 진도 관리부(500)가 산정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보고서 작성부(600)가 보고서 형태로 출력하는 보고서 작성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고서 작성부(600)는 시공 진도 관리부(500)는 WBS의 단위별, OBS의 조직별 또는 CBS의 비용별로 제공될 수 있는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보고서로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을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은 프로그램 정보 입력단계(S10), BPS 구축단계(S20), 가중치 부여단계(S30), 완료여부 판정단계(S40) 및 사업 진도 관리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정보 입력단계(S10)는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의 프로그램 정보 입력부(10)가 복수의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개별 프로젝트 정보는 물론 전체 사업단위의 포괄적인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업의 진행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획 단계, 설계 단계, 발주/계약 단계, 시공 단계 및 운영/유지관리 단계 등에서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의미한다.
이후 진행되는 상기 BPS 구축단계(S20)는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의 BPS 구축부(20)가 입력된 프로그램 정보를 바탕으로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별 BPS(Business Process Structure, 업무 절차 체계)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PS는 건설 프로그램을 기획 단계, 설계 단계, 발주/계약 단계, 시공 단계 및 운영/유지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대분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대분류를 중분류로 분류하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분류를 최종적으로 소분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일례로, 대분류에 따른 기획 단계는 중분류로서, 기본구상, 타당성 조사, 사업기본계획수립, 사업수행방식결정, 사업수행방식결정, 사업수행계획수립, 계획단계VE, 참여자선정 및 사업관리정보시스템체계수립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중분류에 따른 기본구상은 개발방향 설정 및 기본 구상안 수립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후에 진행되는 가중치 부여단계(S30)는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의 가중치 생성부(30)가 BPS의 업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중치 부여단계(S30)는 BPS의 중분류 단위 및/또는 소분류 단위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중분류 단위의 가중치는 비용과 기간을 변수로 하는 산출식에 의하여 부여될 수 있어 개별 사업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가변적인 적용이 가능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소분류 단위의 가중치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비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분류 단위의 가중치를 종합하여 중분류 단위의 진도율을 산정할 수 있으나, 중분류 단위별로 가중치가 별도로 부여되는바 대분류 단위에서는 중분류 단위별 가중치가 진도율 산정에 반영되게 된다.
이후에 진행되는 완료여부 판정단계(S40)는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완료여부 판정부(40)가 BPS의 업무별 완료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로, 완료여부 판정부(40)는 기 완료된 업무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각 BPS 단위로 완료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중치 부여단계(S30) 이후에,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로 중간관리일(Milestone)을 부여하는 중간관리일 부여단계(S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료여부 판정단계(S4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완료여부 판정부(40)가 BPS의 업무별 중간관리일을 바탕으로 완료여부를 판정하는바, 완료여부 판정에 있어 보다 효율성을 꾀할 수 있으며, 단순히 비용이나 기간이 아닌 특정한 시점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사업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후에 진행되는 사업 진도 관리단계(S50)는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의 사업 진도 관리부(50)가 BPS의 업무별 가중치와 완료여부를 바탕으로 진도율을 산정하되, 상기 시공단계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산정하는 프로젝트별 진도율을 이용하는 단계이다.
일례로, BPS의 대분류에 따른 기획 단계, 설계 단계, 발주/계약 단계, 시공 단계 및 운영/유지관리 단계는 각각 업무별 가중치와 완료여부를 바탕으로 진도율이 산정되되, 상기 시공단계의 경우는 상술한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의 시공 진도 관리부(500)가 산정한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사업 진도 관리부(50)에 제공하고, 상기 사업 진도 관리부(50)는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가중치와 완료여부를 바탕으로 진도율을 산정함으로써, 종합적인 사업 프로그램 단위의 진도관리가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S100 : 프로젝트 정보 입력단계 S200 : 분류 체계 구축단계
S300 :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 S400 : 기성비 산정단계
S500 : 시공 진도 관리단계 S600 : 보고서 작성 단계
S10 : 프로그램 정보 입력단계 S20 : BPS 구축단계
S30 : 가중치 부여단계 S35 : 중간관리일 부여단계
S40 : 완료여부 판정단계 S50 : 사업 진도 관리단계

Claims (9)

  1.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을 이용한 건설 프로젝트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 종류, 기간 및 예산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프로젝트 정보 입력단계(S100);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입력된 프로젝트 정보를 바탕으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분류체계) 및 공종별 액티비티의 일위대가를 포함하는 CBS(Cost Breakdown Structure, 비용분류체계)를 구축하는 분류 체계 구축단계(S200);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WBS 및 CBS를 포함하는 분류 체계와 공종별 액티비티의 표준품셈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되는 공정표, 노무량 및 노무비 예산을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는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공종별 액티비티에 대한 기성 노무비를 산정하는 기성비 산정단계(S400); 및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노무관리 계획과 산정된 기성 노무비를 바탕으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하는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BS는 건설 프로젝트를 최종적으로 공종별 액티비티 단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BS는 공종별 액티비티의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예측되는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 예산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며,
    상기 기성비 산정단계(S4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공종별 액티비티에 대한 기성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산정하고,
    상기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노무관리 계획과 입력된 기성 재료비, 경비 또는 외주비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체계 구축단계(S2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OBS(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 조직 분류 체계)를 추가적으로 구축하고,
    상기 노무관리 계획 도출단계(S300)는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상기 OBS를 포함하는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예측되는 공정표, 노무량 및 노무비 예산을 포함하는 노무관리 계획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 진도 관리단계(S500) 이후에, 상기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산정한 비용 및 일정의 타당성과 진도율을 보고서 형태로 출력하는 보고서 작성 단계(S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6.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을 이용한 건설 프로그램의 사업 진도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복수의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받는 프로그램 정보 입력단계(S10);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입력된 프로그램 정보를 바탕으로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별 BPS(Business Process Structure, 업무 절차 체계)를 구축하는 BPS 구축단계(S20);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단계(S30);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 완료여부를 판정하는 완료여부 판정단계(S40); 및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 가중치와 완료여부를 바탕으로 진도율을 산정하되, 상기 시공단계는 청구항 1의 프로젝트 진도 관리모듈이 산정하는 프로젝트별 진도율을 이용하는 사업 진도 관리단계(S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PS는 건설 프로그램을 기획 단계, 설계 단계, 발주/계약 단계, 시공 단계 및 운영/유지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대분류로 분류하고, 상기 대분류를 중분류로 분류하며, 상기 중분류를 최종적으로 소분류로 분류하며,
    상기 가중치 부여단계(S30)는 BPS의 중분류 단위 및/또는 소분류 단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분류 단위의 가중치는 비용과 기간을 변수로 하는 산출방식에 의하여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부여단계(S30) 이후에, 상기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로 중간관리일(Milestone)을 부여하는 중간관리일 부여단계(S35)를 포함하고,
    상기 완료여부 판정단계(S40)는 프로그램 진도 관리모듈이 BPS의 업무별 중간관리일을 바탕으로 완료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KR1020150099703A 2015-07-14 2015-07-14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KR10171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703A KR101717766B1 (ko) 2015-07-14 2015-07-14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703A KR101717766B1 (ko) 2015-07-14 2015-07-14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422A true KR20170013422A (ko) 2017-02-07
KR101717766B1 KR101717766B1 (ko) 2017-03-17

Family

ID=5810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703A KR101717766B1 (ko) 2015-07-14 2015-07-14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7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1534A (zh) * 2017-04-07 2017-07-28 温廷祥 工程项目建设进程评估方法
CN110868472A (zh) * 2019-11-20 2020-03-06 厦门梓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PaaS云平台的项目集成系统及其集成方法
KR20200076554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발전플랜트 건설사업의 설계관리를 위해 하위 레벨에서 상위 레벨로 공정률 롤업을 위한 공정률 롤업 시스템
CN113112181A (zh) * 2021-04-30 2021-07-13 平安普惠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项目管理方法及相关装置
CN113780730A (zh) * 2021-08-04 2021-12-10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工程管控平台的进度管控方法
CN114091939A (zh) * 2021-11-26 2022-02-25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工程进度监督系统及其方法
CN117011081A (zh) * 2023-08-07 2023-11-07 深圳叮当科技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全过程工程算量管理方法及管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171B1 (ko) 2019-08-29 2022-01-12 주식회사 샐러리 근로자를 위한 노무관리 시스템
KR102601586B1 (ko) 2022-11-07 2023-11-13 주식회사엔원종합건설 건설공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 분해도)’, [online], 2009.08.28., [2016.04.29. 검색], 인터넷: <http://blog.naver.com/checkmate12/10068410871>(2009.09.28.) *
윤유상 외 3인. 비용-일정통합기반 진도관리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4권 제5호, pp144~152(2013.09.30.) *
이승훈 외 2인. 복수 건설프로젝트 진도관리시스템 모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26(2), 2010.2, pp79~86(2010.02.)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1534A (zh) * 2017-04-07 2017-07-28 温廷祥 工程项目建设进程评估方法
KR20200076554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발전플랜트 건설사업의 설계관리를 위해 하위 레벨에서 상위 레벨로 공정률 롤업을 위한 공정률 롤업 시스템
CN110868472A (zh) * 2019-11-20 2020-03-06 厦门梓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PaaS云平台的项目集成系统及其集成方法
CN110868472B (zh) * 2019-11-20 2022-06-07 厦门梓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PaaS云平台的项目集成系统及其集成方法
CN113112181A (zh) * 2021-04-30 2021-07-13 平安普惠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项目管理方法及相关装置
CN113780730A (zh) * 2021-08-04 2021-12-10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工程管控平台的进度管控方法
CN114091939A (zh) * 2021-11-26 2022-02-25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工程进度监督系统及其方法
CN117011081A (zh) * 2023-08-07 2023-11-07 深圳叮当科技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全过程工程算量管理方法及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766B1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766B1 (ko)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Poirier et al. Measuring the impact of BIM on labor productivity in a small specialty contracting enterprise through action-research
Erol et al. Measuring the impact of lean construction practices on project duration and variability: A simulation-based study on residential buildings
Ben-Alon et al. Simulating the behavior of trade crews in construction using agents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ixit et al. Study of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using relative importance index in Indian construction industry
Candelario-Garrido et al. A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feasibility of 4D planning graphic systems versus conventional systems in building projects
Nagaraju et al. Resource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a case study
Rumane Quality tools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Fernand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IM platforms on construction site
KR101552330B1 (ko) 친환경 건축을 위한 건설 가치공학 통합 관리 시스템
Si et al. A Dynamic Just‐in‐Time Component Delivery Framework for Off‐Site Construction
Tomczak et al. Harmonizing construction processes in repetitive construction projects with multiple buildings
Fahmy et al. Dynamic scheduling model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Kelsey et al. Understanding the project planning process: requirements capture for the virtual construction site
Nouban et al. The factors affecting the methods of construction projects scheduling: an state of the art and overview
Taihairan et al. BIM: Integrating cost estimates at initial/design stage
Vimonsatit et al. Use of BIM tools for site layout planning
Popov et al. Applic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and construction process simulation ensuring virtual project development concept in 5D environment
Barth et al. Implementation of production system design in house building projects: A lean journey in Chile
Dawood et al. The value of visual 4D planning in the UK construction industry
Korb et al. Towards multi-project simulation of a lean production system for customized apartment buildings
Korb et al. Evaluating multiskilling in residential construction projects using regional industry simulation
Lenz et al. Multi-criteria decision support in construction management: life cycle-oriented investigation of the economic efficiency
Florez et al. Labor management in masonry construction: a sustainable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